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가미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미만(相模灘)은 이즈 반도, 이즈오시마, 미우라 반도에 둘러싸인 해역으로, 일본 내해로 간주된다. 최대 수심 1,500m에 달하며, 사가미 해구와 같은 해저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온난한 기후와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1923년 간토 대지진의 진원지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쓰나미와 태풍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관광, 레저, 어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토 지방의 만 - 도쿄만
도쿄만은 혼슈 간토 지방에 위치하며 보소 반도와 미우라 반도에 둘러싸인 만으로, 간척 사업으로 해안선과 지형이 변화했고 수도권의 주요 항만 시설과 물류 중심지 역할을 하지만 수질 오염과 갯벌 감소 같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가나가와현의 지형 - 간토평야
간토 평야는 일본 혼슈 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현과 도에 걸쳐 있는 넓은 평야로, 온대 기후에서 벼농사, 밭농사, 축산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고 공업 시설과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 가나가와현의 지형 - 사가미 해곡
사가미 해곡은 사가미만에서 보소반도 남동쪽 해역에 걸쳐 있는 해곡으로, 지각 변동과 판 경계 단층의 관점에서 사가미 섭입대에 해당하며, 사가미 메가스러스트는 간토 대지진과 같은 거대 지진의 원인이 되는 필리핀해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사가미만 | |
---|---|
위치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사가미만 |
로마자 표기 | Sagami-wan |
별칭 | 사가미 해, 사가미 만 |
속한 곳 | 태평양 |
접한 국가 | 일본 |
지리 | |
면적 | 약 40km |
주요 도시 | 미우라시 요코스카시 하야마초 즈시시 가마쿠라시 후지사와시 치가사키시 히라츠카시 오이소초 니노미야초 오다와라시 마나즈루초 유가와라초 |
주요 해안 도시 | 미우라 아타미시 이토시 시모다시 |
주요 반도 | 미우라 반도 |
주요 곶 | 조가시마 마나즈루 곶 |
2. 지리
이즈반도의 이시로자키, 이즈오시마, 미우라반도의 켄자키에 둘러싸인 '''사가미나다'''(相模灘)에 있으며[5], 그중 마나즈루미사키에서 미우라반도의 시로가시마 이북에 걸친 해역이 사가미만이다.[6] 다만, 이시로자키, 이즈오시마, 보소반도의 노지마자키에 둘러싸인 해역을 사가미만으로 간주하기도 한다.[7]
보소반도 노지마자키 - 이즈오시마 남동단 - 이즈반도 앞바다 카미고토시마 - 오마에자키 사이에 일본의 영해기선이 설정되어 있다.[8] 이보다 북쪽에 있는 사가미만·사가미나다는 국제해양법상 일본의 내수(內海)로 간주된다.
동부는 미우라반도의 구릉이 바다에 밀착한 리아스식 해안이다. 암석해안 및 평석 지형으로, 소하천의 하구 부근에 단속적으로 소규모의 사구를 볼 수 있다. 중부에는 현 사가미가와 또는 그 옛 물길 등에 의해 형성된 사빈해안이 펼쳐진다. 오이소정과 니노미야정에는 해안단구의 자갈 해변이 보인다. 서부는 사카와가와 등에 의해 형성된 사빈해안이다. 하코네산 산기슭에 해당하는 부분은 용암이 직접 바다에 이르렀기 때문에, 암석 또는 조약돌·사력으로 구성된다. 만 안에는 일급하천인 사가미가와와 17개의 이급하천, 14개의 준용하천이 흘러든다.
==== 해저 지형 ====
쿠로시오 해류가 통과하는 사가미만은 최대 깊이가 1,500m에 이른다. 만 중앙에는 수심 1,000m를 넘는 사가미 해구라는 큰 해저 협곡이 있다.[9][10] 해구 사면에는 사가미 해저구릉, 미우라 해저구릉 등의 해저구릉군이 있다.[9] 연안에는 오이소 해저대지 등이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해구에서 육지 쪽으로 많은 작은 해저 협곡이 뻗어 있다.
오다와라시 서쪽 부분에서는 해안에서 급경사로 깊어지며, 앞바다 0.5~1km에서 수심 100m에 달한다. 오이소 해저대지 동쪽은 융기 해안 단구 지형이며, 단구는 육지까지 이어진다. 수심 100m 지점은 앞바다 약 2~3km 지점에 있다. 사가미강 남쪽 연장선상에는 히라츠카 해저 협곡이 있으며, 협곡 어깨 부분은 앞바다 약 2km에서 수심 100m에 달한다. 동쪽의 하야마 해저 협곡까지의 사이에서 수심 100m 지점은 앞바다 약 7~8km에 있으며, 완만한 경사 지형이다. 미우라반도 부분에서는 앞바다 약 4~5km에서 수심 100m에 달한다.
