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는 1957년 말레이시아의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시작된 국제 축구 대회이다. 말레이시아가 1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11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197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차범근을 비롯한 스타 선수들이 활약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대회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2000년대 이후 이 대회에 참가하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국제 핸드볼 연맹 주관으로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들이 경쟁하는 국제 대회이며, 1957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루마니아가 유일하게 모든 대회에 참가했고, 소련이 최다 우승, 대한민국도 1995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
  • 195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남미 야구 선수권 대회
    남미 야구 선수권 대회는 남미 국가들이 참가하는 야구 대회로, 1957년 시작되어 브라질이 금메달 8개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2024년과 2026년 대회는 페루 리마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국제 친선 축구 대회 - 발틱컵
    발트 3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발틱컵은 주변 국가들이 초청되어 참가하기도 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소련 점령기에 중단되었다가 발트 3국 독립 이후 재개되어 발트 3국의 축구 발전과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 국제 친선 축구 대회 - 아라비안 걸프컵
    아라비안 걸프컵은 걸프 지역 국가들의 축구 선수권 대회로, 쿠웨이트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정치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제적 위상을 높여왔다.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대회 정보
이름메르데카 국제 축구 대회
영어 이름Merdeka Tournament
주최FAM
창립1957년
지역국제
참가 팀 수4 (2024년)
현재 챔피언말레이시아 (13번째 우승)
최다 우승팀말레이시아 (13회 우승)
현재 대회2024년 메르데카 토너먼트

2. 역대 대회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는 1957년부터 시작된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대회이다.[6][7][8][9]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미니 아시아컵'으로 불릴 정도로 권위 있는 대회였으나,[10][11] 1980년대 이후 FIFA 월드컵AFC 아시안컵 예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위상이 점차 낮아졌다.[15]

초대 대회는 1957년에 열렸으며 홍콩이 우승했다.[16] 이후 말레이시아(10회 우승), 대한민국(7회 우승), 인도네시아, 대만, 미얀마 등이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17] 모로코, 뉴질랜드, 우즈베키스탄 등 아시아 외 국가나 클럽팀이 우승한 경우도 있다.[17]

대한민국은 1960년 말레이시아와 공동 우승으로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70년에는 단독 우승을 차지했다.[17] 1970년대에는 5번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지만, 1980년대 이후로는 B팀을 주로 파견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참가하지 않고 있다.

다음은 역대 대회 결과 요약이다.[19][20]

횟수연도우승준우승대한민국 성적
11957불참
21958불참
319595위
41960
공동 우승
51961예선 탈락
619624위
719634위
819644강
91965
공동 우승
1019664위
111967
공동 우승
121968예선 탈락
131969대한민국 B팀 5위
141970우승
1519713위
161972우승
171973불참
181974준우승
191975우승
2019763위
211977우승
221978우승
231979대한민국 B팀
대한민국 B팀 공동 우승
241980대한민국 B팀 3위
251981상파울루주 선발팀대한민국 B팀 조별리그 탈락
261982산타카타리나주 선발팀불참
271983부에노스아이레스 선발팀불참
281984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미나스제라이스주 선발팀대한민국 B팀 우승
291985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아메리카 FC대한민국 B팀 우승
301986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불참
311987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불참
321988함부르크 SV티롤 인스브루크불참
1989-1990대회 미개최불참
331991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불참
1992대회 미개최불참
341993대한민국 B팀 (상비군)대한민국 B팀 준우승
1994대회 미개최불참
351995버셔시 SC불참
1996-1999대회 미개최불참
362000불참
372001불참
2002-2005대회 미개최불참
382006불참
392007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불참
402008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불참
2009-2012대회 미개최불참
412013U-23 올림픽 축구대표팀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불참
2014-2019대회 미개최불참


2. 1. 1957년 ~ 1970년: 초기 대회와 대한민국의 첫 우승

대회 첫 우승 (공동 우승)51961예선 탈락619624강 진출 (4위)719634위819644강 진출91965
우승 (공동 우승)1019664위111967
우승 (공동 우승)121968예선 탈락131969대한민국 B팀 예선 탈락 (5위)141970우승 (대회 첫 단독 우승)[17]



1960년 대회에서 대한민국말라야 연방과 공동 우승을 차지하며 첫 우승을 기록했다.[17] 1970년 대회에서는 버마를 1-0으로 꺾고 첫 단독 우승을 차지했다.[17] 이 경기 영상은 대한뉴스 제790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PJwgkgyJz4 영상])

이 시기 대한민국 대표팀은 박이천, 김정남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하며 아시아 축구 강국으로 성장했다.

