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인츠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인츠 대학교는 1477년 디터 폰 이젠부르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46년 연합군 점령 지역의 프랑스 점령 당국에 의해 현재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마인츠 대학교로 재건되었다. 1974년에는 학부 체제가 개편되어 현재의 연구 분야별 조직을 갖추었다. 2010년 10개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독일 대학 랭킹 20위, 2024년 QS 세계 대학 랭킹 464위를 기록했다. 자연과학 분야에서 독일 내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보이며,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과 교수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인츠의 건축물 - 메바 아레나
    독일 마인츠에 위치한 메바 아레나는 1. FSV 마인츠 05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는 축구 경기장으로, 개장 당시에는 코파스 아레나로 불렸으며 리가토탈 컵을 개최하기도 했다.
  • 라인란트팔츠주의 대학교 - 카이저슬라우테른 공과대학교
    카이저슬라우테른 공과대학교는 1975년 트리어대학교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의 공과대학교로, 2023년 코블렌츠-란다우 대학교의 란다우 캠퍼스와 통합되어 카이저슬라우테른-란다우 대학교를 형성했으며, 공학 분야에서 특히 강세를 보인다.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구텐베르크 성경
    구텐베르크 성경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1450년대에 마인츠에서 인쇄한 성경으로, 가동 활자를 사용한 서양 최초의 주요 인쇄본이자 인쇄 혁명의 상징이며, 불가타 라틴어 성경을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유성 잉크, 블랙레터 서체, 수작업 장식이 특징이다.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구텐베르크는 마이클 S. 하트가 1971년에 시작한 저작권 만료 도서를 전자책 형태로 무료 제공하는 디지털 도서관으로, 자원봉사자들의 노력으로 운영되며 공공 문해력과 문학 유산 확산을 목표로 다양한 파일 형식의 자료를 제공한다.
마인츠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식 명칭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교 마인츠
원어 명칭Johannes Gutenberg-Universität Mainz
로마자 표기Johannes Gutenberg-Universität Mainz
모토Ut omnes unum sint
모토 (독일어)Dass alle eins seien
모토 (영어)That they all may be one
설립1477년 (마인츠 대학교)
재개교1946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교 마인츠)
유형공립 대학
예산5억 400만 유로 (2018년)
총장Georg Krausch
교직원4,353명
행정 직원7,825명
학생 수32,000명
위치마인츠
라인란트팔츠주
국가독일
웹사이트uni-mainz.de
역사적인 마인츠 대학교 인장
좌표49°59′32″N 8°14′17″E
소속U15
색상빨간색
기타
교직원 수4,353
행정 직원 수7,825
학생 수 (추정)32,000

2. 역사

마인츠 대학교는 2016년 기준 독일 대학 랭킹 20위, 세계 대학 랭킹 244위를 기록하였다.[18] 2005년 1월 1일 구조개혁을 통해 11개의 학부로 나뉘었다. 학교 이름은 공립학교이므로 지역명을 따랐고, 이 지역 출신으로 인쇄용 압축기를 발명하여 유럽의 인쇄술을 혁신한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이름을 넣었다.

2. 1. 초기 역사 (1477년-1798년)

마인츠 대학교의 역사는 마인츠 대주교이자 선제후이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대리였던 아돌프 2세 폰 나사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대학교 설립에는 교황의 승인이 필요했으며, 아돌프 2세는 재임 기간 동안 승인 절차를 시작했다. 그러나 대학교는 아돌프 2세의 후임 주교인 디터 폰 이젠부르크에 의해 1477년에 처음 개교했다.[17] 1784년에는 프로테스탄트와 유대인에게 개방되었다 (관리자 안셀름 프란츠 폰 벤첼-슈테르나우). 신학 분야만 해도 10개의 강좌가 있었던 유럽에서 가장 큰 가톨릭 대학교 중 하나가 되었다. 1792년 마인츠 공화국 수립 이후의 혼란과 그 후 프로이센군에 의한 마인츠 포위 공격(1793년)으로 인해 학문 활동은 점차 중단되었다. 1798년 프랑스 지배하에 대학교가 다시 활동을 시작했고, 의학과 강의는 1823년까지 계속되었다. 19세기에는 신학부만이 신학교(1877년부터 "철학 및 신학 대학"으로 명칭 변경)로서 교육을 계속했다.[17]

