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유목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라시아 유목민은 유라시아 대륙의 광대한 초원 지대에서 말을 활용하여 이동하며 생활했던 다양한 민족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들은 기원전 4천년기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가축화된 말을 활용하여 유목 생활을 시작했으며, 기원전 10세기경에는 기마술을 발전시켰다. 스키타이를 시작으로 흉노, 사르마티아, 튀르크, 몽골 등 여러 기마 민족들이 유라시아 스텝 지대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며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말, 바지, 경마 등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사회적 관계, 종교, 연령 차별 등 다양한 특징을 보였다. 에가미 나미오의 기마민족정복왕조설과 같이 기마 민족과 관련된 학설이 존재하며, 다양한 언어족에 속하는 여러 민족들이 유라시아 유목민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시아 사람 - 몽골족
몽골족은 유라시아 대륙에 거주하며 몽골어족을 사용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문화를 공유하는 민족 집단으로, 몽골 제국을 건설하여 유라시아에 영향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정체성을 유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 중앙아시아 사람 - 파미르인
파미르인은 타지키스탄 동부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에 주로 거주하는 이란계 민족 집단으로, 소련 시대 이후 정체성 논쟁과 민족주의 운동, 정부 탄압을 겪으며 여러 국가에 걸쳐 살아가고 파미르어군을 사용하며 니자리파 이스마일파를 주로 믿는다. - 목축민 - 카우보이
카우보이는 미국 서부 개척 시대의 소를 몰고 관리하는 목동을 지칭하는 용어로, 스페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개인주의, 그리고 서부 개척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목축민 - 양치기
양치기는 약 5,000년 전 소아시아에서 시작되어 유라시아에 퍼진 직업으로, 양을 돌보고 양털이나 유제품을 얻는 역할을 하며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사회적 고립과 유목 생활,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며 현대에는 축산업 변화와 함께 역할과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 중앙아시아의 역사 - 돌궐
돌궐은 6세기 중반 몽골 초원에서 유연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어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한 유목 제국으로, 사산 제국과 연합하여 에프탈 제국을 멸망시키고 자체 문자를 창제하는 등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당나라와의 전쟁 후 분열되어 멸망했다. - 중앙아시아의 역사 - 소그드인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 출신으로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무역 활동을 펼치며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활약한 상인 집단으로, 다양한 제국 및 국가와 교류하며 여러 상품을 거래하고 종교와 문화를 전파했으나, 이슬람 제국 확장과 함께 점차 동화되었다.
유라시아 유목민 | |
---|---|
개요 | |
![]() | |
정의 |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유목 생활을 영위했던 민족 집단 |
생활 방식 | 기마술 이동식 가옥 가축 사육 유목 생활 |
주요 활동 | 교역 약탈 정착민 공격 |
역사 | |
기원 | 기원전 4천년기 ~ 기원전 3천년기 |
발달 | 기원전 1000년경: 스키타이 문화 형성 기원전 8~3세기: 스키타이 전성기 |
주요 민족 | 스키타이 사르마티아 흉노 돌궐 몽골 훈족 하자르족 아바르족 페체네그족 쿠만족 키르기스족 오구즈 튀르크 위구르족 키메르족 마사게타이족 알란족 토하라족 유에지 캉가르족 부르트족 킵차크족 |
문화 및 기술 | |
말의 중요성 | 기동력 확보 전투 능력 향상 사회적 지위 상징 |
군사 기술 | 기마궁술 기마술 합성궁 등자 전차 |
생활 필수품 | 펠트 (이동식 가옥 제작, 의류 제작) 유제품 (주식) |
종교 | 샤머니즘 불교 기독교 (네스토리우스파) 마니교 유대교 이슬람교 |
예술 | 동물 양식 금속 공예 직물 |
사회 및 정치 | |
사회 구조 | 부족 중심 사회 수직적 계층 구조 (계급 사회) 카리스마적 지도자 |
정치 체제 | 유목 제국 형성 군사적 동맹 복속된 민족으로부터 조공 징수 |
교역 및 교류 | 실크로드를 통한 교역 문화 교류 기술 전파 |
유산 | |
영향 | 주변 문명에 군사 기술 전파 유라시아 역사에 큰 영향 현대 국가 형성에 기여 |
2. 역사
처음에는 말이 식량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27] 그것이 가축화된 것은 기원전 4천년기,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일어난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에서였다고 생각된다.[27] 다만, 이 말은 방목이 아니라 울타리 안에서 사육되었던 것으로 보인다.[27] 그리고 승마 풍습의 고고학적 증거는 약 5,500년 전의 보타이 문화/Botai culture영어로 거슬러 올라가며, 유럽의 초원 지대에서 가장 오래된 승마를 보여주는 증거는 얌나 문화(기원전 3600년경~기원전 2200년경)에서 발견되었다(약 5,000년 전). 승용에 앞서 말은 짐 싣기나 견인의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운반력과 기동력은 생활과 생업의 편익 확대뿐만 아니라 전투력으로도 중용되었다.
