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라 기사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다라 기사상은 불가리아 마다라 절벽에 새겨진 기마상 부조이다. 이 부조는 말을 탄 기사와 사자, 개를 묘사하며, 23m 높이의 절벽에 조각되어 있다. 기원은 트라키아인, 불가르족, 사산 제국 등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해석이 분분하다. 부조 주변에서는 고대 유적과 비문이 발견되었으며, 비문은 불가리아와 비잔틴 제국 간의 관계, 통치자들의 업적을 기록하고 있다. 마다라 기사상은 불가리아의 문화적 상징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다라 기사상 | |
---|---|
일반 정보 | |
![]() | |
위치 | 슈멘, 불가리아 |
좌표 | 43°16′36.1″N 27°07′10.4″E |
등재 정보 | |
기준 | (i), (iii) |
ID | 43 |
등재 연도 | 1979년 |
면적 | 1.2 헥타르 |
완충 구역 | 501.7 헥타르 |
명칭 | |
한국어 명칭 | 마다라 기사상 |
영어 명칭 | Madara Rider |
프랑스어 명칭 | Cavalier de Madara |
2. 상세
부조는 지상 약 23m 높이에 있는 거의 수직인 100m 높이의 절벽에 새겨진 위엄 있는 기마상을 묘사한다. 조각은 거의 실물 크기이다.[1] 기마상은 오른쪽을 향하고 있으며, 말의 발치에 있는 사자에게 창을 찌르고 있고, 왼쪽에는 개가 기마상을 따라 달리고 있다.[2] 기마상의 후광과 의복, 그리고 기마상 얼굴 앞에 있는 새의 조각은 수 세기 동안의 침식과 기념물의 전반적인 열악한 상태로 인해 거의 알아볼 수 없다.[3] 이 부조는 플리스카와 벨리키 프레슬라프의 Saltovo, Soulek에서 발견된 탄소 이미지와 유사하다.[4]
조각상의 의미와 상징, 실제 석조 전통과 문화적 기원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
3. 기원 및 해석
이 부조는 토착 트라키아인과 새로 도착한 불가르인의 특정한 숭배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1] 기념비적인 크기, 도상학, 그리고 등자, 후광, 해골잔, 새 등 많은 특정 세부 사항은 불가르 전통의 일부인 반면, 오른쪽 방향과 사자는 트라키아 전통의 특징이다.[1]
학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해석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 기념비는 710년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불가리아인의 칸이었던 테르벨(Tervel)의 치세 하에 제작된 것을 의미한다. 즉, 묘사된 기사는 테르벨 자신이며, 7세기 말 불가리아 북부에 자리를 잡고 현재의 불가리아인으로 이어지는 토착 슬라브족들과 섞인 불가르족의 유산이라는 가설이다.
다만, 비문의 문제로 인해 시대를 조금 더 늦게 보는 견해가 있으며, 고대 트라키아인과 연관지어 트라키아인의 신을 묘사한 것이라는 가설이나, 성 게오르기우스를 묘사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3. 1. 트라키아 기원설
일부 초기 연구자들은 마다라 기마상을 고대 발칸 신화에 등장하는 트라키아 기마병의 예시로 간주했다.[1] 이들은 트라키아 기마병이 오른손에 창을 든 망토를 두른 기마병의 모습으로 자주 묘사된다는 점에 주목했다.[2][3][4] 콘스탄틴 요제프 이르체크와 카렐 슈코르필이 이 가설을 처음 제기했지만, 도상학적 세부 사항의 차이점과 동물과의 관계(개는 없음) 때문에 나중에 이 가설은 포기되었다.[1][5]
3. 2. 불가르족 기원설
많은 학자들이 마다라 기사상의 부조가 불가르족의 민족 형성과 연결된다고 본다. 불가르족은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온 반유목 기마 전사 문화였다.[1] 이들은 기념비적인 크기와 도상학, 그리고 등자, 후광, 해골잔, 새 등 많은 특정 세부 사항이 불가르 전통의 일부라고 주장한다.[1] 반면, 오른쪽 방향과 사자는 트라키아 전통의 특징이다.[1]
3. 3. 사산 제국 영향설
일부 학자들은 마다라 기마상이 사산 제국의 바위 부조 전통과 유사하다고 보았다.[5] 튀르크와 이란-알란 신화에서 영웅 기마병은 흔히 등장하는 인물이다.[5]
3. 4. 기타 가설
튀르크 및 이란-알란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 기마병과 연관 짓는 견해도 있다.[1] 불가르족의 신 탕그라 또는 이란의 신 미트라와 관련이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1] 테르벨(701–718년) 칸 또는 크룸(802–814년) 칸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5]
4. 고고학적 발견
1924년부터 1935년까지, 그리고 20세기 후반에 걸쳐 마다라 기사상 부조 인근과 그 북동쪽에서 여러 유적이 발견되었다.[1][2][3][4][5][6][7][8]
4. 1. 부조 인근 유적