사가미 해구는 북아메리카 판과 필리핀 해 판이 충돌하는 곳이다. 겐로쿠 관동 지진, 다이쇼 관동 지진의 진원도 바로 이곳이다. 최심부 수심은 약 1,600m로 스루가 만의 스루가 해구(최심부: 약 2,500m)와 함께 일본 연안에서 가장 깊은 해구 중 하나이다(사가미 해구 최심부는 사가미만에서 벗어난 부분에 있다).
==== 해안 지형 ====
사가미만 연안은 다양한 해안 지형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동부에는 리아스식 해안이, 중부에는 사빈 해안이, 서부에는 암석 해안이 발달해 있다.
가마쿠라시의 아카바네자키에는 바위문, 해식애, 파식대가 발달해 있다. 즈시시, 하야마정, 요코스카시 사지마 연안에는 다도해가 펼쳐져 있다. 에노시마에는 해성단구와 육계사주가 발달했고, 이와야에는 해식동이 있다. 쇼난 지역은 모래 해안으로 유명하다. 마나즈루미사키(真鶴岬일본어, 마나즈루반도라고도 함)도 주요 해안 경관 중 하나이다.
2. 1. 해저 지형
쿠로시오 해류가 통과하는 사가미만은 최대 깊이가 1,500m에 이른다. 만 중앙에는 수심 1,000m를 넘는 사가미 해구라는 큰 해저 협곡이 있다.[9][10] 해구 사면에는 사가미 해저구릉, 미우라 해저구릉 등의 해저구릉군이 있다.[9] 연안에는 오이소 해저대지 등이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해구에서 육지 쪽으로 많은 작은 해저 협곡이 뻗어 있다.오다와라시 서쪽 부분에서는 해안에서 급경사로 깊어지며, 앞바다 0.5~1km에서 수심 100m에 달한다. 오이소 해저대지 동쪽은 융기 해안 단구 지형이며, 단구는 육지까지 이어진다. 수심 100m 지점은 앞바다 약 2~3km 지점에 있다. 사가미강 남쪽 연장선상에는 히라츠카 해저 협곡이 있으며, 협곡 어깨 부분은 앞바다 약 2km에서 수심 100m에 달한다. 동쪽의 하야마 해저 협곡까지의 사이에서 수심 100m 지점은 앞바다 약 7~8km에 있으며, 완만한 경사 지형이다. 미우라반도 부분에서는 앞바다 약 4~5km에서 수심 100m에 달한다.
사가미 해구는 북아메리카 판과 필리핀 해 판이 충돌하는 곳이다. 겐로쿠 관동 지진, 다이쇼 관동 지진의 진원도 바로 이곳이다. 최심부 수심은 약 1,600m로 스루가 만의 스루가 해구(최심부: 약 2,500m)와 함께 일본 연안에서 가장 깊은 해구 중 하나이다(사가미 해구 최심부는 사가미만에서 벗어난 부분에 있다).
2. 2. 해안 지형
사가미만 연안은 다양한 해안 지형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동부에는 리아스식 해안이, 중부에는 사빈 해안이, 서부에는 암석 해안이 발달해 있다.가마쿠라시의 아카바네자키에는 바위문, 해식애, 파식대가 발달해 있다. 즈시시, 하야마정, 요코스카시 사지마 연안에는 다도해가 펼쳐져 있다. 에노시마에는 해성단구와 육계사주가 발달했고, 이와야에는 해식동이 있다. 쇼난 지역은 모래 해안으로 유명하다. 마나즈루미사키(真鶴岬일본어, 마나즈루반도라고도 함)도 주요 해안 경관 중 하나이다.
