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제시는 전북특별자치도에 속하는 시로, 1895년 김제군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다. 1989년 김제읍 일원과 주변 지역을 관할로 김제시가 설치되었고, 1995년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현재 1읍, 14면, 4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새만금 2호 방조제를 포함하여 면적은 546.45km², 인구는 약 8만 3천 명이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호남선 김제역이 있으며, 김제종합버스터미널을 통해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김제시는 김제 지평선 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 축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구미시, 동해시, 은평구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제시의 행정 구역 - 공덕면
공덕면은 1914년 김제군에 설치된 면으로, 만경강 유역의 평야 지대에서 농업이 주를 이루며, 7개의 법정리와 24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김제시 -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은 전라북도 김제시에 위치하며,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벽골제 농경 문화 변천사를 유물, 모형, 영상 자료 등으로 보여주는 농경 문화 박물관이다. - 김제시 - 새만금사업단
새만금사업단은 새만금 간척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설립된 조직으로, 사업 계획 수립 및 시행, 방조제 건설, 농업 기반 시설 구축 등의 주요 사업을 추진하며, 현재는 사업관리실과 단장 체제로 운영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익산시
익산시는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 유적과 고려 시대부터 사용된 지명을 갖고 있으며, 1995년 익산시로 설치되었고, 호남선 등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며 보석 가공업과 식품 산업이 발달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김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김제시 |
한글 표기 | 김제시 |
한자 표기 | 金堤市 |
로마자 표기 | Gimje-si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imje-si |
지역 | 호남 |
하위 행정 구역 | 1읍, 14면, 4동 |
면적 | 545.19km² |
인구 | 88,479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11월 |
방언 | 전라 |
지역 전화 번호 | +82-63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9 |
상징 | |
시목 | 느티나무 |
시화 | 백일홍 |
시조 | 비둘기 |
![]() | |
정치 | |
시장 | 정성주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을) |
행정 | |
상위 행정 구역 | 전북특별자치도 |
시청 소재지 | 김제시 중앙로 40 (서암동) |
홈페이지 | 김제시청 홈페이지 |
2. 역사
통일신라 경덕왕 때부터 김제(金堤), 만경(萬頃), 금구(金溝)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에 김제군, 만경군, 금구군 지역을 합쳐 김제군이 설치되었다.[22] 당시 김제군에는 금제면, 월촌면, 죽산면, 백산면, 용지면, 백구면, 부량면, 공덕면, 청하면, 만경면, 성덕면, 진봉면, 금구면, 하리면, 초처면, 쌍감면, 수류면의 17개 면이 설치되었다.
1935년 3월 1일 하리면·초처면이 봉남면으로 합면하고, 쌍감면이 황산면으로,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하고, 전주군 우림면 청도리가 금산면에 편입되었다.[24][25]
1983년 2월 15일 백구면의 일부가 완주군 조촌면에 편입되었다. 1990년 8월 1일 봉남면의 일부가 김제시에 편입되었다.
2. 1. 김제시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김제군[20]
- 1896년 8월 4일: 전북특별자치도 김제군[21]
- 1914년 4월 1일: 김제군, 만경군, 금구군이 김제군으로 통합하였다.[22]
- 1931년 11월 1일: 김제면이 김제읍으로 승격하였다.[23]
- 1935년 3월 1일: 하리면·초처면이 봉남면으로 합면하고, 쌍감면이 황산면으로,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하고, 전주군 우림면 청도리가 금산면에 편입되었다.[24][25] (1읍 15면)
- 1949년: 진봉면을 분면하여 광활면이 신설되었다. (1읍 16면)
- 1989년 1월 1일: 김제군 김제읍·월촌면 일원과 백산면 하리·흥사리·상동리, 황산면 난봉리·황산리·오정리, 봉남면 월성리를 관할로 김제시가 설치되었다.[26] (15면)
-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 강흥리, 도도리와 용지면 남정리가 전주시에 편입되고, 용지면 금평리(금계리)가 완주군 이서면에 편입되었다.[27]
-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김제시가 되었다.[28]
- 1995년 3월 2일: 만경면이 만경읍으로 승격하였다.[29] (1읍 14면)
- 1998년 9월 26일: 서흥동이 요촌동에, 봉황동이 신풍동에 통합되고, 교동과 월촌동이 교동월촌동으로 합동하였다.[30] (1읍 14면 4행정동)
- 2011년 12월 26일: 교동월촌동을 교월동으로 개칭하였다.[31]
- 2015년 11월 13일: 새만금 2호 방조제의 행정구역이 김제시로 결정 공고 되었다.[19]
- 2016년 6월 16일: 새만금 2호 방조제 1688883.2m2(32필지)를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편입하였다.[32][33]
-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로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로 개편되었다.
