맨위로가기

마니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니 반도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쪽에 위치한 산악 지형으로, 엑소 마니, 카토 마니, 메사 마니의 세 지역으로 나뉜다. 이 지역은 접근성이 떨어져 외부와 고립되었으며, 특유의 음식 문화와 역사, 그리고 탑 모양의 건축물로 유명하다. 21만 년 전의 호모 사피엔스 두개골이 발견된 아피디마 동굴이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 유적과 미케네 시대 유물도 발견되었다. 비잔틴 제국, 프랑크족, 오스만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쳤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늘날에는 관광 산업이 발달하여 여름철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올리브 오일과 같은 특산품도 생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펠로폰네소스주의 지리 - 코린토스만
    코린토스만은 그리스에 위치하며, 이오니아해의 만입부로 리오 해협 안쪽에 위치하고, 에게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이 활발하며,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사로니코스만과 연결된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지리 - 사로니코스만
    사로니코스만은 그리스의 여러 섬으로 둘러싸인 만으로, 아테네의 항구인 피레아스 항구가 위치하고 역사적 사건의 무대이자 고고학 유적지가 있어 관광지로 중요하며, 해양 레저 활동이 활발하고 여름철에는 계절풍의 피난처를 제공한다.
  • 그리스의 역사적 지역 - 트라키아
    트라키아는 동남유럽의 다뉴브 강, 흑해, 북부 마케도니아, 일리리아를 경계로 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불가리아, 그리스, 터키 3개국에 걸쳐있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지역이다.
  • 그리스의 역사적 지역 - 마케도니아 (지역)
    마케도니아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왕국으로 존재했고 로마, 비잔티움 제국 시대를 거쳐 오늘날 여러 국가에 걸쳐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 라코니아현 - 셀라시아 전투
    기원전 222년에 벌어진 셀라시아 전투는 마케도니아 연합군이 스파르타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스파르타의 쇠퇴를 가져왔고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라코니아현 - 바피오
    바피오는 라코니아에 위치한 고고학 유적지이며, 특히 미케네 문명과 미노아 문명의 교류를 보여주는 '바피오의 잔'으로 알려진 금잔이 발견된 돔 무덤으로 유명하다.
마니반도
지도
마니 반도
기본 정보
타이나론이라고도 불리는 마니 반도 최남단 마타판 곶
마니 반도 전체 지도
위치페로폰네소스 반도 남쪽 끝
해역이오니아 해
국가라코니아 현, 메세니아 현
최대 도시기티오
주민마니아테스
로마자 표기Maniótes
개요
설명마니 반도는 그리스 남부 페로폰네소스 반도의 중부 반도이다.

2. 어원

마니라는 명칭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은 이 명칭이 불확실한 기원을 가진 중세 시대 지역 명칭 마이니(Maini)의 자연스러운 변천 과정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마니"라는 이름은 프랑크 시대의 성, '''르 그랑 마뉴'''(''le Grand Magn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3]

“마니”라는 이름은 프랑코크라티아의 성 이름Grand Magne|그랑 마뉴영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0] 좀 더 가능성이 높은 설에 따르면 “마니”는 “드문드문 나무가 없는 장소”를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3. 지리

마니 반도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쪽 중앙에 위치한 반도로, 지형은 산악 지대여서 접근하기 어렵다. 최근까지 많은 마니 마을들은 바다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다. 오늘날에는 좁고 구불구불한 도로가 칼라마타에서 아레오폴리스까지 서해안을 따라 이어지고, 그 후 아크로타이나로(그리스 본토 최남단인 뾰족한 곶)까지 남쪽으로 이어진 후 기티온 방향으로 북쪽으로 방향을 튼다. 수십 년 동안 피레우스-마니 노선의 공영 버스가 이용하는 또 다른 도로는 트리폴리스에서 스파르타, 기티온, 아레오폴리스를 거쳐 카페 마타판 근처의 게롤리메나스 항구에서 끝난다.

