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옥 (명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옥은 명나라 초기의 무장으로, 상우춘의 추천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여러 군공을 세웠다. 1388년에는 대장군으로 임명되어 부이르 호 전투에서 북원 군대를 격파하는 등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잦은 오만함과 홍무제의 견제를 받았다. 1393년, 모반 혐의로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이 사건은 '남옥의 옥'으로 불리며 1만 5천 명에서 3만 명에 이르는 희생자를 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대장군 - 정덕제
홍치제의 아들인 정덕제는 명나라의 제10대 황제로, 즉위 초 총명하다는 평을 받았으나 환관 총애, 불교 심취, 잦은 친정 등으로 국정을 소홀히 하여 반란이 잇따르며 명나라 쇠퇴를 가속화시켰다. - 명나라의 대장군 - 서달 (중국)
서달은 원나라 말기 명나라 초기의 장군으로 주원장과 함께 명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웠으며, 정로대장군으로 북벌을 이끌어 원나라를 북으로 몰아내고 대도를 점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나, 뛰어난 공적과 능력으로 주원장의 경계를 받다 사망했다. - 명나라의 국공 - 이선장
이선장은 명나라 초 주원장의 참모로, 뛰어난 계략과 법가 사상으로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호유용의 옥에 연루되어 숙청된 인물이다. - 명나라의 국공 - 탕화
탕화는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의 군인으로 주원장을 도와 명나라 건국에 공을 세워 신국공에 봉해졌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주원장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명나라 초 공신으로 평가받는다. - 명나라의 후작 - 왕수인
왕수인은 왕양명으로 널리 알려진 명나라의 유학자, 관료, 군인, 사상가로서, 육구연의 심학을 계승하여 양명학을 집대성했으며, 그의 사상인 심즉리, 지행합일, 치양지는 주자학에 대한 대안으로 명나라와 조선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의 후작 - 목영
목영은 명나라 초기의 무장으로, 주원장의 양자로서 명나라 건국과 운남 평정에 공을 세워 평서후에 봉해졌으며 윈난 지역의 안정에 기여했고 사후 첸닝왕으로 추봉되었으나, 그의 민족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남옥 (명나라)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남옥 |
한자 표기 | 藍玉 |
로마자 표기 | 병음: Lán Yù 웨이드-자일스: Lan Yü |
생몰년 | 1336년 ~ 1393년 |
출생지 | 정원 |
사망지 | 난징 |
군사 정보 | |
복무 | 명나라 |
최종 계급 | 장군 |
주요 참전 | 운남 원정 북원 정벌 |
가족 관계 | |
처 | 정실: 미상 첩: 고려 공녀 출신 여인 |
자녀 | 아들 (이름 미상) |
기타 | |
작위 | 양국공(梁國公) |
시호 | 무정(武定) |
2. 생애
남옥은 형 남영(藍榮)과 누이가 있었으며, 누이는 상우춘의 아내였다. 상우춘의 휘하에서 활약하여 그의 추천으로 관군이 되었고, 군공을 세워 대도독부첨사(大都督府僉事)로 승진했다.[1] 부우덕의 사천 평정과 서달의 막북 원정에도 참여했다. 암도 지구와 캄의 부족장들을 복종시킨 공으로 영창후(永昌侯)에 봉해졌다.[1] 남옥은 서달, 상우춘과 함께 명나라 군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
