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은 해안선의 만입으로,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르면 입구 너비에 비해 깊이가 깊고 입구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보다 넓은 수역을 의미한다. 만은 판게아 초대륙의 분열, 강과 빙하의 침식 작용, 해수면 상승, 화산 활동, 플레이트 테크토닉스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만의 종류는 개방형, 폐쇄형, 반폐쇄형, 배후 장벽형으로 나뉘며, 세계적으로 기니만, 멕시코만, 벵골만 등 다양한 만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안지리학 - 암초
암초는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를 의미하며, 기원, 지리적 위치, 수심 등에 따라 분류되고, 해양법상 영해 등의 권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해안지리학 - 갯벌
갯벌은 조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평탄한 지형으로, 생물 다양성 유지, 오염 물질 정화, 해안 침식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감소하여 보존 및 복원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 수역 - 피오르
피오르는 빙하 침식으로 만들어진 U자형 계곡에 바닷물이 들어찬 지형으로, 입구의 문턱, 깊은 수심, 급경사 절벽이 특징이며 고위도 지역에 분포, 독특한 생태계와 경관, 수산 자원으로 활용된다. - 수역 - 홍수
홍수는 과도한 강수량, 눈 녹음, 폭풍 해일, 쓰나미 등으로 발생하는 범람 현상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 환경 파괴를 일으키며, 기후변화로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제방 건설,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등 예방 대책과 취약 계층 지원이 필요하지만, 토양 비옥도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만 | |
|---|---|
| 지도 | |
| 정의 | |
| 설명 | 바다나 호수와 연결된 움푹 들어간 연안 수역 | 
| 특징 | |
| 지형 | 해안선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를 보임. | 
| 해수 | 해수면과 연결되어 해수 유입이 있음. | 
| 형성 과정 |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으로 형성됨 (예: 침식, 융기, 빙하 작용). | 
| 종류 | |
| 만 (Bay) | 일반적인 해안 만입부. | 
| 피오르드 (Fjord) | 빙하 작용으로 형성된 좁고 긴 만. | 
| 미나스 (Minas) | 좁은 입구와 넓은 내부를 가진 만. | 
| 사운드 (Sound) | 길고 좁은 형태의 만 또는 해협. | 
| 활용 | |
| 고대 | 초기 정착지 선택의 우선순위가 높은 곳. 풍부한 해양 자원 확보 용이.  | 
| 기타 | |
| 관련 용어 | 만입 (embayment) 리아스식 해안 (Rias coast) 석호 (Lagoon) 해협 (Strait)  | 
2. 정의
유엔 국제법위원회가 1956년 제8회기에 채택한 해양법초안은 만을 "만의 입구에 그어진 선을 직경으로 하는 반원의 구역 이상"의 크기로 규정했다. 그러나 이 기준에 맞지 않아도 오랫동안 역사적으로 만으로 인정받은 '역사적 만'은 예외로 인정했다. 소련이 표트르 대제 만을 내해라고 주장한 근거가 바로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다.[19]
유엔 해양법 협약은 만을 해안선의 잘 표시된 만입으로서, 그 깊이가 입구 너비에 비례하여 육지로 둘러싸인 수역을 포함하고 해안의 단순한 곡선 이상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단, 만입은 그 면적이 입구를 가로지르는 선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면적과 같거나 커야 만으로 간주된다.[7]
2. 1. 역사적 만
유엔 해양법협약(국제연합 해양법협약) 제10조 규정에 따르면, "만"이란 만 입구의 너비에 비해 깊이가 충분히 깊고, 만 입구에 그은 직선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면적보다 만 안쪽 수역이 넓은 것을 말한다(2항). 또한 만이 단일 국가에 속하고 만 입구 너비가 24해리 이내일 경우, 그 만 안쪽을 내수로 취급하고, 만 입구에 그은 직선을 영해의 기선으로 할 수도 있다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4항).[19]다만, 이 규정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예로부터 단일 국가가 주권을 행사해 온 만을 "역사적 만"으로 하여 내수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것도 규정되어 있다(6항). 그러나 이 예외 규정을 둘러싸고는 리비아의 시르테만, 러시아의 페트르 대제 만 등, 역사적 만인지 여부를 놓고 주장이 대립하여 국제 분쟁의 불씨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19]
이 “깊이가 충분하고, 반원보다 넓다”라는 정의는 국제 조약상에서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지만, 역시 정의를 충족하지 않더라도 토사만, 와카사만처럼 예로부터 만으로 인정되어 온 것도 있다. 또한 사로마호처럼 실질적으로 만과 다를 바 없어도 “호수”로 불리는 수역도 있다.[19]
3. 형성과정
만은 판구조론적 작용, 침식 작용, 해수면 상승, 화산 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된다.[18][9][13]
3. 1. 판구조론적 작용
가장 큰 만들은 판구조론적 작용을 통해 형성되었다.[18] 판게아 초대륙이 조각나 대륙이 서로 떨어지면서 기니만, 멕시코만, 벵골만 등 세계에서 가장 큰 만들이 생겨났다.[18]3. 2. 침식 작용
만은 강과 빙하가 해안을 침식하여 생겨나기도 한다.[18] 빙하가 형성한 만은 피오르라고 부른다. 리아스식 해안은 강에 의해 형성되며 경사가 좀 더 완만한 것이 특징이다. 부드러운 바위는 빠르게 침식되어 만을 형성하는 반면, 단단한 바위는 천천히 침식되어 곶을 남긴다.3. 3. 기타 요인
만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가장 큰 만들은 판구조론적 작용을 통해 형성되었다.[18] 판게아 초대륙이 조각나 대륙이 서로 떨어지면서 기니만, 멕시코만, 벵골만 등 세계에서 가장 큰 만들이 생겨났다.[18]만은 강과 빙하가 해안을 침식하여 생겨나기도 한다.[18] 빙하가 형성한 만은 피오르라고 부른다. 리아스식 해안은 강에 의해 형성되며 경사가 좀 더 완만한 것이 특징이다. 부드러운 바위는 빠르게 침식되어 만을 형성하는 반면, 단단한 바위는 천천히 침식되어 곶을 남긴다.
일본의 대표적인 만들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생성되었다.[13]
| 원인 | 예시 | 
|---|---|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이전에는 육지였던 곳이 침수 | 도쿄만, 오사카만 등 | 
| 화산 활동으로 화구나 칼데라였던 곳이 침수 | 가고시마만 | 
| 판구조론으로 설명되는 지하 심부의 움직임 | 도야마만, 사가미만, 스루가만 등 | 
4. 만의 종류

