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엔베르 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베르 호자는 1908년 오스만 제국령 알바니아에서 태어나, 알바니아 공산당을 창당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점령군에 대항하는 레지스탕스 운동을 이끌었다. 1946년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을 수립하고 최고 지도자가 되었으며, 스탈린주의에 기반한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추진했다. 그는 1985년 사망할 때까지 알바니아를 통치하며, 엄격한 공안 통치와 인권 탄압, 국가 무신론 정책을 시행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알바니아는 유럽에서 가장 고립된 국가였으며, 높은 출산율과 여성 권리 신장을 위한 정책을 펼쳤다. 호자의 유산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며, 특히 알바니아 사회의 혼란 속에서 그의 통치 시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여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엔베르 호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초상화, 1985년경
이름엔베르 호자
로마자 표기Enver Hoxha
출생일1908년 10월 16일
출생지지로카스터르, 야니나 빌라예트, 오스만 제국 (현재 알바니아)
사망일1985년 4월 11일
사망지티라나, 알바니아 사회주의인민공화국
안장 장소티라나 인민 묘지, 알바니아
별명알바니아의 철권
국적알바니아
거주지블로쿠 티라나
서명
정치
직위알바니아 노동당 제1서기
임기 시작1941년 11월 8일
임기 종료1985년 4월 11일
전임자직책 설립
후임자라미즈 알리아
직위 2제22대 각료평의회 의장
임기 시작 21944년 10월 23일
임기 종료 21954년 7월 19일
대통령 2오메르 니샤니
하지 레시
부총리 2미슬림 페자
코치 조제
메흐메트 셰후
전임자 2이브라힘 비차크치우
후임자 2메흐메트 셰후
직위 3외무부 장관
임기 시작 31946년 3월 22일
임기 종료 31953년 7월 23일
총리 3본인
전임자 3오메르 니샤니
후임자 3베하르 시틸라
직위 4인민 국방 장관
임기 시작 41944년 10월 23일
임기 종료 41953년 7월 31일
총리 4본인
후임자 4베키르 발루쿠
정당알바니아 노동당
가족 관계
배우자네지미예 슈글리니 (1945년 결혼)
자녀일리르, 소콜, 프란베라
부모할릴 호자 (아버지), 기질한/길로 호자 (어머니, 결혼 전 성씨: 추치)
친척후센 호자 (삼촌), 베키르 호자 (할아버지), 파흐리예 호자 (누나), 학시레 호자 (누나), 사니예 호자 (누나), 베스미르 호자 (손자), 에르말 호자 (손자), 슈켈젠 호자 (손자)
교육
모교몽펠리에 대학교
브뤼셀 자유대학교
군사 복무
소속LANÇ (1941–1945)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1944–1985)
군종LANÇ (1941–1945)
알바니아 인민군 (1944–1985)
복무 기간1941–1944년
계급육군 대장
지휘LANÇ
알바니아 인민군 (최고 사령관)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알바니아
티라나 해방
코소보 작전 (1944)
발루어블 작전
수상
훈장인민 영웅
레닌 훈장
스칸데르베그 훈장
인민 영웅 훈장
수보로프 훈장
사회주의 노동 영웅
파르티잔 스타 훈장
국기 훈장

2. 초기 생애

호자가 자란 집이 있던 곳(기로카스트라); 원래 집은 1960년대 화재로 소실됨


엔베르 호자는 1908년 10월 16일, 당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알바니아 남부 기로카스트라에서 무슬림 직물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83] hoca|호자tr라는 성은 그의 조상들이 알바니아인들에게 이슬람을 가르치려 노력했기 때문에 주어진 칭호였다.[84] 그의 아버지는 유럽을 널리 여행했고, 삼촌 Hysen Hoxha|하이센 호자영어는 알바니아 독립 운동 투사였다.

18세의 호자


1930년, 호자는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자연 과학을 전공했으나, 정치에 더 관심을 가지면서 학업을 중단하고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했다. 그는 프랑스 공산당 기관지인 『뤼마니테』에 알바니아 왕국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기고했다. 1934년부터 브뤼셀의 알바니아 영사관에서 서기로 일하면서 법률을 공부했다. 1936년 알바니아로 귀국하여 코르처에서 중학교 교사로 일했다.