2. 2. 1971년 ~ 1980년: 대한민국의 전성시대

1970년대는 대한민국 대표팀의 메르데카컵 전성기였다. 대한민국은 1970년 대회에서 첫 단독 우승을 차지한 이후, 1972년, 1975년, 1977년, 1978년 대회에서 우승하며 총 5회 우승을 기록했다.[19][20] 1971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고, 1974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19][20] 1976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19][20] 1979년에는 대한민국 B팀이 말레이시아와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19][20]

이 시기 대한민국 축구는 차범근, 허정무, 김호곤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하며 황금기를 맞이했다. 특히, 차범근은 1970년대 메르데카컵에서 21골을 기록하며 대회 최다 득점자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

연도대회결과
19701970우승
197119713위
19721972우승
19741974준우승
19751975우승
197619763위
19771977우승
19781978우승
19791979공동 우승 (대한민국 B팀)


2. 3. 1981년 ~ 2000년: 대회 위상 변화와 대한민국의 성적

1980년대 이후,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FIFA 월드컵AFC 아시안컵 예선에 더 집중하면서 메르데카컵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15] 대한민국은 1984년과 1985년에 B팀 (88 올림픽팀)을 파견하여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지만,[17] 이전만큼의 압도적인 성적은 거두지 못했다. 1993년에는 대한민국 B팀이 참가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

횟수연도우승준우승비고
251981이라크상파울루주 선발팀대한민국 B팀 (충무) 조별리그 탈락
261982산타카타리나주 선발팀가나
271983부에노스아이레스 선발팀알제리
281984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미나스제라이스주 선발팀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 우승
291985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아메리카 FC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 우승
301986말레이시아체코슬로바키아 U-23 올림픽 축구대표팀
311987체코슬로바키아 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321988함부르크 SV티롤 인스브루크
align=center|1989-1990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31991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중국 U-23 올림픽 축구대표팀
align=center|1992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41993말레이시아대한민국 B팀 (상비군)대한민국 B팀 (상비군) 준우승
align=center|1994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51995이라크버셔시 SC
align=center|1996-1999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62000뉴질랜드말레이시아대한민국 대회 불참


2. 4. 2001년 ~ 현재: 최근 대회와 대한민국

2000년대 이후 메르데카컵은 주로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쟁으로 축소되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0년대 이후에는 이 대회에 참가하지 않고 있다.

횟수연도우승준우승비고
362000대한민국 대회 불참
372001대한민국 대회 불참
2002-2005대회 미개최대한민국 대회 불참
382006대한민국 대회 불참
392007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한민국 대회 불참
402008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한민국 대회 불참
2009-2012대회 미개최대한민국 대회 불참
412013U-23 올림픽 축구대표팀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한민국 대회 불참
2014-2019대회 미개최대한민국 대회 불참


3. 기록과 통계

메르데카컵은 1957년부터 시작된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대회 중 하나로,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미니 아시아컵'으로 불릴 정도로 권위 있는 대회였다.[10][11] 1980년대 이후 FIFA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 집중하면서 관심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많은 기록과 통계를 남겼다.

횟수연도우승준우승영상비고
11957대회 불참
21958대회 불참
319595위
41960
수상팀 없음대회 첫 우승 (공동 우승)
51961예선 탈락
619624강 진출 (4위)
719634위
819644강 진출
91965
수상팀 없음우승 (공동 우승)
1019664위
111967
수상팀 없음우승 (공동 우승)
121968예선 탈락
131969대한민국 B팀 예선 탈락 (5위)
141970[https://www.youtube.com/watch?v=iPJwgkgyJz4 대한민국 vs 버마 (결승전) - 대한뉴스 제790호]우승
1519714강 진출 (3위)
161972우승
171973대회 불참
181974준우승
191975우승
2019763위
211977우승
221978우승
231979대한민국 B팀
수상팀 없음대한민국 B팀 우승 (공동 우승)
241980대한민국 B팀 (충무) 3위
251981상파울루주 선발팀대한민국 B팀 (충무) 조별 리그 탈락
261982산타카타리나주 선발팀
271983부에노스아이레스 선발팀
281984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미나스제라이스주 선발팀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 우승
291985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아메리카 FC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 우승
301986U-23 올림픽 축구대표팀
311987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321988함부르크 SV티롤 인스브루크
align=center|1989-1990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31991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U-23 올림픽 축구대표팀
align=center|1992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41993대한민국 B팀 (상비군)대한민국 B팀 (상비군) 준우승
align=center|1994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51995버셔시 SC
align=center|1996-1999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62000대회 불참
372001대회 불참
align=center|2002-2005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382006대회 불참
392007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회 불참
402008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회 불참
align=center|2009-2012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412013U-23 올림픽 축구대표팀U-23 올림픽 축구대표팀대회 불참
align=center|2014-2019수상팀 없음수상팀 없음대회 미개최





