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구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구군은 백제 시대 마서량현으로 시작하여 남북국 시대 옥구로 개칭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옥구현 등으로 불렸다. 1895년 옥구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899년 옥구부로 승격되었다가 1910년 군산부로 개칭되었다. 1914년 군산부의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옥구군으로 통합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변경을 거쳐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어 군산시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산시의 역사 - 임피군
임피군은 백제의 시산군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구역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옥구군에 편입되어 현재는 군산시의 일부이다. - 군산시의 역사 - 서해방송
서해방송은 1969년부터 1980년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AM 680kHz(후에 675kHz)로 방송되었던 라디오 방송국으로, 동양방송과 제휴하여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보도 기능을 강화했으나, 언론 통폐합으로 KBS에 통합되어 현재는 KBS 제3라디오 중계국으로 사용되고 있다. - 1903년 설치 - 동래군
동래군은 삼국시대 거칠산군과 대증현의 통합으로 시작하여 신라 경덕왕 때 개칭되었으며,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14년 기장군을 합병하고 1973년 폐지 후 양산군에 편입, 1995년 기장군이 부산광역시로 독립하는 등 변화를 겪은 부산 중심의 역사적인 행정구역이다. - 1903년 설치 - 창원군
창원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과 위상이 바뀌며 경상남도에서 존속하다가, 마산항 개항 이후 중심지가 마산으로 이동하고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창원시와 마산시에 통합되어 폐지된 군이다. - 1899년 폐지 - 카넴-보르누 제국
카넴-보르누 제국은 7세기경 차드호 주변에 건국되어 1900년대 초까지 존속한 서아프리카의 제국으로, 투부족과 사오 문명의 통합으로 형성된 카넴 제국이 무슬림 카누리족의 지배 아래 사하라 횡단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식민 지배를 받았다. - 1899년 폐지 - 창원군
창원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과 위상이 바뀌며 경상남도에서 존속하다가, 마산항 개항 이후 중심지가 마산으로 이동하고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창원시와 마산시에 통합되어 폐지된 군이다.
옥구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전라북도 군산시의 옛 지역 |
설치 | 1896년 8월 4일 |
폐지 | 1995년 1월 1일 |
법률 | 법률 제4774호 경기도와 인천광역시간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군산시등 3개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
면적 | 468.38km² |
행정 구역 | |
읍 | 옥구읍 |
면 | 미면 서면 임피면 대야면 개정면 성산면 나포면 옥서면 |
역사 | |
조선 시대 | 전주부 옥구현 고종 32년 전라북도 옥구군으로 개편 |
일제 강점기 | 옥구면이 옥구읍으로 승격 |
대한민국 | 1963년 1월 1일: 미면이 군산시에 편입됨 1973년 7월 1일: 서면이 군산시에 편입됨 1995년 1월 1일: 군산시와 통합하여 군산시로 개편, 폐지 |
2. 역사
백제 시대에는 옥구군은 마서량현(馬西良縣)으로 불렸다. 남북국 시대에는 옥구(沃溝)로 개칭되었고 임피군에 예속되었다.[1]
1397년(조선 태조 6년)에 옥구에 진(鎭)을 두었다. 1423년(세종 5년)에는 첨절제사가 옥구를 다스리게 했다. 이후 다시 군으로 고치고 현감을 두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옥구현, 임피현 등으로 불렸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옥구군, 1896년 8월 4일 전라북도 옥구군이 되었다.[1][2] 1899년 옥구군을 옥구부(沃溝府)로 승격하고, 군산항 개항 후 한때 감리서(監理署)를 두었다.[3][4] 1903년 옥구부를 옥구군으로 격하하였다가,[5] 1906년 10월 1일 옥구군을 다시 옥구부로 승격하였다.[6]
1910년 10월 1일 옥구부를 군산부로 개칭하고,[7] 부청을 군산항에 설치하였다.[8] 1914년 4월 1일 군산부의 도심지만을 군산부(府)로 지정하고, 군산부 나머지 지역과 임피군 일원, 전라남도 지도군 고군산면, 충청남도 오천군 하남면을 옥구군으로 통폐합하였다.[9] 이때 옥구군은 미면, 구읍면, 옥산면, 회현면, 임피면, 대야면, 개정면, 성산면, 서수면, 나포면의 10면으로 구성되었다.