1381년, 남옥은 "남정을 정복하는 좌부장군"(征南左副將軍)으로 임명되어 운남 정벌에 참여, 이 지역을 평정했다. 1387년에는 북원의 나하출이 요동을 침략하자 풍승과 함께 20만 대군을 이끌고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냈다. 1388년에는 대장군(大將軍)으로 15만 병력을 이끌고 우스칼 칸 토구스 테무르를 공격, 부이르 호 전투에서 크게 승리했다. 이 승리로 홍무제는 남옥을 한나라의 위청과 당나라의 이정에 비견될 만하다고 칭찬했다.[3]
1392년, 항복한 원나라 장군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고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임명되었다.[3] 그러나 많은 공을 세우면서 점차 오만해져 권력을 남용하고 황제에게 불경한 태도를 보였다.[3] 농민들의 토지를 빼앗거나, 경비병들이 밤늦게 입장을 거부하자 부하들을 이끌고 강제로 관문을 통과하기도 했다.[3]
1393년, 남옥은 금의위 지휘 장환에게 모반 혐의로 고발당하여 처형되었다. (남옥의 옥) 이 사건으로 15,000명에서 30,000명에 이르는 사람이 희생되었다.[5][8]
2. 1. 초기 활동과 공적
남옥은 상우춘의 휘하에서 활약하여 그의 추천으로 관직에 등용되었고, 군공을 세워 대도독부첨사(大都督府僉事)로 승진했다.[1] 그의 형은 남영(藍榮)이고, 누나는 상우춘의 아내이다. 1371년 (홍무 4년) 부우덕을 따라 사천을 평정하였다.[1] 1372년(홍무 5년) 주원장의 2차 북원 정벌 때 서달이 이끄는 중로군(中路軍)의 선봉관(先鋒官)으로 참전하여, 안문관을 출발하여 야마천(野馬川, 지금의 커루룬 강)과 토랄하(土剌河, 지금의 투울 강)에서 쾨케 테무르의 군대를 격파하였다.[1] 1374년(홍무 7년)에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흥화(興和) 일대를 평정하였다.[1] 1378년(홍무 11년) 목영과 함께 티베트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였다.[1] 1379년(홍무 12년) 군대가 대승을 거두고 돌아오자, 영창후(永昌侯)에 봉해졌다.[1]2. 2. 운남 및 나하추 정벌
1381년, 남옥은 정남장군(征南將軍) 부우덕, 좌부장군(左副將軍) 목영과 함께 30만 대군을 이끌고 운남을 정벌하였다. 남옥과 목영은 동로군(東路軍)을 이끌고 큰 저항 없이 곤명을 점령했다. 원나라 우승상 관보보(觀甫保)가 항복하면서 운남의 원나라 잔존 세력은 소멸하였다.[1] 이후 남옥은 군대를 이끌고 대리를 공격, 곡정에서 원나라 평장(平章) 달리마(達里麻)를 사로잡았다. 양왕이 도주 중 사망함으로써 중국 남부의 원나라 세력은 완전히 평정되었다.[1]1387년, 남옥은 정로좌부장군(征虜左副將軍)으로 임명되어 대장군(大將軍) 풍승과 함께 북원의 태위(太尉) 나하추를 정벌하였다. 풍승의 군대가 통주에 도착했을 때, 경주(지금의 내몽골 바린 좌기 부근)에 원나라 군대가 주둔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남옥을 보내 격파하였다. 이어 군대를 이끌고 추격하여 나하추가 금산 일대에 주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하추는 거짓 항복을 시도했으나, 남옥 등은 이를 간파하고 나하추를 생포하여 귀환하였다. 이때 나하추의 군대는 모두 명나라에 투항하였다.[3]
2. 3. 북원 정벌과 부이르 호 전투
1388년, 남옥은 대장군(大將軍)에 임명되어 15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북원 정벌에 나섰다.[10] 정탐을 통해 원나라 주력이 쿨룬 부이르에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신속하게 진격하여 백안정(百眼井)에 도착했다. 그러나 원나라 군대의 흔적을 찾을 수 없자 회군하려 했으나, 정원후(定遠侯) 왕필의 주장에 따라 진격을 계속했다.[10]원나라는 명나라 군대가 마초(馬草) 부족으로 깊숙이 진격하지 못할 것이라 판단하여 방비를 소홀히 하고 있었다.[10] 왕필이 이끄는 선봉대가 기습 공격을 가하자, 원나라 군대는 크게 당황하여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태위(太尉) 만자(蠻子) 등이 전사했다.[10] 결국 원나라 군대는 항복하였고, 토구스 테무르 황제와 태자 천보노(天保奴) 등은 겨우 도망쳤다.[10]