말레이시아/말라야는 10번의 우승과 8번의 준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과 2번(1960년, 1979년)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7번 우승했다. 이외에도 인도네시아, 대만, 미얀마 등이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경기비율
1목타르 다하리 말레이시아50360.72[21]
2가마모토 구니시게 일본18221.22[22]
3압둘 카디르 인도네시아36220.61[23]
4차범근 대한민국34210.62[24]
5압둘 가니 민핫 말레이시아32190.60[25]



연도선수
1986크리샤누 데이
자이날 아비딘 하산

6
1987바츨라프 다넥6
1988페터 파쿨트FC 티롤 인스브루크5
1991에른스트 오그리스SK 아드미라 바커4
1993페타르 알렉산드로프FC 아라우4
1995이우영B팀3
2000크리스 킬렌3
2001바흐티요르 하미둘라예프
후세인 알리

3
2006인드라 푸트라 마하유딘3
2007사피 살리4
2008사피 살리 (2)5
2013로자이미 라흐만3
20238명의 선수

1
20245명의 선수

1



이 대회에서는 목타르 다하리(말레이시아), 가마모토 구니시게(일본), 압둘 카디르(인도네시아), 차범근(대한민국) 등 아시아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활약했다.



1963년 대회에서 데트마어 크라머 감독이 이끄는 일본은 준우승을 차지하며 도쿄 올림픽 8강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26] 당시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 회장이자 총리였던 툰쿠 압둘 라만은 일본 대표팀의 선전에 감격하여 눈물을 글썽였다고 한다.[26][27][28]

3. 1. 국가별 우승 횟수

1957년 이후 국가대표팀 (청소년 대표팀 포함) 기록
#우승준우승총합
1align=left|13820
2align=left|11314
3align=left|459
4align=left|336
5align=left|224
6align=left|202
align=left|202
8 홍콩 리그 XI112
align=left|112
10align=left|101
align=left|101
align=left|101
align=left|101
14align=left|022
align=left|022
16align=left|011
align=left|011
align=left|011
align=left|011
align=left|011
align=left|011


3. 2. 대한민국 대표팀 역대 성적

대한민국은 1959년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5위를 기록하였다. 1960년 대회에서는 말레이시아와 공동 우승을 차지하며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1965년, 1967년에도 공동 우승을 차지했고, 1970년 대회에서는 버마를 꺾고 첫 단독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1972년, 1975년, 1977년, 1978년에도 우승을 차지하며 메르데카 대회에서 총 8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1980년대에는 대한민국 B팀(충무)과 88 올림픽팀이 참가하여 1984년과 1985년에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1974년과 1993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62년, 1964년, 1971년에는 4강에 진출했다. 1976년과 1980년에는 3위를 기록했다.

횟수연도대회 결과비고
319595위대회 최초 참가
41960공동 우승
51961예선탈락
619624강 진출 (4위)
719634위
819644강 진출
91965공동 우승
1019664위
111967공동 우승
121968예선탈락
131969대한민국 B팀 예선탈락 (5위)
141970우승[1]
1519714강 진출 (3위)
161972우승
181974준우승
191975우승
2019763위
211977우승
221978우승
231979대한민국 B팀공동 우승
241980대한민국 B팀 (충무)3위
251981대한민국 B팀 (충무)조별리그 탈락
281984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우승
291985대한민국 B팀 (88 올림픽팀)우승
321987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준우승
341993대한민국 B팀 (상비군)준우승



3. 3. 주요 선수

메르데카컵은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대회 중 하나로, 195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아시아 국가들이 최고의 선수들을 파견하여 권위를 인정받았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미니 아시아컵'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 대회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국가선수
말레이시아목타르 다하리, 소 친 안, 압둘 가니 민핫, 초 치 콩
인도P. K. 바네르지, 추니 고스와미, 인더 싱, 수닐 체트리
파키스탄무사 가지, 무함마드 우메르, 카윰 창게지
대한민국김재한, 차범근, 박성화, 이운재
일본가마모토 구니시게, 오쿠데라 야스히코, 하라 히로미
인도네시아압둘 카디르, 이스와디 이드리스
덴마크야콥 켈드베르, 야콥 라우르센
미얀마숙 바하두르
이라크후세인 사이드
가나아베디 펠레
뉴질랜드라이언 넬슨
잉글랜드케빈 키건