5. 주요 만
| 북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오세아니아 | 기타 | 
|---|---|---|---|---|
5. 1. 한국
5. 2. 세계
| 북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오세아니아 | 기타 | 
|---|---|---|---|---|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BAY
 
https://www.merriam-[...] 
2017-03-21
 
[2] 
웹사이트
 
bay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Inc.
 
2017-03-21
 
[3] 
뉴스
 
What is a Fjord, and how is it formed
 
https://web.archive.[...] 
2016-05-08
 
[4] 
웹사이트
 
Chesapeake Bay, Maryland
 
http://msa.maryland.[...] 
Maryland State Archives
 
2016-11-28
 
[5] 
서적
 
Encyclopedia of Coastal Science
 
[6] 
논문
 
Marine-Resource Value and the Priority of Coastal Settlement: A California Perspective
 
https://www.cambridg[...] 
1991-07
 
[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ttps://www.un.org/d[...] 
[8] 
웹사이트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level impact to back-barrier bays
 
https://www.usgs.gov[...] 
2023-08-09
 
[9] 
서적
 
The Family Encyclopedia of Natural History
 
The Hamlyn Publishing Group
 
[10] 
서적
 
陸水の事典
 
講談社
 
2006-03-31
 
[11] 
논문
 
海峡地形の呼称について その呼称起源と妥当性の問題
 
https://doi.org/10.1[...] 
日本地図学会
 
1963
 
[12] 
논문
 
東京湾北部海上巡検用図
 
https://doi.org/10.1[...] 
日本地図学会
 
1995
 
[13] 
서적
 
深海底の科学
 
日本放送出版協会
 
1997-11-25
 
[14] 
웹인용
 
Definition of BAY
 
https://www.merriam-[...] 
[15] 
웹인용
 
bay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Inc.
 
[16] 
서적
 
Madhubun ICSE Geography
 
[17] 
웹인용
 
Chesapeake Bay, Maryland
 
http://msa.maryland.[...] 
Maryland State Archives
 
2016-11-28
 
[18] 
서적
 
The Family Encyclopedia of Natural History
 
The Hamlyn Publishing Group
 
[19] 
문서
 
역사적 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