마니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을 정도로 복잡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style="text-align: left;"|


3. 1. 지리적 구분

마니는 전통적으로 다음 세 지역으로 나뉜다.[9]

  • 엑소 마니(Έξω Μάνη, Exo Mani) 또는 외마니(Outer Mani): 반도 북서부
  • 카토 마니(Κάτω Μάνη, Kato Mani) 또는 하마니(Lower Mani): 반도 동부
  • 메사 마니(Μέσα Μάνη, Mesa Mani) 또는 내마니(Inner Mani): 반도 남서부


북쪽에 바르두니아(Βαρδούνια, Vardounia)라는 네 번째 지역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지만, 역사적으로 마니의 일부는 아니었다. 바르두니아는 오스만 지배하의 에우로타스 평야와 마니 사이의 완충 지대로 기능했다. 이슬람교도 알바니아인 정착민 중 일부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이 지역으로 이주되었다. 이들은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트리폴리의 터키 요새로 도망칠 때까지 주민 대부분을 구성했다.[11] 전쟁 후 바르두니아의 그리스 인구는 하마니와 중앙 라코니아 출신의 정착민들에 의해 강화되었다.

행정상 현재 마니 반도는 라코니아현(카토 마니, 메사 마니)과 메세니아현(엑소 마니)으로 나뉘어 있지만, 고대에는 스파르타가 지배하는 라코니아 지역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었다. 메시니아 마니("그늘"을 의미하는 "아포스키아델리"(Αποσκιαδελι)라고도 불림)는 라코니아 마니("햇살"을 의미하는 "프로시리키"(Προσηλίκι)라고도 불림)보다 강우량이 다소 많아 농업 생산성이 높다. 현재 메시니아 마니의 마니아테스(Μανιάτης) 성씨는 -éas로 끝나지만, 라코니아 마니아테스의 경우는 -ákos이다. "손자"를 의미하는 éggonos가 변형된 -óggonas도 있다.[1]

3. 2. 특징

마니 반도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쪽 중앙에 위치한 반도로, 지형은 산악 지대로 접근이 어렵다.
그리스 지도에서 마니 반도를 강조 표시.
최근까지 많은 마니 마을들은 바다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다. 오늘날에는 좁고 구불구불한 도로가 칼라마타에서 아레오폴리스까지 서해안을 따라 이어지고, 그 후 아크로타이나로(그리스 본토 최남단인 뾰족한 곶)까지 남쪽으로 이어진 후 기티온 방향으로 북쪽으로 방향을 튼다. 수십 년 동안 피레우스-마니 노선의 공영 버스가 이용하는 또 다른 도로는 트리폴리스에서 스파르타, 기티온, 아레오폴리스를 거쳐 카페 마타판 근처의 게롤리메나스 항구에서 끝난다.

마니는 전통적으로 세 지역으로 나뉜다.[9]

  • '''엑소 마니'''(Έξω Μάνη) 또는 '''외마니'''(북서쪽)
  • '''카토 마니'''(Κάτω Μάνη) 또는 '''하마니'''(동쪽)
  • '''메사 마니'''(Μέσα Μάνη) 또는 '''내마니'''(남서쪽)


북쪽에 위치한 바르두니아(Βαρδούνια)라는 네 번째 지역도 때때로 포함되지만 역사적으로는 마니의 일부가 아니었다. 바르두니아는 오스만 제국이 통치하는 에브로타스 평원과 마니 사이의 완충 지대 역할을 했다. 오스만 제국에 의해 무슬림 알바니아 정착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되었다. 이 정착민들은 그리스 독립 전쟁 때 트리폴리스의 터키 요새로 도망칠 때까지 지역 주민의 큰 부분을 형성했다.[11] 전쟁 후 바르두니아의 그리스 인구는 하마니와 중앙 라코니아 출신의 정착민들에 의해 강화되었다.

