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키아노폴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키아노폴리스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에 의해 2차 다키아 전쟁 이후 개명된 고대 도시이다. 트라야누스의 누이 울피아 마르키아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전략적 요충지로서 로마 제국 트라키아, 모이시아 세쿤다 속주에 속했다. 세베루스 왕조 시기 번영을 누렸으나, 고트족과 야만족의 침입으로 쇠퇴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었고, 발렌스 황제 치세에는 동로마 제국의 임시 수도가 되기도 했다. 훈족의 침입, 아바르족의 약탈과 파괴를 겪었으며, 슬라브족은 이 도시의 유적을 '데비나'라고 불렀다. 현재 유적으로는 원형극장, 도로, 모자이크 박물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옛 취락 -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전쟁 승리를 기념하여 건설한 로마 도시 유적으로, 현재 불가리아 벨리코터르노보 인근에 위치하며 로마 제국 시대 주요 도시 중심지였으나 훈족과 아바르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었고, 고트족 주교 울필라스가 고트 문자를 창제하고 성경을 고트어로 번역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고고학적 보호 구역으로 발굴 및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불가리아의 옛 취락 - 오이스쿠스
현재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오이스쿠스가 무엇인지 정의하거나 설명하기 어렵고, 어원, 역사, 주요 유적 등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여 페이지 내용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마르키아노폴리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이름 | 마르키아노폴리스 |
현지 이름 | Μαρκιανούπολις |
위치 | 불가리아 |
지역 | 바르나주 |
좌표 | 43°13′30″N 27°35′06″E |
세부 정보 | |
유형 | 고대 도시 |
건축가 | 알 수 없음 |
재료 | 알 수 없음 |
건설 시기 | 알 수 없음 |
버려진 시기 | 알 수 없음 |
시대 | 고대 로마 |
문화 | 로마 |
점유민 | 로마인 |
사건 | 알 수 없음 |
고고학 | |
발굴 | 진행 중 |
고고학자 | 알 수 없음 |
상태 | 유적 |
소유자 | 불가리아 정부 |
관리자 | 불가리아 문화부 |
공개 여부 | 공개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알 수 없음 |
2. 역사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는 106년에 끝난 제2차 다키아 전쟁 이후 고대 도시 파르테노폴리스의 이름을 자신의 누이 울피아 마르키아나의 이름을 따서 마르키아노폴리스로 변경했다.[1] 세베루스 왕조 치하에서 번영했지만, 고트족의 침입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어 모이시아 세쿤다 속주의 중심지가 되었고, 발렌스 황제 시기에는 동로마 제국의 임시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
447년 훈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었으나,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때 재건되었다. 이후 아바르족의 침입과 약탈이 반복되었지만, 7세기까지 중요한 도시로 남아있었다. 슬라브족들은 이 도시의 유적을 '데비나'라고 불렀다.[10]
2. 1. 고대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는 106년에 끝난 제2차 다키아 전쟁 이후 고대 도시 파르테노폴리스의 이름을 변경했다. 이 도시는 트라야누스의 누이인 울피아 마르키아나의 이름을 따서 마르키아노폴리스로 개명되었다.[8] 이 도시는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187~193년까지 로마 트라키아의 일부였고, 이후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에 속했다.
세베루스 왕조 치하에서 마르키아노폴리스의 번영은 248~249년 고트족의 습격과 그 이후 북쪽에서 벌어진 야만족의 침략으로 막을 내렸다. 로마군은 갈리에누스 황제 치세인 267년(또는 268년) 이 도시를 향한 또 다른 고트족의 공격을 격퇴했다.[9]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마르키아노폴리스는 트라키아 교구의 모이시아 세쿤다 속주의 중심지가 되었고, 3세기 말과 4세기 초에 걸쳐 철저히 재건되었다. 4세기에는 인접한 오데소스(바르나)를 희생하며 중요성이 커졌다. 이 도시는 중요한 주교 중심지였으며, 이 시대의 바실리카가 20세기에 발굴되었다. 발렌스 황제의 고트족과의 전쟁 (366~369) 동안 마르키아노폴리스는 제국의 임시 수도였으며, 당시 자료에 따르면 트라키아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10]
447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에게 우투스 강 전투 직후 파괴되었다.[11]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이 도시를 재건하고 요새화했다. 587년에는 아바르족에게 약탈당했지만, 즉시 비잔틴 제국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12] 596년에는 비잔틴 군대가 아바르족을 공격하기 위해 도나우 강을 건너기 전에 이곳에 주둔했다.[13] 정기적인 야만족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마르키아노폴리스는 614~615년에 아바르족의 습격으로 마침내 파괴될 때까지 중요한 중심지로 남아 있었지만, 그 이후에도 훨씬 더 오랫동안 지도에 계속 언급되었다.