특히, 1963년 제7회 대회에서 데트마어 크라머 감독의 지도를 받은 일본대한민국과 비기고 타이완에 패했지만, 말레이시아, 태국, 남베트남을 꺾고 3승 1무 1패로 준우승을 차지하며 이듬해 도쿄 올림픽 8강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26] 당시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 회장이자 총리였던 툰쿠 압둘 라만은 일본 대표팀의 선전에 감격하여 눈물을 글썽였다고 한다.[26][27][28]

4. 한국 축구에 끼친 영향

메르데카컵은 대한민국 축구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미니 아시아컵'으로 불릴 정도로 권위 있는 대회였으며,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7번 우승하며 실력을 키웠다.[10][11][17] 1960년과 1979년에는 말레이시아와 공동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17]

메르데카컵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축구 발전에도 기여했다.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기념 토너먼트, 태국의 킹스컵 등 유사한 대회가 생겨나는 데 영감을 주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Stadium Merdeka soul of the nation https://web.archive.[...] New Straits Times 2015-08-30
[2] 웹사이트 Bring back Grand Old Lady of Asia https://web.archive.[...] New Straits Times 2019-02-25
[3] 뉴스 Diiktiraf perlawanan kelas A, ini 5 sebab Pesta Bola Merdeka patut dihidupkan semula https://majoriti.com[...] Majoriti.com 2022-09-20
[4] 웹사이트 ASIAN ICONS: TUNKU ABDUL RAHMAN PUTRA AL HAJ https://www.the-afc.[...] AFC 2018-01-13
[5] 웹사이트 OCM Sports Museum & Hall of Fame: Tunku Abdul Rahman https://olympic.org.[...] OCM 2019-01-15
[6] 웹사이트 Glory beckons Malaysia https://web.archive.[...] New Straits Times 2013-09-07
[7] 웹사이트 "Hari Merdeka" Observed in Seoul https://web.archive.[...] malaysia.or.kr 2008-09-02
[8] 웹사이트 Merdeka Cup To 'Restart' Again! India May Feature, Feels AIFF Chief https://web.archive.[...] MENAFN 2022-10-22
[9] 서적 Asiaweek https://books.google[...] Asiaweek Limited
[10] 웹사이트 Piala FAM, Pestabola Merdeka bakal kembali https://web.archive.[...] Bebas News 2022-03-02
[11] 웹사이트 India eye glory in 'mini Asia Cup' https://web.archive.[...] The Shillong Times 2023-10-13
[12] 웹사이트 Pestabola Merdeka: The legacy of Tunku Abdul Rahman Putra Al-Haj's Wisdom and Courage https://web.archive.[...] Legasi Lagenda 2023-08-15
[13] 웹사이트 Hope Floats For Stalled Merdeka Tournament https://web.archive.[...] New Straits Times 2022-03-02
[14] 웹사이트 Halcyon days of Malaysian football https://www.thestar.[...] 2017-08-31
[15] 웹사이트 Pestabola Merdeka Akan Dianjurkan Mengikut Kalendar FIFA https://www.semuanya[...] 2018-12-25
[16] 웹사이트 Sporting landmarks through the years https://www.thestar.[...] 2004-05-13
[17] 웹사이트 Happy 64th Independence Day - Legasi Lagenda https://legasilagend[...] 2021-08-31
[18] 웹사이트 FAM to invite three countries for Merdeka Tournament | New Straits Times https://www.nst.com.[...]
[19] 웹사이트 Merdeka Tournament https://www.internat[...] International football.net 2008-10-25
[20] 웹사이트 Merdeka Tournament (Malaysia)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5-09-10
[21] 웹사이트 Mohamed Mokhtar Dahari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2023-10-15
[22] 웹사이트 Kunishige Kamamoto - Goals in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19-10-15
[23] 웹사이트 Abdul Kadir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2022-02-05
[24] 웹사이트 Bum-Kun Cha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2023-03-30
[25] 웹사이트 Abdul Ghani Minhat – Goals in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22-02-05
[26] 서적 日本サッカー史 日本代表の90年 双葉社 2007-01
[27] 서적 日本サッカー遺産 ワールドカップ出場舞台裏の歴史と戦略 KKベストセラーズ 2009-06
[28] 웹사이트 クラマー取材ノートから(20)ムルデカ大会と日本 https://www.vivasocc[...] 2012-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