행정적으로 마니는 현재 펠로폰네소스 주의 라코니아(카토 마니, 메사 마니)와 메세니아(엑소 마니) 현으로 나뉘어 있지만, 고대에는 스파르타가 지배하는 라코니아 지역 내에 완전히 속해 있었다. 메세니아 마니(현지 표현으로 "그늘진 곳"을 의미하는 ''aposkiaderi''라고도 함)는 라코니아 마니(''햇볕이 잘 드는 곳''을 의미하는 현지 표현인 ''prosiliaki''라고 함)보다 강수량이 다소 많아 농업 생산성이 더 높다. 현재 메세니아 마니에 속한 마니 사람들은 성이 ''-éas''로 끝나고, 현재 라코니아 마니에 속한 마니 사람들은 성이 ''-ákos''로 끝난다. 또한 ''-óggonas''라는 어미가 있는데, 이는 "손자"를 뜻하는 ''éggonos''의 변형이다.[1]

4. 역사

마니 반도는 21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가 살았던 흔적이 발견된 곳으로,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거주지 중 하나이다. 신석기 시대 유적도 해안 동굴에서 많이 발견되었다.[5]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도 마니 지역 도시들이 언급되며, 미케네 문명 시대 유물도 발견되었다. 기원전 1200년경 도리아인이 이 지역을 점령하여 스파르타의 지배를 받았으나, 기원전 3세기 스파르타가 쇠퇴하면서 자치를 회복했다.

비잔티움 제국이 약해지자 마니는 제국의 통제에서 벗어났고, 이후 수 세기 동안 프랑크족, 사라센인 등 다양한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다. 1204년 제4차 십자군 이후에는 아카이아 공국이 세워져 여러 요새가 건설되었고, 1262년부터는 비잔티움 제국의 모레아 전제군주국에 속했다.

146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에 복속되었으나, 마니는 자치를 유지하며 현지 족장('베이')의 통치를 받았다. 17세기에는 림베라키스 게라카리스라는 인물이 오스만 제국의 대리인으로 마니를 통치하며 세력을 확장하기도 했다.[6]

1776년, 오를로프 봉기 실패 후 마니는 자치 지위를 인정받고,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발발 전까지 45년간 8명의 베이가 술탄을 대신하여 통치했다.

이름재위 기간
Τζανέτος Κουτούφαρης|차네토스 쿠투파리스el1776년–1779년
미할베이 트루파키스(무르치노스로 알려짐)1779년–1782년
차네토스 카페타나키스 그리고라키스(차네트베이)1782년–1798년
파나기오티스 쿠문두루스1798년–1803년
안톤베이 그리고라키스1803년–1808년
콘스탄티노스 제르바코스(제르보베이)1808년–1810년
테오도로베이 차네타키스1811년–1815년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1815년–1821년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마니는 클레프트라 불리는 산적들의 근거지가 되었고, 많은 마니오트인들이 코르시카로 이주하기도 했다. 마지막 베이인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821년 아레오폴리스에서 혁명을 선포했다.[7] 마니오트인들은 독립 전쟁에 큰 공헌을 했으나, 독립 후에도 지역 자치를 고수하며 중앙 정부와 갈등을 빚었고,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암살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했다.[1]

1878년 중앙 정부에 의해 자치권이 축소되면서 마니는 쇠퇴하고 많은 주민들이 이주했으나, 1970년대 관광 산업 발전과 함께 다시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다.[1]

4. 1. 고대

21만 년 전보다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이 반도 서쪽의 아피디마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 증거였다.

