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르시아의 베네딕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480년경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547년경 사망한 기독교 성인으로, 서방 교회의 수도원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로마 귀족 출신으로, 로마의 방탕한 생활에 염증을 느껴 은수 생활을 시작했고, 수비아코와 몬테카시노에서 수도원을 설립했다. 그는 수도사들을 위한 규칙서인 《베네딕도 규칙서》를 제정하여 중세 유럽 수도 제도의 기초를 다졌으며, 유럽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베네딕토가 제작한 분도패는 악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여겨지며, 한국에서도 베네딕도회를 통해 그의 영성이 전해지고 있다.
몬테카시노에 전해지는 복음사가 마르코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짧은 시 외에,[8] 베네딕토에 대해 기록한 유일한 고대 문헌은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593년경 집필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화집》(Dialogues) 제2권이다.[46][12] 이 책은 프롤로그와 38장의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43] 그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9]
몬테카시노 수도원에서 수도원장의 권위 아래 공동체 생활을 하는 수도승들을 위해 저술한 베네딕도 규칙서(Regula Benedicti|레굴라 베네딕티la)는 73개의 짧은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6] 이 규칙서는 영적인 지혜(지상에서 그리스도 중심적인 삶을 사는 방법)와 행정적인 지혜(수도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를 모두 담고 있다.[16]
1964년 교황 바오로 6세는 성 베네딕토를 유럽의 수호성인으로 선언했으며,[48][18] 1980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 베네딕토를 성 치릴로와 성 메토디오와 더불어 유럽의 공동 수호성인으로 선언하였다.[49][19] 또한, 그는 동굴 탐험가들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20] 스페인령 테네리페 섬에서는 들판과 농부들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지며, 그를 기리는 중요한 로메리아(Romería Regional de San Benito Abad)가 열리는데, 이는 스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 중 하나로 꼽힌다.[21]
중세 초기는 일명 ‘베네딕토 세기’ 또는 '베네딕토 수도원 시대'라고 불리기도 한다.[53][29]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8년 4월, 서유럽에 대한 베네딕토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며 “베네딕토 성인은 자신의 삶과 업적을 통해 유럽의 문명과 문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로마 제국의 몰락 이후 이어진 “역사의 어두운 밤”에서 유럽이 벗어날 수 있게 도와주었다고 말했다.[54][30]
[1]
서적
Saints and Their Symbols: Recog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23-10-26
2. 전기
그레고리오 1세의 《대화집》에 실린 베네딕토의 이야기는 현대적 의미의 엄밀한 전기(biography)라기보다는, 온화하면서도 스스로를 단련하는 수도원장(Abbot)의 영성적 초상(spiritual portrait)에 가깝다.[43] 그레고리오 1세는 시라쿠사의 주교 막시밀리아노에게 보낸 서신에서, 이 책이 이탈리아의 성스러운 인물들이 행한 놀라운 기적들을 모아 놓은 일종의 ‘문집’(floretum|플로레툼la, 문자적으로 '꽃밭')이라고 밝힌 바 있다.[44][10]
그레고리오 1세는 베네딕토의 생애를 서술하면서 연대순으로 배열하거나 역사적으로 확실한 근거만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사람의 증언과 증거를 기초로 삼았다. 그는 자신이 사용한 정보가 베네딕토와 함께 생활하며 그의 여러 기적을 직접 목격한 제자들에게서 나온 가장 신뢰할 만한 것이라고 강조했다.[10] 그레고리오 1세가 언급한 정보 제공자들로는 베네딕토의 뒤를 이어 몬테카시노 수도원장이 된 콘스탄티노(Constantinus), 그리고 수비아코 수도원장이었던 발렌티니아노(Valentinianus), 심플리치오(Simplicius), 호노라토(Honoratus) 등이 있다.
