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국제 핸드볼 연맹(IHF)이 주관하는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이다. 1957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2023년까지 총 26번의 대회가 열렸다.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헝가리, 동독, 유고슬라비아, 소련, 독일, 대한민국, 덴마크, 노르웨이, 프랑스, 러시아, 브라질, 네덜란드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4개, 은메달 5개, 동메달 3개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월 스포츠 행사 - 인터콘티넨털컵 (축구)
인터콘티넨털컵은 유럽과 남미 최강 클럽들이 세계 최강을 가리는 대회로, 초기 홈 앤 어웨이 방식에서 1980년부터 일본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으며, FIFA 클럽 월드컵 창설 후 2004년 폐지되었으나 2025년부터 새로운 FIFA 인터콘티넨털컵이 개최될 예정이다. - 11월 스포츠 행사 - 인터콘티넨털컵 (축구)
인터콘티넨털컵은 유럽과 남미 최강 클럽들이 세계 최강을 가리는 대회로, 초기 홈 앤 어웨이 방식에서 1980년부터 일본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으며, FIFA 클럽 월드컵 창설 후 2004년 폐지되었으나 2025년부터 새로운 FIFA 인터콘티넨털컵이 개최될 예정이다. - 11월 스포츠 행사 - 뉴욕 마라톤
뉴욕 마라톤은 1970년 시작되어 뉴욕시 5개 자치구를 통과하는 코스로 진행되며, 세계 최대 규모의 마라톤 대회 중 하나이다. - 핸드볼 대회 - 아시아 핸드볼 선수권 대회
- 핸드볼 대회 - EHF 챔피언스리그
EHF 챔피언스리그는 유럽 핸드볼 연맹이 주관하는 최상위 클럽 핸드볼 대회로, 유럽 각국의 최강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 플레이오프, 8강, EHF 파이널4를 거쳐 최종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이며, 1993년 출범 이후 FC 바르셀로나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고, EHF는 브랜드 사운드 전략을 도입하여 리그와 토너먼트를 연결하고 있다.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핸드볼 |
창설 | 1957년 |
참가 팀 수 (결승) | 32팀 |
관할 | 국제 핸드볼 연맹(IHF) |
최근 대회 | 2023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
최다 우승 | 노르웨이, 러시아 (각 4회) |
역대 대회 | |
최근 우승팀 |
2. 역대 대회 결과
다음은 역대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의 결과이다.
연도 | 개최지 | 결승전 | 3-4위 결정전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1957년 | 유고슬라비아 | 체코슬로바키아 | 7 - 1 | 헝가리 | 유고슬라비아 | 9 - 6 | 동독 |
1962년 | 루마니아 | 루마니아 | 8 - 5 | 덴마크 | 체코슬로바키아 | 6 - 5 | 유고슬라비아 |
1965년 | 서독 | 헝가리 | 5 - 3 | 유고슬라비아 | 동독 | 11 - 10 | 체코슬로바키아 |
1971년 | 네덜란드 | 동독 | 11 - 8 | 유고슬라비아 | 헝가리 | 12 - 11 | 루마니아 |
1973년 | 유고슬라비아 | 유고슬라비아 | 16 - 11 | 루마니아 | 소련 | 20 - 12 | 헝가리 |
1975년 | 소련 | 동독 | 소련 | 헝가리 | 루마니아 | ||
1978년 | 체코슬로바키아 | 동독 | 소련 | 헝가리 | 체코슬로바키아 | ||
1982년 | 헝가리 | 소련 | 헝가리 | 유고슬라비아 | 동독 | ||
1986년 | 네덜란드 | 소련 | 30 - 22 | 체코슬로바키아 | 노르웨이 | 23 - 19 | 동독 |
1990년 | 대한민국 | 소련 | 24 - 22 | 유고슬라비아 | 구 동독[1] | 25 - 19 | 구 서독[1] |
1993년 | 노르웨이 | 독일 | 22 - 21 OT영어 | 덴마크 | 노르웨이 | 20 - 19 | 루마니아 |
1995년 | 오스트리아 / 헝가리 | 대한민국 | 25 - 20 | 헝가리 | 덴마크 | 25 - 24 | 노르웨이 |
1997년 | 독일 | 덴마크 | 33 - 20 | 노르웨이 | 독일 | 27 - 25 | 러시아 |
1999년 | 덴마크 / 노르웨이 | 노르웨이 | 25 - 24 2OT영어 | 프랑스 | 오스트리아 | 31 - 28 OT영어 | 루마니아 |
2001년 | 이탈리아 | 러시아 | 30 - 25 | 노르웨이 | 유고슬라비아 | 42 - 40 | 덴마크 |
2003년 | 크로아티아 | 프랑스 | 32 - 29 OT영어 | 헝가리 | 대한민국 | 31 - 29 | 우크라이나 |
2005년 | 러시아 | 러시아 | 28 - 23 | 루마니아 | 헝가리 | 27 - 24 | 덴마크 |
2007년 | 프랑스 | 러시아 | 29 - 24 | 노르웨이 | 독일 | 36 - 35 OT영어 | 루마니아 |
2009년 | 중국 | 러시아 | 25 - 22 | 프랑스 | 노르웨이 | 31 - 26 | 스페인 |
2011년 | 브라질 | 노르웨이 | 32 - 24 | 프랑스 | 스페인 | 24 - 18 | 덴마크 |
2013년 | 세르비아 | 브라질 | 22 - 20 | 세르비아 | 덴마크 | 30 - 26 | 폴란드 |
2015년 | 덴마크 | 노르웨이 | 31 - 23 | 네덜란드 | 루마니아 | 31 - 22 | 폴란드 |
2017년 | 독일 | 프랑스 | 23 - 21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24 - 21 | 스웨덴 |
2019년 | 일본 | 네덜란드 | 30 - 29 | 스페인 | 러시아 | 33 - 28 | 노르웨이 |
2021년 | 스페인 | 노르웨이 | 29 - 22 | 프랑스 | 덴마크 | 35 - 28 | 스페인 |
2023년 |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 | 프랑스 | 31 - 28 | 노르웨이 | 덴마크 | 28 - 27 | 스웨덴 |
2025년 | 독일/네덜란드 | ||||||
2027년 | 헝가리 |
* 1990년 대회에서는 독일이 이미 통일된 상태였으나 통일독일 팀이 아닌 구 동독과 구 서독 팀으로 참가[1]
2. 1. 상세 정보
(연장)(연장)
(재연장)
(연장)
(연장)
(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