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 운남 정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의 운남 정복은 14세기 후반 명나라가 윈난 지역을 정복하고 통치한 일련의 사건들을 의미한다. 1300년대 중반 둥족의 반란이 일어났고, 명나라는 1381년 30만 대군을 동원하여 운남을 침공하여 1382년 정복을 완료했다. 이 과정에서 대리국의 단씨 일족이 저항했으나 멸망했고, 명나라는 몽골인과 회교도 포로를 거세하여 환관으로 만들었다. 이후 멍마오의 반란이 있었고, 명나라 군인들은 현지 여성들과 결혼하여 툰바오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명의 운남 정복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분쟁 | 명의 군사 작전의 일부 |
![]() | |
날짜 | 1381년 – 1382년 |
위치 | 윈난성 |
결과 | 명나라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1 | 명나라 |
교전 2 | 북원 (운남의 원 잔존 세력) 단씨 가문 (대리 충성파) |
지휘관 1 | 홍무제 부우덕 남옥 목영 |
지휘관 2 | 바사라와르미 (양왕) 단실 (대리 총독) |
병력 규모 1 | 250,000명 |
병력 규모 2 | 수천 명의 몽골 및 중국 무슬림 군대 |
피해 규모 1 | 질병으로 인한 심각한 손실 |
피해 규모 2 | 수천 명 사망, 수백 명 거세, 20,000명 포로 |
2. 둥족의 반란과 진압
1300년대 중반, 장시성에서 발생한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한족 농민들이 둥족 거주지로 대거 이주하게 되었다. 이들은 점차 더 많은 토지를 차지했고, 둥족들을 거친 산악 지대로 몰아냈다. 삶의 터전을 빼앗긴 둥족은 굶주림, 기아, 역병 등에 시달렸다. 그러나 당시 명나라의 홍무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계속해서 세금을 징수하려 했고, 결국 둥족의 불만이 폭발하여 반란으로 이어졌다.
1378년, 둥족 군대는 리핑현을 포위 공격했다. 리핑현 내 명나라 군대는 병력과 군세가 약했기 때문에, 리핑현 관리들은 둥족 대표들을 성 안으로 불러 협상할 것을 제안했다. 성 안으로 들어간 대표단에는 반란 지도자 오면(吳勉)의 아버지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학살당했다.
아버지의 죽음에 복수를 맹세한 오면은 황제를 세 번이나 활로 쏘아 죽이려 시도했다. 황제는 10만 명의 대군을 보내 오면을 잡아 죽일 것을 명령했고, 오면은 1385년에 체포될 때까지 약 7년 동안 반란을 이끌었다.
2. 1. 오면의 난 (1378-1385)
1378년, 둥족 군대가 리핑현을 포위 공격했다. 리핑현의 명나라 군사들은 수가 적고 약했기에, 관리들은 둥족 대표들을 성 안으로 불러들여 협상하려 했다. 이 대표단에는 반란 지도자 오면(吳勉)의 아버지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성 안에 들어간 둥족 대표들은 모두 학살당했다.아버지의 죽음에 오면은 복수를 맹세하고 황제를 세 번이나 활로 쏘아 죽이려 했다. 황제는 10만 대군을 보내 오면을 잡으라 명했고, 오면은 1385년까지 7년간 저항했다.
둥족 설화에 따르면, 오면은 명나라 군대를 피해 도망치면서 많은 보물을 바위 속에 숨겼다고 한다. 이 바위는 마술로만 열 수 있으며, 허가 없이 보물에 접근하려는 자는 바위 속에 영원히 갇힌다고 전해진다.
3. 명나라의 운남 정복 (1381-1382)
홍무제는 1381년에 30만 명의 대군을 거느리고 운남을 침공하였다.[2] 부우덕은 몽골족, 원나라의 무슬림 세력을 공격했고, 남옥, 목영은 명나라에 충성하는 무슬림 군대를 이끌고 원나라의 무슬림 세력을 공격했다. 1382년 1월 6일에 바자르오르미가 자살하면서 명나라는 운남을 정복했다.[3]
홍무제는 1369년, 1370년, 1372년, 1374년, 1375년에 사신을 운남으로 보내 복속을 요청했다. 그러나 사신 중 일부가 살해되었고, 이는 당시 북원에 충성하던 운남 정권을 공격하는 구실이 되었다.