3. 역사
1923년에 사가미만의 이즈오 섬 밑을 진앙지로 하는 간토 대지진이 발생했다.[1] 이 지진으로 도쿄를 포함해 항구도시인 요코하마 및 지바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등 간토 지방 전역이 피해를 입었다.[1] 만 북쪽은 수심이 얕아서 쓰나미와 태풍 에너지 집중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쇼난 해안은 1498년 거대한 쓰나미로 고토쿠인의 대불이 파괴된 것을 포함해 여러 번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2]
3. 1. 고대-중세
1923년에 사가미 만의 이즈오 섬 밑을 진앙지로 하는 간토 대지진이 발생했다. 도쿄를 포함해 항구도시인 요코하마 및 지바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등 간토 지방 전역이 피해를 입었다. 만 북쪽은 수심이 얕아서 쓰나미와 태풍 에너지가 집중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쇼난 해안은 여러번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1498년 거대한 쓰나미로 고토쿠인의 대불이 파괴된 것이 그 예이다.3. 2. 근대-현대
1923년에 사가미 만의 이즈오 섬 밑을 진앙지로 하는 간토 대지진이 발생했다.[1] 이 지진으로 도쿄를 포함해 항구도시인 요코하마 및 지바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등 간토 지방 전역이 피해를 입었다.[1] 만 북쪽은 수심이 얕아서 쓰나미와 태풍 에너지 집중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쇼난 해안은 1498년 거대한 쓰나미로 고토쿠인의 대불이 파괴된 것을 포함해 여러 번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2]4. 자연 환경
쿠로시오 해류가 통과해 만 주변은 온화한 기후를 띤다. 만의 최대 깊이는 1,500m에 이른다.
난류인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사가미 만을 따뜻하게 데우기 때문에, 더 남쪽 지역의 해양 생물이 서식하고, 만 주변 육지에는 온화한 기후가 나타난다.[3] 오야시오 해류의 유입으로 아한대 지역의 생물이 유입되어 매우 높은 생물 다양성을 보인다.[3] 히키지 강, 사가미 강 및 사카이 강이 이 만으로 흘러든다.
2004년, 사가미 만의 토양 샘플에서 1946년부터 1958년까지 진행된 비키니 환초의 핵실험으로 인한 방사능 오염이 발견되었다.[4]
도쿄 대학 (ORI)과 일본 해양-지구과학기술기구 (JAMSTEC)의 연구 프로그램 주요 연구 지역이다.
4. 1. 기후와 조류
쿠로시오 해류가 통과해 만 주변은 온화한 기후를 띤다. 난류인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사가미 만을 따뜻하게 데우기 때문에, 더 남쪽 지역의 해양 생물이 서식하고, 만 주변 육지에는 온화한 기후가 나타난다.[3] 오야시오 해류의 유입으로 아한대 지역의 생물이 유입되어 매우 높은 생물 다양성을 보인다.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은 해양성 기후이다. 여름에는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불고, 겨울에는 공기가 건조하여 맑은 날이 계속된다.
조류는 밀물 때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썰물 때는 시계 방향으로 흐르며, 최강 유속은 사가미만 동쪽에서 1노트(약 0.51m/s) 정도이다. 그러나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이 강해지면 이는 변한다.
4. 2. 생물상
쿠로시오 해류와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사가미만은 매우 높은 생물 다양성을 보인다.[3] 특히 쿠로시오 해류는 만을 따뜻하게 만들어 남쪽 해양 생물이 서식하게 하고, 오야시오 해류는 아한대 지역 생물을 유입시킨다.[15]

갯고둥류인 갯고둥이 분포하며, 마나즈루정에는 북방 한계선 근처에 분포하는 돌 산호류가, 사가미가와 하구와 미우라반도의 사질 갯벌에는 붉은발게도 볼 수 있다. 칸논자키자연박물관과 쓰쿠바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열대·아열대 해양 생물이 많이 나타나 지구온난화로 인해 사가미만이 서식 해역의 북방·동방 한계선에 들어왔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6]