3. 반(反)파시스트 투쟁과 집권

티토는 독일의 소련 침공을 방해하기 위해 알바니아 전선까지 반파시스트 저항을 확대할 구상을 하였다. 당시 알바니아에는 통합된 공산주의 조직이 없었기 때문에, 밀라딘 포포비치(Miladin Popovićsr)와 두샨 무고샤(Dušan Mugošasr)가 알바니아로 파견되어 공산주의 조직 통합을 지원했다.[111]

코르처 지역 공산주의 운동 책임자였던 엔베르 호자는 1941년 11월 8일 통합된 알바니아 공산당의 초대 서기장을 맡았다. 호자는 알바니아 민주전선(Fronti Demokratik i Shqipërisësq)을 조직하고, 1942년에는 민족해방전선(Lëvizja Nacional-Çlirimtaresq)을 결성하여 반파시스트 투쟁을 전개했다. 1943년 무솔리니 정권이 무너진 후에는 나치 독일 점령군에 맞서 싸웠다. 1944년 5월, 알바니아 공산당 군대는 35,000명으로 증가하여 2~5만 명 이상의 독일군과 1년 6개월 동안 전투를 벌여 수천 명의 독일군을 사살했다. 1944년 11월 29일, 독일 국방군과 극우 민병대를 몰아내고 알바니아를 해방시켰다.[112]

1940년 제복을 입은 호자


1944년 파르티잔으로서의 호자


티라나를 장악한 호자의 부대(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호자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1945년 총선을 실시하고 1946년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을 수립하여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이후 파시스트 부역자들을 처단하였다.[112] 1947년 7월,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알바니아 공산당은 알바니아 노동당으로 개칭되었다.[113]

4. 집권기 (1944년 ~ 1985년)

코민테른 지시에 따라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독일의 소련 침공을 방해하기 위해 알바니아 전선까지 반파시스트 저항을 확대시킬 구상을 하였다. 그러나 당시 알바니아에는 통합된 공산주의 조직이 없었기에, 밀라딘 포포비치Miladin Popovićsr와 두샨 무고샤Dušan Mugošasr를 보내 알바니아 공산주의 조직을 통합하게 했다.[111]

코르처 지역 공산주의 운동 책임자였던 엔베르 호자는 1941년 11월 8일 알바니아 공산당의 초대 서기장이 되었다. 알바니아 공산당은 알바니아 민주전선(Fronti Demokratik i Shqipërisësq)을 조직하고, 1942년에는 민족해방전선(Lëvizja Nacional-Çlirimtaresq)을 조직하여 반파시스트 투쟁을 전개했다. 1944년 5월, 알바니아 공산당이 지휘하는 군대는 35,000명으로 증가하여 2~5만 명 이상의 독일군에 맞서 싸웠고, 1년 6개월 동안의 투쟁 끝에 독일군 수천 명을 사살했다. 1944년 11월 29일, 독일 국방군과 극우 민병대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1945년에 총선을 실시하고 1946년에 알바니아 인민공화국을 수립, 나치 부역자를 처단하였다.[112]

호자는 알바니아 인민의 희생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60년에 전기화 캠페인이 시작되어 1970년 10월 25일 전국에 전기가 공급되었다.[29] 1967년부터 1968년까지의 문화혁명 기간 동안 군대는 계급을 폐지하는 등 인민전쟁으로 알려진 마오이즘 전략을 따랐다.[26]

슈피라그 산 옆에 새겨진 호자의 이름


호자의 유산에는 17만 3,371개의 1인용 콘크리트 벙커 단지와 화학무기가 포함되어 있다.[30] 벙커는 기관총 진지, 해변 벙커, 지하 해군 시설, 공군 산악 및 지하 벙커 등 다양하다.

호자의 내정은 스탈린의 패러다임을 따랐으며, 1970년대에 개발된 인격숭배는 스탈린의 인격숭배와 유사했다. 때로는 김일성의 인격숭배만큼 극단적이기도 했다. 호자는 문화, 경제, 군사 문제 등 삶의 거의 모든 측면에 대해 논평하는 천재로 묘사되었다. 각 교과서에는 연구 중인 과목에 대한 그의 인용문이 하나 이상 필요했다.[31] 당은 그에게 최고 동지, 유일한 힘, 위대한 스승과 같은 칭호를 수여했다. 그는 인민군에게 "호자식 경례"를 채택하게 했는데, 이는 오른손 주먹을 말아 올려 어깨 높이까지 올리는 방식이었다.[32]

1974년, 호자는 국방장관 베키르 발루쿠를 중국의 간첩으로 몰아 쿠데타를 기도했다고 비난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메흐메트 셰후가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76년 알바니아 노동당 제7차 전당대회에서 채택된 새 헌법은 자급자족을 강조하고 차입과 외국인 투자를 금지했다.[68] 시민들은 무기 사용 훈련을 받았고, 학교에서도 이러한 활동이 가르쳐졌다. 이는 신속한 빨치산 양성을 독려하기 위한 것이었다.[69] 호자는 "어떤 나라도 부르주아와 수정주의자들로부터 신용과 원조를 받거나 그 경제를 자본주의 경제의 세계 시스템에 통합하여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없다."라고 주장했다.[72]