그레고리오 1세가 살았던 시대에는 역사가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인정받지 못했고, 문법이나 수사학의 일부로 여겨졌다. 당시 일대기로 볼 수 있는 역사(historia|히스토리아la)는 지식 습득을 위한 하나의 접근 방식에 불과했다.[45][11] 따라서 《대화집》 제2권은 교황과 그의 부제 베드로 사이의 대화 형식을 통해 중세 성인전(hagiography)의 성격을 띠며, 사람들에게 종교적 가르침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46][12]
2. 1. 어린 시절
베네딕토는 480년경[12][13]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노르차(당시 누르시아)[46]의 한 로마인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36] 베다가 전한 바에 따르면, 그에게는 쌍둥이 여동생인 스콜라스티카가 있었다고 한다.[36]
소년 시절, 그는 학문을 배우기 위해 로마로 보내졌다.[14][36] 당시 로마는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릭이 장려하던 고전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36] 하지만 그는 로마에서의 학문[14]이나 주변 친구들의 무절제하고 방탕한 생활[46]에 실망하여 학업을 중단했다. 그가 학업을 중단하고 로마를 떠난 해는 500년경으로 추정되는데, 일부 기록에 따르면 당시 그의 나이가 20세 미만이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46] 로마 귀족으로서 경력을 쌓기 시작할 무렵, 그는 환락과 퇴폐가 만연한 생활에 염증을 느껴 로마를 떠나기로 결심했다.[46]
그는 처음에는 은수자가 되려 했다기보다 도시를 벗어나 조용한 곳에 살기를 원했던 것으로 보인다.[46] 자신을 아끼던 나이 많은 유모를 데리고 로마에서 약 약 64.37km 떨어진[13] 시골 마을 엔피데(오늘날의 아필레)로 가서[14] 그곳 성 베드로 성당 근처에 정착했다.[46] 이곳에서 베네딕토가 행한 첫 번째 기적이 전해지는데, 유모가 실수로 깨뜨린 체를 기도로 다시 붙였다는 이야기이다.[46]
얼마 후 베네딕토는 유모를 떠나 수비아코 근처로 향했다.[46] 수비아코로 가는 길은 좁고 어두운 계곡을 지나야 했는데,[46] 이곳에서 그는 수비아코의 로마노라는 수사를 만났다.[13] 로마노는 베네딕토의 이야기를 듣고 그에게 수도복을 주었으며,[13] 그의 권유로 베네딕토는 수사가 되어 3년간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고독한 삶을 살았다.[13][46] 그는 수비아코 호수 위 절벽에 있는 천연 동굴인 사크로 스페코(Sacro Speco|사크로 스페코it, 거룩한 동굴)에 거처를 정했다.[46] 이 동굴은 입구가 삼각형 모양이고 깊이는 약 약 3.05m 정도였다.[46] 그레고리오 1세에 따르면, 로마노 수사는 3년 동안 고정된 날짜마다 베네딕토를 찾아가 절벽 위에서 줄에 음식을 매달아 내려보내며 그를 도왔다고 한다.[46]
2. 2. 수도원 설립과 활동
베네딕토는 은수 생활을 통해 점차 명성을 얻게 되었고, 주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14] 인근 비코바로 수도원의 수도자들이 찾아와 선종한 아빠스(수도원장)의 후임으로 베네딕토를 추대했다. 베네딕토는 당시 비코바로 수도원의 문란한 생활과 규율을 알고 있었기에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수도자들의 계속된 간청에 결국 수락했다.[9]
아빠스로 부임한 베네딕토는 수도원 개혁을 시도했으나, 그의 엄격한 규율 요구는 수사들의 반발을 샀다. 불만을 품은 수사들은 베네딕토를 독살하려는 음모를 꾸며 포도주에 독약을 섞어 권했다. 그러나 베네딕토가 포도주를 마시기 전 성호를 긋자 잔이 깨져버렸고, 그는 음모를 알아차리고 즉시 수도원을 떠나 다시 수비아코 동굴로 돌아왔다.[9]
수비아코로 돌아온 후, 그의 성스러움과 인품에 대한 소문을 듣고 더 많은 사람이 가르침을 받기 위해 찾아왔으며, 이때부터 그의 기적이 빈번해졌다고 전해진다. 베네딕토는 자신을 따르는 이들과 함께 수비아코 인근에 12개의 작은 수도원을 세우고 공동체 생활을 시작하였다.[16] 각 수도원에는 12명의 수도사와 1명의 원장을 두었고, 자신은 소수의 제자들과 함께 다른 곳에 머물며 전체 수도원을 지도했다.[36]
그러나 인근 본당 사제 플로렌시오의 시기로 인해 또다시 어려움을 겪었다. 질투심에 사로잡힌 플로렌시오는 빵에 독약을 넣어 베네딕토를 해치려 했다. 베네딕토가 빵을 축복하자 까마귀가 날아와 빵을 물고 가버렸다. 독살 시도에 실패한 플로렌시오는 매춘부들을 이용해 수도사들을 유혹하려 하기도 했다.[15] 계속되는 위협을 피해 베네딕토는 결국 525년경(혹은 530년경) 수비아코를 떠나기로 결심했다.[15][36] 전승에 따르면, 베네딕토가 떠나던 날 아침 플로렌시오는 자신의 집 발코니가 무너지면서 그 아래에 깔려 사망했다고 한다.
