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머스코기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스코기어족은 앨라배마어, 치카소어, 촉토어, 머스코기어, 코아사티어, 미카수키어 등 6개의 언어로 구성된 언어족이다. 메리 하스의 동-서 분류가 주로 사용되며, 서부에는 치카소어와 촉토어가, 동부에는 머스코기어, 미카수키어, 아팔라치어-앨라배마-코아사티어가 속한다. 머스코기어족에 속한다고 여겨지는 야마시족과 구알레족의 언어, 플로리다 걸프 해안의 여러 부족 언어, 코피타체키족의 언어, 후마족의 어휘 등이 연구되고 있다. 머스코기어족은 명사, 동사의 특징을 가지며, 원시 머스코기어의 자음 체계가 재구성되었다. 머스코기어족과 다른 언어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가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머스코기어족
개요
유형어족
사용 지역미국 남동부
역사
조어원시 머스코기어
하위 어족
동부 머스코기어족앨라배마어
코아사티어
히치티-미카수키어
머스코기어
아팔라치어
서부 머스코기어족촉토어
치카소어

2. 분류

머스코기어족의 분류는 학자마다 이견이 있지만, 크게 서부와 동부 머스코기어어파로 나뉜다는 메리 하스(Mary Haas)의 분류가 널리 받아들여진다. 파멜라 문로(Pamela Munro)는 남부와 북부 머스코기어어파로 나누는 분류를 제안했으며, 제프리 킴볼(Geoffrey Kimball)은 서부, 동부, 중부의 세 그룹으로 나누는 분류를 제시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12]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하위 그룹은 초크토-치카소어파, 알라바마-코아사티어파, 히치티-미카수키어파, 머스코기어파이다.[3][4][5]

2. 1. 서부 머스코기어어파

서부 머스코기어어파에는 다음 두 언어가 속한다.

  • 치카소어
  • 촉토어

2. 2. 동부 머스코기어어파

동부 머스코기어어파에는 머스코기어(크리크-세미놀), 미카수키어(히치티-미카수키), 아팔라치어†, 앨라배마어, 코아사티어가 있다.

메리 하스(Mary Haas)의 동-서 분류가 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파멜라 문로(Pamela Munro)는 남부 머스코기어어파(히치티-미카수키, 알라바마-코아사티, 촉토-치카소)와 북부 머스코기어어파(머스코기)로 나누는 분류를 제안했다. 제프리 킴볼(Geoffrey Kimball)은 서부(촉토-치카소), 동부(머스코기), 중부(알라바마-코아사티, 히치티-미카수키)로 나누는 분류를 제시했지만, 하스나 문로만큼 지지를 받지 못했다.[12]

2. 3. 기타

현재 사용되는 머스코기어족에는 앨라배마어, 치카소어, 촉토어, 머스코기어(크리크-세미놀), 코아사티어, 미카수키어(히치티-미카수키) 등 총 6개의 언어가 있다.[1]

오늘날에는 메리 하스(Mary Haas)의 동-서 분류가 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여러 이론이 공존한다.

  • 서부
  • * 치카소어
  • * 촉토어
  • 동부
  • * 크리크-세미놀어
  • * 히치티-미카수키어
  • * Apalachee–Alabama–Koasati
  • ** 아팔라치어†
  • ** 앨라배마어
  • ** 코아사티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하위 그룹은 초크토-치카소어파, 알라바마-코아사티어파, 히치티-미카수키어파, 머스코기어파이다.[3][4][5]

3. 특징

메리 하스는 걸프어족 가설을 통해 머스코기어족과 아타카파어, 키티마차어, 투니카어, 나체즈어와 같은 미국 남동부의 여러 고립어를 포함하는 거대어족을 제시했다.[13][23] 그러나 역사 언어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가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3][23] 다만, 일부 머스코기어족 학자들은 여전히 머스코기어족이 나체즈어와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24]

Broadwellcrk (1992)에 따른 5개 머스코기어족 언어의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다.[25]

