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 예술극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1898년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와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에 의해 설립된 러시아의 대표적인 극장이다. 안톤 체호프의 4대 작품을 공연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이후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를 거치며 국가 지원 극장으로 발전했다. 1987년에는 두 개의 극단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까지 연극 예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극장은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통해 연기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수많은 유명 배우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크바의 극장 - 말리 극장
모스크바에 위치한 러시아 국립 극장인 말리 극장은 1806년 설립 또는 1824년 현 건물 이전 시점을 기점으로 보며, 러시아 사실주의 연극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여 현재까지 러시아 고전 작가들의 희곡을 중심으로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고 있다. - 모스크바의 극장 - 볼쇼이 극장
볼쇼이 극장은 1776년 모스크바에 설립된 세계적인 오페라 및 발레 극장이자 러시아 대표 작곡가들의 작품 초연 무대이며 볼쇼이 발레단의 본거지로서 명성이 높지만, 최근 개보수 공사 중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1898년 완공된 건축물 - 빈 분리파 전시관
빈 분리파 전시관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가 설계하고 카를 비트겐슈타인의 재정 지원으로 건립되었으며, "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모토를 통해 예술의 자율성과 혁신을 강조하는 건축물로서 국제 현대 미술 전시장으로 활용되며 구스타프 클림트의 〈베토벤 프리즈〉 등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 1898년 완공된 건축물 - 정동제일교회
정동제일교회는 아펜젤러 선교사가 1885년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감리교 교회 중 하나로, 한국 최초의 서양식 개신교 교회 건축물인 벧엘예배당과 파이프 오르간 설치, 정동부인병원 설립 등의 '최초' 기록과 독립운동에 참여한 민족대표 33인을 배출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 러시아 제국의 문화 - 러시아 미술관
러시아 미술관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1898년 개관하여 러시아 미술 작품을 전시하며, 10세기부터 21세기까지의 37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다. - 러시아 제국의 문화 -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은 파벨 트레티야코프가 수집한 미술품을 기반으로 1856년 모스크바에 설립되었으며, 러시아 미술의 역사를 보여주는 방대한 소장품, 약 13만 점의 작품을 보유하고 있다.
모스크바 예술극장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모스크바 예술 극장 |
별칭 | МХАТ (MKhAT) |
위치 | 모스크바 |
좌표 | 55°45′36″N 37°36′48″E |
종류 | 극장 |
개관 | 1897년 7월 22일 |
웹사이트 | 모스크바 예술 극장 공식 웹사이트 |
이전 명칭 | |
이전 명칭 | 모스크바 예술 아카데미 극장 |
언어별 명칭 | |
러시아어 | Московский Художественный академический театр (МХАТ) |
로마자 표기 | Moskovskiy Khudozhestvennyy Akademicheskiy Teatr (MKhAT) |
이미지 | |
![]() |
2. 역사
1897년 7월 22일, 단첸코와 스타니슬랍스키는 모스크바의 레스토랑 "슬라비얀스키 바자르"에서 만나 18시간 동안 극단 설립에 대해 논의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모스크바에 본거지를 둔 주식회사 형태를, 단첸코는 지방 거점의 개인 출자 사업 형태를 제안했으나, 스타니슬랍스키가 단첸코를 설득하여 주식회사 신디케이트(타바리시체스트보)를 설립하게 되었다.
개업 당시에는 모스크바 시 당국으로부터 보조금을 받기 위해 "예술 보급 극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초연 후 1년이 지나도 시 의회에 상정되지 않아 2년째부터는 "예술 극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0]
첫 공연은 에르미타주 극장(마차길 거리에 위치, 객석이 좁고 사용하기 불편함)을 빌려 상연했다. 최초 극단원은 373명(323명이라는 설도 있음)이었다. 단원은 단첸코가 가르치던 모스크바 음악원 출신의 이반 모스크빈, 올가 크니펠, 메이예르홀트, E.M. 문트(메이예르홀트의 의붓동생) 등과 예술 문학 협회 출신의 리리나, 마르이 극장(제국 소극장) 양성소 출신, 카차로프 등 외부에서도 입단했다.