신석기 시대 유적이 알레포트리파 동굴을 포함한 마니 해안을 따라 많은 동굴에서 발견되었다.[5] 특히 알레포트리파 동굴은 유럽에서 발견된 가장 큰 신석기 시대 매장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호메로스는 『일리아스』 2권의 함선 목록에서 라코니아의 도시들과 함께 마니 반도의 도시 메세, 오이튀로스(Oitylo), 라스(Passavas)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미케네 시대(기원전 1900년~기원전 1100년)의 몇몇 유물이 마니 반도에서도 발견되었다. 타이나론 곶(마타판 곶)은 오래전부터 포세이돈 신앙이 성행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신화에 따르면 타이나론 곶에는 저승으로 통하는 동굴이 있으며, 헤라클레스케르베로스를 잡기 위해 이 동굴을 통해 지하로 내려갔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1200년경 이 지역은 도리아인에 의해 점령되었고, 마니 사람들은 페리오이코이로서 스파르타에 예속되었다. 그 사이 페니키아인이 이주하여 규티온(기티오)을 건설하였다. 기원전 3세기에 스파르타의 권력이 붕괴된 후, 마니 반도는 자치를 유지하였다.

4. 2. 중세

비잔티움 제국의 힘이 약해짐에 따라, 마니 반도는 제국의 통제에서 벗어났다. 남쪽의 마이니 요새가 이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 후 수세기 동안 이 반도는 비잔티움 제국, 프랑크족, 사라센인들에 의해 쟁탈되었다.

1204년 제4차 십자군 이후, 이탈리아와 프랑스 기사들(그리스인들은 프랑크족이라고 부름)이 펠로폰네소스를 점령하고 아카이아 공국을 세웠다. 그들은 미스트라스, 파사바스, 류크트론(보포르), 그레이트 마이나의 요새를 건설했다. 이 지역은 1262년 이후 비잔티움 지배하에 들어가 모레아 데스포타트의 일부가 되었다.

146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데스포타트는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많은 비잔티움 귀족 가문들이 마니로 피신했다. 마니는 정복되지 않았고 연례 조공을 대가로 내부 자치를 유지했지만, 이는 단 한 번만 지불되었다. 현지 족장이나 ''베이''들이 오스만 제국을 대신하여 마니를 통치했다.

그 중 첫 번째는 17세기의 림베라키스 게라카리스였다. 베네치아 함대의 전 노잡이 출신 해적으로, 그는 오스만 제국에 사로잡혀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대베지르는 그를 사면하고, 오스만 제국의 대리인으로서 마니의 통제권을 장악한다는 조건으로 석방했다. 게라카리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스테파노풀로이라는 강력한 마니오트 가문과의 불화를 해결했다. 그는 오이틸로에 있는 그들의 거점을 포위 공격하여 35명을 사로잡아 처형했다. 20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베네치아인과 터키인 사이에서 충성을 바꿨다.[6]

오를로프 봉기의 실패 후, 1776년 마니의 자치 지위는 술탄에 의해 인정되었고,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45년 동안 8명의 통치자("베이")가 술탄을 대신하여 이 반도를 통치했다.[6]

이름통치 기간
Τζανέτος Κουτούφαρης|차네토스 쿠투파리스el1776–1779
미할베이 트루파키스(무르치노스로 알려짐)1779–1782
차네토스 카페타나키스 그리고라키스 또는 차네트베이1782–1798
파나기오티스 쿠문두루스1798–1803
안톤베이 그리고라키스1803–1808
콘스탄티노스 제르바코스 또는 제르보베이1808–1810
테오도로베이 차네타키스1811–1815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1815–1821


4. 3. 근대

마니의 깃발(비공식)


바테이아의 탑집


기티오 항구 도시


마니 자유국 지도


1204년 제4차 십자군 이후, 이탈리아와 프랑스 기사들(그리스인들은 프랑크족이라고 부름)이 펠로폰네소스를 점령하고 아카이아 공국을 세웠다. 그들은 미스트라스, 파사바스, 류크트론(보포르), 그리고 그레이트 마이나의 요새를 건설했다. 이 지역은 1262년 이후 비잔티움 지배하에 들어가 모레아 데스포타트의 일부를 형성했다.

