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 부시는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야구 감독이다.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서 야구와 미식축구를 병행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1990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되어 1995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1998년에는 한국 프로 야구 한화 이글스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마이너 리그와 독립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05년부터는 감독으로 활동하며, 캘거리 바이퍼스와 샴버그 플라이어스를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븐포트 (아이오와주) 출신 - 빅스 바이더벡
빅스 바이더벡은 1920년대 재즈 시대에 멜로디와 화성 중심의 독특한 연주 스타일로 이름을 알린 미국의 코넷 연주자이자 피아니스트로, 울버린 오케스트라 등에서 활동하며 재즈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으나 알코올 중독으로 짧은 생을 마감했다. - 대븐포트 (아이오와주) 출신 - 메리 베스 필
메리 베스 필은 미국의 배우이자 소프라노로, 오페라 가수로 데뷔하여 뮤지컬 배우로 전향, 영화와 드라마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다. - 아이오와주 출신 야구 선수 - 캡 앤슨
캡 앤슨은 1871년부터 1897년까지 27시즌 동안 활약한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2번의 타격왕과 8번의 타점왕을 차지했으며,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를 이끌고 현대 야구 전술을 도입했으나 인종차별적인 행적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아이오와주 출신 야구 선수 - A. J. 힌치
A. J. 힌치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와 감독으로 활동했으나, 휴스턴 애스트로스 감독 시절 사인 훔치기 스캔들로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지도자 윤리성에 타격을 입고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감독으로 복귀 후에도 비판을 받았다. - KBO 리그 미국인 선수 - 앤디 밴 헤켄
앤디 밴 헤켄은 미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한국, 대만 프로야구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넥센 히어로즈에서 20승을 기록하며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고, 은퇴 후에는 투구 코치로 활동한다. - KBO 리그 미국인 선수 - 라이언 가코
라이언 가코는 조니 벤치 상을 받은 스탠퍼드 대학교 출신의 전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비롯한 여러 팀과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 감독을 거쳐 현재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부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마이크 부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마이크 부시 |
| 영어 이름 | Michael Anthony Busch |
| 출생일 | 1968년 7월 7일 |
| 출생지 | 아이오와주 대븐포트 |
| 신장 | 6 피트 5 인치 (196 cm) |
| 체중 | 241 파운드 (109 kg) |
| 타석 | 우타 |
| 투구 | 우투 |
| 포지션 | 3루수, 1루수 |
| 선수 경력 | |
| 아마추어 |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
| 메이저 리그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5–1996) |
| 한국 프로야구 | 한화 이글스 (1998) |
| 독립 리그 | 파고-무어헤드 레드호크스 (1999) 수폴스 카나리스 (2000–2001) |
| 메이저 리그 기록 | |
| 데뷔 리그 | MLB |
| 데뷔 날짜 | 1995년 8월 30일 |
| 데뷔 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마지막 리그 | MLB |
| 마지막 날짜 | 1996년 8월 10일 |
| 마지막 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타율 | 0.220 |
| 홈런 | 7 |
| 타점 | 23 |
| 한국 프로야구 기록 | |
| 데뷔 리그 | KBO |
| 데뷔 날짜 | 1998년 4월 11일 |
| 데뷔 팀 | 한화 이글스 |
| 마지막 리그 | KBO |
| 마지막 날짜 | 1998년 8월 17일 |
| 마지막 팀 | 한화 이글스 |
| 타율 | 0.213 |
| 홈런 | 10 |
| 타점 | 28 |
| 감독 경력 | |
| 감독 팀 | 캘거리 바이퍼스 (2005–2008) 샴버그 플라이어스 (2009–2010) |
2. 선수 경력
2. 1. 프로 입단 전
1989년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3학년 때 타율 .401을 기록하며 올아메리칸에 선정되었다. 또한 미식축구에서도 타이트 엔드로 뛰며 빅 에이트 컨퍼런스 MVP, 퍼스트 팀에 선정되는 등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였다.2. 2. 메이저 리그 시절
1990년 MLB 드래프트 4라운드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지명되었다.[2] 1991년에는 A+ 베이커스필드 다저스에서, 1992년에는 AA 샌안토니오 미션스에서, 1993년부터는 앨버커키 듀크스에서 뛰었다.1995년, 퍼시픽 코스트 리그 올스타 1루수로 선정되었고, 팀 월랙이 무릎 부상을 당하여 메이저 리그에 승격하여[2] 8월 30일에 다저스에서 첫 출전을 했다. 1996년 8월 10일이 메이저 리그 마지막 출전이 되었다. 메이저 리그에서는 타율 .220, 7홈런의 성적을 남겼다. 1997년에는 AAA 버팔로 바이슨스에서 뛰었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파업 당시 대체 선수로 활동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협회 가입이 허용되지 않았다.
2. 3. 한국 프로 야구 시절
1998년 한국 야구 위원회의 제1회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로부터 1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2] 계약금 1만 달러와 연봉 10만 5천 달러의 조건으로 입단 계약을 맺었다. 1998년 시즌 76경기에 나와 타율 0.216, 10홈런, 28타점을 기록하였다.2. 4. 마이너/독립 리그 시절
1999년 독립 리그인 노던 리그의 파고 무어헤드 레드호크스에서 뛰며 리그 센트럴 디비전 올스타 (3루수)로 선정되었다.[2] 2000년과 2001년에는 수폴스 커낼리스에서 활동했다.3. 지도자 경력
2005년부터 노던 리그(당시)의 캘거리 바이퍼스 감독을 맡았다.[3] 2008년 12월에는 2009년 시즌부터 노던 리그의 샴버그 플라이어스 감독으로 취임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4. 수상 내역
1989년 올아메리칸, 빅 에이트 컨퍼런스 MVP (미식축구)로 선정되었으며, 1995년 퍼시픽 코스트 리그 올스타 (1루수), 1999년 노던 리그 센트럴 디비전 올스타 (3루수)로 뽑혔다.[4] 2000년에는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5. 통산 기록
도
단
기
석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타
점
루
루
실
타
플
구
사
구
진
살
타
율
루
율
타
율
P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