고래상어, 악마가오리, 톱상어,[29] 대왕귀상어, 귀상어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바다거북도 일본에 분포하는 5종 중 4종(붉은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장수거북)이 확인되며, 이들은 모두 멸종위기종이다.[17]
고래류도 많이 보이며, 향유고래,[18] 긴수염고래류,[19] 낫돌고래류, 참돌고래, 큰돌고래, 좁은부리돌고래, 혹등돌고래 등이 자주 관찰된다. 혹등고래과도 좌초(스트랜딩)가 다수 보고된다.[20][21] 그러나 고래와 선박의 충돌 문제가 존재하며, 도카이기선 등은 항해 시 경계하고 있다.[19][21]
에도 시대 이후, 미우라반도에서는 일본물개 사냥[31]과 구식 포경이 이루어졌으나, 남획으로 20년 만에 포획 수가 격감했다.[26] 시즈오카현 이토시 후토에서는 돌고래잡이가 행해졌으나, 포획 수 감소로 현재는 산발적으로만 이루어진다.[27]
수염고래류[28], 톱상어[29][30] 등은 현재 보기 드물며, 일본물개는 멸종되었다.[31] 돌고래잡이 대상이었던 줄무늬돌고래는 목격이 크게 감소했고, 얼룩돌고래는 1990년대 이후 확인되지 않고 있다.[20]
4. 2. 1. 연구사
쿠로시오 해류가 통과해 만 주변은 온화한 기후를 띤다. 만의 최대 깊이는 1,500m에 이른다.메이지 시대 초 일본에 온 외국인 고용 전문가 연구자들은 사가미만에서 도쿄에 비교적 가까운 해양 생물 채집에 적합한 장소를 발견했다. 프란츠 힐겐돌프(Franz Hilgendorf)는 1877년 에노시마에서 "살아있는 화석" 오키나에비스를 발견하여 이 해역에 주목하고, 호스가이, 우미호타루 등을 채집했다. 같은 해 에드워드 S. 모스(Edward S. Morse)는 한 달 동안이었지만 자칭 "태평양 지역 최초의 동물 연구소"(에노시마 림카이 실험소)를 설립했다.[32]
1789년에는 루트비히 데델라인(Ludwig Dederlein)이 심해를 겨냥한 채집을 반복하여 트리노아시 등을 채집했다.[35] 데델라인은 일본 최초의 동물학 실험소 후보지로 미사키를 추천했고, 이를 받아들여 1886년 미우라 반도의 사가미만 연안 미사키에 제국대학 림카이 실험소가 설립되었다.[34] 이것이 후의 도쿄대학 대학원 이학계 연구과 부속 림카이 실험소, 즉 미사키 림카이 실험소이다.
20세기에는 쇼와 천황이 하야마정의 하야마 고요테이 부근에서 사가미만의 해양 생물을 채집하여 도쿄 황궁의 생물학 고연구소에서 연구했다.[35]
5. 이용
에도 시대부터 명소와 유적, 경승지가 많고 온화한 기후와 풍부한 해산물 덕분에 해안 지역은 관광지로 번영하였다. 메이지 시대부터는 별장지, 피서지, 레크리에이션 장소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쇼난 해안을 끼고 있으며, 낚시, 서핑, 윈드서핑 등 여러 해양 스포츠가 활발하다.
항만으로는 하야마 항, 쇼난 항, 오이소 항, 마나즈루 항 등의 지방 항만과 15개의 제1종 어항, 4개의 제2종 어항, 2개의 제3종 어항(미사키 어항은 특정 제3종)이 있다. 특정 중요 항만, 중요 항만은 없다.
5. 1. 관광 및 레저
에도 시대부터 관광지로 번영하였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별장지, 피서지, 레크리에이션 장소로도 이용되고 있다. 쇼난 해안을 끼고 있어 낚시, 서핑, 윈드서핑 등 다양한 해양 스포츠가 활발하다.5. 2. 항만 및 어업
사가미만 연안은 에도 시대부터 관광지로 번영하였으며, 메이지 시대부터는 별장지, 피서지, 레크리에이션 장소로도 이용되고 있다. 쇼난 해안을 끼고 있어 낚시, 서핑, 윈드서핑 등 다양한 해양 스포츠가 활발하다.항만으로는 하야마 항, 쇼난 항, 오이소 항, 마나즈루 항 등의 지방 항만이 있다. 15개의 제1종 어항, 4개의 제2종 어항, 2개의 제3종 어항(미사키 어항은 특정 제3종)이 있으나, 특정 중요 항만, 중요 항만은 없다.
6. 재해
1923년에 사가미만의 이즈오 섬 밑을 진앙지로 하는 간토 대지진이 발생했다. 도쿄를 포함해 항구도시인 요코하마 및 지바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등 간토 지방 전역이 피해를 입었다. 만 북쪽은 수심이 얕아서 쓰나미와 태풍 에너지의 집중 효과가 있기 때문에 쇼난 해안은 1498년 거대한 쓰나미로 고토쿠인의 대불이 파괴된 것을 포함해 여러번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상모만(相模湾)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에 의한 쓰나미 피해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반복되었으며, 오래된 기록으로는 가마쿠라 시대의 배전(拜殿) 유실이나 무로마치 시대의 가마쿠라 대불전(殿)의 쓰나미 피해가 문서에 남아 있다.