의미칙사우어초크토어알라바마어미카수키어머스코기어
모두mõmamõmaóyhamaamos-omalka
hottokhitokchobihistotolhambiiisso
ittakoba'iffokaikfilampinalhki
ishtochitocobacoob-lhakkii
foshi'hoshifoosifoosifoswa
물다kisilikopoolikachalhlhikabalikciakkita
검은losalosalocaloocilasti
issishissishlhakhanipicikcicaati
foni'fonicokfoni-fooniiffoni
가슴ip shikip shikpisiowaacihokpi
태우다lowalowahlibatliyill-noklhita
발톱iyyakchoshiyyakchoshiyyaksiiiyakoosiilinkososwa
구름hoshontihoshõtionoolicihosotiaholocii
kapassakapassakasatkakapaalikasappi
오다mintim tiilaont-atita
죽다illiilliilliil-ilita
ofi'ofiifaiifiifa
마시다ishkoishkoiskoisk-iskita
마른shilashilasolotkasokook-kalhpii
haksibishaksobishhakcohacoobihakco
yakni'yakniihaaniyakniiikana
먹다impapaipaimp-hompita
akankoshi'akãkoshiakaakocóòsionaasicostaki
ishkinnishkinittilhiititolhwa
기름nihabilanitokciniihinihaa
lowaklowaktikbaiititootka
물고기nani'nanilhalholhaalhilhalho
날다wakaahikawakaykayakaal-tamkita
iyyi'iyyiiyyiiyiili
가득찬kayyakayyakayyalabaknifackita
주다imaimainkaiik-imita
좋은chokmaachokmakanohiilhih lhi
녹색okchamaliokchamaaliokcakkohonotbitalakcilaani
머리카락pãshi'/hishi'pãshi/hishihissitokisiissi
ilbakibbakilbiilbiinki
머리ishkobo'noshkoboisbakkoyoosiika
듣다hánglohaklohaalohakl-pohita
심장chõkashchõkashconoskaconosbifiiki
lapishlapishlapihcilap-iyapi
ano'anoanaaaniani
죽이다abiabiibiill ciliicita
무릎iyyinto'lhka'iyyi kalaahaittôlhpatolhpitolhkowa
알다ithánaikhanasobayliataalhkilhlhita
눕다tí'watalaayabaláàlitalaalwakkita
salakhasalakhaillopilopilopi
falaafalaayabaskibackicapki
issapissapichahicahciicka
남자hattak nakni'hattak nakninaaninaknihonanwa
많은lawalawalawaaconkisolkii
고기nipi'nipinipoakniapiswa
onchabahabikbokkoscaahaiikanhalwii
itiitialbiicokhalbiicicokwa
이름holhchifohohchifoholcifahocilkihocifka
nokhistapikkõlanokbinokbinokwa
새로운himittahimmonahahpahimacimocasi
oklhili'ninaktankaniilhakinilhii
ibichchala'ibishakniibisaaniibiyopoo
아니다ki'yokiiyománkomaatimonks
하나chaffaachaffacaffaakalhaaminhamkin
사람hattakhattakaatiyaatiisti
ombaõbaoybaokoob-oskita
빨간hommahommahommakitiscicaati
hina'hinahinihininini
뿌리haksishhakshishassikciaskiyalomka
둥근lhiboktakalaahabonotkapolockipolooki
말하다aachiaachimankakaacmaakita
모래shinokshinoksancosamoocioktaaha
보다p sap sahichahicahicita
씨앗nihi'nihihilhikciyiilhinilhka
앉다bínni'libiniilicokóòlicokool-leykita
가죽hakshophakshopaffakcihalbihalhpi
자다nosinosinocinooc-nocita
작은iskanno'siosicinoofawink-cotki
연기shobohlishobohlisobotliockociikkoci
서다híkki'yahikiiyalokóòlilokookahoylhita
foshikfichikhociilhiowaacikikocacampa
tali'talitalitalicato
hashi'hashihasihaasihasi
헤엄치다yopiokshiniilioohapkaopahk-omeyyita
꼬리hasimbishhas bishacihaacihaci
yammamaakkimama
yappapayayaya
ishno'chishnoisnacihn-ciimi
isõlashittõlasicoolaksicokolaasitolaaswa
noti'notiinnati-nootinoti
나무itti'ittiittoahiito
toklotoklotôklotoklanhokkoolin
걷다nõwanowaciyahlicayahlyakapita
따뜻한(뜨거운)lashpalashpaikbahãyyihayyita
oka'okaokiookioywa
우리poshno'pishnoposnapohnipoomi
무엇nantanatahnáàsinaakinaaki
tohbitohbihatkahatkihatki
누구katakatahnáksinoolh-isteyma
여자ihooohooyotayyitaykihoktii
노란laknalaknalaanalaknilaanii