2. 2. 중단과 재건 (1798년-현재)

1798년 프랑스 지배하에 마인츠 대학교가 다시 활동을 시작했고, 의학과 강의는 1823년까지 계속되었다. 19세기에는 신학부만이 신학교(1877년부터 "철학 및 신학 대학"으로 명칭 변경)로서 교육을 계속했다.[17]

마인츠 대학교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동상


현재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마인츠 대학교는 1946년 연합군 점령 지역의 프랑스 점령 당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1946년 3월 1일 법령에서 프랑스 군정은 마인츠 대학교가 계속 존재할 것이며, "그 기능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1938년 라인란트 재무장 이후 제3제국 시대에 건설된 대공포 방어 시설 막사의 잔해가 대학교의 최초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7]

100년 이상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구 대학교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마인츠 대학교 사이의 학문 활동의 연속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재개교 전까지는 신학교와 조산학교만이 남아 있었다.[17]

1972년에는 1968년 학생 운동의 영향이 대학교 구조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학부가 해체되었고, 대학교는 광범위한 연구 분야로 조직되었다. 1974년 페터 슈나이더가 현재 "구성된 그룹 대학교" 고등 교육 기관의 초대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 위르겐 촐러가 총장이 되었지만, 라인란트팔츠 주 과학 및 고등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된 후 1년 만에 자리를 떠났다. 독일 사회민주당의 고등 교육 정책 조정자이자 생리화학 연구소의 휴직 교수였던 그는 SPD의 고등 교육 정책과 학습 계정 개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7]

3. 구성

마인츠 대학교는 10개의 학부와 마인츠 음악대학교, 마인츠 예술대학이라는 2개의 독립적인 예술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4]

3. 1. 학부

마인츠 대학교는 2010년 9월 1일부터 10개의 학부로 나뉘어 있다.

번호학부
1가톨릭 신학·복음주의 신학
2사회과학·미디어학·스포츠과학
3법학·경제학
4의학
5철학·고전학
6번역·통역·언어문화학 (가칭)
7역사학·문화과학 (가칭)
8물리학·수학·정보학
9화학·약학·지리학·지구과학 (가칭)
10생물학



마인츠 음악대학교와 마인츠 미술대학교는 마인츠 대학교의 독립적인 예술대학이다.[4]

3. 2. 예술대학

마인츠 대학교에는 마인츠 예술대학(Kunsthochschule Mainz)이 있다.

4. 캠퍼스

마인츠 대학교는 독일에서 몇 안 되는 캠퍼스 대학교 중 하나이다. 거의 모든 기관과 시설은 도시 남서쪽에 있는 옛 막사 부지에 있다. 대학 병원은 캠퍼스 밖에 있으며, 1949년 대학교에 통합되었고 게르머스하임에 있는 응용언어학 및 문화학과도 마찬가지이다. 캠퍼스 내 대학교 옆에는 막스 플랑크 화학 연구소, 막스 플랑크 고분자 연구소, 분자생물학 연구소, 전자 가속기 MAMI, 연구 원자로 TRIGA, 식물원, 스포츠 경기장 및 실내 수영장이 있다. 마인츠 예술 아카데미(''Kunsthochschule Mainz'')는 캠퍼스 밖에 있다.