다이쇼 간토 지진 당시에는 평균 6m, 최대 9m의 쓰나미 흔적이 남았으며, 연안 지반이 융기하여, 니노미야(二宮)에서 2m, 미우라 반도(三浦半島)에서 1.4m, 오다와라에서 1.2m의 융기가 확인되었다.
또한, 태풍에 의한 높은 파도로 인해 연안 피해와 해안 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2007년 태풍 제9호와 2017년 태풍 제21호의 영향으로 해안 지반이 깎여 나가 니시쇼 바이패스와 국도 135호가 옹벽 붕괴 및 도로 함몰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피해는 그 지역에 나타나는 모래사장 감소도 한 원인이라는 견해도 있다.
6. 1. 지진 및 쓰나미
1923년에 사가미 만의 이즈오 섬 밑을 진앙지로 하는 간토 대지진이 발생했다. 도쿄를 포함해 항구도시인 요코하마 및 지바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등 간토 지방 전역이 피해를 입었다.[1] 만 북쪽은 수심이 얕아서 쓰나미와 태풍 에너지의 집중 효과가 있기 때문에 쇼난 해안은 1498년 거대한 쓰나미로 고토쿠인의 대불이 파괴된 것을 포함해 여러번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2]상모만(相模湾)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에 의한 쓰나미 피해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반복되었으며, 오래된 기록으로는 가마쿠라 시대의 배전(拜殿) 유실이나 무로마치 시대의 가마쿠라 대불전(殿)의 쓰나미 피해가 문서에 남아 있다.
다이쇼 간토 지진 당시에는 평균 6m, 최대 9m의 쓰나미 흔적이 남았으며, 연안 지반이 융기하여, 니노미야(二宮)에서 2m, 미우라 반도(三浦半島)에서 1.4m, 오다와라에서 1.2m의 융기가 확인되었다.
또한, 태풍에 의한 높은 파도로 인해 연안 피해와 해안 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2007년 태풍 제9호와 2017년 태풍 제21호의 영향으로 해안 지반이 깎여 나가 니시쇼 바이패스와 국도 135호가 옹벽 붕괴 및 도로 함몰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피해는 그 지역에 나타나는 모래사장 감소도 한 원인이라는 견해도 있다.
6. 2. 태풍 및 해안 침식
사가미만은 쓰나미와 태풍 에너지 집중으로 인해 해안 지역에 반복적인 피해를 입어왔다. 1498년 거대한 쓰나미로 고토쿠인의 대불이 파괴된 것을 포함하여, 가마쿠라 시대의 배전 유실, 무로마치 시대의 가마쿠라 대불전 피해 등이 기록되어 있다.1923년 간토 대지진 당시에는 평균 6m, 최대 9m의 쓰나미가 발생했으며, 연안 지반 융기가 관측되었다. 니노미야(二宮)에서 2m, 미우라 반도(三浦半島)에서 1.4m, 오다와라(小田原)에서 1.2m의 융기가 확인되었다.
최근에는 2007년 태풍 제9호와 2017년 태풍 제21호의 영향으로 니시쇼 바이패스(西湘バイパス)와 국도 135호에 옹벽 붕괴 및 도로 함몰 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피해의 원인 중 하나로 모래사장 감소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7. 보전
사가미 만 일대의 사빈에서는 사빈 감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모래 공급원인 사가미 강(相模川)과 사카와 강(酒匂川)의 다목적 댐 건설, 태풍, 호안 공사, 하구 부근의 변화, 항만 공사 등에 따른 모래의 퇴적·유출 변화가 그 원인으로 여겨진다. 각 해안에서는 블록, 인공 리프 등을 이용한 파랑 감쇄를 통해 양빈이 시도되고 있다.
8. 인접 자치 단체
미우라시, 요코스카시, 하야마정, 즈시시, 가마쿠라시, 후지사와시, 치가사키시, 히라츠카시, 오이소정, 니노미야정, 오다와라시, 마나즈루정, 유가와라정이 가나가와현 남부에 위치하며 사가미만에 접해있다.
참조
[1]
서적
Yokohama Burning: the Deadly 1923 Earthquake and Fire that Helped Forge the Path to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Free Press
2006
[2]
서적
An English Guide to Kamakura's Temples and Shrines
緑風出版
2008
[3]
학술지
Biodiversity in midwater cnidarians and ctenophores: submersible-based results from deep-water bays in the Japan Sea and north-western Pacific
http://journals.camb[...]