남옥은 이 부이르 호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둘째 아들 지보노(地保奴)와 여러 비빈, 공주를 포함한 수백 명을 사로잡았다.[10] 또한 오왕(吳王) 타아지(朵兒只)와 대왕(代王) 달리마(達里麻)를 비롯한 평장(平章) 이하 관리 수천 명, 남녀 7만 명을 포로로 잡고, 원나라 황제의 옥새와 인신 등을 손에 넣었다.[10] 합라장영(哈剌章營) 공격에서도 수많은 포로와 가축을 획득하며 큰 전과를 올렸다.[10]
이 공으로 남옥은 회군하여 양국공(涼國公)에 봉해졌다.[10] 그러나 몽골 귀족 여인과의 간통 사건으로 인해 홍무제의 분노를 사, 원래 봉해질 예정이었던 양국공(梁國公)에서 한자가 변경되어 양국공(涼國公)에 봉해졌다.[3]
3. 남옥의 옥
남옥은 여러 차례 큰 공을 세웠으나, 점차 오만하고 방자한 행동을 일삼았다. 황제의 명을 어기고 사병을 늘리거나, 백성들의 토지를 빼앗는 등 권력을 남용했다.[3] 1393년 금의위 지휘 장환이 남옥의 모반을 고발하면서 이른바 '남옥의 옥'이 시작되었고,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연루되어 희생되었다.
3. 1. 사건의 발단과 전개
1392년 황태자 주표(朱標)가 갑자기 사망하고, 그의 아들 주윤문이 황태손으로 책봉되면서 남옥의 입지도 불안해졌다. 남옥의 딸은 촉왕 주춘(朱椿)의 왕비였고, 상우춘의 딸은 주표의 태자비였기 때문에 주원장은 황태손의 미래를 걱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옥의 횡포가 심해지자, 주원장은 강력한 공신들이 황태손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권력을 휘두를 것을 염려하여 공신 숙청을 결심하게 되었다.[1]1393년(홍무 26년), 금의위(錦衣衛) 지휘(指揮) 장환(蔣瓛)은 남옥이 모반을 꾀하고 있다고 고발했다. 남옥은 즉시 체포되었고, 조사 과정에서 경천후(景川侯) 조진(曹震), 학수후(鶴壽侯) 장익(張翼), 축로후(舳艫侯) 주수(朱壽), 정원후(定遠侯) 왕필(王弼), 동관백(東筦伯) 하영(何榮), 이부상서(吏部尚書) 첨휘(詹徽), 호부시랑(戶部侍郎) 부우문(傅友文) 등이 함께 모반을 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4] 주원장은 남옥을 사형시키고 가산을 몰수했으며, 삼족을 멸하였다. 이 사건으로 1만 5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처형되었다. 남옥 사건을 정리한 후, 주원장은 『역신록(逆臣錄)』을 편찬하여 여러 신하들에게 경고하였다. 학계에서는 이 사건을 남옥의 옥(藍玉案)이라고 부른다.[4]
3. 2. 처형과 숙청
1393년(홍무 26년) 금의위(錦衣衛) 지휘(指揮) 장환(蔣瓛)이 남옥이 모반을 꾀하고 있다고 고발하였다. 남옥은 즉각 체포되었고, 조사 과정에서 경천후(景川侯) 조진(曹震), 학수후(鶴壽侯) 장익(張翼), 축로후(舳艫侯) 주수(朱壽), 정원후(定遠侯) 왕필(王弼), 동관백(東筦伯) 하영(何榮), 이부상서(吏部尚書) 첨휘(詹徽), 호부시랑(戶部侍郎) 부우문(傅友文) 등과 함께 모반을 일으키려 했다는 주장이 더해졌다.[4] 홍무제는 남옥을 사형시키고 그의 가산을 몰수하였으며, 삼족멸을 명했다. 이 사건으로 1만 5천 명에서 3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연루되어 희생되었다.[4][8]이 사건으로 인해 남옥의 사위인 촉왕 주춘도 피해를 입었다.[8] 홍무제는 남옥 등의 진술과 죄장을 엮어 『역신록(逆臣錄)』을 간행하여 신하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했다. 학계에서는 이 사건을 남옥의 옥(藍玉案)이라고 부른다.