146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데스포타트는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많은 비잔티움 귀족 가문들이 마니로 피신했다. 마니는 정복되지 않았고 연례 조공을 대가로 내부 자치를 유지했지만, 이는 단 한 번만 지불되었다. 현지 족장이나 ''베이''들이 오스만 제국을 대신하여 마니를 통치했다.

그 중 첫 번째는 17세기의 림베라키스 게라카리스였다. 베네치아 함대의 전 노잡이 출신 해적으로, 그는 오스만 제국에 사로잡혀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대베지르는 그를 사면하고, 오스만 제국의 대리인으로서 마니의 통제권을 장악한다는 조건으로 석방했다. 게라카리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스테파노풀로이라는 강력한 마니오트 가문과의 불화를 해결했다. 그는 오이틸로에 있는 그들의 거점을 포위 공격하여 35명을 사로잡아 처형했다. 20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베네치아인과 터키인 사이에서 충성을 바꿨다.[6]

오를로프 봉기의 실패 후, 1776년 마니의 자치 지위는 술탄에 의해 인정되었고,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45년 동안 8명의 통치자("베이")가 술탄을 대신하여 이 반도를 통치했다.[6] 이 시기 마니를 통치한 베이는 다음과 같다.

이름재위 기간
Τζανέτος Κουτούφαρης|차네토스 쿠투파리스el1776년–1779년
미할베이 트루파키스(무르치노스로 알려짐)1779년–1782년
차네토스 카페타나키스 그리고라키스(차네트베이)1782년–1798년
파나기오티스 쿠문두루스1798년–1803년
안톤베이 그리고라키스1803년–1808년
콘스탄티노스 제르바코스(제르보베이)1808년–1810년
테오도로베이 차네타키스1811년–1815년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1815년–1821년



오스만 제국의 힘이 약해짐에 따라, 마니의 산악 지대는 오스만 제국과도 싸운 산적들인 ''클레프트''들의 거점이 되었다. 오스만 시대 동안 상당한 마니오트인들이 코르시카로 이주한 증거도 있다. 마니의 마지막 ''베이''인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7] 그는 1821년 3월 17일 아레오폴리스에서 혁명을 선포했다. 마니오트인들은 투쟁에 크게 기여했지만, 그리스 독립이 이루어지자 지역 자치를 유지하려고 했다. 요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통치 기간 동안, 그들은 마브로미할리스의 아들들이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살해할 정도로 외부 간섭에 격렬하게 저항했다.[1]

1878년 중앙 정부는 마니의 지역 자치를 축소했고, 이 지역은 점차 쇠퇴했다. 주민들은 이민을 통해 땅을 버리고 많은 사람들이 주요 그리스 도시뿐만 아니라 서유럽과 미국으로 이주했다. 새로운 도로 건설이 관광 산업의 성장을 지원한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마니는 인구를 회복하고 번영하기 시작했다.[1]

아레오폴리스의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 기념비

4. 4. 현대



21만 년 전보다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이 반도 서쪽의 아피디마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 증거였다.[5]

1204년 제4차 십자군 이후, 이탈리아와 프랑스 기사들이 펠로폰네소스를 점령하고 아카이아 공국을 세웠다. 그들은 미스트라스, 파사바스, 류크트론(보포르), 그레이트 마이나의 요새를 건설했다. 이 지역은 1262년 이후 비잔티움 지배하에 들어가 모레아 데스포타트의 일부를 형성했다.

146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데스포타트는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많은 비잔티움 귀족 가문들이 마니로 피신했다. 마니는 정복되지 않았고 연례 조공을 대가로 내부 자치를 유지했지만, 이는 단 한 번만 지불되었다. 현지 족장이나 ''베이''들이 오스만 제국을 대신하여 마니를 통치했다.