[[파일:Cerf d'or Scythe.jpg|280px|right|thumb|스키타이의 황금으로 만든 방패
- ---
사슴의 부조 조각이 새겨져 있다]]
기마 민족의 성립에 기여한 유목민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밖에 없지만, 유목과 기마는 반드시 처음부터 결합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기승에는 고삐, 재갈, 재갈이 최소한 필요 불가결하다.[27][28] 안장과 등자 또한 필요하다.[28] 이러한 도구를 사용한 기마술이 고대 오리엔트 지역에서 보급된 것은 아마도 기원전 10세기 전후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아마도 해당 지역에서 기승술을 배우고 그것을 유목과 결합하여 세계사 최초의 유목 기마 민족 국가를 성립시킨 것이 아리아계 (이란계)의 스키타이이다.

스키타이는 기원전 8세기 말경, 동쪽에서 남러시아의 스텝 지대에 유목 기마 민족으로 나타나, 기원전 6세기 이후 폰토스 초원을 중심으로 남러시아에서 북캅카스에 걸친 지역에 강대한 유목 국가를 수립했다. 그 문화는 두 갈래의 재갈과 막대 모양의 경판으로 구성된 재갈과 같은 마구, 아키나케스형 검과 양익·삼익 화살촉과 같은 무기, 그리고 마구·무기·장신구 (버클이나 핀 등) 등에 새겨진 동물 문양 (동물의 모습을 투각 또는 부조로 새긴 문양)에 특징이 있다.[29][30] 동물 문양은 또한 의상과 말의 장식에도 새겨졌다.[29][30] 스키타이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와 아르게아스 왕조마케도니아의 대왕 알렉산드로스 3세와 싸워 이기기도 했다. 고가 마사오에 따르면, "유목민은 기마술의 채택으로 증기 기관 발명 이전 최대의 기동력을 획득하여, 신출귀몰한 기병 군단을 만들고, 농업 정착민의 군대를 압도했다"고 한다.
스키타이 이후 중앙 유라시아의 유목민은 잇달아 기마 민족화되었다. 유목민들은 양과 염소, 소, 낙타, 그리고 말 등과 같은 동물을 기르고, 이를 따라 계절적으로 특정 지역을 이동하며, 이들 가축의 고기, 젖, 털, 가죽을 의식주에 이용하며 평화롭게 살았지만, 금속 재갈과 같은 마구가 도입되고 기승술이 발전하면서, 이 기동력을 목축 생산에 적용하여 유목 경제를 확대해 나갔다. 양을 비롯한 동물 떼를 분산하여 방목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집단 내부의 상호 연락이나 가축 관리, 다른 집단과의 연계도 쉬워졌다.[28] 초원에서 말을 사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므로 기마술은 곧 널리 보급되었다.[28] 그리고 엄청난 수의 말을 배경으로 그 기동력을 조직화하고, 비약적으로 전투력을 증강하여, 그것을 외부로 향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외 활동은 유목 기마 민족끼리도 있었지만, 농경 지대에 대해서도 많이 행해졌다. 특히 후자에 대한 약탈·정복 활동은 장기간에 걸쳐 세계사를 움직이고 전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원전 4세기, 서방에서는 사르마티아의 활약이 보였다.[31] 스키타이와 마찬가지로 이란계에 속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그들은 동쪽에서 와서 스키타이의 세력을 크림 반도 방면으로 몰아내고, 스키타이 유목 제국을 멸망시키고 이를 병합했다.[29][31] 한편, 스키타이의 동물 문양을 특징으로 하는 기마 문화는 동쪽의 몽골 고원에도 전해져, 기원전 3세기 말에 같은 지역에서 일어난 기마 유목 국가인 흉노에도 영향을 미쳤다.[32]
흉노는 튀르크계 또는 몽골계라고 하며, 알타이어 계에 속하며, 선우라고 불리는 군주의 지배하에 강대해졌다.[33]
또한, 미시나 아키히데는 말을 몰랐던 북아메리카 원주민이, 차차 스페인인들이 가져온 말을 받아들여 유력한 기마 민족이 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34]



|thumb|right|13세기 몽골 제국의 경계와 현대 몽골, 러시아, 중국의 오늘날 몽골인들의 위치]]

2. 1. 초기 기마 문화
처음에는 말이 식량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27] 그것이 가축화된 것은 기원전 4천년기,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일어난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에서였다고 생각된다.[27] 다만, 이 말은 방목이 아니라 울타리 안에서 사육되었던 것으로 보인다.[27] 그리고 승마 풍습의 고고학적 증거는 약 5,500년 전의 보타이 문화/Botai culture영어로 거슬러 올라가며, 유럽의 초원 지대에서 가장 오래된 승마를 보여주는 증거는 얌나 문화(기원전 3600년경~기원전 2200년경)에서 발견되었다(약 5,000년 전). 승용에 앞서 말은 짐 싣기나 견인의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운반력과 기동력은 생활과 생업의 편익 확대뿐만 아니라 전투력으로도 중용되었다.