5. 학문적 성과 및 평가

마인츠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여러 국제 평가 기관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자연과학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독일 연구진흥협회(DFG)의 연구비 수주 실적에서 독일 내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세부 분야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2023 QS 세계 대학 순위 (세부 분야)[12]
세부 분야세계 순위국내 순위
인문학283위15위
언어학151–200위11–14위
고고학101–150위9–12위
영어영문학201–250위8–9위
현대어201–250위10–13위
공학 및 기술N/AN/A
화학공학201–250위9–10위
생명과학 및 의학N/AN/A
약학 및 약리학74위4위
자연과학175위13위
화학151–200위13–14위
물리학 및 천문학112위9위
사회과학 및 경영N/AN/A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학101–150위3–7위



2023 THE 세계 대학 순위 (세부 분야)[13]
세부 분야세계 순위국내 순위
인문학251–300위21–27위
교육학501–600위27위
사회과학201–250위14–17위
임상 및 보건301–400위21–25위
생명과학201–250위20–25위
자연과학151–175위12–15위
심리학201–250위20–23위



2022 ARWU 세계 대학 순위 (세부 분야)[14]
세부 분야세계 순위국내 순위
자연과학
수학301–400위19–29위
물리학51–75위3–5위
화학201–300위16–25위
지구과학151–200위13–16위
대기과학76–100위2–6위
공학
생물의학공학101–150위6–10위
재료과학 및 공학301–400위16–21위
나노과학 및 나노기술201–300위8–17위
환경과학 및 공학401–500위22–28위
생명과학
생물학201–300위20–30위
인간생물학76–100위9–12위
의학
임상의학301–400위23–30위
치의학 및 구강과학201–300위22–28위
의료기술201–300위24–30위
약학 및 제약과학76–100위7–9위
사회과학
정치학201–300위13–16위
커뮤니케이션34위2위
심리학151–200위12–17위


5. 1. 연구

마인츠 대학교의 연구 범위는 포괄적이지만, 수의학과 영양학 등 일부 기술 분야는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학, 서지학, 육상 경기, 음악, 시각 예술, 연극 및 영화를 공부할 수 있다.

현재 마인츠 대학교는 약 36,000명의 학생(2010년 기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150개 이상의 기관과 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 요하르트 다우스(Joshard Daus)가 브레멘 예술대학교와 공동으로 설립한 수상 경력이 있는 합창단 유로파코르아카데미와 같은 국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5]

화성 탐사 로버인 스피릿과 오퍼튜니티에 탑재된 장비 중 하나인 미니어처 메스바우어 분광기는 이 대학교에서 개발되었다.

마인츠 대학교는 현재 정규 과정에 대해 수업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고령자 학생, 청강생 및 특정 대학원생에게는 수업료가 부과될 수 있다.[6]

5. 2. 평가

2016년 기준 독일 대학 랭킹 20위와 세계 대학 랭킹 244위를 기록하였다.[18]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마인츠 대학교는 세계 464위, 독일 국내 27위를 차지했다.[7]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 2024년판에서는 세계 251~300위, 국내 25~31위에 위치해 있다.[8] ARWU 세계 순위 2022년 기준으로는 세계 201~300위, 국내 10~19위에 해당한다.[9]

독일 연구진흥협회(DFG)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마인츠 대학교는 독일 내 최고의 자연과학 대학 중 하나이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간 동안 마인츠 대학교는 자연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경쟁적 연구비를 수주했으며, 물리학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10] DFG는 대학 및 연구소 연구원들의 최고 연구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자금을 지원하는 경쟁적인 선정 과정을 거치는데, 이 순위는 연구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된다.[11]

2023 QS 세계 대학 순위 (세부 분야)[12]
세부 분야세계 순위국내 순위
인문학283위15위
언어학151–200위11–14위
고고학101–150위9–12위
영어언어문학201–250위8–9위
현대어201–250위10–13위
공학 및 기술N/AN/A
화학공학201–250위9–10위
생명과학 및 의학N/AN/A
약학 및 약리학74위4위
자연과학175위13위
화학151–200위13–14위
물리학 및 천문학112위9위
사회과학 및 경영N/AN/A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학101–150위3–7위



2023 THE 세계 대학 순위 (세부 분야)[13]
세부 분야세계 순위국내 순위
인문학251–300위21–27위
교육학501–600위27위
사회과학201–250위14–17위
임상 및 보건301–400위21–25위
생명과학201–250위20–25위
자연과학151–175위12–15위
심리학201–250위20–23위



