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크 수도원 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크 수도원 학교는 오스트리아 멜크에 위치한 학교로, 11세기부터 시작된 중세 수도원 학교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15세기 멜크 개혁으로 학교가 번성했으나,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예수회 대학 형태로 개편된 후, 1707년 김나지움으로 전환되었고,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의 교육 정책에 따라 공립 김나지움으로 지정되었다. 1938년 폐쇄되었다가 1945년 재개교했으며, 남녀공학으로 전환되고 현대 언어 계열을 채택했다. 작곡가 그레고르 베르너, 건축가 아돌프 로스 등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으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더외스터라이히주의 건축물 - 멜크 수도원
멜크 수도원은 1089년 설립되어 12세기에 김나지움, 15세기 멜크 개혁 운동, 1702년부터 바로크 양식 재건을 거쳐, 현재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니더외스터라이히주의 건축물 - 빈 국제공항
빈 국제공항은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동남쪽으로 18km 떨어진 슈베하트에 위치한 오스트리아 최대 규모의 국제공항이자 오스트리아 항공의 허브 공항으로, 동유럽의 관문 역할을 하며 연간 3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한다. -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 - 홍콩 화런 천주교 학교
홍콩 화런 천주교 학교는 1919년 홍콩에 설립되어 예수회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HKDSE를 위한 과목을 제공하며 다양한 활동을 운영하고, 쩡잉취안 전 홍콩 행정 장관 등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 - 세인트 토머스 모어 고등학교
세인트 토머스 모어 고등학교는 2000년 일리노이주 피오리아 가톨릭 교구에 설립되어 2003년에 첫 졸업생을 배출한 고등학교로,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며 일리노이 고등학교 협회(IHSA) 주 챔피언십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고, 세이버스라는 별명과 녹색, 금색을 상징 색상으로 사용한다.
| 멜크 수도원 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모토 | Discimus vitam |
| 모토 번역 | 인생을 배운다 |
| 위치 | 멜크 |
| 주 | 니더외스터라이히주 |
| 구 | 멜크 구 |
| 우편 번호 | 3390 |
| 국가 | 오스트리아 |
| 학교 종류 | 김나지움, 수도원 학교 |
| 종교적 제휴 | 기독교 |
| 종교 | 로마 가톨릭 |
| 수호 성인 | 슈토케라우의 콜만 |
| 설립 | 1140년 이전 |
| 상태 | 운영 중 |
| 학교 코드 | 315016 |
| 교장 | 안톤 에더 |
| 교직원 수 (2011/12) | 89명 |
| 학생 수 (2011/12) | 909명 |
| 학급 수 | 37개 |
| 학생 대 교사 비율 | 10.2 |
| 언어 | 독일어 |
| 웹사이트 | 멜크 수도원 학교 웹사이트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상위 섹션에는 별도 내용 불필요)
2. 1. 중세 수도원 학교 (11세기~16세기)
멜크 수도원 학교에 중세 시대 수도원 학교가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는 각각 1140년경과 116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본당 대장과 몇몇 양피지 조각이다. 학교는 12세기 전반기에 설립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1089년 수도원 설립 당시부터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15세기에는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의 베네딕토회 수도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 '멜크 개혁'과 함께 학교가 번성하고 명성을 얻었다. 예를 들어 1446년에는 시몬이라는 수도사가 당시 6살이었던 헝가리 왕 라슬로 5세를 위해 교육 서적을 집필하기도 했다.
그러나 1530년경부터 주로 합스부르크 왕국에서 종교 개혁이 시작되면서 수도원은 심각한 인력 부족에 시달렸고, 학교 운영도 어려움을 겪었다. 1566년에는 수도원에 남아있는 사제 수가 6명에 불과할 정도였다.
2. 2. 근세 학교 (16세기~18세기)
1530년경부터 시작된 종교 개혁은 합스부르크 군주국 통치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고, 멜크 수도원 역시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었다. 이는 수도원 학교 운영에도 영향을 미쳐 1566년에는 사제 수가 6명에 불과할 정도였다.이러한 위기는 16세기 말까지 이어졌으나, 반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남부 독일의 예수회 대학 출신 학생들이 학교에 들어오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이 학생들 중에는 '계관 시인' 칭호를 받은 로렌티우스 플렌하인트(Laurentius Flenheint)와 같은 인물도 있었으며, 이들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여 학교의 위상을 다시 높였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1596년에는 학교가 예수회 대학의 형태로 개편되었다. 다만, 이 개편으로 멜크에는 하위 4개 학급만 남게 되었고, 학생들은 상위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빈으로 가야 했다.
