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흐메트 오르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흐메트 오르한은 오스만 제국의 황족으로, 1909년 압뒬하미트 2세의 아들인 셰흐자데 메흐메트 압뒬카디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4년 오스만 제국이 폐지되고 황족들이 추방되면서 망명 생활을 시작, 헝가리, 레바논, 프랑스,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거주하며 다양한 직업을 전전했다. 1983년 오스만 가문의 수장이 되었으며, 1992년 터키를 잠시 방문한 후 프랑스에서 여생을 보내다 1994년 사망했다. 그는 세 번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 제국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메흐메트 5세
    메흐메트 5세는 1844년 이스탄불에서 태어나 1909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었지만, 청년 투르크당의 영향으로 실권 없는 꼭두각시 황제였으며,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등 통치 기간 동안 영토를 상실하고 1918년 사망했다.
  • 튀르키예계 프랑스인 - 올리비에 아사야스
    올리비에 아사야스는 프랑스 출신의 영화 감독, 각본가, 평론가로, 《카이에 뒤 시네마》에서 평론 활동을 시작하여 《무질서》로 장편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으며, 《이마 베프》, 《카를로스》 등의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튀르키예계 프랑스인 - 벤자민 스탐불리
    벤자민 스탐불리는 프랑스 국적의 축구 선수이며, 몽펠리에 HSC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팀을 거쳐 2024년 스타드 드 랭스에 입단했으며, 몽펠리에와 파리 생제르맹 소속으로 리그 우승 등을 경험했다.
  • 오스만 제국 사람 - 엔베르 호자
    엔베르 호자는 알바니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국가 지도자로, 알바니아 노동당 제1서기를 역임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스탈린주의에 기반한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독자적인 호자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알바니아를 통치했다.
  • 오스만 제국 사람 - 니코스 카잔차키스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20세기 그리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다양한 사상적 영향을 받아 인간의 자유, 실존적 문제, 종교적 갈등 등을 다룬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 등을 집필했으며, 여러 차례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메흐메트 오르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오르한 에펜디 알바니아 군복 차림
오르한 에펜디의 알바니아 군복 차림
이름메흐메트 오르한
로마자 표기Mehmet Orhan
오스만 문자محمد اور خان
출생1909년 10월 12일
출생 장소오스만 제국 이스탄불 나이메 술탄 궁전
사망1994년 3월 12일
사망 장소프랑스 니스
매장 날짜1994년 3월 14일
매장 장소프랑스 니스 동쪽 공동묘지
국적오스만 제국
알바니아
아르헨티나
프랑스
가문 정보
왕조오스만 왕조
아버지셰흐자데 메흐메트 압뒬카디르
어머니미흐리반 하늠
배우자나피아 하늠 (1932년 결혼, 1933년 이혼)
마르게리트 푸르니에 (1940년 결혼, 1945년 이혼)
프란체스카 프란체티 (1946년 결혼, 1951년 이혼)
자녀파트마 네클라 술탄
셰흐자데 메흐메트 셀림
아이텐 술탄
오스만 가문 수장
재위 기간1983년 12월 9일 – 1994년 3월 12일
이전 수장셰흐자데 알리 바습
다음 수장셰흐자데 에르투으룰 오스만

2. 생애

메흐메트 오르한은 압뒬하미트 2세의 손자이자 셰흐자데 메흐메트 압뒬카디르의 아들이었다. 아버지 압뒬카디르 왕자는 오스만 제국 육군 총사령관을 역임하였으나,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는 자식이 없었다. 이후 정식으로 결혼하지 않은 두 번째 부인에게서 메흐메트 오르한을 얻어, 왕실로부터 한동안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했다.

1922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 의해 술탄제가 폐지되고, 1924년에는 칼리파제마저 폐지되면서 오스만 황족들은 강제 추방되었다. 메흐메트 오르한 역시 가족과 함께 단 2,000파운드만을 가지고 외국으로 떠나야 했다.[16] 터키 대국민의회는 오스만 제국 황족들을 기피인물로 지정하고 재입국을 막았는데, 남자는 50년, 여자는 28년간 입국이 불허되었다.

메흐메트 오르한은 망명 이후 아르헨티나에서 조선 노동자, 베이루트다마스쿠스를 오가는 장거리 택시 운전기사, 프랑스에서 미군 묘지 안내원 등 여러 직업을 전전하며 어려운 삶을 살았다.[16] 1983년에는 오스만 가문의 수장 직위를 이어받았고, 1992년 잠시 터키를 방문하기도 했다. 1994년 프랑스 니스에서 사망했다.[16]

1933년1943년 두 차례 결혼했으며,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메흐메트 오르한은 1909년 10월 12일 위스퀴다르에서 태어났다.[2] 그는 압뒬하미트 2세의 손자이자, 셰흐자데 메흐메트 압뒬카디르와 미흐리반 하늠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2] 그의 어머니는 압하스인이었다.[3]

어린 시절의 메흐메트 오르한


1913년 부모가 이혼한 후, 그는 어머니와 함께 삼촌 집에서 살았다.[4] 이후 갈라타사라이 고등학교[4]와 로버트 칼리지에서 공부했다.[5]

1914년, 오스만 제국 육군 장관이자 압뒬하미드 2세의 아들인 메흐메트 압뒬카디르 황자의 아들로 이스탄불의 아나톨리아 반도 측 궁전에서 태어났다.

