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경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경군은 백제 시대 두내지현으로 시작하여, 통일신라 시대에는 만경으로 개칭되어 전주 관할 김제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임피현의 속현이었다가 감무가 파견되면서 현으로 승격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흉년으로 폐지되었다가 복구되는 과정을 겪었다. 1895년 군으로 승격되어 전주부에 속했다가 전라북도에 예속되었으며, 1906년 전주군의 월경지를 편입했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군산군도는 옥구군에, 나머지는 김제군에 분할, 병합되었다. 이후 만경군은 김제군으로 통합되었고, 현재는 만경읍, 진봉면, 성덕면, 청하면, 공덕면으로 나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흥덕군
흥덕군은 백제 시대 상칠현에서 시작하여 신라, 고려 시대를 거쳐 흥덕현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창군에 편입되어 소멸되었으며, 이는 일제의 식민통치 수단으로 지역 자치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만경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
설치일 | 1952년 12월 |
폐지일 | 1954년 10월 |
소속 도 | 황해남도 |
정치 | |
행정 구역 | 1개 읍, 19개 리 |
역사 | |
변천사 | 1952년 12월 벽성군의 만경면과 청룡면, 송화군의 하리면, 내송면 일부를 합하여 만경군을 신설함. 1954년 10월 만경군은 폐지되어 벽성군에 편입됨. |
행정 구역 | |
읍 | 만경읍 |
리 | 어룡리 신천리 송현리 청계리 장방리 청룡리 마산리 삼산리 양암리 신흥리 대봉리 서흥리 구월리 대청리 용문리 봉산리 운흥리 금곡리 하일리 |
2. 역사
만경은 백제 시대부터 그 역사가 시작된다. 백제 시대에는 두내지현(豆奈只縣, 또는 豆乃山縣)이라 불렸으며, 663년 당나라 치하에서 순모(淳牟)로 바뀌어 고사주(古四州)의 영현이 되었다.[1] 757년(경덕왕 16)에는 만경으로 이름이 바뀌어 전주도독부 관내 김제군의 영현이 되었고, 한때 후백제에 속하기도 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전주도 관내 임피현의 속현이었으나, 1106년(예종 1) 감무가 설치되면서 현으로 승격되었고, 이때 임피현의 부윤(富潤)과 이파산소(泥波山所)가 만경현에 편입되었다. 고려 말기에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다.[1]
조선 초기에는 길곶산(吉串山)에 봉수를 설치하여 계화(界火)·사자산(獅子山)과 연결하였다. 1620년(광해군 12)에는 심한 흉년으로 주민 수가 크게 줄어 현이 폐지되어 김제군에 합쳐졌다가, 2년 뒤 전주부에 속하게 되었고, 1634년(인조 12)에 다시 복구되었다. 1895년(고종 32)에는 군이 되어 전주부에 속했다가 이듬해 전라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1906년에는 전주군의 월경지(越境地)인 이동면(利東面)·이북면(利北面)·이서면(利西面)을 편입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고군산군도는 옥구군에, 나머지는 김제군에 분할, 병합되었다.[1]
2. 1. 백제와 통일신라 시대
본래 백제의 두내지현(豆奈只縣, 또는 豆乃山縣)이었는데, 663년 당나라 치하에서 순모(淳牟)로 고쳐 고사주(古四州)의 영현으로 하였다.[1] 757년(경덕왕 16) 만경으로 이름을 바꾸어 전주도독부 관내 김제군의 영현이 되었고, 한때 후백제에 속하기도 하였다.[1]2. 2. 고려 시대