모로조프는 문학과 연극 애호가로, 극장 건설 및 창설 기금으로 10000RUB을 출자했다. 예술 극장은 이를 바탕으로 몇몇 주주를 얻어 28000RUB을 확보했다.[11]
1시즌 평균 입장객 수는 756명이었다. 가장 인기가 많았던 작품은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황제 표도르 이바노비치』[12]로 평균 826명이었고, 두 번째는 입센의 『헤다 가블레르』(4회 상연, 평균 804명)였다. 인기가 없었던 작품은 에밀 마리오트의 『그레타의 행복』으로 평균 416명(3회 상연)이었다.
1898년 12월, 체호프의 『갈매기』 재연은 모스크바 예술 극장을 단숨에 유명하게 만들었다. 1896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알렉산드린스키 극장(ru) 초연은 실패했지만, 모스크바 예술 극장판 갈매기는 배우들이 역할에 생생하게 살아 숨 쉬는 새로운 연출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극장은 이를 기념하여 비상하는 갈매기 문양을 심볼 마크로 채택했다.
이후 체호프의 『워냐 아저씨』, 『세 자매』, 『벚꽃 동산』을 차례로 초연했다. 고리키와 불가코프의 작품, 셰익스피어의 『햄릿』 등도 주요 작품이다. 무대 장치는 시모프 등이 담당했다.
1901년 재정 위기 당시, 모로조프가 주식을 모두 사들인 후 3인 공동 경영을 제안했다. 단첸코는 반대했지만, 그의 "꿈속에서"에 모로조프가 관심을 보여 공동 경영을 수용했다. 단첸코는 체호프에게 고리키 과다가 위험하다고 암시하는 등 고리키, 모로조프와 불화했다. 모로조프가 지배적 위치에 오르지는 않았지만, 새 주식회사 기반을 만드는 과정에서 극단원 중 15명의 주주를 선발했고, 메이예르홀트와 사르닌은 탈퇴했다. 이로 인해 처음으로 적자가 해소되었다.
10월 혁명 이후에도 극단은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발전했다. 많은 배우들이 소련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1923년과 1924년에는 뉴욕 공연을 가졌고, 리 스트라스버그는 이 공연을 계기로 배우가 되기로 결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58년에는 일본 공연(12월 5일부터 12일)을 가졌다.[13] 1987년, 극단은 올레그 예프레모프의 "체호프 기념 모스크바 예술 극장"과 타티아나 도로니나 중심의 "고리키 기념 모스크바 예술 극장"으로 분열되었다. 2000년부터 올레크 타바코프[14](1935-2018)가 체호프 기념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
2. 1. 설립 배경 (19세기 말)
19세기 말, 러시아 연극계는 과장된 연기와 틀에 박힌 연출이 주를 이루었고, 일반 대중은 연극을 접하기 어려워 큰 변화가 필요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타니슬랍스키와 네미로비치-단첸코는 연극을 개혁하고자 했다.[1]스타니슬랍스키와 네미로비치-단첸코는 정부가 운영하는 말리 극장을 개혁하는 대신, 자신들이 직접 운영하는 사립 극장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1897년 6월 22일, 두 사람은 슬라뱐스키 바자르(Slavyanski Bazar)라는 식당에서 만나 극장 설립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는데, 이 만남은 다음날 아침 8시까지 이어질 정도로 열정적이었다.[1]
네미로비치-단첸코는 문학적인 부분을, 스타니슬랍스키는 연출을 담당하기로 하는 등 두 사람은 서로의 강점을 살려 극장을 운영하기로 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배우들을 직접 면접하여 재능뿐만 아니라 성실성과 헌신성을 갖춘 배우들을 선발했다. 또한 배우들이 함께 생활하며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하여 공연의 질을 높이고자 했다. 스타니슬랍스키가 개발한 연기 시스템은 메소드 연기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2]
초기에는 누구나 연극을 볼 수 있는 "개방된 극장"을 만들고자 했으나,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3]
2. 2. 초기 활동 (1898년 ~ 1917년)
19세기 말, 스타니슬랍스키와 네미로비치-단첸코는 러시아 극장을 일반 대중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예술로 만들고자 했다.[1] 1897년 6월 22일, 두 사람은 슬라뱐스키 바자르(Slavyanski Bazar)에서 만나 극장 설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1] 이들은 처음에는 네미로비치가 문학적인 부분, 스타니슬랍스키가 제작 부분을 담당하는 것으로 역할을 나누었다.스타니슬랍스키는 배우들을 직접 면접하여 재능뿐만 아니라 성실성과 헌신성을 확인했다. 그는 배우들이 공동체 의식을 갖고 신뢰를 쌓도록 함께 생활하게 했으며, 이것이 공연의 질을 높일 것이라고 믿었다. 스타니슬랍스키가 개발한 연기 시스템은 극장에서 공연되는 모든 작품의 중심이 되었으며,[2] 메소드 연기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초기에는 사설 투자자나 모스크바 시 의회로부터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3] 극장의 첫 시즌에는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표도르 요안노비치 차르'', 헨리크 입센,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등이 공연되었다. 1898년 스타니슬랍스키가 트리고린 역을 맡은 ''갈매기'' 공연을 시작으로 체호프의 4대 작품을 무대에 올리면서 극장은 명성을 얻게 되었다.