1931년 3월 1일 구읍면을 옥구면으로 개칭하였고,[10] 1940년 11월 1일 미면·개정면 일부를 군산부에 편입하였다.[11]
1962년 12월 1일 미면에 도서지역을 관할하는 미면출장소가 설치되었다.[12] 1973년 7월 1일 미면·옥산면 각 일부와 개정면 개정리, 성산면 내흥리가 군산시에 편입되었고,[13] 서수면 신기리는 익산시 황등면에 편입되었다. 1980년 12월 1일 옥구면과 미면을 각각 옥구읍, 미성읍으로 승격하였다.[14] 1983년 2월 15일 미성읍 산북리, 내초리의 일부를 군산시에 편입하였다. 1985년 7월 1일 옥구읍에 서부출장소를 설치하였고,[15] 1986년 4월 1일 미성읍 미성출장소를 옥도면으로 승격하였다.[16] 1989년 1월 1일 미성읍 일원과 옥도면 일부(비응도리, 오식도리)를 군산시에 편입하였고,[17] 같은 해 4월 1일 옥구읍 서부출장소를 옥서면으로 승격하였다.[18] 1990년 10월 30일 금강하구둑이 준공되었다. 1995년 1월 1일 군산시와 옥구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군산시를 설치하였다.[19]
2. 1. 백제 시대
백제 시대에는 옥구군은 마서량현(馬西良縣)으로 불렸다.2. 2. 남북국 시대
백제 시대에는 마서량현(馬西良縣)으로 불렸다. 남북국 시대에는 옥구(沃溝)로 개칭되었고 임피군에 예속되었다.[1]2. 3. 조선 시대
1397년(조선 태조 6년)에 옥구에 진(鎭)을 두었다. 1423년(세종 5년)에는 첨절제사가 옥구를 다스리게 했다. 이후 다시 군으로 고치고 현감을 두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옥구현, 임피현 등으로 불렸다.2. 4.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옥구군, 1896년 8월 4일 전라북도 옥구군이 되었다.[1][2] 1899년 옥구군을 옥구부(沃溝府)로 승격하고, 군산항 개항 후 한때 감리서(監理署)를 두었다.[3][4] 1903년 옥구부를 옥구군으로 격하하였다가,[5] 1906년 10월 1일 옥구군을 다시 옥구부로 승격하였다.[6]1910년 10월 1일 옥구부를 군산부로 개칭하고,[7] 부청을 군산항에 설치하였다.[8] 1914년 4월 1일 군산부의 도심지만을 군산부(府)로 지정하고, 군산부 나머지 지역과 임피군 일원, 전라남도 지도군 고군산면, 충청남도 오천군 하남면을 옥구군으로 통폐합하였다.[9] 이때 옥구군은 미면, 구읍면, 옥산면, 회현면, 임피면, 대야면, 개정면, 성산면, 서수면, 나포면의 10면으로 구성되었다.
