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케팅 믹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팅 믹스는 기업이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적 도구의 조합을 의미하며, 194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모델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제품, 가격, 유통, 촉진의 4P 모델이 제시되었으며, 이후 소비자 중심의 4C 모델, 서비스 마케팅을 위한 7P 모델, 그리고 기업과 소비자 간의 공생 관계를 강조하는 4C와 7Cs Compass Model 등이 등장했다. 디지털 환경에서는 4P를 디지털 마케팅에 적용한 디지털 마케팅 믹스가 사용되며, 제품, 가격, 유통, 촉진의 각 요소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영 - 이사회
    이사회는 주주의 이익을 위해 경영진을 감독하고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는 회사의 핵심 의사 결정 기구이다.
  • 경영 - 노동자 자주 경영
    노동자 자주 경영은 노동자들이 기업 운영과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경제 체제 또는 운동으로, 참여 경제, 자치 경제, 협동 경제 등으로도 불리며 다양한 시도와 사례가 존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마케팅 믹스
마케팅 믹스
마케팅 믹스 개념
마케팅 믹스 개념
정의
개념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이 사용하는 도구들의 집합.
목표마케팅 목표 달성
4P
제품 (Product)기업이 제공하는 유형/무형의 상품 또는 서비스.
가격 (Price)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가격 정책 및 가격 전략.
유통 (Place)상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 및 유통 채널.
촉진 (Promotion)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판매 촉진 활동.
확장된 마케팅 믹스 (서비스 마케팅)
사람 (People)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 (직원, 고객 등).
프로세스 (Process)서비스가 제공되는 절차 및 시스템.
물리적 증거 (Physical evidence)서비스 품질을 보여주는 유형의 환경 및 요소.
마케팅 믹스 요소의 중요성
통합적인 접근각 요소는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마케팅 전략에 맞게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지속적인 최적화시장 환경 및 고객 요구 변화에 따라 마케팅 믹스는 지속적으로 검토 및 개선되어야 한다.
마케팅 믹스 활용 분야
제품 개발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시 마케팅 믹스 요소들을 고려하여 기획.
가격 결정시장 상황과 경쟁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가격 설정.
유통 전략고객에게 상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유통 채널 선택.
마케팅 캠페인효과적인 광고, 홍보, 판매 촉진 활동을 위한 마케팅 믹스 요소 활용.
비판
제한점4P 모델은 서비스 마케팅 및 관계 마케팅과 같은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을 반영하지 못한다.
소비자의 시각보다 기업의 시각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대안적 모델
4C고객 가치 (Customer value)
비용 (Cost)
편리성 (Convenience)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7P제품 (Product)
가격 (Price)
유통 (Place)
촉진 (Promotion)
사람 (People)
프로세스 (Process)
물리적 증거 (Physical evidence)
관련 개념
마케팅 전략마케팅 전략
마케팅마케팅
프로모션프로모션

2. 마케팅 믹스의 역사와 발전

마케팅 믹스 개념은 194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여러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 초기에는 마케팅 담당자를 "재료를 섞는 사람들"로 묘사하는 수준이었지만, 1960년대에 에드먼드 제롬 매카시가 4P 모델을 제시하면서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초기 마케팅 믹스 정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초기 마케팅 믹스 정의
연도학자정의
1961알버트 프레이제품, 브랜드, 가격을 포함하는 제품군과 광고, 판촉, 개별 판매, 홍보, 유통 채널, 시장 조사, 전략을 포함하는 방법론의 두 가지 그룹으로 정의했다.
1962레이저와 켈리제품, 브랜드,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믹스, 채널과 물류를 포함하는 유통 믹스, 광고와 판매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믹스의 세 가지 그룹으로 정의했다.
1957존 하워드제품, 가격, 채널, 판촉의 네 가지 그룹으로 정의했다.[15][16]



필립 코틀러는 매카시의 4P 모델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4P 모델은 마케팅 학계와 실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980년대 이후 서비스 마케팅이 중요해지면서 4P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서비스 마케팅에 적합한 7P 모델이 제안되었고, 이후 '성과(performance)'를 추가한 8P 전략도 등장했다.[5]

한편,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관점이 부상하면서 4P 모델을 비판하고 4C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2. 1. 마케팅 믹스 개념의 등장 (1940년대 ~ 1960년대)

4P 전략의 기원은 194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9] 최초로 믹스(mix)라는 용어를 언급한 사람은 하버드 대학교의 마케팅 교수인 제임스 컬리턴으로 알려져 있다.[10] 1948년, 컬리턴은 ''마케팅 비용 관리(The Management of Marketing Costs)''라는 논문을 발표했는데,[11] 이 논문에서 그는 마케팅 담당자들을 "재료를 섞는 사람들(mixers of ingredients)"로 묘사했다.

