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영은 원나라 말기에 주원장의 휘하에서 군인으로 활동하며 명나라 건국에 기여한 인물이다. 주원장의 제자이자 양자로서, 서달 등과 함께 명나라 관직에 등용되어 여러 전장에서 공을 세웠다. 서평후, 평서후에 봉해졌으며, 운남을 평정하고 뎬저우를 통치하며 농업 진흥과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1392년 황태자 주표의 죽음에 슬퍼하며 병을 얻어 사망했으며, 첸닝왕으로 추봉되었다. 목영의 민족 정체성과 관련하여 한족, 회족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왕작 - 에센 타이시
    에센 타이시는 15세기 오이라트의 지도자로, 토목의 변을 일으켜 명나라 황제를 포로로 잡았으나 칸 즉위 후 내부 반란으로 피살되어 오이라트부 분열을 초래했다.
  • 명나라의 왕작 - 탕화
    탕화는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의 군인으로 주원장을 도와 명나라 건국에 공을 세워 신국공에 봉해졌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주원장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명나라 초 공신으로 평가받는다.
  • 1345년 출생 - 이첨
    이첨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고려의 중흥에 기여하고 조선 건국 후 역사 편찬에 참여했으며, 학문에도 능통하여 《정관정요》 강독, 《제범》 편찬, 《삼국사략》 편찬 참여 등 조선 초기의 역사 인식 정립에 기여했다.
  • 1345년 출생 - 공양왕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은 이성계 세력에 의해 옹립되어 허수아비 왕으로 이용되다 폐위되었고, 이후 살해되었으나 조선 태종 때 추봉되었다.
목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종교이슬람교
본명沐英
직함서평후
임기 시작1377년
임기 종료1392년
출생일1345년
출생 장소원나라 허난 딩위안 현 (현재의 안후이 추저우 딩위안 현)
사망일1392년 (47세)
사망 장소명나라 윈난 푸 (현재의 윈난 쿤밍)
다른 이름문영 (文英)
직업군사 장군, 정치인
부모목초 (아버지)
고씨 부인
홍무제 (양아버지)
자녀목춘
목성
목앙
목흔
시호소정 (昭靖)
작위
작위명 (한자)서평후 검녕소정왕 (西平侯 黔寧昭靖王)
배우자구양씨 부인 (歐陽氏 夫人)
친인척구양 윤 (방계 처가 친인척)
기타 정보
종교불교
통치 왕조명나라

2. 생애

1377년 토번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덩위를 따라 '''정서부장군'''으로서 투르판으로 원정하여 큰 공을 세우고 '''서평후'''에 봉해졌다. 동시에 관위 세습의 철권을 받았다. 이듬해 덩위가 병사하자 정서장군에 취임하여 투르판에서 남녀 2만 명을 포로로 잡고, 목축 20만 마리 이상을 얻었다.

2. 1. 어린 시절과 명나라 건국

1363년 홍건적의 난 당시, 홍건적 예하 차석부장군 주원장의 휘하 병졸로 입대하면서 지략을 인정받았다. 이후 서달 등과 함께 주원장의 제자가 되어 그를 주군이자 사부로 섬겼다. 탕화를 사숙으로, 서달을 사형으로 모셨다. 목영은 어릴 때 고아가 되었기 때문에 주원장 부부에게 거두어져 양자가 되었으며, 이때 성을 '주(朱)'로 고쳤다. 하지만, 후에 많은 공적을 세운 후 다시 성을 '목(沐)'으로 돌리는 것을 허락받았다.

18세에 장전도위에 임명되어 전장(鎭江)을 지켰으며, 이후 더욱 공을 세워 지위가 올라갔다.

1368년 사부 주원장원나라를 멸국하고 명나라를 건국하여 초대 군주(명 태조 홍무제)로 즉위하자, 사형 서달과 함께 명나라 관직에 본격 등용되었다.