1931년 3월 1일 구읍면을 옥구면으로 개칭하였고,[10] 1940년 11월 1일 미면·개정면 일부를 군산부에 편입하였다.[11]
2. 5. 광복 이후
1962년 12월 1일 미면에 도서지역을 관할하는 미면출장소가 설치되었다.[12] 1973년 7월 1일 미면·옥산면 각 일부와 개정면 개정리, 성산면 내흥리가 군산시에 편입되었고,[13] 서수면 신기리는 익산시 황등면에 편입되었다. 1980년 12월 1일 옥구면과 미면을 각각 옥구읍, 미성읍으로 승격하였다.[14] 1983년 2월 15일 미성읍 산북리, 내초리의 일부를 군산시에 편입하였다. 1985년 7월 1일 옥구읍에 서부출장소를 설치하였고,[15] 1986년 4월 1일 미성읍 미성출장소를 옥도면으로 승격하였다.[16] 1989년 1월 1일 미성읍 일원과 옥도면 일부(비응도리, 오식도리)를 군산시에 편입하였고,[17] 같은 해 4월 1일 옥구읍 서부출장소를 옥서면으로 승격하였다.[18] 1990년 10월 30일 금강하구둑이 준공되었다. 1995년 1월 1일 군산시와 옥구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군산시를 설치하였다.[19]3. 행정 구역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옥구군은 10개 면으로 구성되었다.[20] 이때 옥구군에 속했던 면은 미면(米面), 구읍면(舊邑面), 옥산면, 회현면(澮縣面), 임피면(臨陂面), 대야면(大野面), 개정면(開井面), 성산면, 서수면(瑞穗面), 나포면(羅浦面)이다.[20]
미면은 현재 군산시 옥도면(沃島面)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개야도리, 관리도리, 말도리, 무녀도리, 비안도리, 선유도리, 신시도리, 야미도리, 어청도리, 연도리, 장자도리가 이에 속한다.[21] 미면의 일부 지역(비응도리, 오식도리, 내초리, 산북리, 개사리, 미룡리, 신관리 등)은 현재 군산시에 속해 있다.[21]
개정면은 현재 군산시 개정동, 구암동, 조촌동과 개정면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에 해당한다.[22]
회현면, 나포면, 대야면, 서수면, 성산면, 옥산면, 구읍면, 임피면은 현재도 군산시의 면으로 남아있다.[23][24][25][26][27][28][29][30] 다만, 서수면 신기리는 익산시 황등면으로, 성산면 내흥리와 옥산면 사정리, 지곡리는 군산시로 편입되었다.[26][27][28] 구읍면의 선연리, 옥봉리는 군산시 옥서면으로 변경되었다.[29]
1995년 1월 1일 도농통합 정책에 따라 군산시와 옥구군이 통합되어 군산시가 되었다.[20] 이로 인해 옥구군은 군산시 옥구읍, 옥산면, 회현면, 임피면, 서수면, 대야면, 개정면, 성산면, 나포면, 옥도면, 옥서면으로 재편되었다.
미면(米面)은 1914년에 옥구군의 면으로,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여러 리가 군산시와 옥도면으로 분리 편입되었다.[21]
- 개야도리, 관리도리, 말도리, 무녀도리, 비안도리, 선유도리, 신시도리, 야미도리, 어청도리, 연도리, 장자도리는 군산시 옥도면으로 편입되었다. 이 지역들은 고군산군도를 이루는 섬들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풍부한 해양 자원을 자랑한다. 특히, 선유도는 고군산군도의 중심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이다.
- 비응도리, 오식도리, 내초리, 산북리, 개사리, 미룡리, 신관리, 둔율리 일부, 신풍리 일부, 경장리 일부는 군산시로 편입되어 각각 비응도동, 오식도동, 내초동, 산북동, 개사동, 미룡동, 신관동, 장재동, 동흥남동, 서흥남동, 삼학동, 오룡동, 신풍동, 나운동, 소룡동, 미원동, 선양동, 송풍동, 문화동, 해망동, 금암동, 경암동, 중동, 경장동, 미장동, 수송동이 되었다. 이 지역들은 군산시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곳으로, 특히 비응도동과 오식도동은 새만금 방조제 건설과 함께 새로운 산업 단지로 주목받고 있다.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개정면(開井面)은 개정리, 구암리, 조촌리는 군산시 개정동, 구암동, 조촌동이 되었고,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는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가 되었다.[22] 개정면은 과거 보수 정권 시절, 농촌 지역으로서 보수적인 성향을 띄었으나, 민주화 이후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세가 강해졌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를 거치면서 민주당 지지세가 더욱 공고해졌다고 평가된다.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옥구군 회현면은 고사리, 금광리, 대정리, 세장리, 원우리, 월연리, 증석리, 학당리를 관할하게 되었다.[20][23] 이 지역들은 현재 군산시 회현면으로 이어지고 있다.