수비아코를 떠난 베네딕토는 로마와 나폴리 사이의 언덕 꼭대기에 위치한 몬테카시노로 향했다. 당시 그 지역 주민들은 이교를 믿으며 산 위에 아폴론 신상을 세워 숭배하고 있었다. 베네딕토는 이교 신전들을 파괴하고 주민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켰으며, 529년경(혹은 530년경) 그 자리에 몬테카시노 수도원과 성당을 세웠다.[47][16][36] 몬테카시노 수도원 건축 당시, 인부들이 옛 아폴론 신전의 큰 돌을 옮기려 했으나 꿈쩍도 하지 않았다. 베네딕토는 이것이 악마의 방해임을 알고 기도를 바쳤고, 그러자 돌이 쉽게 들어 올려져 건축을 계속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몬테카시노에서 베네딕토는 수도 공동체를 위한 《베네딕도 규칙서》를 540년경 저술했다.[36] 이 규칙서는 올바른 금욕 생활과 기도, 공부, 육체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수도 생활의 지침을 제시했다. 《베네딕도 규칙서》는 점차 서방 교회의 모든 수도원 규칙의 기준이 되었고, 다른 수도 규칙의 모범이 되어 교회 영성과 서유럽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36][38] 그가 세운 몬테카시노 대수도원은 서방 수도원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오늘날까지 베네딕토 수도회의 총본부 역할을 하고 있다.
베네딕토의 명성은 널리 퍼져 고트족의 왕 토틸라도 그를 찾아왔다. 토틸라는 베네딕토를 시험하기 위해 부하 장군에게 자신의 왕복을 입혀 먼저 보냈다. 베네딕토는 한 번도 토틸라를 만난 적이 없었지만, 장군을 보자마자 그가 왕이 아님을 간파했다. 이후 직접 찾아온 토틸라에게 베네딕토는 전쟁을 멈출 것을 충고하며, 그가 앞으로 9년간 건강하게 살다가 10년째 되는 해에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토틸라는 베네딕토를 만난 후 이전보다 행실을 조심했으며, 예언대로 10년째 되던 해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2. 3. 말년과 죽음
529년경 몬테 카시노로 옮겨 수도원을 세운 베네딕토는 이후 그곳에서 자신이 이상으로 삼는 수도 생활을 실현하는 데 남은 생애를 바쳤다.[36] 540년경에는 유명한 수도 규칙을 제정했는데, 이는 노동과 정신 활동의 균형을 강조하며 이후 서유럽 수도원 제도의 기초가 되었다.[36][38]
베네딕토는 누이인 스콜라스티카가 세상을 떠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몬테 카시노에서 열병으로 사망했으며, 그녀와 같은 묘에 묻혔다.[36] 전승에 따르면 그의 사망일은 547년 3월 21일이다.[17]
3. 베네딕도 규칙서
규칙서 내용의 절반 이상은 순명하고 겸손하는 방법과 이를 따르지 않는 공동체 구성원에 대한 지침을 다룬다. 약 4분의 1은 기도를 포함한 하느님의 사업(opus Dei|오푸스 데이la)을 규제하며, 10분의 1은 수도원이 어떻게 그리고 누구에 의해 관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16] 베네딕토 규칙서의 금욕주의는 그 절제로 유명하다.[26]
540년경 제정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규칙은[36] 엄격함과 관대함 사이의 중도를 지키며, 노동과 정신 활동의 조화를 규정하였다.[36][38] 베네딕토 자신은 이 규칙서를 “초심자들을 위해 쓴 이 가장 겸손한 규칙”이라고 불렀지만,[39] 이는 수도승뿐 아니라 하느님께 인도받기를 갈망하는 모든 사람에게 유익한 지침으로 평가받는다. 규칙서가 가진 중용과 겸손, 그리고 영적 삶에서 본질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식별하는 능력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39]