2. 2. 김제군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김제군[20]
- 1896년 8월 4일: 전북특별자치도 김제군[21]
- 1914년 4월 1일: 김제군, 만경군, 금구군이 김제군으로 통합되었다.[22]
- 1931년 11월 1일: 김제면이 김제읍으로 승격하였다.[23]
- 1935년 3월 1일: 하리면·초처면이 봉남면으로 합면하고, 쌍감면이 황산면으로,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하고, 전주군 우림면 청도리가 금산면에 편입되었다.[24][25] (1읍 15면)
- 1949년: 진봉면을 분면하여 광활면이 신설되었다. (1읍 16면)
- 1989년 1월 1일: 김제군 김제읍·월촌면 일원과 백산면 하리·흥사리·상동리, 황산면 난봉리·황산리·오정리, 봉남면 월성리를 관할로 김제시가 설치되었다.[26] (15면)
-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 강흥리, 도도리와 용지면 남정리가 전주시에 편입되고, 용지면 금평리(금계리)가 완주군 이서면에 편입되었다.[27]
-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김제시가 되었다.[28]
3. 행정 구역
김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4면, 4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546.45 km2(새만금 2호 방조제 포함)이며[34],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8만 3895명, 4만 1850가구이다.[35]
김제시는 읍, 면,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행정동과 읍, 면의 관할 법정동,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요촌동 | 요촌동, 서암동, 신곡동, 하동, 흥사동 |
신풍동 | 신풍동, 용동, 난봉동, 황산동, 서정동, 오정동, 월성동, 도장동, 양전동 |
검산동 | 검산동, 백학동, 순동, 상동동 |
교월동 | 교동, 옥산동, 갈공동, 복죽동, 립석동, 장화동, 신덕동, 월봉동, 신월동, 제월동, 연정동, 명덕동 |
만경읍 | 만경리, 장산리, 대동리, 송상리, 소토리, 화포리, 몽산리 |
죽산면 | 대창리, 서포리, 신흥리, 연포리, 옥성리, 종신리, 죽산리, 홍산리 |
백산면 | 하정리, 상정리, 상리, 조종리, 수록리, 부거리, 석교리, 하서리 |
용지면 | 구암리, 반교리, 봉의리, 부교리, 송산리, 신정리, 예촌리, 와룡리, 용수리, 용암리, 장신리, 효정리 |
백구면 | 마산리, 반월리, 백구리, 부용리, 삼정리, 석담리, 영상리, 월봉리, 유강리, 학동리 |
부량면 | 금강리, 대평리, 신두리, 신용리, 옥정리, 용성리, 월승리 |
공덕면 | 마현리, 황산리, 공덕리, 동계리, 저산리, 제말리, 회룡리 |
청하면 | 관상리, 대청리, 동지산리, 월현리, 장산리 |
성덕면 | 남포리, 대목리, 대석리, 묘라리, 석동리, 성덕리 |
진봉면 | 정당리, 가실리, 상궐리, 고사리, 심포리 |
광활면 | 은파리, 옥포리, 창제리 |
금구면 | 금구리, 낙성리, 대화리, 산동리, 서도리, 선암리, 오봉리, 옥성리, 용복리, 용지리, 청운리, 월전리, 하신리 |
봉남면 | 구정리, 내광리, 대송리, 신응리, 신호리, 용신리, 종덕리, 평사리, 행촌리, 화봉리, 회성리 |
황산면 | 용마리, 홍정리, 봉월리, 쌍감리, 남산리, 진흥리 |
금산면 | 삼봉리, 청도리, 화율리, 장흥리, 용호리, 용산리, 선동리, 성계리, 구월리, 쌍룡리, 원평리, 금성리, 금산리 |
3. 1. 읍/면
{| class="wikitable" align=center! 읍·면 !! 한자 !! 면적[34]
(km2) !! 인구 !! 세대 !! 행정구역도
|-
|'''만경읍'''|| 萬頃邑 || 23.9km2 || 2,725 || 1,524 ||rowspan=15|

|-
|'''죽산면'''|| 竹山面 || 36.8km2 || 2,584 || 1,444
|-
|'''백산면'''|| 白山面 || 29.31km2 || 2,578 || 1,430
|-
|'''용지면'''|| 龍池面 || 34.9km2 || 3,771 || 1,971
|-
|'''백구면'''|| 白鷗面 || 21.93km2 || 3,933 || 2,014
|-
|'''부량면'''|| 扶梁面 || 20.1km2 || 1,370 || 728