학생 시위 도중 티라나 스칸데르베그 광장에서 호자 동상이 무너지는 모습


1981년 호자는 새로운 숙청을 통해 여러 당 및 정부 관리들의 처형을 명령했다. 40년간 호자의 가장 가까운 동지였던 메흐메트 셰후 총리는 1981년 12월 자살했다고 보도되었다. 그는 여러 정보기관을 위해 일했다는 혐의로 알바니아의 "반역자"로 규탄되었다. 호자와의 외교 정책 차이로 인한 권력 투쟁 과정에서 살해되었거나 자살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다.[74][75]

1973년 호자는 심장마비를 겪었고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건강이 악화되면서 대부분의 국가 기능을 람이즈 알리아에게 넘겼다. 1985년 4월 9일 심실세동을 일으켜 4월 11일 새벽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알바니아 정부는 7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조기를 게양했으며, 오락 및 문화 행사는 취소되었다.[77]

호자의 시신은 3일간 안치된 후 스칸데르베그 광장에서 추모식을 거쳐 4월 15일에 매장되었다.[78] 정부는 호자의 장례식 기간 동안 어떤 외국 대표단도 받지 않았고, 소련의 조의 메시지를 "용납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79][80][81] 매장 후 람이즈 알리아가 국가 원수가 되었고, 이틀 후 당 지도부를 장악했다.

호자는 알바니아에 고립과 외부 세계에 대한 공포라는 유산을 남겼다. 호자 통치 기간 동안 알바니아가 어느 정도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지만,[82] 경제 침체 상태에 있었고, 냉전 기간 대부분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4. 1. 스탈린주의 정책

엔베르 호자는 자신을 마르크스-레닌주의자로 선언하고 소련 독재자 요셉 스탈린을 강하게 존경했다.[9] 1947년 7월, 스탈린은 알바니아의 혁명 단계는 인민민주주의이며, 산업 발전 수준이 낮은 농업 국가이기에 당명을 '공산당'이 아닌 '노동당'으로 해야 한다고 지시했고, 호자는 이를 받아들여 당명을 알바니아 노동당으로 변경했다.[113]

1945년부터 1950년까지 호자 정부는 반공주의자들을 표적으로 한 사법적 살해와 처형을 포함한 권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정책과 조치를 채택했다.[9] 1945년 8월에는 토지 개혁 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베이와 대지주로부터 토지를 몰수하여 보상 없이 농민에게 분배했다. 이 법이 통과되기 전에는 모든 토지의 52%를 대지주가 소유하고 있었지만, 법 통과 후에는 16%로 감소했다.[10]

4. 2. 대외 관계

엔베르 호자 지도하의 알바니아 노동당은 동유럽에서 가장 엄격한 반수정주의스탈린주의 정당이었다.[113] 1948년 소련과 대립하여 티토주의를 내세운 유고슬라비아와 국교를 단절했다.[12] 1949년에는 유고슬라비아와의 관계를 지지한 국방장관을 처형했다.[18]

밀라딘 포포비치, 리리 게가, 엔베르 호자


티토는 "코소보가 알바니아 땅이라고 믿지 않았으며" 세르비아의 반대 때문에 대알바니아 건설 합의는 현명하지 못한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알바니아 공산주의자들이 대알바니아 합의를 거부하자, 발리 콤베타르는 공산주의자들을 비난했고, 공산주의자들은 발리 콤베타르가 이탈리아 편을 들었다고 비난했다.

1948년 알바니아와 유고슬라비아 사이에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엔베르 호자와 알바니아 군사정보부인 시구리미는 코소보분리주의와 "대알바니아"라는 구상을 적극적으로 조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1949년부터 미국과 영국 정보기관은 전 국왕 조그 1세와 그의 친위대 산악인들과 협력했다. 이들은 게릴라 부대를 알바니아에 진입시켰지만, 1950년과 1952년에 알바니아 보안군에 의해 사살되거나 체포되었다. MI6과 CIA 간 연락 장교로 일하던 소련 이중 스파이 킴 필비는 침투 계획의 세부 내용을 모스크바에 유출했고, 이 보안 실패로 약 300명의 침투자가 목숨을 잃었다.[13]

요셉 스탈린과 호자 (1950년대 모스크바)


유고슬라비아와 관계 단절 이후, 호자는 소련과 연대했다. 1955년부터 니키타 흐루쇼프가 탈스탈린화 정책을 취하자 흐루쇼프를 비판하였다. 이후 소련과 알바니아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고, 1968년에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서 탈퇴하였다.[114]

1956년 마오쩌둥과 호자


1961년 소련과 국교를 단절한 알바니아와 호자는 중국에 접근했다. 알바니아 인민군은 인민복 스타일의 군복을 입고 56식 자동소총(그리고 그 복제품인 ASh-78)과 59식 전차, J-6 등의 전투기 등 다량의 중국제 무기로 무장했다.[98]