나포면(羅浦面)은 1914년에 나포리, 부곡리, 서포리, 옥곤리, 장상리, 주곡리가 군산시 나포면으로 편입되었다.[24]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따르면, 1914년 당시 대야면(大野面)은 광교리, 보덕리, 복교리, 산월리, 접산리, 죽산리, 지경리를 포함했다.[20][25] 이들은 현재 군산시 대야면으로, 여전히 광교리, 보덕리, 복교리, 산월리, 접산리, 죽산리, 지경리로 남아있다.[25]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20] 개편으로 서수면(瑞穗面) 관원리, 금암리, 마룡리, 서수리, 축동리, 화등리는 군산시 서수면으로, 신기리는 익산시 황등면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20]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따르면, 성산면은 고봉리, 대명리, 도암리, 둔덕리, 산곡리, 성덕리, 여방리, 창오리는 군산시 성산면으로, 내흥리는 군산시 내흥동으로 변경되었다.[27]
옥산면은 1914년에 사정리, 지곡리는 군산부에 편입되어 각각 사정동, 지곡동이 되었고,[28] 금성리, 남내리, 당북리, 쌍봉리, 옥산리는 옥산면으로 남았다.[28]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20] 개편으로 구읍면(舊邑面) 상평리, 선제리, 수산리, 어은리, 오곡리, 옥정리, 이곡리는 군산시 옥구읍이 되었고, 선연리, 옥봉리는 군산시 옥서면이 되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의하면, 임피면은 미원리, 보석리, 술산리, 영창리, 월하리, 읍내리, 축산리가 군산시 임피면으로 1914년에 편입되었다.[30]
3. 1. 1914년 옥구군 행정구역 개편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옥구군은 10개 면으로 구성되었다.[20] 이때 옥구군에 속했던 면은 미면(米面), 구읍면(舊邑面), 옥산면(玉山面), 회현면(澮縣面), 임피면(臨陂面), 대야면(大野面), 개정면(開井面), 성산면(聖山面), 서수면(瑞穗面), 나포면(羅浦面)이다.[20]미면은 현재 군산시 옥도면(沃島面)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개야도리, 관리도리, 말도리, 무녀도리, 비안도리, 선유도리, 신시도리, 야미도리, 어청도리, 연도리, 장자도리가 이에 속한다.[21] 미면의 일부 지역(비응도리, 오식도리, 내초리, 산북리, 개사리, 미룡리, 신관리 등)은 현재 군산시에 속해 있다.[21]
개정면은 현재 군산시 개정동, 구암동, 조촌동과 개정면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에 해당한다.[22]
회현면, 나포면, 대야면, 서수면, 성산면, 옥산면, 구읍면, 임피면은 현재도 군산시의 면으로 남아있다.[23][24][25][26][27][28][29][30] 다만, 서수면 신기리는 익산시 황등면으로, 성산면 내흥리와 옥산면 사정리, 지곡리는 군산시로 편입되었다.[26][27][28] 구읍면의 선연리, 옥봉리는 군산시 옥서면으로 변경되었다.[29]
3. 2. 1995년 군산시와의 통합
1995년 1월 1일 도농통합 정책에 따라 군산시와 옥구군이 통합되어 군산시가 되었다.[20] 이로 인해 옥구군은 군산시 옥구읍, 옥산면, 회현면, 임피면, 서수면, 대야면, 개정면, 성산면, 나포면, 옥도면, 옥서면으로 재편되었다.3. 3. 1914년 행정구역과 현재 행정구역 비교
미면(米面)은 1914년에 옥구군의 면으로,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여러 리가 군산시와 옥도면으로 분리 편입되었다.[21]- 개야도리, 관리도리, 말도리, 무녀도리, 비안도리, 선유도리, 신시도리, 야미도리, 어청도리, 연도리, 장자도리는 군산시 옥도면으로 편입되었다. 이 지역들은 고군산군도를 이루는 섬들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풍부한 해양 자원을 자랑한다. 특히, 선유도는 고군산군도의 중심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이다.