[[파일:Cerf d'or Scythe.jpg|280px|right|thumb|스키타이의 황금으로 만든 방패
- ---
사슴의 부조 조각이 새겨져 있다]]
기마 민족의 성립에 기여한 유목민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밖에 없지만, 유목과 기마는 반드시 처음부터 결합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기승에는 고삐, 재갈, 재갈이 최소한 필요 불가결하다.[27][28] 안장과 등자 또한 필요하다.[28] 이러한 도구를 사용한 기마술이 고대 오리엔트 지역에서 보급된 것은 아마도 기원전 10세기 전후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아마도 해당 지역에서 기승술을 배우고 그것을 유목과 결합하여 세계사 최초의 유목 기마 민족 국가를 성립시킨 것이 아리아계 (이란계)의 스키타이이다.
|섬네일|기원전 1세기경 스키타이족의 분포 범위]]
스키타이는 기원전 8세기 말경, 동쪽에서 남러시아의 스텝 지대에 유목 기마 민족으로 나타나, 기원전 6세기 이후 폰토스 초원을 중심으로 남러시아에서 북캅카스에 걸친 지역에 강대한 유목 국가를 수립했다. 그 문화는 두 갈래의 재갈과 막대 모양의 경판으로 구성된 재갈과 같은 마구, 아키나케스형 검과 양익·삼익 화살촉과 같은 무기, 그리고 마구·무기·장신구 (버클이나 핀 등) 등에 새겨진 동물 문양 (동물의 모습을 투각 또는 부조로 새긴 문양)에 특징이 있다.[29][30] 동물 문양은 또한 의상과 말의 장식에도 새겨졌다.[29][30] 스키타이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와 아르게아스 왕조마케도니아의 대왕 알렉산드로스 3세와 싸워 이기기도 했다. 고가 마사오에 따르면, "유목민은 기마술의 채택으로 증기 기관 발명 이전 최대의 기동력을 획득하여, 신출귀몰한 기병 군단을 만들고, 농업 정착민의 군대를 압도했다"고 한다.
스키타이 이후 중앙 유라시아의 유목민은 잇달아 기마 민족화되었다. 유목민들은 양과 염소, 소, 낙타, 그리고 말 등과 같은 동물을 기르고, 이를 따라 계절적으로 특정 지역을 이동하며, 이들 가축의 고기, 젖, 털, 가죽을 의식주에 이용하며 평화롭게 살았지만, 금속 재갈과 같은 마구가 도입되고 기승술이 발전하면서, 이 기동력을 목축 생산에 적용하여 유목 경제를 확대해 나갔다. 양을 비롯한 동물 떼를 분산하여 방목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집단 내부의 상호 연락이나 가축 관리, 다른 집단과의 연계도 쉬워졌다.[28] 초원에서 말을 사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므로 기마술은 곧 널리 보급되었다.[28] 그리고 엄청난 수의 말을 배경으로 그 기동력을 조직화하고, 비약적으로 전투력을 증강하여, 그것을 외부로 향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외 활동은 유목 기마 민족끼리도 있었지만, 농경 지대에 대해서도 많이 행해졌다. 특히 후자에 대한 약탈·정복 활동은 장기간에 걸쳐 세계사를 움직이고 전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원전 4세기, 서방에서는 사르마티아의 활약이 보였다.[31] 스키타이와 마찬가지로 이란계에 속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그들은 동쪽에서 와서 스키타이의 세력을 크림 반도 방면으로 몰아내고, 스키타이 유목 제국을 멸망시키고 이를 병합했다.[29][31] 한편, 스키타이의 동물 문양을 특징으로 하는 기마 문화는 동쪽의 몽골 고원에도 전해져, 기원전 3세기 말에 같은 지역에서 일어난 기마 유목 국가인 흉노에도 영향을 미쳤다.[32]
흉노는 튀르크계 또는 몽골계라고 하며, 알타이어 계에 속하며, 선우라고 불리는 군주의 지배하에 강대해졌다.[33]
또한, 미시나 아키히데는 말을 몰랐던 북아메리카 원주민이, 차차 스페인인들이 가져온 말을 받아들여 유력한 기마 민족이 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34]
|오른쪽|섬네일|13세기 몽골제국의 국경과 현대 몽골인들의 분포범위.]]