1971년 국제연합에서 알바니아 결의를 공동 제안하여 국제사회에서 우방인 중국이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호자는 1972년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비판적이었으며, 리처드 닉슨을 "열렬한 반공주의자"라고 싫어했다.[102] 1976년 마오쩌둥의 장례식에 참석했지만, 중국이 프랑코 체제하의 스페인이나 칠레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 등 반공적인 국가와 국교를 수립한 것[103]과 중국의 세계 3분설은 "제3세계초강대국"[102][104]이 되는 것을 꾀하고 있다고 호자는 비판하기 시작했고, 화궈펑·덩샤오핑 시대가 되자 중국으로부터의 지원은 중단되었다(중알 분쟁).

60세 무렵의 호자 (1968년)


1975년 유럽 안보 협력 회의(CSCE)와 헬싱키 협정을 거부하며 유럽 안보 체계에서도 이탈한 알바니아는 이웃 국가인 그리스와 유고슬라비아와도 영토 문제를 안고 있었고, 국제 사회로부터 고립시키는 폐쇄 정책을 단행하게 되었다.[105][106] 1978년 "알바니아는 세계에서 유일한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이다"라고 선언[107][108]하며 독자적인 호자주의를 주창했다. 호자는 유고슬라비아의 티토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소련과 거리를 두었던 루마니아니콜라에 차우셰스쿠,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김일성[109]에 대해서도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반한다고 비판하며 공산권 진영에서도 고립을 심화시켰다.

4. 3. 공안 통치와 인권 탄압

엔베르 호자는 1943년 국가안전국, 통칭 시구리미(Sigurimi)를 설립하여 비밀경찰을 동원, 극단적인 검열과 공안통치를 시행했다.[115] 시구리미는 3만 명의 비밀경찰과 5개의 기계화 연대를 보유한 거대한 조직이었다.[115] 이들은 문화, 사상, 서적을 검열하고, 사상범을 체포했으며, 알바니아인들이 서방 세계나 그리스로 탈출하는 것을 막는 역할도 수행했다.[115]

알바니아 국가안전국의 상징. "인민을 위한, 인민에 의한"이라는 슬로건이 적혀 있다.


1976년 헌법은 정부가 질서에 위배된다고 판단하는 정치적 자유 행사를 제한했다.[41] 정부는 국민들이 정부 통제 매체를 제외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막았다.[41] 시구리미는 MGB, KGB, 슈타지와 같은 억압적인 방법을 사용했다.[41] 알바니아인 3명 중 1명은 시구리미의 심문을 받거나 강제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41] 정부는 반역 등의 혐의로 수천 명을 강제 노동 수용소에 수감하거나 처형했다.[41] 1968년 이후, 공무를 제외한 해외여행은 금지되었다.[41] 서유럽 문화는 의심의 대상이었고, 무단 외국 자료는 금지되었으며, 소지자는 체포되었다.[41] 예술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따라야 했다.[43] 이슬람과 동방 정교회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수염은 비위생적이라는 이유로 금지되었다.[44] 사법 절차는 쇼 재판으로 변질되기도 했다.[44]

지로카스터의 옛 정치범 수용소. 호자 시대에는 정치적 처형이 흔했으며, 약 2만 5천 명이 정권에 의해 살해되었고 더 많은 사람들이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다.


티라나에 있는 검문소 기념비. 벙커, 스파치 감옥의 담벼락, 베를린 장벽의 파편이 있다.


정치 반체제 인사와 망명자들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피고인의 친척들은 종종 체포, 배척되었고, "민중의 적"으로 고발되었다.[45] 정치적 처형은 흔했으며, 최소 5,000명에서 최대 25,000명이 정권에 의해 살해되었다.[46][47][48] 고문은 자백을 얻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49] 호자 통치 기간 동안 정치범을 위한 6개의 기관과 14개의 강제 노동 수용소가 있었으며, 1985년에는 약 3만 2천 명이 투옥된 것으로 추산된다.[49]

알바니아 형법 제47조는 "국가 외부로 도피하는 것"을 반역 행위로 규정하고, 최소 10년형에서 사형까지의 형벌을 부과했다.[50] 알바니아 정부는 사람들이 국가를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국경에 전기 울타리, 함정, 조명탄 등을 설치했다.[51]