|-
|'''공덕면'''|| 孔德面 || 29.23km2 || 2,596 || 1,367
|-
|'''청하면'''|| 靑蝦面 || 19.7km2 || 1,811 || 961
|-
|'''성덕면'''|| 聖德面 || 22.22km2 || 1,878 || 1,055
|-
|'''진봉면'''|| 進鳳面 || 48.79km2 || 2,746 || 1,565
|-
|'''금구면'''|| 金溝面 || 42.55km2 || 5,008 || 2,539
|-
|'''봉남면'''|| 鳳南面 || 23.73km2 || 2,254 || 1,300
|-
|'''황산면'''|| 凰山面 || 18.15km2 || 1,945 || 1,053
|-
|'''금산면'''|| 金山面 || 66.78km2 || 4,732 || 2,644
|-
|'''광활면'''|| 廣活面 || 32.14km2 || 1,374 || 733
|-
!colspan=6|
행정동 | 한자 | 면적[34] (km2) | 인구 | 세대 |
---|---|---|---|---|
요촌동 | 堯村洞 | 11.06km2 | 11,314 | 5,383 |
신풍동 | 新豊洞 | 23km2 | 12,958 | 5,865 |
검산동 | 劒山洞 | 14.23km2 | 11,673 | 5,081 |
교월동 | 校月洞 | 27.93km2 | 6,645 | 3,193 |
|}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35]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요촌동 | 요촌동, 서암동, 신곡동, 하동, 흥사동 |
신풍동 | 신풍동, 용동, 난봉동, 황산동, 서정동, 오정동, 월성동, 도장동, 양전동 |
검산동 | 검산동, 백학동, 순동, 상동동 |
교월동 | 교동, 옥산동, 갈공동, 복죽동, 립석동, 장화동, 신덕동, 월봉동, 신월동, 제월동, 연정동, 명덕동 |
만경읍 | 만경리, 장산리, 대동리, 송상리, 소토리, 화포리, 몽산리 |
죽산면 | 대창리, 서포리, 신흥리, 연포리, 옥성리, 종신리, 죽산리, 홍산리 |
백산면 | 하정리, 상정리, 상리, 조종리, 수록리, 부거리, 석교리, 하서리 |
용지면 | 구암리, 반교리, 봉의리, 부교리, 송산리, 신정리, 예촌리, 와룡리, 용수리, 용암리, 장신리, 효정리 |
백구면 | 마산리, 반월리, 백구리, 부용리, 삼정리, 석담리, 령상리, 월봉리, 유강리, 학동리 |
부량면 | 금강리, 대평리, 신두리, 신용리, 옥정리, 용성리, 월승리 |
공덕면 | 마현리, 황산리, 공덕리, 동계리, 저산리, 제말리, 회룡리 |
청하면 | 관상리, 대청리, 동지산리, 월현리, 장산리 |
성덕면 | 남포리, 대목리, 대석리, 묘라리, 석동리, 성덕리 |
진봉면 | 정당리, 가실리, 상궐리, 고사리, 심포리 |
광활면 | 은파리, 옥포리, 창제리 |
금구면 | 금구리, 낙성리, 대화리, 산동리, 서도리, 선암리, 오봉리, 옥성리, 용복리, 용지리, 청운리, 월전리, 하신리 |
봉남면 | 구정리, 내광리, 대송리, 신응리, 신호리, 용신리, 종덕리, 평사리, 행촌리, 화봉리, 회성리 |
황산면 | 용마리, 홍정리, 봉월리, 쌍감리, 남산리, 진흥리 |
금산면 | 삼봉리, 청도리, 화율리, 장흥리, 용호리, 용산리, 선동리, 성계리, 구월리, 쌍룡리, 원평리, 금성리, 금산리 |
3. 2. 행정동
김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4면, 4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김제시의 행정동별 인구 및 세대수는 다음과 같다.[35]
각 행정동의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 법정동 |
---|---|
요촌동 | 요촌동, 서암동, 신곡동, 하동, 흥사동 |
신풍동 | 신풍동, 용동, 난봉동, 황산동, 서정동, 오정동, 월성동, 도장동, 양전동 |
검산동 | 검산동, 백학동, 순동, 상동동 |
교월동 | 교동, 옥산동, 갈공동, 복죽동, 립석동, 장화동, 신덕동, 월봉동, 신월동, 제월동, 연정동, 명덕동 |
4. 인구
金堤市중국어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36]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49년 | 208,802명 | 김제군 |
1955년 | 211,260명 | 김제군 |
1960년 | 234,187명 | 김제군 |
1966년 | 254,999명 | 김제군 |