수년 후, 컬리턴의 동료인 닐 보든 교수는 마케팅 믹스의 초기 역사를 자세히 설명하는 회고록을 발표했는데, 그는 컬리턴의 "믹서(mixers)"라는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마케팅 믹스"라는 개념을 대중화한 공로를 스스로에게 돌렸다.[12] 보든의 설명에 따르면, 그는 194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마케팅 믹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그는 1953년 미국 마케팅 협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AMA)에서 행한 회장 연설에서 "마케팅 믹스"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닐 보든이다.[54][55]

마케팅 믹스 다이어그램


마케팅 담당자를 "재료를 섞는 사람들"이라고 하는 아이디어는 받아들여졌지만, 1960년대까지 마케팅 믹스에 어떤 요소를 포함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14]

현대적인 형태의 4P 전략은 1960년 에드먼드 제롬 매카시가 처음으로 제안했는데,[17] 그는 시장 분석, 소비자 행동, 시장 조사, 시장 세분화, 프로젝트 계획을 포함하는 관리적 접근 방식 내에서 이들을 제시했다. 필립 코틀러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대중화하고 4P 모델의 확산에 기여했다.[18][2] 코틀러에 따르면, 1950년대에 리처드 크루엣(Richard Clewett)이 Product(제품), Price(가격), Promotion(판촉), Distribution(유통)의 3P1D를 사용했으며, 이것이 매카시의 4P의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56] 에드먼드 제롬 매카시가 1960년에 제시하고, 그의 친구인 필립 코틀러 등이 사용하는 유명한 분류인 “4P”를 이용하여 마케팅 믹스가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57][58]

2. 2. 4P 모델의 확장과 수정 (1970년대 ~ 현재)

1970년대 후반, 소비자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판매자 중심의 4P 모델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81년, 붐스(Booms)와 비트너(Bitner)는 서비스 마케팅을 위해 기존 4P에 사람(People), 프로세스(Process),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를 추가한 7P 모델을 제안했다.[21]

확장된 마케팅 믹스 (7P) 개요
범주정의/설명일반적인 마케팅 의사결정
사람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인적 요소.[28] 회사의 가치를 고객에게 대표하는 서비스 직원, 고객 간 상호 작용, 직원과 고객 간 상호 작용.[29]
프로세스서비스가 제공되는 절차, 메커니즘 및 활동 흐름.
물리적 증거서비스가 발생하는 환경. 고객과 서비스 직원이 상호 작용하는 공간. 서비스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유형의 상품(예: 장비, 가구). 고객에게 서비스 수행을 상기시키는 인공물.[31]



사람은 모든 마케팅에 필수적이며, 직원은 서비스를 대표한다. 전문직, 금융 또는 서비스업에서 사람들은 생산자가 아니라 제품 그 자체이다.[32] 사람이 제품일 때, 그들은 어떤 유형의 소비재만큼 조직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직원들이 회사를 잘 대표하도록 하려면 광범위한 메시징 전략과 일치해야 한다.[33]

프로세스는 "제품의 이점 제공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프로세스는 직원이 업무의 일환으로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 순서일 수 있다. 여러 직원이 수행하는 순차적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 매니저는 직원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프로세스가 준수되도록 해야 하며, 고객이 신속하게 맞이하고, 착석하고, 식사하고, 안내하여 다음 고객이 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도록 감독해야 한다.[33]