1770년 오를로프 봉기의 실패 후, 1776년 마니의 자치 지위는 술탄에 의해 인정되었고,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45년 동안 8명의 통치자("베이")가 술탄을 대신하여 이 반도를 통치했다.[6] 이 시기 마니를 통치한 베이는 다음과 같다.

이름재위 기간
Τζανέτος Κουτούφαρης|차네토스 쿠투파리스el1776년–1779년
미할베이 트루파키스(무르치노스로 알려짐)1779년–1782년
차네토스 카페타나키스 그리고라키스(차네트베이)1782년–1798년
파나기오티스 쿠문두루스1798년–1803년
안톤베이 그리고라키스1803년–1808년
콘스탄티노스 제르바코스(제르보베이)1808년–1810년
테오도로베이 차네타키스1811년–1815년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1815년–1821년



오스만 제국의 힘이 약해짐에 따라, 마니의 산악 지대는 오스만 제국과도 싸운 산적들인 ''클레프트''들의 거점이 되었다. 오스만 시대 동안 상당한 마니오트인들이 코르시카로 이주한 증거도 있다. 마니의 마지막 ''베이''인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7] 그는 1821년 3월 17일 아레오폴리스에서 혁명을 선포했다. 마니오트인들은 투쟁에 크게 기여했지만, 그리스 독립이 이루어지자 지역 자치를 유지하려고 했다. 요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통치 기간 동안, 그들은 외부 간섭에 격렬하게 저항하여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암살했다.[1]

1878년 중앙 정부는 마니의 지역 자치를 축소했고, 이 지역은 점차 쇠퇴했다. 주민들은 이민을 통해 땅을 버리고 많은 사람들이 주요 그리스 도시뿐만 아니라 서유럽과 미국으로 이주했다. 새로운 도로 건설이 관광 산업의 성장을 지원한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마니는 인구를 회복하고 번영하기 시작했다.[1]

5. 경제

마니 반도는 농업과 관광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유지하고 있다.

마니 반도는 특산물과 관광 산업으로 유명하다. 특산물로는 '글리나'(glina) 또는 '시글리노'(syglino)라 불리는 돼지고기 가공식품과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꿀 등이 있다. 관광 산업으로는 해안 마을의 카페와 기념품 가게, 비잔틴 시대 교회, 프랑크족 성, 해변, 탑집, 동굴 등이 주요 수입원이다.

기티오(Gytheio), 아레오폴리스(Areopoli), 카르다밀리(Kardamyli), 스투파(Stoupa) 등의 해안 마을은 여름철에 관광객으로 붐비지만, 겨울에는 조용해진다. 주민들은 주로 올리브 농사를 지으며, 겨울에는 올리브 수확과 가공에 시간을 보낸다. 산간 지역의 일부 마을은 관광객이 적고 주민 수도 적다.

5. 1. 특산물

건조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마니 반도는 특유의 식품으로 유명하다. 타임, 오레가노, 민트 등의 향기로운 허브로 훈제한 돼지고기 또는 돼지고기 소시지인 '글리나'(glina) 또는 '시글리노'(syglino)는 돼지기름과 오렌지 껍질과 함께 저장된다. 마니 반도는 꿀과 코로네이키(Koroneiki) 품종의 덜 익은 올리브를 압착하여 만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로도 유명한데, 이 올리브는 산간 계단식 밭에서 재배된다.

5. 2. 관광 산업

마니 반도는 특유의 식품과 아름다운 풍경으로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곳이다.

건조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마니 반도는 독특한 음식으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글리나(glina)' 또는 '시글리노(syglino)'는 타임, 오레가노, 민트 등의 향기로운 허브로 훈제한 돼지고기 또는 돼지고기 소시지로, 돼지기름과 오렌지 껍질과 함께 저장한다. 또한 마니 반도는 꿀과 코로네이키(Koroneiki) 품종의 덜 익은 올리브를 압착하여 만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로도 유명하다. 이 올리브는 산간 계단식 밭에서 재배된다.