|thumb|청록색으로 강조 표시된 철기 시대 중앙 아시아의 다양한 이란 유목 민족 지도]]
|thumb|쿠만-킵차크 연합 (c. 1200) 유라시아]]
|thumb|right|13세기 몽골 제국의 경계와 현대 몽골, 러시아, 중국의 오늘날 몽골인들의 위치]]
|thumb|280px|기원전 33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얌나야 스텝 유목민의 조상이 유럽과 남아시아의 두 대륙으로 확산된 청동기 시대[25]]]
2. 2. 스키타이와 흉노
스키타이는 기원전 8세기 초엽에 스키타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느슨한 국가 또는 연맹체로, 일반적으로 최초의 유목 제국으로 간주된다.[8] 이들은 아시아의 타림분지와 서몽골에서부터 오늘날의 벨라루스와 폴란드까지 유라시아 스텝 지대에 거주한 이란족 부족이었다.[42] 로마군은 정예 기병으로 사르마티아인들을 고용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말이 식량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27]. 그것이 가축화된 것은 기원전 4천년기,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일어난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에서였다고 생각된다[27]。유럽은 역사속에서 킴메르족 등의 유라시아 유목민들의 침략의 물결을 여러 번 받아내었다. 킴메르인들은 동유럽 출신의 유목민족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유럽을 침공한 유라시아 유목민이다. 그들의 군사력은 항상 기병을 기반으로 했으며, 진정한 의미의 기병을 개발한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6] 기승에는 고삐, 재갈, 재갈이 최소한 필요 불가결하다[27][28]。안장과 등자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한 기마술이 고대 오리엔트 지역에서 보급된 것은 아마도 기원전 10세기 전후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아마도 해당 지역에서 기승술을 배우고 그것을 유목과 결합하여 세계사 최초의 유목 기마 민족 국가를 성립시킨 것이 아리아계 (이란계)의 스키타이이다. 스키타이는 기원전 8세기 말경, 동쪽에서 남러시아의 스텝 지대에 유목 기마 민족으로 나타나, 기원전 6세기 이후 폰토스 초원을 중심으로 남러시아에서 북캅카스에 걸친 지역에 강대한 유목 국가를 수립했다. 스키타이의 동물 문양을 특징으로 하는 기마 문화는 동쪽의 몽골 고원에도 전해져, 기원전 3세기 말에 같은 지역에서 일어난 기마 유목 국가인 흉노에도 영향을 미쳤다.
[[파일:Cerf d'or Scythe.jpg|280px|right|thumb|스키타이의 황금으로 만든 방패
- ---
사슴의 부조 조각이 새겨져 있다]]
스키타이인들과 사르마티아인들은 기원전 제1천년기에 그들의 헤게모니를 누렸다. 하지만 서기 제1천년기가 시작되며 카스피해 동쪽의 스텝에서 온 다른 민족들의 이민 행렬에 의해 쫓겨났다. 월지족이 이들을 몰아냈는데 원래의 땅에 살던 이들은 그들에게 동화될 수 밖에 없었고, 이렇게 동화된 동부 스키타이인(사카)들 중 많은 사람들이 파르티아 제국에 이주하여 정착해 나중에 그 땅은 사카스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반면 서부의 알란족, 사르마티아족은 정착하여 몇몇 동부 슬라브 부족의 지배계급이 되었다.[43] 이들 중 일부는 슬라브 문화에 동화된 반면[44] 이란족의 정체성을 유지한 이들도 있었다. 이란족의 정체성을 유지한 이들의 언어는 오늘날 오세티야인들이 사용한다.[45] 기원전 4세기, 서방에서는 사르마티아의 활약이 보였다. 스키타이와 마찬가지로 이란계에 속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그들은 동쪽에서 와서 스키타이의 세력을 크림 반도 방면으로 몰아내고, 스키타이 유목 제국을 멸망시키고 이를 병합했다.
비슷한 시기 만주, 몽골, 신장을 포함한 중국의 북쪽 지역에는 유목민들이 살고 있었다. 중국은 역사가 쓰여지던 초기부터 웨이허 계곡의 서쪽에 있는 유목민족과 숱하게 충돌했다. 주나라의 문헌들은 서융, 북적, 진나라의 잔혹성과 탐욕을 들어 늑대에 비유하곤 했다.[47] 유목민족이 사용하던 철과 청동은 중국에서 공급되었다.[48] 과거에는 유목민 부족이 광물을 자급자족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이론이 오언 래티모어에 의해 제기되었는데, 이는 유목민들의 습격이 참된 필요가 아닌 탐욕에 그 동기가 있다는 결론을 내어 여러 지적을 받았다. 이후의 연구들은 곡물, 섬유, 철기에 대한 유목민족의 수요가 커서 자급자족이 불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을 통한 공급도 초과했음을 밝혔다. 아나톨리 카자노프는 이러한 생산의 불균형을 스텝 유목문화의 불안정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후대의 학자들은 중국 북쪽 국경의 평화는 유목민들이 무역이나 결혼과 같은 평화로운 수단을 통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필수 곡물과 직물을 얻을 수 있는지 없는지에 크게 좌우된다고 주장했다. 몇몇 부족들은 하나로 뭉쳐 흉노라 불리는 조직을 형성했는데, 이를 통해 유목민 부족들은 농경 중국인들과의 거래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47] 흉노는 튀르크계 또는 몽골계라고 하며, 알타이어 계에 속하며, 선우라고 불리는 군주의 지배하에 강대해졌다.