3. 1. 명사

몇몇 드물게 기록된 언어들이 머스코기어족 언어로 여겨져 왔다. 조지 브로드웰은 야마시족과 구알레족의 언어가 머스코기어족이라고 제안했다.[13][14] 그러나 윌리엄 스터티번트는 "야마시"와 "구알레" 자료가 머스코기어족이고 야마시족과 구알레족이 사용했던 언어는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5] 야마시족은 여러 다른 민족 집단의 혼합체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단일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수 있다. 체스터 B. 드프래터는 야마시족을 주로 히치티어와 구알레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었다고 설명한다.[16] 역사가 스티븐 오아티스 또한 야마시족을 초기 식민 시대의 히치티, 코웨타, 커시타 부족 마을 등 머스코기어족이 사용하는 지역 출신의 사람들을 포함한 민족적으로 혼합된 집단으로 묘사한다.[17]

플로리다 걸프 해안의 빅 벤드 해안에서 펜사콜라 만에 이르기까지 살았던 아마카노족, 차카토족, 치네족, 파카라족, 펜사콜라족은 같은 머스코기어족 언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초크토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18][19][20][21]

부족한 증거는 남동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코피타체키 최고 족장의 사람들 중 적어도 일부가 머스코기어족 언어를 사용했음을 나타낸다. 만약 그렇다면, 그것은 머스코기어족의 가장 동쪽 거점이 된다. 코피티체키 사람들은 17세기 후반에 근처의 시우어족과 이로쿼이어족 사용자들에게 흡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2]

후마족의 어휘는 또 다른 미기록 서부 머스코기어족 언어이거나 서부 머스코기어족을 기반으로 한 피진인 모빌리안 저건일 수 있다.

3. 2. 동사

메리 하스(Mary Haas)는 걸프어족 가설을 통해 머스코기어족과 미국 남동부의 여러 고립어(language isolate), 즉 아타카파어, 키티마차어, 투니카어, 나체즈어를 포함하는 거대어족을 제시했다. 걸프어족 분류는 잘 알려져 있지만, 현재 역사 언어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가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3][23] 그러나 일부 머스코기어족 학자들은 여전히 머스코기어족이 나체즈어와 관련이 있다고 믿고 있다.[24]

3. 3. 어휘

Broadwellcrk (1992)의 5개 머스코기어족 언어의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다.[25]