1381년, 약 25만에서 30만 명에 달하는 한족 및 회족 출신 군대가 동원되어 윈난에 남아있는 원나라 영토를 붕괴시켰다.[2]
부유덕 장군은 북원 세력의 몽골 및 무슬림 군대에 대한 공격을 이끌었다. 또한 무영과 람옥 장군도 명나라 측에서 참전하여 원나라에 충성하는 무슬림에 맞서 명나라에 충성하는 무슬림 군대를 이끌었다.[2]
양왕 바사라와르미는 1382년 1월 6일, 명나라 무슬림 군대가 북원의 몽골 및 무슬림 군대를 압도하자 자결했다. 목영과 그의 무슬림 군대는 명나라의 군사 주둔지로서 세습적인 지위를 부여받았고, 그 지역에 남았다.[3]
3. 1. 명나라 군대의 진격
1381년, 약 25만에서 30만 명에 달하는 한족 및 회족 출신 군대가 동원되어 윈난에 남아있는 북원 영토를 붕괴시켰다.[2]부유덕 장군은 북원 세력의 몽골 및 무슬림 군대에 대한 공격을 이끌었다. 무영과 람옥 장군도 명나라 측에서 참전하여 북원에 충성하는 무슬림에 맞서 명나라에 충성하는 무슬림 군대를 이끌었다.[2]
양왕 바사라와르미는 1382년 1월 6일, 명나라 무슬림 군대가 북원의 몽골 및 무슬림 군대를 압도하자 자결했다. 무영과 그의 무슬림 군대는 명나라의 군사 주둔지로서 세습적인 지위를 부여받았고, 그 지역에 남았다.[3]
3. 2. 대리국 정복과 단씨 일족
단 시는 13대이자 마지막 세습 대리 총독으로, 그의 조상은 몽골의 정복 이전 대리국의 통치자였다.[4] 단 씨는 원나라 아래에서 이 지역을 통치했지만, 명나라의 행정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4] 그는 대리가 명나라의 조공국이 될 수밖에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4] 1382년, 란위와 무잉의 군대가 공격하여 치열한 전투 끝에 단 씨의 영토를 무너뜨렸다.[4] 1383년 2월, 마지막 대리의 거점인 덩촨(邓川)이 명나라에 함락되었고, 단 씨 일족은 포로로 잡혀 난징의 명나라 수도로 호송되었다.[4]3. 3. 운남 평정과 바자르오르미의 죽음
루추안(오늘날의 루이리와 미얀마 북부)에서 멍마오군은 1386년부터 1389년까지, 그리고 1397년부터 1398년까지 명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 운남 서부와 구이저우에서도 명나라 군인들이 지역 반란을 진압했다. 이후 명나라 군인들은 현지 한족, 묘족, 야오족 여성과 결혼했으며, 그들의 후손을 나중에 운남으로 이주한 새로운 한족 식민 이주민과 구별하여 "툰바오"라고 부른다. 툰바오는 오늘날에도 운남에서 살고 있다.4. 명나라의 운남 통치와 그 이후
명나라 장군 란위와 푸유는 전쟁 후 포로로 잡힌 몽골인과 회교도 포로 380명을 거세했다.[5] 이로 인해 많은 포로들이 환관이 되어 명나라 황제를 섬기게 되었다.[6] 그 환관 중 한 명이 정화였다.[7]
루추안(오늘날의 루이리와 미얀마 북부)에서 멍마오군은 1386년부터 1389년까지, 그리고 1397년부터 1398년까지 명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
명나라 군인들은 운남 서부와 구이저우에서 지역 반란을 진압한 후 현지 한족, 묘족, 야오족 여성과 결혼했다.[8] 이들의 후손은 "툰바오"라고 불리며, 나중에 운남으로 이주한 새로운 한족 식민 이주민과 구별된다.[8] 툰바오는 오늘날에도 운남에서 살고 있다.[8]
4. 1. 포로 거세와 환관화
명나라 장군 란위와 푸유는 전쟁 후 포로로 잡힌 몽골인과 회교도 포로 380명을 거세했다.[5] 이로 인해 많은 포로들이 환관이 되어 명나라 황제를 섬기게 되었다.[6] 그 환관 중 한 명이 정화였다.[7]4. 2. 툰바오(屯堡)의 형성
명나라 군인들은 운남 서부와 구이저우에서 지역 반란을 진압한 후 현지 한족, 묘족, 야오족 여성과 결혼했다.[8] 이들의 후손은 "툰바오"라고 불리며, 나중에 운남으로 이주한 새로운 한족 식민 이주민과 구별된다.[8] 툰바오는 오늘날에도 운남에서 살고 있다.[8]4. 3. 멍마오의 반란 (1386-1398)
5. 명나라 중/후기 운남 지역의 변화
5. 1. 묘족 반란
5. 2. 명말 농민 반란
6. 명나라-운남 관계사 연구의 중요성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2]
서적
Cheng Ho and Islam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0-06-28
[3]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2010-06-28
[4]
간행물
Did Kublai Khan's conquest of the Dali Kingdom give rise to the mass migration of the Thai people to the south?
http://www.siamese-h[...]
2019-02-18
[5]
서적
Journal of Asian history, Volume 25
https://books.google[...]
O. Harrassowitz.
2011-06-06
[6]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0-06-28
[7]
서적
Islam in China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10-06-28
[8]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