당나라 때에 황하가 언 틈을 타 튀르크족이 중국을 침략했다. 당대의 당나라 사료들은 튀르크 말의 우월성에 주목했다. 당태종은 이 말들이 "평범한 말들보다 훨씬 뛰어났다"고 썼다.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금, 주석, 철과 같은 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지배한 지류 부족이었다. 튀르크인들은 키르기스족이 공급한 철로 무기, 갑옷, 안장 부품을 만들었다. 튀르크인은 유목민 사냥꾼이었고 때때로 사냥으로 군사 활동을 위장하기도 하였다. 카간의 지휘 아래 조직되어 중국을 습격하여 작전의 승패가 부족 지도자의 위신에 큰 영향을 미쳤다. 6세기에 괵튀르크족은 실위, 거란, 유연, 토욕혼, 카라호자(고창), 에프탈(백훈)을 상대로 승리하며 북부 스텝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다졌고, 돌궐을 이루었다. 그러나 6세기 말, 내전이 일어나 제국은 630년과 657년에 각각 당나라에 정복당하기 전까지 동돌궐과 서돌궐로 나뉘었다.[49]
2. 3. 유목 제국의 발전과 쇠퇴
[[파일:Cerf d'or Scythe.jpg|280px|right|thumb|스키타이의 황금으로 만든 방패
- ---
사슴의 부조 조각이 새겨져 있다]]
유라시아 유목민의 역사는 기원전 4천년 경 인도유럽조어 사용자들의 말의 가축화와 함께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 킴메르인들은 동유럽에 알려진 가장 초기의 유라시아 유목민으로, 이들의 군사력은 기병을 기반으로 했다.[46]
스키타이는 기원전 8세기 초엽에 스키타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느슨한 국가 또는 연맹체로, 최초의 유목 제국으로 간주된다.[8] 이들은 타림분지와 서몽골에서부터 벨라루스와 폴란드까지 유라시아 스텝 지대에 거주했다.[42] 로마군은 사르마티아인들을 정예 기병으로 고용하기도 했다. 서부의 알란족, 사르마티아족은 정착하여 일부 동부 슬라브 부족의 지배계급이 되었으며,[43] 일부는 슬라브 문화에 동화되었으나,[44] 오세티야인들은 이란족의 정체성을 유지했다.[45]
중국 북쪽 지역에는 유목민들이 거주했으며, 중국은 초기부터 이들과 숱하게 충돌했다. 주나라 문헌은 서융, 북적, 진나라를 잔혹하고 탐욕스러운 늑대에 비유했다.[47] 유목민족이 사용하던 철과 청동은 중국에서 공급되었다.[48] 초기에는 유목민 부족이 자급자족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이론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연구들은 유목민족의 곡물, 섬유, 철기에 대한 수요가 커서 자급자족이 불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을 통한 공급도 초과했음을 밝혔다. 이는 스텝 유목문화의 불안정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후대의 학자들은 중국 북쪽 국경의 평화는 유목민들이 무역이나 결혼과 같은 평화로운 수단을 통해 필수품을 얻을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몇몇 부족들은 흉노를 형성하여 유목민 부족들이 농경 중국인들과의 거래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47]
당나라 때 튀르크족이 황하가 언 틈을 타 중국을 침략했다. 당대의 사료들은 튀르크 말의 우월성에 주목했다. 당태종은 이 말들이 "평범한 말들보다 훨씬 뛰어났다"고 썼다. 예니세이 키르기스족은 금, 주석, 철과 같은 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지배한 지류 부족이었다. 튀르크인들은 키르기스족이 공급한 철로 무기, 갑옷, 안장 부품을 만들었다. 튀르크인은 유목민 사냥꾼이었고 때때로 사냥으로 군사 활동을 위장하기도 하였다. 카간의 지휘 아래 조직되어 중국을 습격하여 작전의 승패가 부족 지도자의 위신에 큰 영향을 미쳤다. 6세기에 괵튀르크족은 북부 스텝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다졌고, 돌궐을 이루었다. 그러나 6세기 말, 내전이 일어나 제국은 동돌궐과 서돌궐로 나뉘었고, 각각 630년과 657년에 당나라에 정복당했다.[49]
중세 초기 마자르족, 몽골족, 셀주크, 칼미크인, 키르기스족, 카자흐족 등 다양한 민족이 득세하고 쇠퇴했다. 미시나 아키히데는 말을 몰랐던 북아메리카 원주민이, 차차 스페인인들이 가져온 말을 받아들여 유력한 기마 민족이 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34]。
처음에는 말이 식량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27]. 그것이 가축화된 것은 기원전 4천년기,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일어난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에서였다고 생각된다[27]。유럽의 초원 지대에서 가장 오래된 승마를 보여주는 증거는 얌나 문화(기원전 3600년경~기원전 2200년경)에서 발견되었다. 고대 오리엔트 지역에서 보급된 것은 아마도 기원전 10세기 전후일 것으로 생각된다。세계사 최초의 유목 기마 민족 국가를 성립시킨 것이 아리아계 (이란계)의 스키타이이다。스키타이는 기원전 8세기 말경, 동쪽에서 남러시아의 스텝 지대에 유목 기마 민족으로 나타나, 기원전 6세기 이후 폰토스 초원을 중심으로 남러시아에서 북캅카스에 걸친 지역에 강대한 유목 국가를 수립했다。고가 마사오에 따르면, "유목민은 기마술의 채택으로 증기 기관 발명 이전 최대의 기동력을 획득하여, 신출귀몰한 기병 군단을 만들고, 농업 정착민의 군대를 압도했다"고 한다。
기원전 4세기, 서방에서는 사르마티아의 활약이 보였다[31]。스키타이와 마찬가지로 이란계에 속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그들은 동쪽에서 와서 스키타이의 세력을 크림 반도 방면으로 몰아내고, 스키타이 유목 제국을 멸망시키고 이를 병합했다[29][31]。
흉노는 튀르크계 또는 몽골계라고 하며, 알타이어 계에 속하며, 선우라고 불리는 군주의 지배하에 강대해졌다[33]。
2. 4. 한반도와 기마 문화
3. 문화
유라시아 유목민의 삶에서 사회적 관계는 매우 중요했다.[16] 유목민들은 자신들을 단일 조상의 후손으로 여겼지만, 외부인을 부족에 받아들이기도 했다. 강력한 부족 지도자의 "의형제"가 되거나, 자신의 혈통을 버리고 노케르가 되는 것이 그 방법이었다.