1904년 체호프가 사망한 후, 극장은 큰 변화를 겪었다. 막심 고리키가 체호프의 뒤를 이어 주요 극작가로 거론되었으나, 네미로비치와 스타니슬랍스키는 그의 희곡 ''여름 사람들''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결국 고리키는 극장을 떠났다. 그는 주요 투자자 중 한 명이었던 사바 모로조프와 함께 떠났다.[4]
1906년, 극장은 베를린을 시작으로 드레스덴, 프랑크푸르트, 프라하, 비엔나 등에서 국제 순회공연을 가졌고, 큰 성공을 거두며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스타니슬랍스키는 네미로비치와 상의 없이 친구들을 극장 경영진으로 임명하고, 자신의 연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스튜디오를 열면서 두 사람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었다. 결국 스타니슬랍스키는 이사회 임원직을 사임하고 정책 결정에 대한 권한을 포기했다.[5]
2. 3.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 (1917년 ~ 1987년)
10월 혁명 이후에도 극장은 번영을 계속했으며, 여러 혁명 단체들이 혁명 이전 문화의 무관한 표지로 여겼지만,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원을 받아 최고의 국가 지원 극장 중 하나가 되었다.[4] 미하일 불가코프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을 위해 여러 희곡을 썼고, 이삭 바벨의 ''석양''도 1920년대에 그곳에서 공연되었다.[4] 많은 모스크바 예술극장 배우들이 소련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으며, 영화 역할 덕분에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4]그러나 내전으로 많은 극장 배우들이 모스크바에서 고립되었고, 레닌의 신경제정책으로 정부 지원이 줄어들면서 1923년까지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2만 5천 달러의 부채를 지게 되었다.
1930년대 후반, 스탈린주의 분위기가 예술적 표현을 억압하고 공연 내용을 통제하면서 극장은 더 큰 타격을 받았다.[4] 정부는 "붉은 감독"을 임명하여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활동이 공산주의 대의에 봉사하도록 감시했고, 급속한 산업화 시대에 맞춰 품질을 희생하면서 생산량을 늘리도록 장려되었다. 이로 인해 극장의 예술적 완전성은 저하되기 시작했다.
1932년 극장은 공식적으로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극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6] 스타니슬랍스키는 지원을 잃지 않기 위해 자연주의 연극에 대한 헌신을 유지하면서 정치적 제약을 받아들여 사회주의 사실주의로 스타일이 바뀌었고, 이는 수십 년 동안 공연에 영향을 미쳤다.
1970년, 배우이자 프로듀서인 올레그 예프레모프가 극장의 지휘권을 잡고 개혁을 시작했다.[7] 그는 150명의 배우들로 구성된 극단을 이끌면서 스타니슬랍스키의 전통을 복원하기 위해 노력했다.[7]
1987년, 극장은 체홉 모스크바 예술극장(올레그 예프레모프 예술 감독)과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극장(타티아나 도로니나 예술 감독)의 두 극단으로 분열되었다.[7]
2. 4. 극단 분리와 현재 (1987년 ~ 현재)
1987년,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두 개의 극단으로 분열되었다. 하나는 올레그 예프레모프를 예술 감독으로 하는 체호프 모스크바 예술극장이었고, 다른 하나는 타티아나 도로니나를 중심으로 하는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극장이었다.[7] 2000년부터는 올레크 타바코프[14](1935-2018)가 체호프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2024년 현재, 모스크바 예술극장 학교는 연극 예술 분야에서 러시아 최고의 대학 중 하나로 손꼽힌다.