3. 3. 사건의 배경과 영향
1392년 황태자 주표가 갑자기 사망하고, 그의 아들 주윤문이 황태손으로 책봉되면서 명나라 조정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홍무제는 어린 황태손의 앞날을 걱정하며, 잠재적인 위협 세력을 제거하고자 했다. 특히 남옥은 황태자 주표와 인척 관계였고, 그의 딸은 촉왕 주춘의 왕비였으며, 상우춘의 딸이 주표의 태자비였기에 더욱 경계 대상이었다.[1] 남옥의 횡포가 심해지자, 홍무제는 강력한 공신들이 황태손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권력을 휘두를 것을 우려하여 숙청을 결심했다.1393년 금의위 지휘 장환이 남옥이 모반을 꾀하고 있다고 고발하면서, 이른바 '남옥의 옥'이 시작되었다.[4] 남옥은 즉시 체포되었고, 조사 과정에서 경천후 조진, 학수후 장익, 축로후 주수, 정원후 왕필, 동관백 하영, 이부상서 첨휘, 호부시랑 부우문 등과 함께 모반을 꾀했다는 혐의가 추가되었다.[5] 홍무제는 남옥을 사형시키고 가산을 몰수했으며, 삼족을 멸하는 등 가혹하게 처벌했다. 이 사건으로 1만 5천 명이 넘는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8]
남옥의 옥은 홍무제의 의도적인 숙청이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황제권 강화를 위한 조치였으며, 어린 황태손의 즉위를 앞두고 잠재적인 위협을 제거하려는 목적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군부 세력의 발호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평가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지나치게 많은 희생자를 낸 과도한 숙청이었다고 비판한다.
남옥의 옥은 명나라 초기의 정치적 안정에 기여했지만, 유능한 장군들의 부재를 초래하여 훗날 정난의 변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4. 평가
남옥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바탕으로 명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명사(明史)에 따르면, 그는 주원장 휘하의 장군 창위춘의 부하였으며, 전투에서 용맹함을 보여 대도독부 첨사로 승진했다.[1] 부우덕을 따라 쓰촨성을 공격하고, 서달과 함께 북원 원정에 참여하는 등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1] 1387년에는 랴오둥을 침략한 북원의 나하추를 항복시켰고,[3] 1388년에는 부이르 호 전투에서 북원의 우스칼 칸을 크게 격파하여 수많은 포로와 전리품을 획득했다.[3] 이러한 공으로 영창후[1], 양국공[3] 등에 봉해졌다.
하지만 남옥은 권력을 남용하고 오만한 행동을 일삼았다.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농민들의 토지를 빼앗거나,[3] 관문을 강제로 통과하고, 심지어 황제에게 불경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3] 금의위의 보고에 따르면, 그는 모반을 꾀했다는 혐의를 받았다.[5] 결국 1393년(홍무 26년), 남옥은 모반 혐의로 주살되었고, 이 사건(남옥의 옥)으로 인해 1만 5천 명에서 3만 명에 이르는[8] 사람들이 희생되는 등 명나라 초기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참고 문헌
참조
[1]
서적
History of Ming, Volume 132, Biography of Chang Yuchun
[2]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3]
서적
History of Ming, Volume 132, Biography of Lan Yu
[4]
서적
The Ageless Chinese
Charles Scribner's Sons
1971
[5]
간행물
漢民族の復興
[6]
간행물
藍玉
[7]
서적
騎馬民族史 正史北狄伝
[8]
서적
明史
[9]
서적
明史
[10]
서적
明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