1970년 | 228,749명 | 김제군 |
1975년 | 221,414명 | 김제군 |
1980년 | 193,188명 | 김제군 |
1985년 | 170,990명 | 김제군 |
1990년 | 149,791명 | 김제시(55,138), 김제군(94,653) |
1995년 | 115,427명 | 김제시 |
2000년 | 102,589명 | 김제시 |
2005년 | 90,652명 | 김제시 |
2010년 | 83,302명 | 김제시 |
2015년 | 84,269명 | 김제시 |
2020년 | 82,450명 | 김제시 |
5. 새만금
김제시는 2015년 10월 26일 행정자치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과 같은 해 11월 13일의 공고에 따라 새만금 방조제 중 2호 방조제를 관할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새만금항 등 새만금 신도시의 중심부가 위치하게 될, 동진강과 만경강 사이의 150여 km2가 김제시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될 것으로 예상된다.[18]
서쪽 해역에는 김제(金堤)와 만경(萬頃)이라는 지명을 딴 새만금이라는 큰 갯벌이 있지만, 여기서 한국 최대 규모의 간척 사업인 새만금 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6. 교통
서김제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를, 김제 나들목과 금산사 나들목에서 호남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심포항 등의 항구가 있었으나 새만금 방조제에 막혀 호수가 되면서 없어지게 되었다.[1]
6. 1. 철도
김제역은 호남선의 철도역으로 신풍동에 있다. 김제역에는 모든 새마을호·무궁화호 외에 용산역~목포역·광주역 구간 KTX의 일부도 정차한다. 용산역에서 KTX로 2시간 5분, 새마을호로 3시간 5분 정도 걸린다.[1] 무등역과 와룡역에는 현재 정차하는 여객열차가 없다.[1]한국철도 전라선은 다음과 같다.[1]
KTX는 고속철도 노선을 건설하고 있지만, 시내에 역을 설치할 계획은 없다.[1]
6. 2. 버스
김제종합버스터미널은 2012년에 고속·시외 버스터미널이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고속버스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만 하루 8회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2시간 40분이다.[1] 시외버스는 동서울종합터미널행이 하루 7회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3시간 5분이다.[1] 전주행은 1시간에 3~5회 운행하며,[1] 그 외 익산, 부안군, 군산, 고창군, 대전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1]
6. 3. 공항
김제공항 건설이 계획되었으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의 건설 반대 운동으로 취소되었다.[1] 군산공항은 경비행장으로 변경될 계획이다.[2]7. 교육 기관
구분 | 학교명 |
---|---|
대학교 | 한국폴리텍V대학 전북캠퍼스 |
고등학교 | 김제고등학교 |
김제서고등학교 | |
김제여자고등학교 | |
지평선고등학교 | |
김제자영고등학교 | |
덕암고등학교 | |
덕암정보고등학교 |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금산고등학교 | |
만경고등학교 | |
만경여자고등학교 | |
중학교 | 금구중학교 |
금성중학교 | |
김제중앙중학교 | |
김제중학교 | |
덕암중학교 |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금산중학교 | |
만경여자중학교 | |
만경중학교 | |
봉남중학교 | |
용지중학교 | |
지평선중학교 | |
청하중학교 | |
한들중학교 |
8. 문화
김제는 다양한 축제와 문화유산으로 유명하다. 김제 지평선 축제 외에도 모악산도립공원에서 열리는 모악산 뮤직페스티벌, 하소백련축제, 광활 햇감자축제, 남포들녁보리문화축제, 추억의 보리밭축제 등이 있다.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는 모악산도립공원, 김산사, 한국 최고(最古)의 저수지인 벽골제와 벽골제비가 있다.