본래 백제의 두내지현(豆奈只縣, 또는 豆乃山縣)이었는데, 663년 당나라 치하에서 순모(淳牟)로 고쳐 고사주(古四州)의 영현으로 삼았다. 757년(경덕왕 16) 만경으로 이름을 바꾸어 전주도독부 관내 김제군의 영현이 되었고, 한때 후백제에 속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전주도 관내 임피현의 속현이었으나, 1106년(예종 1) 감무를 두어 현으로 승격시켰다. 이때 임피현에 속해있던 부윤(富潤)과 이파산소(泥波山所)를 편입시켰다. 고려 말기에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다.2. 3. 조선 시대
조선 초기에는 길곶산(吉串山)에 봉수를 설치하여 계화(界火)·사자산(獅子山)과 연결시켰다.[1] 1620년(광해군 12) 혹심한 흉년으로 주민의 수가 격감하자 현이 폐지되어 김제군에 병합되었고, 2년 뒤 전주부에 이속되었다가 1634년(인조 12) 복구되었다.[1] 1895년(고종 32) 군이 되어 전주부에 속하였다가 이듬해 전라북도에 예속되었다.[1] 1906년 전주군의 월경지(越境地)인 이동면(利東面)·이북면(利北面)·이서면(利西面)을 편입시켰다.[1]2. 4. 일제강점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고군산군도는 옥구군에, 나머지는 김제군에 분할, 병합되었다.[1]3. 구역 대조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전국 행정구역 개편으로 만경군은 김제군에 병합되었다. 이때 만경군의 각 면들은 김제군의 면으로 조정되었다.[1]
- 만경군 군내면/북면 → 김제군 만경면 → 김제시 만경읍
- 만경군 상서면/하일도면/하이도면 → 김제군 진봉면 → 김제시 진봉면
- 만경군 남일면/남이면 → 김제군 성덕면 → 김제시 성덕면
- 만경군 북일도면 → 김제군 청하면 → 김제시 청하면
- 만경군 북이도면/동일도면/동이도면 → 김제군 공덕면 → 김제시 공덕면
이 과정에서 면의 명칭은 각 면에 있던 주요 지명이나 산 이름을 따서 지었다.[1][2]
3. 1. 구한말 → 1914년 → 현재
1914년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는 전국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만경군을 김제군에 병합시켰다. 이때 만경군의 각 면들은 다음과 같이 김제군의 면으로 조정되었다.[1]- 만경군 군내면/북면 → 김제군 만경면 →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 장산리, 대동리, 몽산리, 화포리, 소토리, 송상리)
- 만경군 상서면/하일도면/하이도면 → 김제군 진봉면 → 김제시 진봉면 (가실리, 상궐리, 정당리, 심포리, 고사리)
- 만경군 남일면/남이면 → 김제군 성덕면 →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 대석리, 묘라리, 석동리, 남포리, 성덕리)
- 만경군 북일도면 → 김제군 청하면 →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 동지산리, 장산리)
- 만경군 북이도면/동일도면/동이도면 → 김제군 공덕면 → 김제시 공덕면 (동계리, 저산리, 마현리, 황산리, 공덕리, 제말리, 회룡리)
이 과정에서 면의 명칭은 각 면에 있던 주요 지명이나 산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1][2] 예를 들어 만경면은 만경군의 이름을, 성덕면은 성덕산의 이름을, 공덕면은 공덕지라는 저수지의 이름을, 청하면은 청하산의 이름을, 진봉면은 진봉산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3. 1. 1. 만경군 군내면/북면 → 만경면 → 만경읍
1914년 만경군 전역이 김제군에 통폐합되면서 기존 군의 중심지였던 군내면(郡內面)과 북면(北面)을 합하여 군 이름을 따서 만경면이 되었다.[1] 만경면은 만경리, 장산리, 대동리, 몽산리, 화포리, 소토리, 송상리를 관할했다.구한말 | 1914년 | 현재 |
---|---|---|
만경군 군내면 외신리/외동리/독곡리/중리/외서리/대문내리/남문내리/동문내리/산본리 일부/남산리 일부/송전리 일부, 장산리/대죽리/용동리/농촌리 일부/대동리 일부/산본리 일부/(북면)송하리 일부/(남일면)복흥리 일부/인흥리 일부, 소죽리/내죽리/소동리/대동리 일부/농촌리 일부/(남일면)복흥리 일부/(김제군 연산면)산치리 일부 | 김제군 만경면 |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 장산리, 대동리 |