의미칙사우어초크토어알라바마어미카수키어머스코기어
모두mõmamõmaóyhamaamos-omalka
hottokhitokchobihistotolhambiiisso
ittakoba'iffokaikfilampinalhki
ishtochitocobacoob-lhakkii
foshi'hoshifoosifoosifoswa
물다kisilikopoolikachalhlhikabalikciakkita
검은losalosalocaloocilasti
issishissishlhakhanipicikcicaati
foni'fonicokfoni-fooniiffoni
가슴ip shikip shikpisiowaacihokpi
태우다lowalowahlibatliyill-noklhita
발톱iyyakchoshiyyakchoshiyyaksiiiyakoosiilinkososwa
구름hoshontihoshõtionoolicihosotiaholocii
kapassakapassakasatkakapaalikasappi
오다mintim tiilaont-atita
죽다illiilliilliil-ilita
ofi'ofiifaiifiifa
마시다ishkoishkoiskoisk-iskita
마른shilashilasolotkasokook-kalhpii
haksibishaksobishhakcohacoobihakco
yakni'yakniihaaniyakniiikana
먹다impapaipaimp-hompita
akankoshi'akãkoshiakaakocóòsionaasicostaki
ishkinnishkinittilhiititolhwa
기름nihabilanitokciniihinihaa
lowaklowaktikbaiititootka
물고기nani'nanilhalholhaalhilhalho
날다wakaahikawakaykayakaal-tamkita
iyyi'iyyiiyyiiyiili
가득찬kayyakayyakayyalabaknifackita
주다imaimainkaiik-imita
좋은chokmaachokmakanohiilhih lhi
녹색okchamaliokchamaaliokcakkohonotbitalakcilaani
머리카락pãshi'/hishi'pãshi/hishihissitokisiissi
ilbakibbakilbiilbiinki
머리ishkobo'noshkoboisbakkoyoosiika
듣다hánglohaklohaalohakl-pohita
심장chõkashchõkashconoskaconosbifiiki
lapishlapishlapihcilap-iyapi
ano'anoanaaaniani
죽이다abiabiibiill ciliicita
무릎iyyinto'lhka'iyyi kalaahaittôlhpatolhpitolhkowa
알다ithánaikhanasobayliataalhkilhlhita
눕다tí'watalaayabaláàlitalaalwakkita
salakhasalakhaillopilopilopi
falaafalaayabaskibackicapki
issapissapichahicahciicka
남자hattak nakni'hattak nakninaaninaknihonanwa
많은lawalawalawaaconkisolkii
고기nipi'nipinipoakniapiswa
onchabahabikbokkoscaahaiikanhalwii
itiitialbiicokhalbiicicokwa
이름holhchifohohchifoholcifahocilkihocifka
nokhistapikkõlanokbinokbinokwa
새로운himittahimmonahahpahimacimocasi
oklhili'ninaktankaniilhakinilhii
ibichchala'ibishakniibisaaniibiyopoo
아니다ki'yokiiyománkomaatimonks
하나chaffaachaffacaffaakalhaaminhamkin
사람hattakhattakaatiyaatiisti
ombaõbaoybaokoob-oskita
빨간hommahommahommakitiscicaati
hina'hinahinihininini
뿌리haksishhakshishassikciaskiyalomka
둥근lhiboktakalaahabonotkapolockipolooki
말하다aachiaachimankakaacmaakita
모래shinokshinoksancosamoocioktaaha
보다p sap sahichahicahicita
씨앗nihi'nihihilhikciyiilhinilhka
앉다bínni'libiniilicokóòlicokool-leykita
가죽hakshophakshopaffakcihalbihalhpi
자다nosinosinocinooc-nocita
작은iskanno'siosicinoofawink-cotki
연기shobohlishobohlisobotliockociikkoci
서다híkki'yahikiiyalokóòlilokookahoylhita
foshikfichikhociilhiowaacikikocacampa
tali'talitalitalicato
hashi'hashihasihaasihasi
헤엄치다yopiokshiniilioohapkaopahk-omeyyita
꼬리hasimbishhas bishacihaacihaci
yammamaakkimama
yappapayayaya
ishno'chishnoisnacihn-ciimi
isõlashittõlasicoolaksicokolaasitolaaswa
noti'notiinnati-nootinoti
나무itti'ittiittoahiito
toklotoklotôklotoklanhokkoolin
걷다nõwanowaciyahlicayahlyakapita
따뜻한(뜨거운)lashpalashpaikbahãyyihayyita
oka'okaokiookioywa
우리poshno'pishnoposnapohnipoomi
무엇nantanatahnáàsinaakinaaki
tohbitohbihatkahatkihatki
누구katakatahnáksinoolh-isteyma
여자ihooohooyotayyitaykihoktii
노란laknalaknalaanalaknilaanii


4. 원시 머스코기어

대부분의 머스코기어족 언어는 명사와 문법적 격에 어휘적 강세를 보이는데, 이는 주격과 사격을 구분한다. 명사는 성이나 수에 대해 의무적으로 어미 변화를 하지 않는다.