베네딕도 규칙서는 서유럽의 거의 모든 수도회에 퍼져나갔고, 이후 오랫동안 중세 유럽 수도원 제도의 기초로 여겨졌다.[36][38]
4. 공경
가톨릭교회의 로마 보편 전례력에서는 1970년 이전까지 성 베네딕토의 축일을 3월 21일로 기념했다. 이는 《순교 열전》(Martyrologium hieronymianum)과 베다가 집필한 일부 필사본 기록에 따른 그의 선종 추정일이다. 그러나 이 날짜는 사순 시기와 겹치는 경우가 많아, 1969년 전례력 개정을 통해 축일을 7월 11일로 옮겨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7월 11일은 8세기 말 갈리아 지역의 일부 전례서에서 베네딕토의 탄생 축일(Natalis S. Benedictila)로 지정된 날이기도 했다. 다만 성 베네딕토 축일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불확실한 점이 남아있다.[50][22] 이 때문에 로마 순교록에서는 3월 21일에 베네딕토의 선종을 간략히 언급하고, 7월 11일에 그의 축일을 기념한다고 명시하는 반면, 7월 11일자 기록에서는 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3월 21일에 선종했다는 전승을 언급하기도 한다.[23]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 베네딕토 축일을 3월 14일에 지낸다.[52][24] 루터교에서는 7월 11일에 성 베네딕토 축일을 기념하며,[4] 앵글리칸 공동체에서도 대부분의 교구 달력에서 7월 11일을 기념일로 정하고 있다. 특히 잉글랜드 교회에서는 7월 11일을 소축일로 기념한다.[25]
한국에서는 베네딕도회를 통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왜관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요셉 수도원 등에서 그의 영성을 따르고 있다.
5. 평가와 영향
베네딕토는 서방 교회의 수도생활에 어느 누구보다도 많은 기여를 했다. 그가 만든 수도원 규율을 담은 《베네딕도 규칙서》는 중세 수천 개 교회 공동체들의 규율의 토대가 되었다.[55][31] 《베네딕도 규칙서》는 작성된 이래 1400여 년 동안 가톨릭 수도회들에서 채택한 가장 보편적이고 영향력 있는 규칙서로 평가받는다. 오늘날 베네딕도회 계열은 베네딕도 연합회와 시토회의 두 가지 주요 분파로 나뉜다.[56]
베네딕토는 유럽에 진정한 영적 움직임을 가져왔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유럽 대륙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베네딕토는 자신의 저서 《베네딕도 규칙서》(Regula)를 “초심자들을 위해 쓴 이 가장 겸손한 규칙”이라고 표현했지만, 이 규칙서는 수도승뿐만 아니라 하느님께 인도받기를 원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익한 지침을 제공한다. 베네딕토의 중용과 겸손, 영적 삶의 본질을 식별하는 능력은 현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로 인정받고 있다.[39]
6. 분도패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기록에 따르면, 베네딕토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한 깊은 신심을 지녔으며 십자 성호를 그어 많은 기적을 행했다. 이러한 그의 십자가 신심에서 유래하여 베네딕토를 기리는 메달, 즉 분도패가 만들어졌다.[57][27]