물리적 증거는 장비, 가구 및 시설을 포함한 서비스 접점의 비인적 요소이다. 또한 인테리어 디자인, 색 구성표 및 레이아웃을 포함한 서비스 접점이 발생하는 환경의 더 추상적인 구성 요소를 의미할 수도 있다. 물리적 증거의 일부 측면은 기념품, 기념품, 송장 및 기타 인공물의 리버리와 같이 서비스가 발생했다는 지속적인 증거를 제공한다.[32] 물리적 증거는 고객에게 중요하며, 그 이유는 유형의 상품은 판매자가 고객이 기대했던 것을 제공했는지 여부에 대한 증거이기 때문이다.[33]

한편, 1990년 로버트 로터본(Robert F. Lauterborn)은 소비자 중심의 4C 모델(Consumer, Cost, Convenience, Communication)을 제시했다.[59] 이는 4P가 판매자 관점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에 대한 대응이었다. 필립 코틀러는 이를 '마케팅 2.0'이라고 명명했다. 4C 모델은 다음과 같다.


  • 소비자(Consumer): 소비자의 욕구와 요구를 충족하는 상품 (필립 코틀러는 고객 솔루션(Customer solution)으로 명명).
  • 고객 비용(Customer cost)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 편의성(Convenience): 유통은 편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73년, 시미즈 고이치(清水公一)는 공생 마케팅의 4C (Commodity, Cost, Communication, Channel)를 제안하고, 1979년 7Cs Compass Model로 발전시켰다.[60][61][62] 시미즈 고이치의 4C 모델은 다음과 같다.

  • Commodity(상품): 소비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상품 및 서비스
  • Cost(비용): 생산, 판매 비용, 사회적 비용까지 포함
  • Communication(커뮤니케이션): 판매 촉진을 넘어선 상호작용
  • Channel(유통 채널):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 온라인과 오프라인 통합


"코모디티"는 라틴어 "Commodus(함께 편리한, 함께 행복한)"에서 유래한 용어이며, 기업, 소비자를 넘어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는 가치를 중시한다.

3. 전통적인 마케팅 믹스: 4P

1960년 에드먼드 제롬 매카시(Edmund Jerome McCarthy)가 제시한 마케팅 믹스는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채널(Place), 판촉(Promotion)의 네 가지 요소(4P)로 구성된다.[6] 이 4P는 마케팅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로, 마케팅 이론과 실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22][23]

4P 개요[6]
범주정의/설명일반적인 마케팅 의사결정
제품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품목 (유형의 상품 또는 무형의 서비스, 아이디어, 경험)
가격고객이 제품에 대해 지불하는 금액 (소비자의 기대치, 시간, 노력 포함)
유통채널(Place)고객 접근성 제공 (소비자 편의성 고려)
판촉(Promotion)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광고, 홍보, 직접 마케팅, 판촉 등)



4P는 1960년대 이후 마케팅 관리 접근 방식의 초석이다.


'''가격'''은 기업의 가치를 나타내는 마케팅 믹스의 유일한 부분이며,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변수이다. 가격에는 고객 인지 가치가 포함된다.[6]

'''유통채널(Place)'''은 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는 물리적 위치 또는 시장 도달을 위한 유통 채널을 의미한다. 고급 제품은 집약적 배치 전략을, 저가 소비재는 광범위한 배치 전략을 사용한다.[26]

'''판촉(Promotion)'''은 잠재 고객에게 제안을 알리고 설득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의미하며, 광고, 홍보, 직접 판매, 판촉 등이 포함된다.[26]

3. 1. 제품 (Product)

Product영어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유형 또는 무형의 재화나 서비스를 의미한다.[57][58] 제품은 단순히 물리적인 상품에 국한되지 않고, 서비스, 아이디어, 경험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과 관련된 주요 결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품질: 제품의 성능, 내구성, 신뢰성 등 전반적인 품질 수준을 결정한다.
  • 기능: 제품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과 특징을 설계한다.
  • 디자인: 제품의 외관, 사용 편의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한다.
  • 브랜드: 제품에 대한 식별성을 부여하고,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브랜드를 개발하고 관리한다.
  • 포장: 제품을 보호하고, 정보를 제공하며, 매력적인 외관을 통해 구매를 유도한다.
  • 보증 및 서비스: 제품에 대한 보증 기간, 애프터서비스(A/S) 정책 등을 결정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것은 기업의 마케팅 목표 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3. 2. 가격 (Price)

가격은 기업의 가격 정책 또는 가격 모델을 의미한다. 인터넷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소비자 측면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제품 구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실시간으로 가격을 비교할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51] 공급자는 실시간으로 가격을 조정하고 고객에게 더 높은 수준의 가격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환경에서는 온라인 생산자가 실제 매장 임대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격 압박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49] 따라서 인터넷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은 새로운 가격 전략을 수립하거나 기존 전략을 조정해야 한다.