원시 머스코기어족은 다음과 같은 자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재구성된다(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26]



Haas가 및 로 재구성한 음소는 모든 머스코기어족 언어에서 및 (또는 [27])로 나타난다.[28]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이를 및 로 재구성한다.[10][29] 는 머스코기어족 언어 중 머스코기어를 제외한 모든 자손 언어에서 로 나타나며, 머스코기어에서는 어두에서 로, 어중에서 로 나타난다. 관례적으로 (또는 )로 표기되는 원시 음소의 값은 알 수 없다.[30] 서머스코기어족 언어에서는 로, 동머스코기어족 언어에서는 로 나타난다. Haas는 부분적으로 나체즈어의 추정적인 동족어를 기반으로 이를 무성 (즉, )로 재구성했다.[10][31]

5. 언어 간 관계

머스코기어족은 크게 동부와 서부 어군으로 나뉜다. 서부 어군에는 치카소어와 촉토어가 속하며, 동부 어군에는 머스코기어(크리크-세미놀), 미카수키어(히치티-미카수키), 아팔라치어(Apalachee|아팔라체apc), 앨라배마어, 코아사티어가 속한다. 이 중 아팔라치어는 사멸했다.[1]

메리 하스(Mary Haas)의 동-서 분류가 현재 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학자들 사이에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1]

메리 하스(Mary Haas)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서부
  • * 치카소어
  • * 촉토어
  • 동부
  • * 크리크-세미놀어
  • * 히치티-미카수키어
  • * Apalachee–Alabama–Koasati
  • ** 아팔라치어†
  • ** 앨라배마어
  • ** 코아사티어

6. 사회문화적 의의

머스코기어족은 언어, 부족, 역사 등 여러 측면에서 사회문화적 의의를 지닌다.

머스코기어족에는 앨라배마어, 치카소어, 촉토어, 머스코기어(크리크-세미놀), 코아사티어, 미카수키어(히치티-미카수키) 등 총 6개의 언어가 속한다.[1]

메리 하스(Mary Haas)의 동-서 분류는 오늘날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서부동부


6. 1. 부족

머스코기어족에 속하는 부족은 현재 6개의 언어를 사용하며, 이들은 앨라배마어, 치카소어, 촉토어, 머스코기어(크리크-세미놀), 코아사티어, 미카수키어(히치티-미카수키)이다.

오늘날 주로 받아들여지는 메리 하스(Mary Haas)의 동-서 분류는 다음과 같으나, 여러 이론이 공존한다.[1]

  • 서부
  • 치카소어
  • 촉토어
  • 동부
  • 크리크-세미놀어
  • 히치티-미카수키어
  • 아팔라치-앨라배마-코아사티 (Apalachee–Alabama–Koasati)
  • 아팔라치어†
  • 앨라배마어
  • 코아사티어

6. 2. 역사적 사건

머스코기어족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원본 자료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머스코기어족에 속하는 언어들과 그 분류에 대한 정보만을 간략하게 제시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머스코기어족에는 앨라배마어, 치카소어, 촉토어, 머스코기어(크리크-세미놀), 코아사티어, 미카수키어(히치티-미카수키) 등 총 6개의 언어가 있다.

오늘날에는 메리 하스(Mary Haas)의 동-서 분류가 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다.

서부동부


7. 현대적 상황

(머스코기어족의 현대적 상황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원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NRHP Dr. Chester B. DePratter, "The Foundation, Occupation, and Abandonment of Yamasee Indian Towns in the South Carolina Lowcountry, 1684-1715"
[17] 서적 A Colonial Complex: South Carolina's Frontiers in the Era of the Yamasee War, 1680–1730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8] 서적 The Native American World Beyond Apalache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The Juan Pardo Expedition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23] 서적
[24] 서적
[25] 논문 Reconstructing Proto-Muskogean Language and Prehistory: Preliminary Results http://citeseerx.ist[...]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