분도패 앞면에는 베네딕토가 오른손에 십자가를, 왼손에는 베네딕도 규칙서를 상징하는 책을 들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그의 오른쪽 발치에는 십자 성호로 깨뜨린 독이 든 잔(독배)이 있고, 왼쪽 발치에는 그를 해치려 했던 독이 든 빵을 물고 날아가는 까마귀가 묘사되어 있다. 메달 가장자리에는 라틴어 문구 "''Eius in obitu nostro praesentia muniamur''" ("우리 죽는 순간 그의 현존으로 강하게 하소서")가 새겨져 있다. 독배와 까마귀 위에는 "''Crux S. Patris Benedicti''" ("우리의 거룩한 아버지 베네딕토의 십자가")라는 라틴어 문구가 있다. 베네딕토의 발치 아래에는 메달이 처음 만들어진 곳과 연도를 나타내는 "몬테카시노 수도원, 1880"이라는 글자와 숫자가 새겨진 경우도 있다.[57][27]
메달 뒷면은 십자가가 중심을 이룬다. 십자가의 세로대에는 "''Crux Sacra Sit Mihi Lux''" ("거룩한 십자가여, 나의 빛이 되소서!")의 머리글자인 '''CSSML'''이, 가로대에는 "''Non Draco Sit Mihi Dux''" ("용(악마)이 나의 인도자가 되지 않게 하소서!")의 머리글자인 '''NDSMD'''가 새겨져 있다. 십자가 네 각의 안쪽에는 "''Crux Sancti Patris Benedicti''" ("우리의 거룩한 아버지 베네딕토의 십자가")의 머리글자인 '''CSPB'''가 있다. 십자가 위에는 대부분 평화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 '''PAX''' 또는 그리스도 문자 '''IHS'''가 새겨져 있다. 메달 뒷면 가장자리에는 구마 기도문인 "''Vade Retro Satana, Nunquam Suade Mihi Vana''" ("사탄아, 물러가라! 헛된 것을 나에게 권유하지 마라!")의 머리글자인 '''VRSNSMV'''와 "''Sunt Mala Quae Libas. Ipse Venena Bibas''" ("네가 내게 권하는 것은 악한 것이니, 그 독잔은 너나 마셔라")의 머리글자인 '''SMQLIVB'''가 새겨져 있다.[57][27]
분도패는 베네딕토 탄생 1400주년을 기념하여 1880년에 처음 제작되었기 때문에 '성년패(Jubilee Medal)'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분도패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 1647년 바이에른의 메텐 수도원 인근 나터른베르크에서 열린 마녀 재판 당시, 마녀로 고소된 여성들은 자신들의 주술이 십자가의 보호 아래 있는 메텐 수도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조사 결과, 수도원 벽에서 오늘날 분도패에 새겨진 글귀들이 포함된 여러 개의 십자가 그림이 발견되었으나, 그 의미는 오랫동안 잊혀 있었다. 이후 1415년에 작성된 사본에서 한 손에 두루마리를, 다른 손에는 십자가 지팡이를 든 베네딕토의 그림이 발견되었는데, 두루마리와 지팡이에는 분도패 십자가에 새겨진 글자들의 완전한 형태가 적혀 있었다. 이를 계기로 독일에서 메달이 제작되기 시작했고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메달은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1741년 12월 23일과 1742년 3월 12일 교황령을 통해 처음으로 승인하였다.[27]
베네딕토는 전 세계 많은 수집가용 주화의 주제이기도 하다. 2002년 3월 13일에 발행된 오스트리아 50EUR '그리스도교 수도회' 기념주화가 그 예이다.[28]
참조
[2]
웹사이트
Saint Benedict of Nursia: The Iconography
https://www.christia[...]
2022-11-27
[3]
서적
St. Benedict and Christianity in England
https://books.google[...]
Gracewing Publishing
[4]
서적
Festivals and Commemorations in Evangelical Lutheran Worship
https://ms.augsburgf[...]