2. 2. 운남 평정과 통치

홍무 14년(1381년), 목영은 정남우부장군에 임명되어 정남장군 푸유더를 따라 운남으로 출정하여 원나라 량왕국의 군대와 싸웠다. 명나라 군대와 원나라 군대는 강을 사이에 두고 대치했는데, 목영은 기습 부대를 이끌고 적의 배후로 돌아가 징과 북을 울려 대군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면서 갑자기 장거리 기병으로 공격했다. 놀란 원나라 군대는 궤주했고, 목영은 더 나아가 멀리 운남으로 가서 도망치는 량왕을 우물에 뛰어들어 자살하게 만들었다. 운남 평정 후, 목영은 뎬저우 진호를 명받았다. 그는 뎬저우에서 농업 정책을 성공시켜 100만 묘의 밭을 개간하고, 치수 사업도 충실하게 하여 암염 상업으로 도시를 윤택하게 했다.

홍무 17년(1384년) 취징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진압했으며, 홍무 20년에는 랑충 등 각지의 반란 평정에 종사했다. 홍무 22년(1389년) 바이이의 스룬파가 난을 일으켜 30만 명을 이끌고 딩볜으로 쳐들어오자, 목영은 3만 명의 군사로 구원에 나섰다. 당시 운남의 병참 상황은 극도로 악화되어 있었고, 반란은 운남 각지로 확대되고 있었다. 목영은 둔전책을 이용하여 병참 상황을 개선하고, 연락선 확보와 반란 세력 분단을 꾀하여 운남 요지에 위를 설치했다. 이러한 책략으로 운남의 반란 세력은 약화되었고, 목영은 4만 명의 목과 37마리의 코끼리를 생포하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명나라는 운남 일대 평정에 성공했다.

2. 3. 죽음과 유산

1392년 5월 17일, 목영이 서거하자 주군(主君)이자 사부(師父)인 홍무제는 신하이자 제자였던 그의 장례를 명 제국 귀족 국장으로 성대히 치렀다.[1] 주원장은 황태자 주표가 죽자 주원장 이상으로 슬퍼하여 병을 얻었고, 같은 해 5월에 운남에서 향년 48세로 사망했다.[1] 첸닝왕에 추봉되었으며, 공신으로서 태조묘에 배장되었다.[1] 시기적으로 주표의 사망 후, 주원장에 의해 대규모 숙청이 시작되기 전에 죽었기 때문에, 숙청에는 참여하지 않았다.[1]

3. 가족 관계

배우자자녀
견녕 소정 왕부인 풍씨(黔宁昭靖王夫人冯氏)목춘 (1399년 사망), 장남
견녕 소정 왕 계부인 경씨(黔宁昭靖王继夫人耿氏) (1344년-1431년)목성 (1368년 – 1449년), 차남
포생 부인 방씨(鲍生夫人方氏) (1357년 – 1439년)목앙 (1445년 사망), 다섯째 아들
고명 부인 안씨(诰命夫人颜氏) (1448년 사망)목흔, 넷째 아들
미상


4. 민족 정체성 논란

바이쇼우이는 그의 저서 『중국 이슬람교사 참고』에서 무영이 회족이라는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설명하며, "회족 중 한 명으로 간주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했다. 그러나 나중에 무영의 전기는 바이쇼우이가 증거 없이 편집한 『중국 회족 민족사』(中国回回民族史중국어)에 포함되었다.[13]

마이클 딜런은 "대부분의 서양 자료와 이를 인용한 중국 자료에는 무영의 출신이 한족이 아니라는 언급이 없지만, 그는 아무런 언급 없이 저명한 회족의 삶에 대한 주요 연구 시리즈에 무슬림으로 포함되었다. 성씨 무(Mu)는 중국 무슬림 사이에서도 흔하며, 아마도 무함마드에서 유래되었을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한자로 쓰인다. 무영의 성씨를 쓰는 데 사용된 한자는 머리를 감는 것과 관련된 것이며, 중국의 모든 모스크 표지판에서 기도 전에 사용되는 의식 목욕인 무유(muy)의 첫 글자로 나타난다"라고 적었다. 그는 "아마도 오래된 무슬림 가문 출신이었을 것이지만, 그가 실천하는 무슬림이었다는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14]