- 비응도리, 오식도리, 내초리, 산북리, 개사리, 미룡리, 신관리, 둔율리 일부, 신풍리 일부, 경장리 일부는 군산시로 편입되어 각각 비응도동, 오식도동, 내초동, 산북동, 개사동, 미룡동, 신관동, 장재동, 동흥남동, 서흥남동, 삼학동, 오룡동, 신풍동, 나운동, 소룡동, 미원동, 선양동, 송풍동, 문화동, 해망동, 금암동, 경암동, 중동, 경장동, 미장동, 수송동이 되었다. 이 지역들은 군산시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곳으로, 특히 비응도동과 오식도동은 새만금 방조제 건설과 함께 새로운 산업 단지로 주목받고 있다.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개정면(開井面)은 개정리, 구암리, 조촌리는 군산시 개정동, 구암동, 조촌동이 되었고,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는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가 되었다.[22] 개정면은 과거 보수 정권 시절, 농촌 지역으로서 보수적인 성향을 띄었으나, 민주화 이후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세가 강해졌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를 거치면서 민주당 지지세가 더욱 공고해졌다고 평가된다.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옥구군 회현면은 고사리, 금광리, 대정리, 세장리, 원우리, 월연리, 증석리, 학당리를 관할하게 되었다.[20][23] 이 지역들은 현재 군산시 회현면으로 이어지고 있다.
나포면(羅浦面)은 1914년에 나포리, 부곡리, 서포리, 옥곤리, 장상리, 주곡리가 군산시 나포면으로 편입되었다.[24]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따르면, 1914년 당시 대야면(大野面)은 광교리, 보덕리, 복교리, 산월리, 접산리, 죽산리, 지경리를 포함했다.[20][25] 이들은 현재 군산시 대야면으로, 여전히 광교리, 보덕리, 복교리, 산월리, 접산리, 죽산리, 지경리로 남아있다.[25]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20] 개편으로 서수면(瑞穗面) 관원리, 금암리, 마룡리, 서수리, 축동리, 화등리는 군산시 서수면으로, 신기리는 익산시 황등면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20]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따르면, 성산면은 고봉리, 대명리, 도암리, 둔덕리, 산곡리, 성덕리, 여방리, 창오리는 군산시 성산면으로, 내흥리는 군산시 내흥동으로 변경되었다.[27]
옥산면은 1914년에 사정리, 지곡리는 군산부에 편입되어 각각 사정동, 지곡동이 되었고,[28] 금성리, 남내리, 당북리, 쌍봉리, 옥산리는 옥산면으로 남았다.[28]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20] 개편으로 구읍면(舊邑面) 상평리, 선제리, 수산리, 어은리, 오곡리, 옥정리, 이곡리는 군산시 옥구읍이 되었고, 선연리, 옥봉리는 군산시 옥서면이 되었다.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의하면, 임피면은 미원리, 보석리, 술산리, 영창리, 월하리, 읍내리, 축산리가 군산시 임피면으로 1914년에 편입되었다.[30]
3. 3. 1. 미면
미면(米面)은 1914년에 옥구군의 면으로,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여러 리가 군산시와 옥도면으로 분리 편입되었다.[21]- 개야도리, 관리도리, 말도리, 무녀도리, 비안도리, 선유도리, 신시도리, 야미도리, 어청도리, 연도리, 장자도리는 군산시 옥도면으로 편입되었다. 이 지역들은 고군산군도를 이루는 섬들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풍부한 해양 자원을 자랑한다. 특히, 선유도는 고군산군도의 중심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이다.