1924년, 터키 공화국 정부의 오스만 가문 구성원 국외 추방 명령에 따라 가족과 함께 망명길에 올랐다.[16]

2. 2. 망명 생활

1922년 11월 1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 의해 술탄제가 폐지되었다. 터키 공화국은 1924년 3월 3일에 오스만 가문이 갖고 있던 칼리파 권한마저 폐지해버렸다. 이로 인해 주요 황족들은 모두 강제 추방 조치가 내려졌으며, 메흐메트 오르한도 가족과 함께 수중에 단 2,000파운드만을 챙긴 채 외국으로 떠났다.[16] 1924년 4월 23일을 기해 터키 대국민의회는 오스만 제국의 주요 인사 150명을 비롯한 황족들을 기피인물로 지정하고 이들의 재입국을 법적으로 봉쇄해버렸다. 새로운 법령에 의해 오스만 가문의 남자 인사들은 50년간, 여자 인사들은 28년간 입국이 불허되었다.

이후 메흐메트 오르한은 한때 알바니아 국왕 조구 1세의 후의를 입으며 지내기도 했으나, 아르헨티나에서 조선 노동자로 일했다.[16] 베이루트다마스쿠스를 오가는 장거리 택시 운전기사 일을 하다가 프랑스로 넘어가 미군 묘지 안내원을 하는 등 궁벽한 삶을 이어갔다.[16]

1924년 3월 제국 가족이 망명하면서 메흐메트 오르한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정착했다. 그 후 그는 레바논 베이루트에 있는 삼촌과 함께 살다가 프랑스 니스에 있는 고모 나이메 술탄에게 갔다. 여기서 그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주하여 2년 반 동안 살았다.[4][6]

메흐메트 오르한은 브라질 바르가스 시대 상파울루에서 조선공으로, 화랑에서 그림 판매원으로 일했으며, 레바논과 시리아 및 레바논 위임통치령 다마스쿠스에서 택시 운전사, 미국에서 묘지(묘지기)로, 알바니아의 국왕 조그 1세의 개인 비서(고문)로 일했다.[7][6]

2. 3. 터키 방문과 사망

1983년 무라트 5세의 증손자이자 오스만 가문의 41대 수장이던 알리 바십이 사망하면서, 메흐메트 오르한은 남은 가문 인사 가운데 최연장자로서 가문 수장 직위를 이어받았다. 그는 터키 정부의 입국 금지 조치가 풀린 이후에도 터키 방문을 거부하다가 1992년에야 잠시 방문하였다. 이후 프랑스 니스로 돌아가 단촐한 아파트에서 홀로 여생을 보내다가 1994년 3월 12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6]

메흐메트 오르한은 1994년 3월 12일, 프랑스 니스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12] 그는 이틀 뒤인 3월 14일 니스 동부 묘지에 안장되었다.[12] 2010년, 니스 시는 그의 묘지 사용 허가가 수년간 지불되지 않았고 가족과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의 유해를 묘지 내 납골당 3번으로 이장했다.[13]

3. 결혼과 자녀

메흐메트 오르한은 세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예겐 가문의 알리 레자 베이와 부인 니메트 하님의 셋째 딸인 나피아 하님이었다. 1932년에 결혼하여 1933년에 딸 파트마 네클라 술탄을 낳았고, 같은 해 이혼했다.[10] 이혼 후 나피아 하님은 이집트의 압바스 할림 왕자와 결혼했다.[10] 나피아 하님의 맏언니 베르케말 하님은 1973년부터 1977년까지 오스만 왕조의 40대 수장이었던 메흐메트 압둘아지즈와 결혼하여 외동딸 휌 술탄을 낳았다.[10]

두 번째 부인은 프랑스 여성 마르그리트 푸르니에였다. 1940년 파리에서 결혼하여 1943년에 아들 셰흐자데 메흐메트 셀림을 낳았고, 1945년에 이혼했다.

세 번째 부인은 이탈리아 남작의 딸인 프란체스카 프란체티였다. 1945년 이후에 결혼하여 딸 아예텐 술탄을 낳았고, 7년 후에 이혼했다.[11]

메흐메트 오르한은 아들 1명과 딸 2명을 두었다.[14]

배우자자녀비고
나피아 하님1932년 결혼, 1933년 이혼
마르그리트 푸르니에1940년 결혼, 1945년 이혼
프란체스카 프란체티1945년 이후 결혼, 7년 후 이혼


4. 잘못 알려진 일화

신경정신과 의사이자 에세이 저술가로 널리 알려진 이시형 교수는 2001년 저서 《이시형의 세상 바꿔보기》에 수록된 '조국 땅에 살 수 있는 자격'이라는 글에서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이자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고 알려진 메흐메트 오르한이 해외를 떠돌다 1992년에 일시 귀국했을 때의 일화를 적었다. 이 글에서 이시형은 메흐메트 오르한이 돌마바흐체 궁전에서 감격에 겨워하다가 영국으로 돌아갔다고 썼다. 그 영향으로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라는 주제로 여러 변형된 이야기가 세간에 떠돌기도 했다.[1]