[4]
웹사이트
SEPA
http://www.zhb.gov.c[...]
[5]
웹사이트
相模灘
https://kotobank.jp/[...]
[6]
웹사이트
相模湾
https://kotobank.jp/[...]
[7]
문서
第2回 西湘バイパス構造物崩落に関する調査検討委員会資料 参考資料
https://www.ktr.mlit[...]
[8]
웹사이트
管轄海域情報~日本の領海~ 直線基線 三区域 本州南岸:野島埼~御前埼
https://www1.kaiho.m[...]
2017-09-10
[9]
웹사이트
相模湾の海底地形
http://www.hirahaku.[...]
[10]
서적
豊かな動物相を支える相模湾 生物海洋学的な特性
[11]
웹사이트
科博登録ID:8740
https://www.kahaku.g[...]
2024-01-30
[12]
웹사이트
科博登録ID:9286
https://www.kahaku.g[...]
2024-01-30
[13]
논문
戦前期日本の沿岸捕鯨の実態解明と文化的影響 ―1890-1940年代の近代沿岸捕鯨―
https://nodai.repo.n[...]
東京農業大学
[14]
웹사이트
2018年8月5日 鎌倉市由比ガ浜海岸にストランディングしたシロナガスクジラ 調査概要
https://www.kahaku.g[...]
2021-11-17
[15]
서적
豊かな動物相を支える相模湾 生物海洋学的な特性
[16]
뉴스
「相模湾がトロピカル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1-18
[17]
학술지
神奈川県におけるアオウミガメタイマイオサガメの記録
https://nh.kanagawa-[...]
2024-04-03
[18]
학술지
単一ハイドロフォンを用いた相模湾初島沖深海底におけるマッコウクジラ鳴音の位置推定の検討
https://jir.repo.nii[...]
[19]
학술지
日本沿岸域における超高速船航路上の鯨類出現状況分析
https://doi.org/10.9[...]
日本航海学会
2014
[20]
학술지
相模湾・東京湾沿岸で記録されたハクジラ亜目(マッコウクジラ科Physeteridae,コマッコウ科Kogiidae, アカボウクジラ科Ziphiidae,ネズミイルカ科Phocoenidae)について
https://doi.org/10.3[...]
神奈川県立生命の星・地球博物館(旧神奈川県立博物館)
2024-04-03
[21]
웹사이트
安全への取り組み
https://www.mlit.go.[...]
東海汽船株式会社
2017-10-16
[22]
웹사이트
遊漁船と衝突か“三浦半島沖 クジラの交差点のようなところ”
https://web.archive.[...]
2024-01-26
[23]
문서
24 鮫ノ浦湾
https://www.emecs.or[...]
公益財団法人 国際エメックスセンター
2019
[24]
서적
東京湾の魚類
平凡社
2011
[25]
서적
八戸浦"クジラ事件"と漁民 : 「事件百周年」駒井庄三郎家所蔵「裁判記録」より
https://ndlsearch.nd[...]
「八戸浦"くじら事件"と漁民」刊行委員会
[26]
서적
慶長見聞集
s:ja:慶長見聞集/巻之八#k-8-9
[27]
웹사이트
東伊豆・富戸カマイルカ・ドルフィンスイムツアー
https://www.futoiruk[...]
ダイブキッズ
[28]
웹사이트
相模湾・東京湾沿岸で記録されたヒゲクジラ亜目 (Mysticeti)について
https://nh.kanagawa-[...]
2023-11-17
[29]
웹사이트
ウバザメ(ネズミザメ目ウバザメ科)幼魚の相模湾における記録と全世界における出現状況
https://nh.kanagawa-[...]
2023-11-16
[30]
웹사이트
【速報】定置網に6メートルウバザメ 横須賀・佐島漁港
https://www.kanaloco[...]
2023-11-17
[31]
학술지
三浦半島沿岸に生息していたニホンアシカについて
https://nh.kanagawa-[...]
小田原 : 神奈川県立生命の星・地球博物館
1993-01
[32]
서적
相模湾調査前史 西洋人の日本生物への関心:ヒルゲンドルフとモースと
[33]
서적
ホッスガイを求めて デーデルラインの相模湾調査
[34]
서적
三崎臨海実験所の自然史研究における足跡
[35]
서적
相模湾を見つめて60年 生物学御研究所の相模湾調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