3. 3. 유통 (Place)

Place영어는 소비자가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유통 결정에는 유통 채널, 시장 범위, 입지, 재고, 물류 등이 포함된다.[48][49][51]

인터넷의 발달로 유통은 인터넷과 물리적 채널이 가상화됨에 따라 소비 촉진에 있어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터넷은 기업에게 온라인 판매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더욱이, 한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는 편리성 때문에, 디지털 마케팅 관점에서 유통은 항상 프로모션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소매업체들이 종종 구글 검색 엔진과 같은 제3자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고객들이 자사 웹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온라인 쇼핑의 성장과 옴니채널 전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3. 4. 촉진 (Promotion)

Promotion영어은 소비자에게 제품을 알리고 구매를 유도하는 활동이다. 촉진에는 광고, 홍보, 인적 판매, 판매 촉진, 다이렉트 마케팅 등이 있다.[49] 한국에서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SNS 마케팅 등 새로운 형태의 촉진 전략이 활용되고 있다.

온라인 마케팅 캠페인을 만들 때,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52]

  • 검색 마케팅: 검색 엔진 최적화(SEO), 클릭당 지불(PPC) 포함
  • 온라인 PR: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줄이는 것
  • 온라인 파트너십: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제3자 웹사이트와의 관계 구축
  • 인터랙티브 광고
  • 옵트인 이메일 광고
  • 소셜 미디어 마케팅: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고객 간, 고객과 회사 간 상호 작용을 시작하고 참여하는 것


디지털 마케팅의 도구는 디스플레이 광고, 클릭당 지불(PPC), 검색 엔진 최적화(SEO), 인플루언서 등을 포함한 소셜 미디어에 광고와 콘텐츠를 게재하여 고객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9]

4.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믹스: 4C

로버트 F. 로터본(Robert F. Lauterborn)은 1990년에 4P를 소비자 중심으로 재해석한 4C 모델을 제시했다.[34] 4C는 대량 마케팅에서 틈새 시장 마케팅으로 전환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판매자 중심의 4P를 비판하고 소비자 관점에서 마케팅 믹스를 재정의한 것이다.[34]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는 이를 '마케팅 2.0'이라고 명명했다.

4P4C정의
제품소비자의 욕구와 필요기업은 소비자가 구체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것만 판매한다.
가격비용가격은 욕구나 필요를 충족시키는 총 비용의 일부일 뿐이다. 총 비용에는 재화나 서비스를 획득하는 데 드는 시간 비용, 양심적 비용, 죄책감 비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34]
장소편의성인터넷, 카탈로그, 신용카드, 전화의 시대에 소비자는 욕구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디든 갈 필요가 없으며, 몇몇 장소에만 국한되지도 않는다.
판촉커뮤니케이션판촉은 "조작적"이고 판매자로부터 나오는 반면, 커뮤니케이션은 "협력적"이고 구매자로부터 나온다.[34]



4C는 다음과 같다.[59]


  • 소비자(Consumer): 소비자의 욕구와 요구를 충족하는 상품 (필립 코틀러는 고객 솔루션(Customer solution)으로 명명).
  • 비용(Cost): 제품 구매, 사용, 처분에 이르는 전체 과정에서 소비자가 부담하는 총체적 비용.
  • 편의성(Convenience): 소비자가 제품을 얼마나 쉽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가.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소비자와의 양방향 소통.