조나단 니먼 립먼은 무영이 바이쇼우이를 언급하며 "중국계 무슬림 학자들이 무슬림이라고 분명하게 주장하는" 여러 장군 중 한 명이라고 언급한다. 그는 "비무슬림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들 장군의 '무슬림' 정체성에 대한 상당한 의문이 있지만, 중국계 무슬림들은 그들의 '회인(Huiness)'을 분명하게 주장한다. 예를 들어 타자카는 『중국 니 오케루 카이쿄』 861쪽에서 창위춘의 회회인으로서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사람들의 정체성에도 의문을 제기한다. F. Mote, Goodrich와 Fang, Dictionary, 1079–83쪽은 무영이 무슬림으로 태어났다는 증거가 없으며, 주원장의 측근에서 입양되어 성장한 이야기는 그가 무슬림으로 자라지 않았음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적고 있다.[15]

그러나 리칭성(Li Qingsheng)과 같은 다른 저자들은 그가 양고기만 먹는 식습관, 무슬림 아내, 시닝에 모스크를 건설한 사실 등을 이슬람교와의 동일시의 예로 지적했다. 더욱이 무영이 그곳에서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많은 무슬림이 윈난으로 몰려들었다.[16]

5. 대중문화 속의 목영

김용의 소설 《녹정기》에서 목영의 후손들은 청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등장한다. 운남에 위치한 목왕부(沐王府)는 목영과 그의 추종자들의 후손들이 거주하는 친명나라 비밀 조직이다.[17] 주인공 위소보의 일곱 부인 중 한 명인 목검평과 그녀의 오빠 목건성은 목영의 직계 후손이다.[17]

6. 평가

목영은 성격이 온화하고 과묵했으며, 총명하여 젊은 시절부터 부(府)의 사무 등을 문제없이 처리하여 고황후 등으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았다.[1] 독서를 좋아하여 틈만 나면 학자를 불러 고전과 역사를 학습했지만, 논쟁에 참여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2]

전주(滇州)에서는 진호(鎮護)임에도 농민과 함께 경작을 하기도 했으며, 치세는 상당히 좋았다.[3] 주원장 일가와의 유대감이 매우 강하여, 양어머니인 고황후가 홍무 15년(1382년)에 사망하자 슬픔에 겨워 피를 토하기도 했다.[4]

참조

[1] 논문 The Ming Court as Patron of the Chinese Islamic Architecture: The Case Study of the Daxuexi Mosque in Xi'an http://www.fayoum.ed[...] 2019-12-20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웹사이트 Between Winds and Clouds: Chapter 3 http://www.gutenberg[...]
[5] 웹사이트 Between Winds and Clouds: Chapter 4 http://www.gutenberg[...]
[6] 웹사이트 Between Winds and Clouds: Chapter 5 http://www.gutenberg[...]
[7] 웹사이트 Gold Treasures Discovered in Ming Dynasty Tomb (Photos) http://www.livescien[...] 2015-05-13
[8] 웹사이트 Ming Dynasty Tomb Tells a Remarkable Life's Story http://www.newhistor[...] 2015-05-14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10] 서적 The China Review, Or, Notes and Queries on the Far East https://books.google[...] "China Mail" Office
[11] 간행물 Voices from the Ming-Qing Cataclysm: China in Tigers' Jaws Yale University Press
[12] 문서 died young
[13] 서적 A History of the Chinese Hui People (中国回回民族史) Zhonghua Book Company
[14]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9
[15]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16] 서적 China's Encounters on the South and Southwest Reforging the Fiery Frontier Over Two Millennia BRILL 2014
[17] 문서 The Deer and the Cauldron Ming Pao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