2022 ARWU 세계 대학 순위 (세부 분야)[14]
세부 분야세계 순위국내 순위
자연과학
수학301–400위19–29위
물리학51–75위3–5위
화학201–300위16–25위
지구과학151–200위13–16위
대기과학76–100위2–6위
공학
생물의학공학101–150위6–10위
재료과학 및 공학301–400위16–21위
나노과학 및 나노기술201–300위8–17위
환경과학 및 공학401–500위22–28위
생명과학
생물학201–300위20–30위
인간생물학76–100위9–12위
의학
임상의학301–400위23–30위
치의학 및 구강과학201–300위22–28위
의료기술201–300위24–30위
약학 및 제약과학76–100위7–9위
사회과학
정치학201–300위13–16위
커뮤니케이션34위2위
심리학151–200위12–17위


6. 저명한 동문 및 교수

마인츠 대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이 있다.

=== 과거 주요 인물 ===


  • 요한 요아힘 베허(Johann Joachim Becherde)는 1663년부터 1664년까지 의학 교수를 역임한 의사이다.[1]
  • 요한 프리드리히 폰 파이퍼(Johann Friedrich von Pfeifferde)는 1784년부터 1787년까지 궁정학 교수를 역임한 경제학자이다.[2]
  • 안드레아스 요제프 호프만(Andreas Joseph Hofmannde)은 1784년부터 1793년까지 법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독일 최초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의회 의장을 지냈다.[3]
  • 사무엘 토마스 폰 죄머링(Samuel Thomas von Sömmerringde)은 1784년부터 1797년까지 해부학 및 생리학 교수를 역임했다.[4]
  • 게오르크 포르스터(Georg Forsterde)는 1788년부터 1793년까지 대학 사서를 역임한 박물학자이자 세계 여행가이다.[5]


=== 1946년 이후 주요 교수진 (일부) ===

  • 카를-오토 아펠(철학)
  • 카이 아르차이머(정치학)
  • 토마스 비어젠크(민족학 및 사회학)
  • 허베르트 브라운(신학)
  • 하우케 브룬크호르스트(교육학)
  • 미하 브룸리크(교육학)
  • 폴 J. 크루첸(화학, 1995년 노벨상 수상자)
  • 프리츠 슈트라스만(물리학)
  • 위르겐 팔터(정치학)
  • 한스 갈린스키(미국학)
  • 게르하르트 그로스(아프리카학)(사회학)(1975–1994)
  • 레오폴트 호르너(화학)
  • 알프레트 크뢰너(지질학)
  • 카를 추기경 레만(신학)
  • 카롤라 렌츠(사회인류학자)
  • 토마스 메칭거(철학)
  • 고트프리트 뮌젠베르크(물리학)
  • 엘리자베트 노엘레-노이만(커뮤니케이션학)
  • 볼프강 판넨베르크(신학)
  • 롤프 페프코펜(경제학)
  • 클라우스 로제(경제학)
  • 도로테에 죄레(신학)
  • 베아트리체 베더 디 마우로(경제학)
  • 이자벨 슈나벨(경제학)
  • 프리츠 슈트라스만(핵화학, 오토 한과 함께 핵분열을 발견)
  • 베르너 바이덴펠트(정치학, 헬무트 콜 전 독일 총리 고문)
  • 위르겐 가우스(이론화학)
  • 우구르 샤힌(의학)
  • 외즐렘 튀레치(의학)
  • 클라우스 발데(경제학)[15]