3.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
스타니슬랍스키와 네미로비치-단첸코는 19세기 말 러시아 극장을 일반 대중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예술로 만들고자 했다.[2] 이를 위해 모든 배우들을 면접하여 재능뿐만 아니라 성실하고 헌신적인지를 확인했다.[2] 또한 배우들이 공동 주택에서 함께 생활하며 공동체 의식과 신뢰를 쌓도록 했는데, 이는 공연의 질을 높일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2] 스타니슬랍스키가 극장의 일부로 설립한 연기 스튜디오에서 배우들을 훈련시킨 연기 시스템은 극장에서 공연된 모든 작품의 중심이 되었으며, 메소드 연기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2]
4. 주요 작품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1898년 표도르 요안노비치 차르를 시작으로 알렉세이 콘스탄티노비치 톨스토이, 헨리크 입센,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무대에 올렸다. 특히, ''갈매기'' 공연은 극장에 큰 명성을 안겨주었으며, 이후 안톤 체호프의 4대 작품(갈매기, 바냐 아저씨, 세 자매, 벚꽃 동산)을 모두 초연했다.[8]
막심 고리키는 체홉의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그의 희곡 여름 사람들에 대한 극장의 미온적인 반응으로 인해 모로조프와 함께 극장을 떠났다.[4] 이후 극장은 국제 순회 공연을 통해 명성을 얻었지만, 스타니슬랍스키와 네미로비치 사이의 갈등으로 스타니슬랍스키는 이사회에서 사임했다.[5]
10월 혁명 이후에도 극장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원을 받으며 번성했다. 미하일 불가코프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을 위해 여러 희곡을 썼고, 이삭 바벨의 ''석양''도 1920년대에 공연되었다. 그러나 신경제정책으로 인해 정부 지원이 감소하면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8]
1930년대 후반, 스탈린주의의 영향으로 예술적 표현이 억압받고 정부의 통제가 강화되면서 극장의 예술성은 저하되기 시작했다. 1932년에는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극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6]
1970년 올레그 예프레모프가 극장 개혁을 주도하며 스타니슬랍스키의 전통을 복원하려 노력했다.[7] 1987년 극장은 체홉 모스크바 예술극장과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극장으로 분열되었다.
4. 1. 공연 목록 (1898년 ~ 현재)
연도 | 작품명 | 작가 | 비고 |
---|---|---|---|
1898년 | 표도르 요안노비치 차르 | 알렉세이 톨스토이 | 류리크 왕조 쇠퇴기를 다룬 3부작 중 2부 |
1898년 | 가라앉은 종 | 하우프트만 | |
1898년 | 베니스의 상인 | 셰익스피어 | 샤일록으로 개제 |
1898년 | 갈매기 | 체호프 | 모스크바 예술극장판 갈매기는 배우들이 역할에 생생하게 살아 숨 쉬는 새로운 연출로 큰 성공을 거둠. |
1898년 | 안티고네 | 소포클레스 | |
1898년 | 헤다 가블러 | 입센 | |
1899년 | 이반 뇌제의 죽음 | 알렉세이 톨스토이 | 3부작 중 1부 |
1899년 | 십이야 | 셰익스피어 | |
1899년 | 마부 헨셸 | 하우프트만 | |
1899년 | 바냐 아저씨 | 체호프 | |
1899년 | 고독한 사람들 | 하우프트만 | |
1900년 | 눈동자 | 오스트로프스키 | |
1900년 | 인형의 집 | 입센 | |
1900년 | 우리가 죽었을 때 깨어나다 | 입센 | |
1900년 | 세 자매 | 체호프 | |
1901년 | 야생오리 | 입센 | |
1901년 | 미하일 크라머 | 하우프트만 | |
1901년 | 나의 꿈 | 네미로비치단첸코 | |
1901년 | 필리스티아인들 | 고리키 | |
1902년 | 어둠의 힘 | 톨스토이 | |
1902년 | 밑바닥 | 고리키 | |
1902년 | 사회의 기둥 | 입센 | |
1903년 | 줄리어스 시저 | 셰익스피어 | |
1904년 | 벚꽃 동산 | 체호프 | |
1904년 | 이바노프 | 체호프 | |
1905년 | 태양의 아들들 | 고리키 | |
1906년 | 화가의 고뇌 | 그리보예도프 | |
1906년 | 브란트 | 입센 | |
1907년 | 보리스 고두노프 | 푸시킨 | |
1908년 | 푸른 새 | 마테를링크 | |
1908년 | 검찰관 | 고골 | |
1909년 | 왕국 문에서 | 함순 | |
1909년 | 시골에서 한 달 | 투르게네프 | |