4. 1. 소비자 (Consumer)

로버트 F. 로터본(Robert F. Lauterborn)은 1990년에 4P의 소비자 중심적인 버전인 4C 분류를 제안했다.[34] 이는 대량 마케팅에서 틈새 시장 마케팅으로의 전환에 더 잘 맞도록 시도한 것이다.[34]

4P4C정의
제품소비자의 욕구와 필요기업은 소비자가 구체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것만 판매한다. 따라서 마케터는 소비자의 욕구와 필요를 연구하여 그들이 구매하고자 하는 것을 통해 하나씩 유인해야 한다.[34][36]



4C는 다음과 같다.[59]


  • 소비자(Consumer): 소비자의 욕구와 요구를 충족하는 상품 (필립 코틀러는 고객 솔루션(Customer solution)으로 명명).

4. 2. 비용 (Cost)

가격은 욕구나 필요를 충족시키는 총 ''비용''의 일부일 뿐이다. 총 비용에는 예를 들어 재화나 서비스를 획득하는 데 드는 ''시간 비용'', 그것을 소비함으로써 발생하는 ''양심적 비용'', 또는 "아이들을 제대로 돌보지 않아서" 발생하는 ''죄책감 비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34] 이는 총소유비용(TCO)을 반영한다. 고객의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변경 또는 구현 비용, 그리고 경쟁업체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고객 비용 등 많은 요소가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37]

4. 3. 편리성 (Convenience)

인터넷,[36] 카탈로그, 신용카드, 전화의 시대에 소비자는 욕구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디든 갈 필요가 없으며, 몇몇 장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마케터는 목표 시장이 선호하는 구매 방식, 존재하는 방법, 어디에나 존재하는 방법을 알아야 ''구매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34][38] 인터넷과 하이브리드 구매 모델의 부상으로 장소는 점점 덜 중요해지고 있다. 편의성은 제품 구매의 용이성, 제품 찾기, 제품 정보 찾기 및 기타 여러 요소를 고려한다.

4. 4.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판촉은 판매자 중심의 "조작적"인 접근인 반면, 커뮤니케이션은 구매자와의 "협력적" 관계를 지향한다.[34] 이는 잠재 고객의 요구와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대화를 창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38] 커뮤니케이션은 광고, 홍보, 개인 판매, 바이럴 광고 등 조직과 소비자 간의 다양한 소통 방식을 포괄한다.

5. 공생 마케팅 믹스: 시미즈 고이치의 4C와 7Cs Compass Model



시미즈 고이치(清水公一)는 1972년 와세다 대학 석사 논문 작성 과정에서 공생 마케팅의 "4C"를 창안했고, 1979년에는 7Cs Compass Model로 발전시켰다. 코틀러는 소비자 지향이 아닌 기업과 소비자 양측의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중시하는 "마케팅 3.0", "H2H"를 주창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일본에서 제시된 "공생 4C"가 부합한다.[60][61][62]

4C는 상품(Commodity), 비용(Cost),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유통 채널(Channel)로 구성된다. 코모디티는 라틴어 "Commodus(함께 편리한, 함께 행복한)"에서 유래한 용어로, 단순한 일용품을 넘어 모든 상품을 포함하며,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만들어가는(Co-creation)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비용은 제품 가격뿐만 아니라 생산, 판매, 사용,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의 일방적인 판촉(Promotion) 활동을 넘어, 소비자와 양방향 소통을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통 채널은 단순한 판매 장소(Place)를 넘어,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유통 전략을 의미한다.

7Cs Compass Model은 동심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기업·단체(Corporation)와 C-O-S(Competitor-Organization-Stakeholder) 즉, 조직·경쟁사·이해관계자가 있고, 4C(Commodity, Cost, Communication, Channel)를 수행한다. 바깥쪽에는 소비자(Consumer) 고려 요건이 나침반 바늘(NSEW: Needs, Security, Education, Wants)로 표시되어 있다. 즉, 니즈, 보안(다른 마케팅 모델에는 없는), 소비자 교육, 원츠가 된다. 그 바깥쪽에는 외부 환경(Circumstances)의 나침반 바늘(NSEW: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al and Cultural, Economic, Weather)이 있다. 즉, 국가의 정치적·법적·윤리적 환경, 사회적·문화적 환경, 경제적 환경, 기상(기후변화와 자연재해 대책은 지속 가능한 문제이며, 이것을 포함한 마케팅 모델은 세계적으로 이것밖에 없다)이 된다.