1707년, 베르톨트 디트마이어(Berthold Dietmayr) 수도원장은 학교를 완전한 현대식 김나지움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이후 1781/82 학년도부터는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의 교육 정책에 따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일부 문호가 개방되는 '공립 김나지움'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787년, 요제프 2세는 학교를 장크트푈텐으로 이전시켰다. 이는 요제프 2세가 3년 전 장크트푈텐을 교구 도시로 지정하면서 그에 걸맞은 교육 기관을 갖추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학교는 이후 1804년에 다시 멜크로 돌아오게 된다.
2. 3. 근대 학교 (19세기~1938년)


1787년 요제프 2세의 명령으로 장크트푈텐으로 이전되었던 학교는 1804년에 다시 멜크로 돌아왔다. 1811년 11월 7일, 수도원장 안톤 레이버거는 학교 기숙사를 설립하여 개장했다. 이와 함께 학생들이 작은 마을 학교에서 김나지움으로 더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예비반(''praeparanda'')이 도입되어 1927년까지 운영되었다.
1850년에는 학급 수가 8개로 늘어났으며, 1851년에는 멜크에서 첫 번째 마투라 시험이 치러졌다. 이 시기에는 학교의 과학 컬렉션이 체계적으로 구성되고 특별히 장려되었다. 1861년 학교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총 208명의 학생이 등록했으며, 이 중 51명은 기숙사생이었다.
교육 인력에도 변화가 생겨, 1873년부터는 세속 교사가 부전공 과목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1879/80년부터는 주요 과목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학교 시설도 확장되어 1877/78년에는 새로운 물리 교실과 식당 등이 건설되었다. 한편, 1905년에는 멜크 주교 신학교가 문을 닫았다. 이 신학교 학생들은 'Seminaristen'으로 불렸으며, 수도원 기숙사(독일어 ''Konvikt'')에 거주하여 'Konviktisten'으로 불린 학생들과 구분되었다. 멜크 수도원 학교 학생들은 2006년 폐쇄될 때까지 이 신학교 건물에 기숙하기도 했다.
1938년 3월 13일,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병합되는 안슐루스가 일어나자, 기존 교장 빌헬름 시어 신부는 나치에 의해 해임되고 나치 협력자인 쾰레스틴 쇼이코 신부로 교체되었다. 같은 해 연말, 학교는 결국 나치 정권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었고, 건물은 나폴라로 개조되어 사용되었다.[1]
2. 4. 현대 학교 (1945년 이후)
1945년 9월 초, 재건과 정비 작업을 거쳐 학교 운영을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 1966년에는 미네소타주 칼리지빌에 있는 세인트 존스 준비학교(베네딕토회 수도원인 세인트 존스 수도원에서 운영)와 연례 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학생 수가 크게 줄어들자, 1967/68학년도에는 여학생의 입학을 허용하며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를 가르치는 기존의 "고전" 계열(인문 또는 고대어 계열)과 더불어 프랑스어를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현대 언어 계열("신언어" 계열)이 새롭게 만들어졌다. 1972년, 레지날드 주판치치 아빠스는 에른스트 베크샤이더를 교장으로 임명했는데, 이는 학교 역사상 처음으로 평신도가 교장직을 맡은 사례였다. 1973년부터는 슈티프츠김나지움의 모든 교사가 공립 자금으로 운영되기 시작하면서 학교의 재정적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다.3. 저명한 동문
멜크 수도원 학교의 졸업생들은 "알트멜커"(Altmelker)라고 불린다. "알트멜커와 친구 협회"(Verein der Altmelker und Freundede)라는 동문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 협회는 현재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한다.[2]
다음은 멜크 수도원 학교 출신의 저명한 인물들이다.