4. 4. 국가 무신론 정책

엔베르 호자는 마오쩌둥 사상의 영향을 받아 종교를 '인민의 아편'으로 간주하고, 종교를 포함한 '썩어빠진 자본주의 문화'를 제거하기 위한 수많은 검열을 실시했다.[116] 본격적인 무신론 운동은 1967년 2월부터 시작되었는데, 불과 반년도 안 된 같은 해 5월에 이르러 교회 및 이슬람 사원 총합 2,169 곳이 철거되었으며, 신자들은 모두 재교육 센터로 보내져 짧게는 6개월, 길게는 3년 동안 무신론 및 진화론 교육을 받아야 했다.[116] 같은 해 말에는 세계 최초로 무신론 국가를 선언하기도 하였다.[116]

호자의 종교 탄압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의 종교 탄압에 비해 그 수위가 상당히 높았다. 포교 활동과 해외 종교 선전만을 탄압한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달리, 엔베르 호자 치하 알바니아는 종교 시설 자체를 모두 철거하였으며, 종교적인 언사만으로도 사상범으로 취급되어 탄압을 받았다.[116] 1992년 사회주의 알바니아가 붕괴될 때까지 약 26,000명의 종교인이 노동교화소 및 정치범수용소에 보내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약 7천 명이 고문·사형 등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16]

4. 5. 무상 복지 정책

엔베르 호자는 교육, 의료, 주거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무상 복지 정책을 실시했다. 교육은 전 과정이 무료였다.[117] 1946년부터 의료 무상 정책을 실시하고, 병원과 의사 수를 꾸준히 증가시켰다. 1960년에는 인구 3,360명당 1명의 의사를, 1978년에는 인구 687명당 1명의 의사를, 1984년에는 인구 490명당 1명의 의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1978년 기준으로 의료 사망률은 유럽 전체 평균보다 37% 낮았으며, 평균 수명은 유럽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증가율은 유럽 평균의 40%로 높았다. 혁명 전인 1938년에는 평균 수명이 38세였지만, 1978년 기준으로 69세로 약 두 배 증가하였다.[117]

1978년에 촬영된 선전물: 조국은 모든 국민에 의해 수호된다.

4. 6. 여권 신장 정책

엔베르 호자는 가부장적인 알바니아 사회의 여성 억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118] 1946년부터 낙태 합법화, 국영 탁아소 건설 정책을 추진했고, 가사 노동 분담을 위한 대대적인 문화 혁명을 통해 여성의 권리를 크게 신장시켰다.[119]

호자의 60세 생일을 기념하는 우표 (1968)


또한, 여성의 정치, 경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국영 기업체, 최고 인민 회의, 상급 당(중앙위원회) 등에 여성 할당제를 도입하여 특정 성별이 권력을 독점하는 것을 방지했다. 1985년에는 주요 기관에서 여성의 비율이 40%에 달해 유럽 최고 수준이었다.[119]

여성 교육 증진을 통해 1978년 여성의 고졸 이상 학력 보유자 수는 1958년에 비해 101.9배 증가했다.[120] 여성에 대한 악의적이고 왜곡된 성 인식을 유발할 수 있는 여성 혐오적 문화 요소에 대한 엄격한 검열도 이루어졌다.[120]

호자는 1967년 여성의 권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당의 신성한 여성 권리 방어 칙령을 짓밟을 만큼 감히 행동하는 자는 당과 국가 전체가 불 속에 던져 목을 꺾어야 합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알바니아 공산주의자들은 여성들이 파르티잔에 참여하도록 장려했고, 전쟁 후에는 여성들이 단순 노동직에 종사하도록 장려했다. 경제 여러 부문에서 여성 노동자 비율은 1938년 4%에서 1970년 38%, 1982년 46%로 증가했다. 문화혁명 기간 동안 여성들은 모든 직업에 종사하도록 장려되었으며, 그 결과 1985년까지 인민평의회의 40.7%와 인민의회의 30.4%가 여성으로 구성되었고, 중앙위원회에도 두 명의 여성이 포함되었다.[27][28]

호자의 통치는 높은 출산율 정책을 장려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이상의 자녀를 낳은 여성에게는 현금 보상과 함께 '영웅 어머니' (알바니아어: ''Nënë Heroinë'') 정부 상이 수여되었다.[33] 낙태는 산모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었지만 완전히 금지되지는 않았다.[34] 그 결과 알바니아 인구는 1944년 100만 명에서 1985년 약 300만 명으로 세 배가 되었다.

4. 7. 자립 경제 정책

엔베르 호자는 마르크스-레닌주의식 계획 경제를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초기에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1955년부터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경제 지원이 끊기고 서방에 의해 무역로가 막혀 어려움을 겪었다.[114] 다른 동유럽 국가들이 경제 개혁을 추진할 때도 호자는 스탈린식 계획 경제를 고수했다. 1960년대 중국과의 교류로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1970년대 말 중국과의 관계도 악화되면서 경제는 더욱 쇠퇴했다.