이 모델의 특징은 4C의 "코모디티", 소비자에 대한 "보안", 외부 환경의 기상을 포함한 것이다. 7Cs Compass Model은 이상 기온과 SDGs에 대응하고 있다.[60][61][62]

5. 1. 공생 4C

'''Commodity(상품):'''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만들어가는(Co-creation)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단순한 제품(Product)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담고 있는 상품을 강조한다. 프로덕트 아웃이 아닌 "코모디티"는 라틴어 "Commodus(함께 편리한, 함께 행복한)"에서 유래한 용어로, 기업과 기업, 기업과 소비자,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고, 함께 편리하고 함께 행복한 인간의 가치로서의 공생 상품이나 서비스가 된다.[60][61][62]

'''Cost(비용):''' 제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생산, 판매, 사용,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가격보다 넓은 개념인 "비용"에는 가격뿐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포함된다.[60][61][62]

'''Communication(커뮤니케이션):''' 기업의 일방적인 판촉(Promotion) 활동을 넘어, 소비자와의 양방향 소통을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매 메시지인 프로모션보다 상호 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60][61][62]

'''Channel(유통 채널):''' 단순한 판매 장소(Place)를 넘어,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유통 전략을 의미한다. 장소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이 가능한 "유통 채널"이 좋다.[60][61][62]

5. 2. 7Cs Compass Model

시미즈 고이치(清水公一)는 1979년에 4C를 확장하여 7Cs COMPASS MODEL을 제시했다. 이 모델은 기업, 소비자, 외부 환경을 포괄하는 마케팅 모델이다.[60][61][62]

7Cs Compass Model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구분구성 요소설명
Corporation
(기업)
C-O-S조직(Organization), 경쟁사(Competitor), 이해관계자(Stakeholder)를 고려한다.
공생 4CCommodity, Cost, Communication, Channel4C와 동일하다.
Consumer
(소비자)
N-S-E-W니즈(Needs), 보안(Security), 소비자 교육(Education), 원츠(Wants)를 고려한다.
Circumstances
(외부 환경)
N-S-E-W국가 및 국제 환경(National and International), 사회 및 문화 환경(Social and Cultural), 경제 환경(Economic), 날씨(Weather)를 고려한다.



이 모델의 특징은 4C의 "코모디티", 소비자에 대한 "보안", 외부 환경의 기상(날씨)을 포함한 것이다. 7Cs Compass Model은 이상 기온과 SDGs에 대응하고 있다.[60][61][62]

6. 디지털 마케팅 믹스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마케팅 믹스 전략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제품 (Product): 인터넷의 상호 작용성 덕분에 제품은 유형과 무형이 결합된 "가상 제품"으로 재정의되었다.[50] 넷플릭스는 DVD 판매 및 대여 대신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 가격 (Price): 인터넷을 통해 소비자는 실시간으로 가격을 비교할 수 있게 되었고,[51] 기업은 가격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판매는 오프라인 매장 운영 비용을 줄여 가격 경쟁력을 높인다.[49]
  • 유통 (Place): 인터넷과 물리적 채널이 가상화되면서, 유통은 소비 촉진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48] 기업은 온라인 판매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51]
  • 촉진 (Promotion): 디지털 마케팅 도구는 검색 엔진 최적화(SEO), 클릭당 지불(PPC), 소셜 미디어 광고 등을 통해 고객 참여를 유도한다.[49] Chaffey와 Smith는 온라인 마케팅 캠페인을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다.[52]


종류설명
검색 마케팅검색 엔진 최적화(SEO), 클릭당 지불(PPC) 포함
온라인 PR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반응 유도 및 부정적 반응 감소
온라인 파트너십제3자 웹사이트와의 관계 구축
인터랙티브 광고
옵트인 이메일 광고
소셜 미디어 마케팅소셜 미디어를 통한 상호 작용 유도


6. 1. 디지털 환경에서의 제품 (Product)

인터넷의 상호 작용과 연결 덕분에 '''제품'''은 디지털 마케팅 측면에서 유형과 무형의 결합으로 간주되는 "가상 제품"으로 재정의되었다.[50] 디지털 형태를 통해 제품은 제조업체에서 고객에게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은 물리적 CD 형태로 음악을 구매하는 대신 MP3 형태로 음악을 구매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업이 인터넷 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 온라인 환경에서 제품을 다양화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은 인터넷에서 제품 요소를 적용하는 몇 가지 방법이다.[49]