그러나 이러한 일화들은 대부분 오스만 제국의 왕위 계승권에 대한 오해와, 메흐메트 오르한의 사촌 동생이자 그의 사후 오스만 가문 수장을 이어받은 에르투룰 오스만(Ertuğrul Osman)과 혼동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오스만 제국 후기 술탄은 장자 상속이 아니라 가문 최연장자에게 상속되었으므로, 일반적인 의미의 황태자는 존재하지 않았다. 영국에서 왕세자에게 '웨일스 공(Prince of Wales)' 작위를 주듯이, 현직 술탄의 아들 가운데 대표 왕자가 '알바니아 국왕' 칭호를 받고 활동했을 뿐이었다. 메흐메드 압뒬 카디르 에펜디(Mehmed Abdülkadir Efendi) 왕자나 메흐메트 오르한은 오스만 제국 말기에 다른 가문 연장자들이 많았기에 술탄 계승 서열도 매우 낮았고, 혼사를 둘러싼 갈등으로 '알바니아 국왕' 직위에서도 밀려난 상태였다. 따라서 메흐메트 오르한은 오스만 제국의 심장부인 돌마바흐체 궁전에 특별한 추억이 있지도 않았다. 메흐메트 오르한에게 가문 수장직이 돌아온 것은 그가 74세를 넘긴 1983년이었다. 또한 그는 두 번의 결혼으로 1남 1녀를 두었으므로, 독신을 고수했다는 이야기도 사실과 다르다. 그러므로 '독신을 지킨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1]

메흐메트 오르한의 사촌 동생인 에르투룰 오스만이 마지막 황태자로 불릴 만한 인물이었다. 그의 아버지 메흐메트 부르하네딘 왕자는 압뒬하미트 2세의 넷째 부인 소생이었으나, 메흐메드 압뒬 카디르 에펜디 왕자가 결혼 문제로 공백기에 있던 1914~19년에 공식적인 '알바니아 국왕' 직을 맡았다. 에르투룰 오스만은 터키 공화국의 입국 금지 조치 이후 미국에서 거주하다가 메흐메트 오르한과 마찬가지로 1992년에 터키 정부의 초청으로 고국을 방문했다. 국내에 극적인 형태로 소개된 돌마바흐체 궁전 방문 일화 등은 대부분 에르투룰 오스만이 방문했을 때의 이야기였다. 그는 메흐메트 오르한 사망 이후 오스만 가문의 수장직을 이어받았으며, 술탄제 폐지 이전의 오스만 제국에서 출생한 마지막 수장이었다.[1]

5. 가계도

Şehzade Mehmed Orhan|메흐메트 오르한tr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1]


  • 압뒬하미드 2세 - 압둘카디르 - '''Şehzade Mehmed Orhan|메흐메트 오르한tr'''

참조

[1] 웹사이트 Kingdoms of Anatolia https://www.historyf[...] 1915-04-24
[2] 서적 Babam Sultan Abdülhamid Mona Kitap Yayinlari
[3] 서적 Şehzade Evliliklerinde Değişim Changes in the Marriage of Ottoman Princes
[4] 웹사이트 PADİŞAH OLACAKTI, MEZARI BİLE YOK: ŞEHZÂDE ORHAN EFENDİ https://www.ekrembug[...]
[5] Youtube Şehzade Mehmed Orhan Efendi'nin Murat Bardakçı'yla Röportajı (1993) https://www.youtube.[...] 2022-03-16
[6] 웹사이트 Mehmet Orhan Osmanoğlu Kimdir? Bir Sürgün Öyküsü https://netnedir.com[...] 2018-08-25
[7] 웹사이트 Oldest Ottoman to come home at last https://www.independ[...] 1992-07-21
[8] 서적 The Concubine, the Princess, and the Teacher: Voices from the Ottoman Harem University of Texas Press
[9] 간행물 Kings in the Wings Life 1990-03
[10] 서적 Bir şehzadenin hâtırâtı: vatan ve menfâda gördüklerim ve işittiklerim YKY
[11] 서적 Son Osmanlılar: Osmanlı hanedanı'nın sürgün ve miras öyküsü İnkılâp
[12] 웹사이트 Osmanlı şehzadesine büyük saygısızlık https://www.sabah.co[...] 2014-12-08
[13] 웹사이트 HANEDAN NEREDE ÖLDÜ NEREYE GÖMÜLDÜ? http://www.ibrahimpa[...] 2014-12-18
[14] 웹사이트 Sultan 2. Abdülhamid'in miras davasında ilk tanık https://www.hurriyet[...] 2019-05-21
[15] 문서 別の史料では1909年生まれと言われる
[16] 뉴스 Son Osmanlı Mehmet Orhan Efendi http://www.netpano.c[...] netpano.com 2005-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