- 비응도리, 오식도리, 내초리, 산북리, 개사리, 미룡리, 신관리, 둔율리 일부, 신풍리 일부, 경장리 일부는 군산시로 편입되어 각각 비응도동, 오식도동, 내초동, 산북동, 개사동, 미룡동, 신관동, 장재동, 동흥남동, 서흥남동, 삼학동, 오룡동, 신풍동, 나운동, 소룡동, 미원동, 선양동, 송풍동, 문화동, 해망동, 금암동, 경암동, 중동, 경장동, 미장동, 수송동이 되었다. 이 지역들은 군산시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곳으로, 특히 비응도동과 오식도동은 새만금 방조제 건설과 함께 새로운 산업 단지로 주목받고 있다.
3. 3. 2. 개정면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개정면(開井面)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22]1914년 | 현재 |
---|---|
개정리, 구암리, 조촌리 | 군산시 개정동, 구암동, 조촌동 |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 |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 아동리, 아산리, 옥석리, 운회리, 통사리 |
개정면은 과거 보수 정권 시절, 농촌 지역으로서 보수적인 성향을 띄었으나, 민주화 이후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세가 강해졌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를 거치면서 민주당 지지세가 더욱 공고해졌다고 평가된다.
3. 3. 3. 회현면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옥구군 회현면은 고사리, 금광리, 대정리, 세장리, 원우리, 월연리, 증석리, 학당리를 관할하게 되었다.[20][23] 이 지역들은 현재 군산시 회현면으로 이어지고 있다.3. 3. 4. 나포면
나포면(羅浦面)은 1914년에 나포리, 부곡리, 서포리, 옥곤리, 장상리, 주곡리가 군산시 나포면으로 편입되었다.[24]3. 3. 5. 대야면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따르면, 1914년 당시 대야면(大野面)은 광교리, 보덕리, 복교리, 산월리, 접산리, 죽산리, 지경리를 포함했다.[20][25] 이들은 현재 군산시 대야면으로, 여전히 광교리, 보덕리, 복교리, 산월리, 접산리, 죽산리, 지경리로 남아있다.[25]3. 3. 6. 서수면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20] 개편으로 서수면(瑞穗面) 관원리, 금암리, 마룡리, 서수리, 축동리, 화등리는 군산시 서수면으로, 신기리는 익산시 황등면으로 편입되었다.3. 3. 7. 성산면
1914년의 행정구역[20]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따르면, 성산면은 고봉리, 대명리, 도암리, 둔덕리, 산곡리, 성덕리, 여방리, 창오리는 군산시 성산면으로, 내흥리는 군산시 내흥동으로 변경되었다.[27]3. 3. 8. 옥산면
옥산면은 1914년에 사정리, 지곡리는 군산부에 편입되어 각각 사정동, 지곡동이 되었고,[28] 금성리, 남내리, 당북리, 쌍봉리, 옥산리는 옥산면으로 남았다.[28]3. 3. 9. 구읍면(옥구읍)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20] 개편으로 구읍면(舊邑面) 상평리, 선제리, 수산리, 어은리, 오곡리, 옥정리, 이곡리는 군산시 옥구읍이 되었고, 선연리, 옥봉리는 군산시 옥서면이 되었다.3. 3. 10. 임피면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에 의하면, 임피면은 미원리, 보석리, 술산리, 영창리, 월하리, 읍내리, 축산리가 군산시 임피면으로 1914년에 편입되었다.[30]참조
[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법률
칙령 제16호 지방 제도중 일부 개정에 관한 안건
[4]
설명
[5]
법률
칙령 제10호 부윤을 군수로 개정하는 건
[6]
법률
칙령 제48호 부를 군으로 개칭하고 군을 부로 개칭하는 건과 부청급군청에 관한 건
[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8]
설명
[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0]
법률
도령 제5호
1931-02-21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20호
1940-10-23
[12]
법률
군조례 제21호
1962-12-01
[13]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14]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5]
법률
군조례 제936호
1985-06-22
[16]
법률
대통령령 제11874호
[17]
법률
대통령령 제12557호
[18]
법률
군조례 제1139호
1988-12-22
[19]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0]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21]
설명
[22]
설명
[23]
설명
[24]
설명
[25]
설명
[26]
설명
[27]
설명
[28]
설명
[29]
설명
[30]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