  • 핵심 제품 수정: 이 경우 영화, 음악, 책 및 기타 출판물 등 디지털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는 제품을 특히 의미한다. '''넷플릭스(Netflix)'''를 예로 들 수 있다. 인터넷의 광범위한 사용은 소매점을 통한 DVD 판매 및 대여에서 온라인 비디오 판매 및 대여로 제품 형태를 변화시켰다.
  • 디지털 제품 제공: 인터넷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은 제품 범위를 넓혀야 한다. 예를 들어, 심리 상담은 화상 통화를 통해 온라인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 전체 제품 구축: '''아마존닷컴(Amazon.com)'''은 온라인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것 외에도 고객이 아마존에서 무료 배송 및 비디오를 즐길 수 있는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이라는 유료 구독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온라인 조사 실시: 인터넷은 마케팅 조사를 저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기업이 고객이 선호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6. 2. 디지털 환경에서의 가격 (Price)

가격은 기업의 가격 정책 또는 가격 모델에 대한 우려 사항을 다룬다. 인터넷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의 관점에서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다. 소비자 측면에서 인터넷을 통해 소비 결정을 내리기 전에 실시간 가격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51] 공급자는 실시간으로 가격을 조정하고 고객에게 더 높은 수준의 가격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인터넷은 온라인 생산자가 실제 매장 임대에 예산을 할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격에 대한 압력을 완화할 가능성이 더 높다.[49] 따라서 인터넷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에게는 새로운 가격 전략을 수립하거나 기존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6. 3. 디지털 환경에서의 유통 (Place)

인터넷의 발달로, '''장소'''는 인터넷과 물리적 채널이 가상화됨에 따라 소비 촉진에 있어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48] 인터넷은 온라인 판매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업이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51] 더욱이, 한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로 쉽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마케팅 관점에서 '''장소'''는 항상 '''홍보'''와 연결되며, 이는 소매업체들이 종종 구글 검색 엔진과 같은 제3자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고객들이 자사 웹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49]

6. 4. 디지털 환경에서의 촉진 (Promotion)

디지털 마케팅 도구는 디스플레이 광고, 클릭당 지불(PPC), 검색 엔진 최적화(SEO), 인플루언서 등을 포함한 소셜 미디어에 광고와 콘텐츠를 게재하여 고객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9] Chaffey와 Smith는 온라인 마케팅 캠페인을 만들 때, 이를 여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2]

종류설명
검색 마케팅검색 엔진 최적화(SEO), 클릭당 지불(PPC) 포함
온라인 PR자사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줄이는 것
온라인 파트너십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제3자 웹사이트와의 관계 구축
인터랙티브 광고
옵트인 이메일 광고
소셜 미디어 마케팅소셜 미디어를 통해 고객 간, 고객과 회사 간 상호 작용을 시작하고 참여하는 것