알바니아는 대부분의 제품을 국산화해야 했으며, "모든 경제 생산 및 소비의 자력갱생."이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자립 경제를 강조했다.[114] 1976년 헌법에서는 차입과 외국인 투자를 금지했다.[70][71] 호자는 "어떤 나라도 부르주아와 수정주의자들로부터 신용과 원조를 받거나 그 경제를 자본주의 경제의 세계 시스템에 통합하여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없다."라고 주장했다.[72]

그러나 알바니아의 경제·지리적 특성 때문에 자립은 어려웠고, 이는 경제 둔화로 이어졌다. 알바니아는 냉전 기간 대부분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82]

4. 8. 폐쇄 정치

엔베르 호자는 유고슬라비아를 제외한 동유럽 국가들은 모두 수정주의 소련에 의해 지도를 받고 있다고 보았으며, 북쪽의 유고슬라비아 역시 자주관리 사회주의라는 수정주의 노선을 걷고 있었기에 이들 국가와 관계가 좋지 않았다.[114]

호자는 유고슬라비아가 알바니아를 합병하려 한다고 보았다. 1947년 6월 유고슬라비아 중앙위원회는 호자를 개인주의적이고 반마르크스주의적인 노선을 걷는다고 비난했고, 알바니아가 소련과 농업 기계 구입 협정을 맺자 유고슬라비아는 알바니아가 자국의 승인 없이 다른 국가와 협정을 체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1948년 7월 1일, 알바니아는 모든 유고슬라비아 기술 고문에게 국가를 떠날 것을 요구하고 양국 간의 모든 조약과 협정을 일방적으로 무효화했다.[18]

소련과의 관계도 급속히 악화되었다. 1961년 11월,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은 알바니아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알바니아는 비공식적으로 바르샤바 조약과 코메콘에서 제외되었다.[25] 이로써 알바니아-소련 분열이 완료되었다.

마오쩌둥의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중국과 알바니아의 관계는 긍정적이었으나, 1971년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 합의 이후 악화되기 시작했다. 호자는 중국이 알바니아를 배신했다고 믿었으며,[37] 1978년 7월 13일 중국은 알바니아에 대한 모든 원조를 중단했다.

1976년 알바니아 노동당 제7차 전당대회에서 채택된 새 헌법은 자급자족을 강조하고 차입과 외국인 투자를 금지했다.[70][71] 호자는 다른 국가로부터의 차입과 투자 허용은 사회주의 질서의 퇴보를 야기한다고 주장했다.[72] 이로써 알바니아는 유럽에서 가장 고립된 국가가 되었다.

5. 평가

엔베르 호자는 유럽에서 가장 혹독한 공산주의 독재자로 여겨졌다.[121] 그러나 냉전 이후 서방이 추진한 자본주의화로 오늘날 알바니아는 10%대 중반의 실업률과 30%대의 빈곤율에 달하는 극심한 사회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엔베르 호자의 정치를 지지하는 대중적인 흐름이 일고 있다.

공산정부 해체 이후 알바니아는 치안 약화와 더불어 부패와 빈부격차가 급증하면서 저소득층이 사회적으로 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엔베르 호자 통치 기간에는 여성 권리 및 교육·의료·주거 등이 보장되었고, 부패, 실업률, 빈곤선 미만 인구 비율이 매우 낮았다는 점에서 엔베르 호자 통치 시절을 그리워하는 알바니아인이 많아지고 있다.[121] 2016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엔베르 호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인구는 45%,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인구는 42%로 집계되었다.[122]

호자 통치 기간 동안 알바니아가 어느 정도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지만,[82] 경제 침체 상태에 있었고, 냉전 기간 대부분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2016년, 알바니아 개발 연구 및 대안 연구소(IDRA)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알바니아 국민의 45%가 호자가 알바니아 역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반면, 42%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다.[89] 젊은 세대(16~35세, 1981년 이후 출생)는 호자의 공헌에 대해 더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나이든 세대(35세 이상, 1981년 이전 출생)는 더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89] 인터뷰에 응한 알바니아 남동부 및 남서부 지역 시민들은 호자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각각 전체 인구의 50%와 55%를 차지했다.[89][90] 다른 사람들은 그를 독재자로 여겼다.[91][92][93]

6. 대중 문화

스파이크 리 감독의 2006년 작품인 인사이드 맨에서 인질범들이 방송한 엔베르 호자의 대국민 연설이 극중 소재로 등장한다.