8. 1. 김제 지평선 축제
김제 지평선 축제는 김제시에서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리적 특징을 살려 개최하는 축제이다. 벽골제 지역에서 열리는 이 축제에는 매년 백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방문한다. 김제 지평선 축제는 사물놀이 경연대회, 농촌 풍경 그림 그리기 대회, 축하 공연, 거리 퍼레이드, 씨름, 전통 혼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3] 김제는 한국에서 내륙 지역에서 지평선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이 축제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4년 연속 '우수 축제'로 선정되었으며, 도시 주민들에게 전통적인 농업 방식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4]8. 2. 기타 축제
김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들이 열린다.- 김제 지평선 축제: 김제는 하늘과 땅이 만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지리적 특징을 반영하여 '김제 지평선 축제'가 벽골제 지역에서 개최된다. 매년 백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방문하며, 사물놀이 경연대회, 농촌 풍경 그림 그리기 대회, 축하 공연, 거리 퍼레이드, 씨름, 전통 혼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3] 김제는 한국에서 내륙 지역에서 지평선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으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4년 연속 '우수 축제'로 선정되었다. 또한 도시 주민들에게 전통적인 농업 방식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4]
- 모악산도립공원 [https://www.gimje.go.kr/tour/index.gimje?menuCd=DOM_000000309003000000 모악산 뮤직페스티벌]
- [https://web.archive.org/web/20140318045435/http://tour.gimje.go.kr/index.sko?menuCd=BQ04002002000 하소백련축제]
- [https://web.archive.org/web/20140318053003/http://gwanghwal.gimje.go.kr/index.sko?menuCd=CO04007000000 광활 햇감자축제]
- [https://web.archive.org/web/20140318061040/http://seongdeok.gimje.go.kr/index.sko?menuCd=CI04007002000 남포들녁보리문화축제]
- [https://web.archive.org/web/20140318052434/http://jinbong.gimje.go.kr/index.sko?menuCd=CJ06001000000 추억의 보리밭축제]
9.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날짜 |
---|---|---|
대한민국한국어 | 강원도 동해시 | 1999년 4월 27일 |
대한민국한국어 | 경상북도 구미시 | 1998년 12월 2일 |
대한민국한국어 | 서울특별시 은평구 | 2013년 9월 24일 |
대한민국한국어 | 전라남도 완도군 | 2017년 4월 24일 |
대한민국한국어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16년 6월 2일 |
중국중국어 | 장쑤성 남통시 | 1997년 |
일본일본어 | 구마모토현 키쿠치시 | 1985년 |
10.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History of Gimje county
http://www.gimje.go.[...]
2018-04-01 #dead link date
[3]
웹사이트
Gimje Horizon Festival (김제 지평선축제)
http://english.visit[...]
2013-08-12
[4]
뉴스
The best festival in 4 years
http://news.naver.co[...]
Yeonhap News
2007-12-23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법률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7]
법률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8]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32号
1931-10-20
[10]
행정
전주군 우림면 청도리 편입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6호
1935-01-26
[12]
법률
전라북도령 제1호
1935-01-30
[13]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14]
법률
大統領令第14434号
[1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6]
행정
군산시 대야면, 회현면, 김제시, 부안군 일원 해당
[17]
행정
고군산군도 소속 변경
[18]
뉴스
1호 방조제는 부안, 2호 방조제는 김제…새만금 땅주인 5년만에 조정
https://news.v.daum.[...]
조선일보
2015-10-27
[19]
공고
매립지 등이 속할 지방자치단체 결정 공고
http://www.mois.go.k[...]
행정자치부
2015-11-13
[20]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1]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2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6호
1935-01-26
[25]
법률
전라북도령 제1호
1935-01-30
[26]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27]
법률
대통령령 제14434호
[28]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9]
조례
김제시 조례 제121호
[30]
조례
김제시 조례 제245호
[31]
조례
김제시 조례 제778호
[32]
뉴스
새만금방조제 전 구간 지적등록 완료
http://www.domin.co.[...]
전북도민일보
2016-06-16
[33]
뉴스
새만금방조제 지번 부여 논란…군산 반발, 김제시는 환영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6-06-20
[34]
기타
김제시 각 읍면동 홈페이지 일반현황 면적
2017-06-07
[3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11-01
[36]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