혼인을 통한 동맹도 이루어졌다. 유라시아 스텝 유목민은 부족의 여성을 외부 집단에 시집보내는 족외혼을 실천했으며, 유목민 남성이 외국 공주와 결혼하는 것도 흔했다.[1] 이러한 결혼은 제국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라시아 스텝 유목민은 하늘 숭배를 중심으로 하는 공통적인 우주론적 신념을 공유했다.[17] 고대 투르크 기원 신화에는 동굴이나 광산이 조상의 근원으로 자주 언급되는데, 이는 조상들 사이에서 철기 제작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
노년 차별은 고대 유라시아 유목 문화의 특징이었다.[18] 스텝 사회는 젊은 남성의 가치를 중시하여 노인을 가혹하게 대했다. 알란족은 노인을 얕잡아 보았고, 사카족은 너무 늙어 일을 할 수 없게 된 사람을 관례적으로 처형했다. 흉노는 필요하거나 갈등이 있는 시기에 노인에게 음식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허(Hsu)는 이러한 현상이 스텝 사회의 호전적인 성격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스키타이에서는 에나레라고 불리는 제3의 성이 존재했다.[19] 에나레는 그리스 역사가에 의해 여성적인 특징을 가진 남성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들은 여성 의상을 입고 여성의 행동 방식을 따랐다. 이들은 스키타이 사회에서 가장 존경받는 계층에 속했으며, 뛰어난 무당적 능력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1] 에나레의 성전환은 과도한 승마나 발효된 암말 오줌 섭취로 인해 발생했을 수 있다. 스키타이는 이러한 성 전통을 다른 중앙아시아 스텝 또는 시베리아 사회에서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있다.[21] 유사한 성전환 현상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 민족과 시베리아의 다른 유목민 사이에서도 기록되었다.[22][23]
유라시아 유목민의 물질 문화는 놀라울 정도로 통일성을 보인다.[24]
; 바지
바지는 유라시아 대륙의 건조 지대에 사는 사람들의 기마 생활 및 유목 생활 속에서 생겨난 의복의 대표이다.[35] 몽골 고원에서 중앙 아시아, 서아시아를 거쳐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말을 타고 초원이나 사막을 이동하는 그들의 패션은 정착 생활을 하는 농경 민족과는 자연스럽게 달랐다.[35] 2014년, 중국 북서부의 타림 분지에 있는 분묘에서 3,300년 전의 바지가 출토되었다.[36] 기마 유목민이 말에 기승할 때 착용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 분묘에서는 이 외에도 채찍이나 굴레, 활, 도끼 등도 출토되었다.[36] 혹한이나 혹서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말에 타는 생활에서 생겨났으며, 스키타이와 흉노 등에서 이용된 바지는 아마도 처음에는 가죽이나 펠트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윽고 천으로 만들어져 유럽에 전파되어 오늘날 양복 바지의 조형이 되었다.[35]
; 경마
경마는 기마 민족이 매우 애호하는 스포츠이다.[37] 말을 달리게 하는 기회는 다양하지만, 특히 죽은 자의 제사에는 경마가 따르기 마련이다.[37] 키르기스 초원에서 열린, 부유한 키르기스인의 망부 제사에 참여한 19세기 후반의 언어학자의 기록에 따르면, 이 경주의 1위 상품은 "붉은 천으로 만든 작은 텐트와 필요한 가구 일체, 안장을 얹은 말을 타는 신부 의상을 입은 젊은 여성 1명, 낙타 50마리, 말 50마리, 소 50마리, 양 50마리"였다고 한다.[37] 죽은 자의 제사 경마는 중앙 아시아의 유목민에게 일반적인 습속이며, 한 설에 따르면, 원래 죽은 자가 기승하여 저승으로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죽은 자의 새로운 거처(저승)에서의 승용 동물을 부여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37] 경마는 기마 문화와 함께 유라시아 각지로 퍼져, 각지의 각 문화와 뒤섞여 다양한 민속 행사가 되었고, 다양한 의례 형태를 낳았다.[37]
3. 1. 사회적 관계
유라시아 유목민의 삶에서 사회적 관계는 매우 중요했다.[16] 유목민들은 자신들을 단일 조상의 후손으로 여겼지만, 외부인을 부족에 받아들이기도 했다. 강력한 부족 지도자의 "의형제"가 되거나, 자신의 혈통을 버리고 노케르가 되는 것이 그 방법이었다.혼인을 통한 동맹도 이루어졌다. 유라시아 스텝 유목민은 부족의 여성을 외부 집단에 시집보내는 족외혼을 실천했으며, 유목민 남성이 외국 공주와 결혼하는 것도 흔했다.[1] 이러한 결혼은 제국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라시아 스텝 유목민은 하늘 숭배를 중심으로 하는 공통적인 우주론적 신념을 공유했다.[17] 고대 투르크 기원 신화에는 동굴이나 광산이 조상의 근원으로 자주 언급되는데, 이는 조상들 사이에서 철기 제작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
