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멜리아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리아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나무의 요정들을 의미한다.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멜리아이는 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거세했을 때 가이아에게 떨어진 핏방울에서 태어났으며, 청동기 시대 남성 세대의 조상으로 여겨졌다. 칼리마코스의 《제우스 찬가》에서는 멜리아이가 크레타 섬 딕테 산에서 어린 제우스를 돌보았고, 테베 님프 멜리아는 아폴론과의 사이에서 테네로스와 이스메노스를 낳았다. 아폴로도로스는 켄타우로스 포로스의 부모 중 하나로 멜리아이를 언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리아스 - 에우리디케
  • 드리아스 - 포모나
    포모나는 로마 신화에서 과일 나무, 정원, 과수원의 번성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과일 접시나 풍요의 뿔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님프 - 오이노네
    오이노네는 강의 신의 딸이자 이데 산에 살았던 요정으로 트로이 왕자 파리스의 연인이었으나 버림받고 파리스의 죽음에 슬퍼하다 자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님프 - 네펠레
    네펠레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가 익시온을 속이기 위해 구름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며, 켄타우로스 족과 프릭소스, 헬레를 낳았고, 자녀들을 구하기 위해 황금 양을 보냈으며, 현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 가이아의 자식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 가이아의 자식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멜리아이
기본 정보
그리스어Μελίαι (멜리아이), Μελιάδες (멜리아데스)
의미물푸레나무 님프
가계
아버지우라노스
오케아노스
어머니가이아
이름 미상
배우자실레노스
자녀코칼로스
역할
담당물푸레나무 숲의 님프
관련 신화제우스의 탄생, 아르카디아의 코칼로스 왕

2. 신화

멜리아이는 여러 고대 문헌에서 언급되는 님프이다. 헤시오도스크로노스우라노스를 거세할 때 가이아에게 떨어진 핏방울에서 멜리아이가 태어났다고 기록했다. 칼리마코스는 멜리아이가 어린 제우스를 양육했으며, 아폴론과의 사이에서 테네로스와 이스메노스를 낳았다고 전한다. 아폴로도로스는 켄타우로스 포로스가 멜리아이 중 하나와 실레노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기록하여 다른 켄타우로스들과 구별했다.

2. 1. 헤시오도스의 기록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멜리아이(모든 나무 님프를 의미)는 크로노스우라노스를 거세했을 때 가이아(지구)에 떨어진 핏방울에서 태어났다.[8]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들에서 멜리아이 님프를 의미하는 물푸레나무는 헤시오도스의 청동기에 속하는 남성 세대의 조상이라고 한다.[9]

2. 2. 칼리마코스의 기록

칼리마코스의 《제우스 찬가》에 따르면, 멜리아이는 크레타섬의 딕테 산에서 어린 제우스를 돌보며, 염소 아말테아의 젖과 꿀을 먹였다.[10][4]

칼리마코스는 테베 님프 멜리아를 "땅에서 태어난" 멜리아이 중 하나로 묘사하며, 그녀는 아폴론과의 사이에서 테네로스와 이스메노스를 낳았다.[11][5] 그러나 다른 곳에서는 이 멜리아는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많은 딸 중 하나인 오케아니데스이다.[12][6]

2. 3. 아폴로도로스의 기록

신화학자 아폴로도로스는 켄타우로스 포로스의 부모가 실레노스와 멜리아이 중 하나라고 기록하여, 그를 다른 켄타우로스들과 계보적으로 구별했다.[7]

참조

[1] 서적 "The nymphs called ''Meliai'' are properly ash-tree nymphs"
[2] 서적 Theogony, Works and Days http://data.perseus.[...]
[3] 서적 Works and Days http://data.perseus.[...]
[4] 서적 Hymn 1—To Zeus https://archive.org/[...]
[5] 서적 Hymn 4—To Delos, Theogony https://archive.org/[...]
[6] 서적 Paean 9 https://www.perseus.[...]
[7]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8]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9] 서적 Works and Days http://data.perseus.[...]
[10] 서적 Hymn 1—To Zeus https://archive.org/[...]
[11] 서적 Hymn 4—To Delos, Theogony https://archive.org/[...]
[12] 서적 Paean 9 https://www.pers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