참조

[1] 서적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Irwin
[2] 서적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 Hall
[3] 논문 From Marketing Mix to Relationship Marketing: Towards a Paradigm Shift in Marketing https://www.emerald.[...] 1994-03-01
[4] 논문 Market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 Structures for Service Firms
[5] 서적 Marketing Management Pearson Education
[6] 서적 Business for Higher Awards Heinemann
[7] 논문 What Drives Managerial Use of Marketing and Financial Metrics and Does Metric Use Affect Performance of Marketing-Mix Activities? 2013
[8] 서적 Marketing: Essential Principles, New Realities https://books.google[...] Kogan Page Publishers 2004
[9]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the Functional Approach to Marketing: A Paradigm Displacement Perspective Emerald
[10] 논문 The marketing mix: A Canadian perspective
[11] 연구보고서 The Management of Marketing Costs Harvard University
[12] 논문 The Concept of the Marketing Mix Routledge
[13] 논문 From Marketing Mix to E-Marketing Mix: A Literature Review https://web.archive.[...] 2009
[14] 논문 The 4P Classification of the Marketing Mix Revisited
[15] 서적 Determination of a Marketing Mix https://doi.org/10.1[...] Macmillan Education UK 1987
[16] 서적 Marketing Management https://archive.org/[...] 1963
[17] 서적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Irwin
[18] 논문 The evolution of the marketing concepts: theoretically different roads leading to practically same destination https://www.research[...] 2012
[19] 논문 The Marketing Mix Revisited: Towards the 21st Century Marketing http://intranet.fuca[...]
[20] 논문 Tracking the evolution of the services marketing literature https://linkinghub.e[...] 1993
[21] 간행물 Market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for Service Firm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2] 간행물 The Evolution of the Services Marketing Mix and its Relationship to Service Quality
[23] 논문 The Evaluation of Marketing Mix Elements: A Case Study http://ijsses.tiu.ed[...] 2018
[24] 서적 Marketing: Origins, Concepts, Environment Thomson Learning
[25] 서적 Marketing, The Core McGraw-Hill
[26] 서적 Key Concepts in Marketing SAGE Publications Ltd
[27] 논문 A new higher education marketing mix: the 7Ps for MBA marketing 2008-05-16
[28] 서적 Services Marketing: Concepts, Strategies and Cases Cengage
[29] 서적 Services Marketing: Integrating Customer Focus Across the Firm McGraw-Hill
[30] 논문 Designing Services that Deliver
[31] 논문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32] 웹사이트 The 4 C's versus the 4 P's of Marketing http://www.customfit[...] 2002-10-19
[33] 논문 Using the 7Ps as a generic marketing mix: an exploratory survey of UK and European marketing academics 2016-03-31
[34] 논문 New Marketing Litany: Four Ps Passé: C-Words Take Over
[35] 서적 Marketing and Management Pearson Prentice Hall
[36] 웹사이트 The 4 C's versus the 4 P's of marketing http://www.customfit[...] Custom Fit Online 2002-10-19
[37] 웹사이트 Marketing http://www.courtest.[...]
[38] 서적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https://archive.org/[...] NTC Business Books 1993
[39] 서적 A Degree in a Book: Marketing: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Master the Subject - in One Book! Arcturus Publishing Limited 2022-03-01
[40] 간행물 Positioning of advertising, CI, etc. in Co-marketing Nikkei Advertising Research Institute 1981-09
[41] 서적 Advertising Theory and Strategies Souseisha Book Company 1989
[42] 서적 Advertising Theory and Strategies Souseisha Book Company 2019
[43] 서적 Co-marketing (Symbiotic Marketing) Strategis Souseisha Book Company 2016
[44] 서적 7Cs Compass Model of Co-marketing in the Sustainable era Gogensha Book Company 2022
[45] 서적 Engage!: The Complete Guide for Brands and Businesses to Build, Cultivate, and Measure Success in the New Web John Wiley & Sons, Inc. 2011
[46] 서적 Strategic Social Marketing SAGE Publications Inc. 2015
[47] 서적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Richard D. Irwin, Inc. 1975
[48] 논문 From Marketing Mix to E-Marketing Mix: A Literature Review 2009
[49] 서적 Digital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of and practice Pearson Education 2012
[50] 서적 Marketing, Innovazione e Tecnologie Digitali. Una lettura in ottica sistemica Cedam 2004
[51] 논문 An analysis of the virtual value chain in electronic commerce 2001
[52] 서적 Emarketing Excellence, Planning and optimising your digital marketing Butterworth-Heinemann 2008
[53] 웹사이트 Rules of the road when taking your business for a spin on the infobahn https://www.bizcommu[...] 2022-07-03
[54] 서적 Advertising Management--Text and Cases Richard D. Irwin, Inc. 1959
[55] 웹사이트 The Concept of the Marketing Mix 2013-04-24
[56] 신문기사 私の履歴書 日本経済新聞 2013
[57] 서적 Basic Marketing Richard D. Irwin, Inc. 1960
[58] 서적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 Hall 2013
[59] 서적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NTC Business Books 1993
[60] 서적 サステナブル時代のコ・マーケティング 7Cコンパスモデル 五絃舎 2022-06-13
[61] 서적 「共生マーケティング戦略論」第5版 創成社 2016
[62] 서적 Engage!: The Complete Guide for Brands and Businesses to Build, Cultivate, and Measure Success in the New Web John Wiley & Sons, Inc.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