| 이름 | 생몰년 | 주요 활동/직업 |
|---|---|---|
| 그레고르 베르너 | 1693–1766 | 작곡가 |
| 요한 게오르크 알브레히츠베르거 | 1736–1809 | 음악가 |
| 프리드리히 할름 | 1806–1871 | 극작가, 시인 |
| 아우구스트 지카르트 폰 지카르츠부르크 | 1813–1868 | 건축가 |
| 카를 베르너 | 1821–1888 | 신학자 |
| 카를 첼러 | 1842–1898 | 작곡가 |
| 카를 카우츠키 | 1854–1938 | 정치 이론가, 철학자 |
| 스피리돈 곱체비치 | 1855–1928 | 천문학자, 역사가 |
| 아돌프 로스 | 1870–1933 | 건축가 |
| 프란츠 블라이 | 1871–1942 | 작가, 평론가 |
| 레오폴트 블라우엔슈타이너 | 1880–1947 | 화가 |
| 알베르트 파리 구터슬로 | 1887–1973 | 화가 |
| 레오폴트 비에토리스 | 1891–2002 | 수학자, 장수자 |
| 프란츠 쾨니히 | 1905–2004 | 로마 가톨릭 추기경, 빈 대교구 대주교 |
| 빌헬름 바일글뵈크 | 1905–1963 | 내과 의사, 제2차 세계 대전 전범 |
| 호엔베르크 공작 게오르크 | 1929-2019 | 오스트리아 왕위 추정 상속자, 외교관 |
| 요제프 하더 | 1962년 출생 | 코미디언, 배우 |
| 오토 레흐너 | 1964년 출생 | 음악가 |
| 헤르미네 하젤뵈크 | 생년 미상 | 메조 소프라노 |
4. 저명한 교사
- 베른하르트 페츠(Bernhard Pez) (1683년–1735년): 역사학자이자 사서.
- 가브리엘 스트로블(Gabriel Strobl) (1846년–1925년): 곤충학자.
참조
[1]
서적
Zum Beispiel Österreich. Kulturmacht, Wirtschaftskraft, Identität
2006
[2]
웹사이트
Association of Altmelkers and Friends
http://www.gymmelk.a[...]
[3]
웹사이트
Gregor Joseph Werner
http://gemeinden.erz[...]
erzbistum-koeln.de
[4]
서적
Allgemeine musikalische Zeitung, Band 31
Rieter-Biedermann Verlag
1829
[5]
서적
Werke und Briefe: Briefe 1838–1847. Kommentar
Klett-Cotta Verlag
1992
[6]
서적
Das Wiener Opernhaus
Verlag F. Steiner
1972
[7]
서적
Karl Werner als Sozialphilosph
Fotodruck: Mainz
1970
[8]
서적
Niederösterreichische Komponisten
Doblinger Verlag
1998
[9]
서적
Karl Kautsky: Marxism, revolution & democracy
Transaction Publishers
1994
[10]
서적
Spiridion Gopčević
Harrassowitz Verlag
1966
[11]
서적
Fashioning Vienna: Adolf Loos's cultural criticism
Routledge
2000
[12]
서적
Franz Blei – Porträts
Volk und Welt Verlag
1986
[13]
서적
Landeschronik Niederösterreich: 3000 Jahre in Daten, Dokumenten und Bildern
C. Brandstätter Verlag
1990
[14]
서적
Briefwechsel
C.H. Beck Verlag
1986
[15]
간행물
Jahresbericht der Deutschen Mathematiker-Vereinigung, Band 104
German Mathematical Society
2002
[16]
서적
Faszinierende Gestalten der Kirche Österreichs, Band 11
Dom-Verlag
2004
[17]
웹사이트
Biographie: Beigblöck Wilhelm
http://www.encyclope[...]
encyclopedie.bseditions.fr
[18]
서적
'Club Carriere – Enzyklopädie des Erfolges Juni 2004'
Algoprint Verlag
2004
[19]
서적
Meine Wut seid ihr!
Verlag A. Kunstmann
1993
[20]
웹사이트
Komm, sing mit
http://oe1.orf.at/ar[...]
[21]
웹사이트
Hermine Haselböck – CV at medea-production.com
https://archive.toda[...]
[22]
서적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Volume 25
Bavarian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1887
[23]
웹사이트
Biography of Gabriel Strobl
http://www.zobodat.a[...]
zoboda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