Augsburg Fortress
1983
[5]
서적
The Little Book of Saints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
2023-10-26
[6]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The Class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03-23
[7]
서적
Life of St. Benedict
Books for Libraries Press
[8]
웹사이트
The Autumn Number 1921
http://www.amplefort[...]
[9]
서적
Life and Miracles of St. Benedict
Greenwood Press
[10]
서적
Saint Benedict and His Times
B. Herder
[11]
서적
Historiography in the Middle Ages
Brill
[12]
웹사이트
St. Benedict of Norcia
https://www.newadven[...]
2014-03-03
[13]
웹사이트
St. Benedict
https://www.britanni[...]
[14]
웹사이트
Saint Benedict, Abbot
http://www.ewtn.com/[...]
2015-02-11
[15]
서적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Our Sunday Visitor
[16]
웹사이트
St Benedict of Nursia
https://www.bl.uk/pe[...]
[17]
웹사이트
Saint Benedict of Norcia
https://www.vatican.[...]
2020-03-15
[18]
웹사이트
St. Benedict of Norcia
https://www.catholic[...]
Catholic Online
2008-07-31
[19]
간행물
Egregiae Virtutis
https://www.vatican.[...]
2009-04-26
[20]
서적
Brewer's dictionary of phrase & fable
Cassell
[21]
웹사이트
Romería de San Benito Abad
https://www.spain.in[...]
[22]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3]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4]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in America: The Lives of the Saints, March 14th
http://ocafs.oca.org[...]
2011-03-27
[25]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26]
웹사이트
Saint Benedict
https://www.francisc[...]
[27]
서적
The Life of St Benedict
TAN Books
[28]
웹사이트
50 euro - The Christian Religious Orders
https://www.coin-dat[...]
[29]
웹사이트
We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http://www.northern.[...]
2008-11-17
[30]
웹사이트
Saint Benedict of Norcia
https://www.vatican.[...]
2010-08-04
[31]
웹사이트
St. Benedict – Iconography
http://www.aug.edu/a[...]
[32]
웹사이트
Earthquake Blog - Monks of Norcia
https://web.archive.[...]
2016-11-02
[33]
뉴스
Beer-Brewing Monks of Norcia Say Earthquake Destroys St. Benedict Basilica
https://www.nbcnews.[...]
2016-10-31
[34]
웹사이트
Saint Benedict of Nursia: The Iconography
https://www.christia[...]
2022-11-27
[35]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0
[36]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人物百科I
ラルース
2004
[37]
웹사이트
聖ベネディクト
http://www.pauline.o[...]
[38]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人物百科I
ラルース
2004
[39]
웹사이트
教皇ベネディクト十六世の134回目の一般謁見演説 ヌルシアの聖ベネディクト
https://www.cbcj.cat[...]
2018-09-28
[40]
서적
St. Benedict and Christianity in England
http://books.google.[...]
Gracewing Publishing
2012-11-24
[41]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The Classics
http://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11-24
[42]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The Classics
http://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11-24
[43]
서적
Life and Miracles of St. Benedict
Greenwood Press
1980
[44]
서적
Saint Benedict and His Times
B. Herder
1951
[45]
서적
Historiography in the Middle Ages
Brill
2003
[46]
웹사이트
St. Benedict of Nurs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4-03-03
[47]
웹인용
Nursia
http://www.benedicti[...]
2012-06-25
[48]
웹인용
St. Benedict of Nursia
http://www.catholic.[...]
Catholic Online
2008-07-31
[49]
웹인용
Egregiae Virtutis
http://www.vatican.v[...]
2009-04-26
[50]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51]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4
[52]
웹사이트
The Lives of the Saints, March 14th
http://ocafs.oca.org[...]
[53]
웹인용
We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http://www.northern.[...]
2008-11-17
[54]
웹인용
Saint Benedict of Norcia
http://www.vatican.v[...]
2010-10-04
[55]
웹인용
St. Benedict – Iconography
http://www.aug.edu/a[...]
2011-09-25
[56]
웹인용
Saint of the Day
http://www.americanc[...]
2014-10-06
[57]
서적
The Life of St Benedict
TAN Books and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