참조

[1] 뉴스 Enver Hoxha: The Iron Fist of Albania by Blendi Fevziu review – the People's Republic tyrant https://www.theguard[...] 2024-08-10
[2] 간행물 E vërteta për Enverin (The truth about Enver) Panorama 2015-01-13
[3] 뉴스 Of Enver Hoxha And Major Ivanov https://query.nytime[...] 2017-05-29
[4] 논문 Resistance in Alban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Partisans, Nationalists and the S.O.E.
[5] 웹사이트 Koçi Xox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5-07
[6] 서적 Europa World Yea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01-10
[7] 서적 Daily Report: East Europe https://books.google[...] The Service 1987
[8] 웹사이트 2022 Official Bank Holiday Schedule https://www.bankofal[...] 2022-12-29
[9] 서적 # 추정 Speech Delivered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10] 서적 Albani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4
[11]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http://lcweb2.loc.go[...]
[12] 서적 Kosovo Liberation Army: The Inside Story of an Insurgen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0-10-01
[13] 서적 Charles Telford Erickson: American Friend of Albania https://books.goog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2021-08-10
[14] 웹사이트 Shqipëri: 26 shkurt 1951 regjimi komunist ekzekuton 22 intelektualë s… http://www.radiovati[...] 2024-11-09
[15] 서적 # 추정
[16] 저널 Paradoxes of Health Transition in Europe's Poorest Country: Albania 1950–90 https://www.jstor.or[...] 1997
[17] 서적 Yugoslavia and Albania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18] 서적 Show Trials: Stalinist Purges in Eastern Europe, 1948–1954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 간행물 The Economist 1956-06-16
[20]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ocialist Division of Labor (7 June 1962) http://germanhistory[...]
[21] 서적 # 추정
[22] 저널 Communist Relations in Crisis: The End of Soviet-Albanian Relations, and the Sino-Soviet Split, 1960–1961 2019-05-30
[23] 서적 # 추정
[24] 서적 # 추정 Chapter 13: The Final Act
[25] 서적 # 추정
[26] 웹사이트 Hapet dosja, ja harta e bunkerëve dhe tuneleve sekretë http://shqiptarja.co[...] 2017-09-27
[27] 웹사이트 Albania :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2021-01-03
[28] 저널 Women's Emancipation and Strategy of Development in Albania https://www.jstor.or[...] 1992
[29] 서적 # 추정
[30] 뉴스 Albania's Chemical Cache Raises Fears About Others https://web.archive.[...] The Washington Post 2005-01-10
[31] 인터뷰 A Coming of Age: Albania under Enver Hoxha 1994-04-12
[32] 서적 The Rebirth of History: Eastern Europe in the Age of Democracy https://books.google[...] Penguin
[33] 웹사이트 ODM of Albania: Title "Mother Heroine" https://www.medals.o[...]
[34] 웹사이트 Albania – Abortion Policy –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35] 서적 # 추정 My First and Last Visit to China
[36] 간행물 Sino-Albanian Joint Statement 1964-01-17
[37] 논문 (제목 없음)
[38] 논문 (제목 없음)
[39] 논문 (제목 없음)
[40] 논문 (제목 없음)
[41] 서적 Albania: A Country Study Federal Research Division of the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42] 뉴스 Dance fever reaches Albania http://news.bbc.co.u[...] 2005-03-26
[43] 서적 Area Handbook for Albania The American University (Foreign Area Studies)
[44] 논문 (제목 없음)
[45] 논문 Albania's Sigurimi: The ultimate agents of social control 1995-11-12
[46] 뉴스 The Washington Times 1994-02-15
[47] 서적 WHPSI: The World Handbook of Political and Social Indicators
[48] 뉴스 The New York Times 1997-07-08
[49] 논문 (제목 없음)
[50] 논문 (제목 없음)
[51] 논문 (제목 없음)
[52] 논문 (제목 없음)
[53] 서적 Enver Hoxha : the iron fist of Albania Bloomsbury Academic
[54] 논문 The Communists Lead by Means of Example, Sacrifices, Abnegation: Discussion in the Organization of the Party, Sector C, of the 'Enver' Plant Tirana
[55] 웹사이트 Albania –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Revolution http://www.country-d[...] 2020-06-14
[56] 서적 Speeches, Conversations, and Articles: 1967–1968 The Naim Frashëri Publishing House
[57] 뉴스 Albania's Clerics Lead a Rebirth https://www.nytimes.[...] 1992-03-27
[58] 논문 (제목 없음)
[59] 논문 (제목 없음)
[60] 논문 (제목 없음)
[61] 논문 (제목 없음)
[62] 논문 (제목 없음)
[63] 논문 (제목 없음)
[64] 논문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in Albania and the genetic structure of Indo-European populations Macmillan 2000
[65] 논문 (제목 없음)
[66] 논문 (제목 없음)
[67] 논문 (제목 없음)
[68] 서적 Report on the Activity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of Labour of Albania 8 Nëntori Publishing House
[69] 웹사이트 Letter from Albania: Enver Hoxha's legacy, and the question of tourism http://www.gadling.c[...]
[70] 논문 (제목 없음)