노년 차별은 고대 유라시아 유목 문화의 특징이었다.[18] 스텝 사회는 젊은 남성의 가치를 중시하여 노인을 가혹하게 대했다. 알란족은 노인을 얕잡아 보았고, 사카족은 너무 늙어 일을 할 수 없게 된 사람을 관례적으로 처형했다. 흉노는 필요하거나 갈등이 있는 시기에 노인에게 음식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허(Hsu)는 이러한 현상이 스텝 사회의 호전적인 성격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스키타이에서는 에나레라고 불리는 제3의 성이 존재했다.[19] 에나레는 그리스 역사가에 의해 여성적인 특징을 가진 남성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들은 여성 의상을 입고 여성의 행동 방식을 따랐다. 이들은 스키타이 사회에서 가장 존경받는 계층에 속했으며, 뛰어난 무당적 능력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1] 에나레의 성전환은 과도한 승마나 발효된 암말 오줌 섭취로 인해 발생했을 수 있다. 스키타이는 이러한 성 전통을 다른 중앙아시아 스텝 또는 시베리아 사회에서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있다.[21] 유사한 성전환 현상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 민족과 시베리아의 다른 유목민 사이에서도 기록되었다.[22][23]
유라시아 유목민의 물질 문화는 놀라울 정도로 통일성을 보인다.[24]
3. 2. 종교
유라시아 스텝 유목민은 하늘 숭배를 주제로 하는 공통적인 땅에 기반을 둔 우주론적 신념을 공유했다.[17] 고대 투르크 기원 신화는 종종 동굴이나 광산을 조상의 근원으로 언급하는데, 이는 조상들 사이에서 철기 제작의 중요성을 반영한다.[1]스키타이에서는 에나레라고 불리는 제3의 성이 존재했다. 에나레는 그리스 역사가에 의해 여성적인 특징을 가진 남성으로 묘사되었으며, 이들은 스키타이 사회에서 가장 존경받는 계층에 속했고, 뛰어난 무당적 능력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1] 에나레의 성전환 특징은 과도한 승마나 발효된 암말 오줌 섭취로 인해 발생했을 수 있다.[20] 스키타이는 이러한 성 전통을 다른 중앙아시아 스텝 또는 시베리아 사회에서 받아들였을 수 있으며, 유사한 현상이 중앙아시아의 투르크 민족과 시베리아의 다른 유목민 사이에서도 기록되었다.[21][22][23]
노년 차별은 고대 유라시아 유목 문화의 특징이었다.[18] 스텝 사회는 노인에 대한 가혹한 대우에서 알 수 있듯이 젊은 남성의 가치를 중시했다.[18] 알란족은 노인을 얕잡아 보았고, 사카족은 너무 늙어 일을 할 수 없게 된 사람을 관례적으로 처형했다.[18] 흉노는 필요하거나 갈등이 있는 시기에 노인에게 음식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18]
3. 3. 연령 차별
3. 4. 제3의 성
3. 5. 복식과 경마
바지는 유라시아 대륙의 건조 지대에 사는 사람들의 기마 생활 및 유목 생활 속에서 생겨난 의복의 대표이다.[35] 몽골 고원에서 중앙 아시아, 서아시아를 거쳐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말을 타고 초원이나 사막을 이동하는 그들의 패션은 정착 생활을 하는 농경 민족과는 자연스럽게 달랐다.[35] 2014년, 중국 북서부의 타림 분지에 있는 분묘에서 3,300년 전의 바지가 출토되었다.[36] 기마 유목민이 말에 기승할 때 착용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 분묘에서는 이 외에도 채찍이나 굴레, 활, 도끼 등도 출토되었다.[36] 혹한이나 혹서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말에 타는 생활에서 생겨났으며, 스키타이와 흉노 등에서 이용된 바지는 아마도 처음에는 가죽이나 펠트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윽고 천으로 만들어져 유럽에 전파되어 오늘날 양복 바지의 조형이 되었다.[35]경마는 기마 민족이 매우 애호하는 스포츠이다.[37] 말을 달리게 하는 기회는 다양하지만, 특히 죽은 자의 제사에는 경마가 따르기 마련이다.[37] 19세기 후반의 언어학자의 기록에 따르면 키르기스 초원에서 열린 부유한 키르기스인의 망부 제사에 참여했을때, 이 경주의 1위 상품은 "붉은 천으로 만든 작은 텐트와 필요한 가구 일체, 안장을 얹은 말을 타는 신부 의상을 입은 젊은 여성 1명, 낙타 50마리, 말 50마리, 소 50마리, 양 50마리"였다고 한다.[37] 죽은 자의 제사 경마는 중앙 아시아의 유목민에게 일반적인 습속이며, 한 설에 따르면, 원래 죽은 자가 기승하여 저승으로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죽은 자의 새로운 거처(저승)에서의 승용 동물을 부여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37] 경마는 기마 문화와 함께 유라시아 각지로 퍼져, 각지의 각 문화와 뒤섞여 다양한 민속 행사가 되었고, 다양한 의례 형태를 낳았다.[37]
4. 기마민족과 관련된 학설
에가미 나미오가 주장한 설이다. 북동 유라시아 계의 기마민족이 남 조선을 지배하고, 이윽고 변한을 기지 삼아 일본 열도로 들어와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야마토 지방의 재래 왕조를 지배하거나, 그것과 협력하여 야마토 조정을 세웠다는 가설이다.