오늘날 마니 반도의 해안 마을은 카페와 기념품 가게로 가득하다. 이 반도는 비잔틴 시대 교회, 프랑크족 성, 모래사장, 그리고 아름다운 풍경으로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여름철 인기 해변으로는 칼로그리아(Kalogria)와 스투파(Stoupa) 항구 근처 해변이 있으며, 카르다밀리(Kardamyli)와 아기오스 니콜라오스에도 좋은 자갈 해변과 모래 해변이 있다. 마니 반도의 고대 탑집(pyrgospita)은 중요한 관광 명소이며, 일부는 방문객을 위한 숙박 시설을 제공한다. 오이틸로(Oitylo) 근처 피르고스 디루(Pirgos Dirou)의 블리차다 동굴(Vlychada Caves) 또한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 동굴이 부분적으로 수중에 있기 때문에 방문객들은 곤돌라와 비슷한 보트를 타고 탐험한다.

기티오(Gytheio), 아레오폴리스(Areopoli), 카르다밀리, 그리고 스투파는 여름철 관광객으로 북적이지만, 겨울에는 일반적으로 조용하다. 많은 주민들이 올리브 농장에서 일하며 겨울철에는 올리브 수확과 가공에 전념한다. 산간 지역의 일부 마을은 관광객 중심이 아니며, 종종 매우 적은 수의 주민만 거주한다.

6. 종교

마니 반도에 기독교가 전파된 것은 늦은 시기였다. 최초의 그리스 사원들이 기독교 교회로 개조되기 시작한 것은 11세기(서기)였다. 10세기(서기 900년대)에 비잔티움의 그리스 승려인 니콘 "메타노이테"(Νίκων ὁ Μετανοείτεel)가 마니 반도와 차코니아와 같이 여전히 이교를 유지하고 있던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하라는 교회의 명을 받았다.[8]

니콘 성인은 10세기 후반에 마니 반도로 파견되어 마니오트인에게 기독교를 전파했다. 마니오트인들은 니콘의 설교로 인해 기독교로 개종하기 시작했지만, 이교 그리스 종교와 전통을 대부분 없애고 마니오트인들이 기독교를 완전히 받아들이는 데는 200년 이상, 즉 11세기와 12세기까지 걸렸다. 그리스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된 후, 니콘 성인은 스파르타뿐만 아니라 마니 반도의 수호성인이 되었다.[14]

패트릭 리 페르모어는 마니오트인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산으로 인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차단된, 반동굴식 생활을 하는 마니오트인들은 그리스인들 중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마지막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9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옛 그리스 종교를 버렸다. 기독교가 발생한 레반트의 중심부와 매우 가까운 이 바위 반도가 먼 켄트에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이 도착한 후 무려 3세기나 지나서야 세례를 받았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은 놀랍다."[8]

7. 갤러리

이틸로 마을


카르다밀리의 성 스피리돈 교회

그리파다 동굴 입구

참조

[1] 웹사이트 Mani Peninsula Travel Guide https://greeking.me/[...] 2024-09-24
[2]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At Least 6 Theories From Where Mani Got Its Name {{!}} Empiria Greece https://empiriagreec[...] 2024-09-24
[4] 웹사이트 Mani - Kato Mani - from Kelefa to Vardounia and on to Githeon http://www.zorbas.de[...]
[5] 서적 Neolithic Alepotrypa Cave in the Mani, Greece Oxbow Books 2017-10-31
[6]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John Murray
[7] 웹사이트 Not Quite Maniacs – Exploring Greece's Mani Peninsula https://pictographic[...] 2024-09-24
[8]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John Murray
[9] 백과사전 ブリタニカ百科事典第11版
[10]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11] 웹사이트 Kato Mani 2 http://www.zorbas.de[...] Mani: guide and history 2020-02-22
[12] 문서 Neolithic Alepotrypa Cave in the Mani, Greece
[13]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14]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