7세기에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에 정착하면서 고대 도시의 폐허를 '데비나'라고 불렀다.
2. 2. 중세 초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 마르키아노폴리스는 트라키아 관구 모이시아 세쿤다 속주의 중심지가 되었고, 3세기 말과 4세기 초에 철저히 재건되었다. 4세기에 이웃한 오데소스 (바르나)의 희생으로 중요도가 커졌다. 이곳은 중요한 교회 행정의 중심지였고 20세기에 이 당시의 교회가 발굴되기도 하였다. 발렌스 황제의 고트 전쟁 기간 (366-369년), 마르키아노폴리스는 동로마 제국의 일시적인 수도였고 이 당시 기록에 의하면 트라키아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10]
447년에, 치열했던 우투스강 전투가 종료되자 마자, 아틸라의 훈족들에 파괴되었다.[11]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이곳을 재건하고 요새화했다. 587년에, 아바르족에 약탈되었으나 곧장 비잔티움군에 탈환되었다.[12] 비잔티움군은 도나우강을 건너 아바르족을 공격하기 전인 596년에 이곳에 주둔했다.[13] 꾸준한 야만인들의 침입에도, 마르키아노폴리스는 614-615년에 아바르족의 공격으로 결국에 파괴되기 전까지 중요한 중심지 지위를 유지했으며, 훨씬 후에 지도들에도 꾸준히 계속 언급되었다.
7세기에 슬라브족들이 발칸반도에 정착하였고, 이들은 마르키아노폴리스의 유적을 '데비나'(Devina)라 불렀다.
3. 유적 및 유물
마르키아노폴리스 유적에는 원형극장, 일부 도로,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 로마 시대 빌라인 안티오페 저택의 정교한 모자이크 등이 있으며, 이 모자이크들은 모자이크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14] 일부 모자이크는 현장에 보존되어 있다.[7]
3. 1. 마르키아노폴리스 유적
마르키아노폴리스 유적에는 원형극장, 일부 도로,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 로마 시대 빌라인 안티오페 저택의 정교한 모자이크 등이 있으며, 이 모자이크들은 모자이크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14] 일부 모자이크는 현장에 보존되어 있다.[7]
3. 2. 데브냐 모자이크 박물관
마르키아노폴리스 유적에는 원형극장, 일부 도로,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 로마 시대 빌라인 안티오페 저택의 정교한 모자이크 등이 있으며, 이 모자이크들은 모자이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4]
참조
[1]
간행물
Ammianus Marcellinus, XXVII, 4, 12
[2]
간행물
Historia Augusta, Claudius, 9; Zosimus, I, 42
[3]
간행물
Amm. Marcell., XXVII, 5; Theophanes the Confessor Chronographia, A. M. 5859, 5860, 5861
[4]
서적
The Huns
Blackwell
1999
[5]
간행물
Theophanes the Confessor, "Chronographia" A. M. 6079
[6]
간행물
Theophanes the Confessor, "Chronographia", A. M. 6088
[7]
웹사이트
Анастас Ангелов - Музеят на мозайките в Девня
http://liternet.bg/p[...]
[8]
간행물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XXVII, 4, 12
[9]
간행물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Claudius, 9; 조시무스, I, 42
[10]
간행물
Amm. Marcell., XXVII, 5; 테오파네 Chronographia, A. M. 5859, 5860, 5861
[11]
서적
The Huns
Blackwell
1999
[12]
간행물
테오파네, "Chronographia" A. M. 6079
[13]
간행물
테오파네, "Chronographia", A. M. 6088
[14]
URL
http://liternet.bg/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