1924년부터 1935년까지, 부조에서 북쪽으로 약 250m 떨어진 곳에서 이교도 사원(세 개의 복도를 가진 교회)과 통치자의 사적인 거처였을 것으로 보이는 직사각형 건물로 추정되는 복합 시설의 잔해가 발견되었다.[1][2] 이 유적지에서는 칸 오무르타그가 통그라 신을 언급하는 손상된 비문도 발견되었다.[3][4]이 복합 시설은 1970년대 발굴에서 나온 도자기의 연대가 8세기에서 10세기 사이로 측정되어, 일반적으로 9세기 2분기로 추정된다.[5][6] 일부 학자들은 초기의 건물들이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 세워졌다고 주장하며,[6] 이교 사원(즉, 교회)과 건물은 초기 비잔틴 바실리카 위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한다.[7] 건물 서쪽에서는 서기 900년경으로 추정되는 금으로 장식된 허리띠가 있는 기독교식 매장의 증거가 발견되었다.[8]
4. 2. 기타 유적
20세기 후반, 부조에서 북동쪽으로 3.2km 떨어진 곳에서 5~6세기 바실리카와 내부 직사각형 구조로 구성된 또 다른 건물군이 발견되었으며, 일부에서는 이를 이교 사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5. 비문
기마상 주변 암석에는 세 개의 부분적으로 보존된 중세 그리스어 텍스트가 새겨져 있다. 이들은 당시 불가리아 역사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5] 이 비문들은 불가리아와 비잔틴 제국 간의 관계, 조약, 전쟁 등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가장 오래된 비문은 테르벨 (701–718년)의 작품으로 추정되며,[5] 다른 비문들은 칸 크룸 (802–814년)과 오무르타그 (814–831년)를 언급하고 있다.[5]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비문 I'''[5]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 불가르족과 조약을 맺고 [...] 테르벨에게 갔다. 나의 삼촌들은 테살로니키에서 코가 잘린 황제를 믿지 못하고 키시니에로 돌아갔다 [...] 그의 [...] 통치자 테르벨은 조약을 맺고 황제에게 5천 [...]을 주었으며, 나의 도움으로 황제는 훌륭한 승리를 거두었다.''
'''비문 II'''[5]
:''[...] 금. 그는 18 [...] 금을 주었다. 통치자 [...] 병사들 [...] 통치자 [...] 그리스인 (비잔틴인) [...] 내가 당신에게 준 것을 매년 당신에게 줄 것이며, 황제는 통치자에게 [...]을 보냈고, 크룸 통치자에게 요청했다 [...] 통치자 [...]는 금을 나누었다 [...] 시작했다 [...] 그는 [...] 통치자 크룸시스가 주었다 [...] 바다 [...] 당신이 [...] 통치자 [...] 전쟁에서 그들은 조약을 찢었다 [...] 전쟁 [...] 그리고 [...] 이름 [...]''
'''비문 III'''[6]
:''[...] 그는 자랐다 [...] 찢었고, 오무르타그 통치자가 신에 의해 정해져서 [...] 나를 도우라고 보냈다 [...]''
'''비문 IV'''
:''칸나수비기 오무르타그, 신으로부터 온 통치자 [...]였고, 신 탕그라에게 제물을 바쳤다 [...] 이치르구-보일 [...] 금 [...]''
6. 유산
마다라 기마상은 1999년과 2000년에 발행된 소형 불가리아 동전(1~50 스토틴키) 앞면에 묘사되어 있다.[6]
2008년 6월 29일, 불가리아의 향후 유로 동전 디자인에 대한 공식 설문 조사에서 마다라 기마상이 25.4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7][8][9]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 리빙스턴 섬에 있는 마다라 봉우리는 마다라의 역사적인 유적지에서 이름을 따왔다.
참조
[1]
서적
Thracia
[2]
서적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3]
서적
Bulgarian Folklore
[4]
서적
The Greek Settlements in Thrace Until the Macedonian Conquest
[5]
서적
The Madara Horseman
http://www.digsys.bg[...]
Antos
[6]
웹사이트
Bulgarian National Bank
http://www.bnb.bg/
[7]
웹사이트
Bulgaria selected the new eruo design
http://infobulgaria.[...]
Info Bulgaria
2008-06-30
[8]
웹사이트
Bulgaria Chooses Madara Horseman for National Symbol at Euro Coin Design
http://www.novinite.[...]
Sofia News Agency Novinite
2008-07-01
[9]
웹사이트
Bulgaria chooses heritage site to adorn euro coins
http://www.eubusines[...]
EU Business
2008-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