4. 1. 기마민족정복왕조설
에가미 나미오가 주장한 설이다. 북동 유라시아 계의 기마민족이 남 조선을 지배하고, 이윽고 변한을 기지 삼아 일본 열도로 들어와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야마토 지방의 재래 왕조를 지배하거나, 그것과 협력하여 야마토 조정을 세웠다는 가설이다.5. 주요 기마민족 목록
참조
[1]
Britannica
the Steppe
[2]
서적
Shaping World History
[3]
웹사이트
What We Theorize – When and Where Domestication Occurred
http://www.imh.org/e[...]
2015-01-27
[4]
뉴스
Horsey-aeology, Binary Black Holes, Tracking Red Tides, Fish Re-evolution, Walk Like a Man, Fact or Fiction
http://www.cbc.ca/qu[...]
CBC Radio
2010-09-18
[5]
학술
Chariots in the Eurasian Steppe: a Bayesian approach to the emergence of horse-drawn transport in the early second millennium BC
2020-04
[6]
서적
Advancement in Ancient Civilizations: Life, Culture, Science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4-10-19
[7]
웹사이트
Stirrups
http://www.ucalgary.[...]
The Applied History Research Group, The University of Calgary
2024-10-19
[8]
학술
Demographic changes of nomadic communities in Iran (1956–2008)
[9]
서적
A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69-01-01
[10]
서적
Black Sea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96-09-30
[1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Language Contac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1-10
[1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3]
학술
"Ancient Inner Asian Nomads: Their Economic Basis and Its Significance in Chinese History"
[14]
서적
Empires: Perspectives from Archaeology and p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Dancing with the Horse Riders: The Tang, the Turks, and the Uighurs. In Tang China in Multi-Polar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8-02-12
[16]
서적
Empires in World History: Power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5-11
[17]
서적
Hammer and Anvil: Nomad Rulers at the Forge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02-28
[18]
학위논문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Xiongnu-Hun cultural connections.
https://conservancy.[...]
2010
[19]
서적
Women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From the Palaeolithic to the Byzantin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2-09
[20]
서적
Handbook of the Evolution of Human Sexual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1-11
[21]
백과사전
Enaree
https://books.google[...]
"[[Cassell (publisher)|Cassell]]"
1997
[22]
서적
Animal and Shaman: Ancient Religions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2-10-22
[23]
서적
Exploring Gender Diversity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0-02-03
[24]
서적
The Golden Deer of Eurasia: Perspectives on the Steppe Nomads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25]
뉴스
Steppe migrant thugs pacified by Stone Age farming women
https://www.scienced[...]
Faculty of Science - University of Copenhagen
2017-04-04
[26]
문서
岡内 1994
[27]
문서
加藤
[28]
문서
岩村
[29]
문서
岩村
[30]
Harvnb
[31]
Harvnb
[32]
Harvnb
[33]
문서
岩村
[34]
문서
佐原 1993
[35]
문서
丹野
[36]
뉴스
タリム盆地で世界最古のパンツ発見、3300年前の遊牧民族が乗馬で着用か―中国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4-06-05
[37]
문서
寒川 1991
[38]
웹사이트
Military And Political Developments Among The Steppe Peoples To 100 BCE
https://www.britanni[...]
[39]
서적
Shaping World History
[40]
웹인용
What We Theorize – When and Where Domestication Occurred
https://web.archive.[...]
2015-01-27
[41]
뉴스
Horsey-aeology, Binary Black Holes, Tracking Red Tides, Fish Re-evolution, Walk Like a Man, Fact or Fiction
http://www.cbc.ca/qu[...]
CBC Radio
2009-03-07
[42]
저널
Demographic changes of nomadic communities in Iran (1956–2008)
[43]
서적
A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69-01-01
[44]
서적
Black Sea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96-09-30
[4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Language Contac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1-10
[46]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7]
논문
Ancient Inner Asian Nomads: Their Economic Basis and Its Significance in Chinese History
[48]
서적
Empires: Perspectives from Archaeology and p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간행물
Dancing with the Horse Riders: The Tang, the Turks, and the Uighurs. In Tang China in Multi-Polar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