만경군 북면 몽포리/몽서리/몽동리/봉회리/장등리/화양리 일부/옥산리 일부/(군내면)송전리 일부/산본리 일부, 화포리/장흥리 일부/창자리 일부/대토리 일부, 소토리/중흥리/율리/춘천리/대토리 일부/장흥리 일부/창자리 일부/(북일도면)공향리 일부/(김제군 마천면)신창리, 신덕리/제항리/송상리 일부/송중리 일부/송하리 일부/(김제군 마천면)송방리 일부 | 김제시 만경읍 몽산리, 화포리, 소토리, 송상리 |
3. 1. 2. 만경군 상서면/하일도면/하이도면 → 진봉면 → 진봉면
1914년 하일도면, 하이도면, 상서면을 합하여 진봉산의 이름을 따 김제군 진봉면으로 편입되었다.[1]구한말 | 1914년 | 현재 | |
---|---|---|---|
만경군 상서면(上西面) 정서리/가실리 일부/정동리 일부/부동 일부/석교리 일부/(남이면)모산리 일부/나제리 일부, 상궐리/하궐리/신기리/석교리 일부/하수내리 일부/갈전리 일부/(북면)전중리 일부/대덕리 일부/(하이도면)종야리 일부, 다상리/다하리/신회리/효정리/정당리/갈전리 일부/가실리 일부/석교리 일부/(북면)광덕리 일부/대덕리 일부/화양리 일부/옥산리 일부 | 김제군 진봉면 | 김제시 진봉면 | 가실리, 상궐리, 정당리 |
만경군 하일도면(下一道面) 복흥리/규동리/심포리/남하리/안하리/길곶리/거전리/남상리 일부 | 심포리 | ||
만경군 하이도면(下二道面) 석소리/석치리/인향리/고사리/종야리 일부/(하일도면)남상리 일부/(상서면)수하리 일부 | 고사리 |
3. 1. 3. 만경군 남일면/남이면 → 성덕면 → 성덕면
1914년에 남일면과 남이면을 합하여 성덕면으로 고치고, 성덕산의 이름을 따랐다.[2] 이때 대목리, 대석리, 묘라리, 석동리, 남포리, 성덕리가 성덕면에 속하게 되었다.3. 1. 4. 만경군 북일도면 → 청하면 → 청하면
1914년 일제강점기에 만경군 북일도면과 김제군 마천면이 통합되어, 청하산의 이름을 따 김제시 청하면이 되었다. 청하면에는 대청리, 동지산리, 장산리가 있다.구한말 | 1914년 | 현재 |
---|---|---|
만경군 북일도면(北一道面) 대청리/소청리/농하리/신기리/청운리/대신리 일부/관월리 일부/내신리 일부, 동지산리/갈산리/궁동리/척산리/내신리 일부/내포리 일부/대신리 일부, 장산리/금차리/거산리/공향리 일부/신월리 일부/관월리 일부/(김제군 마천면)거산리 일부/청하리/제상리/신상리 | 김제군 청하면 |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 동지산리, 장산리 |
3. 1. 5. 만경군 북이도면/동일도면/동이도면 → 공덕면 → 공덕면
1914년에 일제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만경군의 동일도면, 동이도면, 북이도면을 병합하여 공덕면을 신설하였다. 공덕면이라는 명칭은 동이도면 공덕리에 있던 저수지인 공덕지(孔德池)에서 유래하였다.구한말 | 1914년 | 현재 | |
---|---|---|---|
만경군 북이도면(北二道面) 송정리/진전리/용전리 일부/진산리 일부/동계리 일부/저산리 일부/(김제군 목연면)신정리 일부, 저성리/저산리 일부/지수리 일부/(북일도면)내포리 일부/(익산군 남이면)황천리 일부 | 김제군 공덕면 | 김제시 공덕면 | 동계리, 저산리 |
만경군 동일도면(東一道面) 반곡리/마현리 일부/남당리 일부/내동리 일부/(북이도면)진산리 일부/(동이도면)공덕리 일부, 내서리/외황리/두동/내동리 일부/(김제군 백석면)상서리 일부/하서리 일부 | 마현리, 황산리 | ||
만경군 동이도면(東二道面) 명마리/광동/덕동/송산리/존걸리/공덕리 일부/신흥리 일부/(동일도면)남당리 일부/마현리 일부, 제말리/명천리/신평리/신성리/명령리/상방리/신흥리 일부/과동리 일부/(북일도면)용전리 일부, 회룡리/덕산리/하방리/등용리/과동리 일부/신기리 일부/(북이도면)지수리 일부/(북일도면)중석리/(김제군 마천면)석한리 일부/장천리 일부 | 공덕리, 제말리, 회룡리 |
참조
[1]
서적
고종 실록
1896-02-03
[2]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