[71] 웹사이트 The Albanian Constitution of 1976 http://bjoerna.dk/do[...] 2017-05-29
[72] 서적 Report on the Activity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of Labour of Albania
[73] 서적 The World Factbook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6
[74] 논문 1999
[75] 논문 1999
[76] 뉴스 The Truest Believ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7-10-18
[77] 뉴스 Enver Hoxha Dies; Albanian Lead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5-04-12
[78] 웹사이트 Albania mourns loss of Hoxha https://www.chicagot[...] 1985-04-16
[79] 웹사이트 Albania Rejects Kremlin Condolences on Hoxha Death https://www.latimes.[...] 1985-04-13
[80] 웹사이트 Albania communist leader Hoxha dies https://www.chicagot[...] 1985-04-12
[81] 웹사이트 Albanian leader Enver Hoxha buried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82] 논문 1999
[83] 웹사이트 dossier https://pashtriku.be[...]
[84] 서적 Albanija u eri Envera Hoxhe Grafički zavod Hrvatske 1984
[85] 웹사이트 Liliana Hoxha personal website http://www.lilianaho[...] 2010-02-25
[86] 웹사이트 Your Thoughts - Albanian Forums http://www.albanian.[...]
[87] 웹사이트 Zbulohen dokumentet e CIA-s dhe FBI-se per Xhevdet Mustafen http://www.shqiperia[...] Shqiperia.com 2012-11-13
[88] 웹사이트 Zbuluesi ushtarak: Xhevdet Mustafa do vendoste monarkinë http://www.zeriikoso[...] Zeriikosoves.org 2012-11-13
[89] 웹사이트 Results of the survey: Citizen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the Communist past in Albania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https://www.osce.org[...] 2016
[90] 뉴스 Former dictator still seen in positive light by many Albanians, poll shows https://www.tiranati[...] Tirana Times 2016-12-09
[91] 웹사이트 Late Albanian dictator's museum transformed into tech centre for young https://www.reuters.[...] 2024-02-27
[92] 웹사이트 Guarding the Last Likeness of a Loathed Dictator? It's a Thankless Job. https://www.nytimes.[...] 2024-02-27
[93] 웹사이트 Hoxha era ends in Albania – archive, 1985 https://www.theguard[...] 2024-02-27
[94] 웹사이트 Hoxha, Enver 1908-1985 https://www.encyclop[...]
[95] 웹사이트 Foto/ Nga Enveri te Jozefina, kështu Moska dekoron të besuarit e saj https://durreslajm.a[...] 2022-02-00
[96] 뉴스 Sunday Times 2021-12-18
[97] 웹사이트 Lea Ypi https://www.penguin.[...]
[98] 웹사이트 Arms Transfers Database http://armstrade.sip[...] 2018-06-27
[99] 웹사이트 Albania finds religion after decades of atheism https://www.chicagot[...] 2007-04-18
[100] 서적 40 Years of Socialist Albania
[101] 서적 Chinese Global Infrastructur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2-21
[102] 서적 Selected Works, February 1966 – July 1975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82
[103] 서적 Reflections on China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79
[104] 서적 Selected Works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85
[105]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After Routledge – Taylor & Francis Group 1997
[106] 논문 The Snake That Bites: The Albanian Experience of Collective Trauma as Reflected in an Evolving Landscape SUNY Press
[107] 서적 Reflections on China. II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08] 서적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I.B. Tauris & Co Ltd
[109] 서적 Reflections on China II: Extracts from the Political Diary Institute of Marxist-Leninist Studies at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of Labour of Albania
[110] 서적 現代の鎖国アルバニア : NHK特集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日本放送出版協会 1987-05-20
[111] 서적 Komunist: organ Centralnog komiteta KPJ. https://books.google[...] Borba
[112] 서적 The History of the Socialist Construction of Albania
[113] 웹사이트 https://www.marxists[...]
[114] 웹사이트 The Albanian Constitution of 1976 http://bjoerna.dk/do[...] 2016-07-29
[1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3-19
[116] 웹사이트 Albania - Hoxha's Antireligious Campaign http://www.country-d[...] 2019-05-20
[117] 서적 The Magnificent Balance of Victories in the Course of 35 Years of Socialist Albania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18] 서적 Kanuni i Lekë Dukagjinit [The Code of Lekë Dukagjini] Rilindja
[119] 서적 The Albanians: An Ethnographic History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II McFarland
[120] 서적 35 Years of Socialist Albania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21] 웹사이트 https://www.britanni[...]
[122] 웹인용 Anketa e OSBE/ Shifrat që të habisin, 52% e shqiptarëve e duan Enver Hoxhën https://balkanweb.co[...] Balkanweb 2016-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