=== 1946년 이후 주요 동문 (일부) ===

분야인물
정치
과학
예술
기타


6. 1. 과거 주요 인물

요한 요아힘 베허(Johann Joachim Becherde)는 의사로 1663년부터 1664년까지 의학 교수를 역임했다.[1] 요한 프리드리히 폰 파이퍼(Johann Friedrich von Pfeifferde)는 경제학자로 1784년부터 1787년까지 궁정학 교수를 역임했다.[2] 안드레아스 요제프 호프만(Andreas Joseph Hofmannde)은 1784년부터 1793년까지 법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독일 최초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의회 의장을 지냈다.[3] 사무엘 토마스 폰 죄머링(Samuel Thomas von Sömmerringde)은 1784년부터 1797년까지 해부학 및 생리학 교수를 역임했다.[4] 게오르크 포르스터(Georg Forsterde)는 박물학자이자 세계 여행가로 1788년부터 1793년까지 대학 사서를 역임했다.[5]

6. 2. 1946년 이후 주요 교수진 (일부)


  • 카를-오토 아펠(철학)
  • 카이 아르차이머(정치학)
  • 토마스 비어젠크(민족학 및 사회학)
  • 허베르트 브라운(신학)
  • 하우케 브룬크호르스트(교육학)
  • 미하 브룸리크(교육학)
  • 폴 J. 크루첸(화학, 1995년 노벨상 수상자)
  • 프리츠 슈트라스만(물리학)
  • 위르겐 팔터(정치학)
  • 한스 갈린스키(미국학)
  • 게르하르트 그로스(아프리카학)(사회학)(1975–1994)
  • 레오폴트 호르너(화학)
  • 알프레트 크뢰너(지질학)
  • 카를 추기경 레만(신학)
  • 카롤라 렌츠(사회인류학자)
  • 토마스 메칭거(철학)
  • 고트프리트 뮌젠베르크(물리학)
  • 엘리자베트 노엘레-노이만(커뮤니케이션학)
  • 볼프강 판넨베르크(신학)
  • 롤프 페프코펜(경제학)
  • 클라우스 로제(경제학)
  • 도로테에 죄레(신학)
  • 베아트리체 베더 디 마우로(경제학)
  • 이자벨 슈나벨(경제학)
  • 프리츠 슈트라스만(핵화학, 오토 한과 함께 핵분열을 발견)
  • 베르너 바이덴펠트(정치학, 헬무트 콜 전 독일 총리 고문)
  • 위르겐 가우스(이론화학)
  • 우구르 샤힌(의학)
  • 외즐렘 튀레치(의학)
  • 클라우스 발데(경제학)[15]

6. 3. 1946년 이후 주요 동문 (일부)

1946년 이후 마인츠 대학교의 주목할 만한 동문은 다음과 같다.

분야인물
정치
과학
예술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Johannes Gutenberg-Universität Mainz in Zahlen https://universitaet[...] 2019-09-27
[2] 웹사이트 Zahlenspiegel 2015 http://www.uni-mainz[...] University of Mainz 2017-06-19
[3] 서적 Geschichte der Universität in Europa C. H. Beck 1993
[4] 웹사이트 Kunsthochschule Mainz: Historie http://www.afbk-main[...] 2011-03-29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udy Programs https://www.internat[...] University of Mainz 2017-05-11
[6] 웹사이트 Studiengebühren {{!}} Studium an der JGU https://www.studium.[...] 2019-10-09
[7]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7-16
[8]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023-09-27
[9] 웹사이트 2023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3-08-15
[10] 간행물 Förderatlas 2018 Wiley-VCH 2018-07-18
[11] 웹사이트 Aufgaben der Deutschen Forschungsgemeinschaft (DFG) https://www.dfg.de/d[...] 2019-10-14
[12]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2 https://www.topunive[...] 2023-03-23
[1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imeshig[...]
[14]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2022 https://www.shanghai[...]
[15] 웹사이트 Chair of Macroeconomics, Johannes Gutenberg-University http://www.macro.eco[...] Macro.economics.uni-mainz.de 2015-09-23
[16] 뉴스 Mantan Ketua BPS Gereja Toraja, Pdt I.P Lambe Wafat, Berikut Biografi Singkatnya https://kareba-toraj[...] 2021-01-01
[17]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 Winkler 1993
[18] 웹인용 Johannes Gutenberg University of Mainz Ranking {{!}} CWUR 2016 https://cwur.org/201[...] 2020-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