1909년 | 《어리석음이 충분한 현명한 사람》 | 오스트로프스키 | |
1910년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도스토옙스키 | |
1911년 | 살아있는 시체 | 톨스토이 | |
1911년 | 햄릿 | 셰익스피어 | 고든 크레이그와의 협업. 모스크바 예술극장판 햄릿 참조 |
1912년 | 돈키호테 | 투르게네프 | |
1912년 | 페르 귄트 | 입센 | |
1913년 | 여관 여주인 | 골도니 | |
1913년 | 파수킨의 죽음 | 살티코프셰드린 | |
1913년 | 돌 손님 | 푸시킨 | |
1915년 | 스테판치코보 마을 | 도스토옙스키 |
1917년 10월 혁명 이후에도 극장은 번영을 계속했으며,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원을 받았다. 미하일 불가코프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을 위해 여러 희곡을 썼고, 이삭 바벨의 ''석양''도 1920년대에 그곳에서 공연되었다. 그러나 신경제정책으로 정부 지원이 줄면서 극장은 자체 수익으로 생존해야 했다.
1930년대 후반, 스탈린주의 분위기가 예술적 표현을 억압하면서 극장은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는 "붉은 감독"을 임명하여 극장 활동을 통제했고, 이로 인해 극장의 예술적 완전성은 저하되기 시작했다. 1932년 극장은 공식적으로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극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0년, 올레그 예프레모프가 극장의 지휘권을 잡고 개혁을 시작했다. 그는 스타니슬랍스키의 전통을 복원하고, 배우들의 직업 윤리를 강조했다. 1987년 극장은 체홉 모스크바 예술극장(예술 감독 올레그 예프레모프)과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극장(예술 감독 타티아나 도로니나)의 두 개의 극단으로 분열되었다.
5. 한국과의 관계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19세기 말 러시아에서 창단되어 사실주의 연극을 추구하며 세계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 이론은 배우의 내면 심리를 중시하는 새로운 연기 방식을 제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8년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일본에서 공연(12월 5일부터 12일)을 가졌다.[13] 이는 한국 연극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직접적인 교류는 아니지만, 당시 일본을 통해 서구의 연극 사조가 한국에 유입되었던 정황을 고려할 때,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일본 공연은 한국 연극계에도 새로운 자극이 되었을 것이다.
6. 역대 예술 감독
이름 | 재임 기간 | 주요 업적 |
---|---|---|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 | 1934년까지 |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와 함께 모스크바 예술극장 공동 설립 |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 | 1943년 사망 시까지 | 행정 감독 및 예술 감독 역임 |
니콜라이 흐멜료프 | 1943년 ~ 1945년 | |
이반 모스크빈 | 1943년 ~ 1946년 | 행정 감독 역임 |
미하일 케드로프 | 1946년 ~ 1949년 (1955년까지 수석 감독) | |
극장 예술 위원회 | 1949년 ~ 1955년 | |
빅토르 스타니친, 보리스 리바노프, 미하일 케드로프, 블라디미르 보고몰로프 | 1955년 ~ 1970년 | |
올레그 예프레모프 | 1970년 ~ 1987년 | 극단 분리 전까지 예술 감독 역임 |
7. 주요 배우
다음은 모스크바 예술극장을 거쳐 간 주요 배우 목록이다.
배우 이름 | 활동 시기 |
---|---|
알렉세이 바탈로프 | 1953년–1957년 |
세라피마 비르만 | 1911년–1924년 |
유리 보가티리요프 | 1977년–1989년 |
리처드 볼레스라프스키 | 1908년–1914년 |
미하일 체호프 | 1912년–1928년 |
알렉세이 디키 | 1910년–1928년 |
보리스 도브로나라보프 | 1918년–1949년 |
타티아나 도로니나 | 1972년–1987년 |
소피아 기아친토바 | 1901년–1924년 |
키라 골로브코 | 1938년–1950년, 1957년–1985년, 1994년–2007년 |
알렉세이 그리보프 | 1924년–1974년 |
바실리 카찰로프 | 1900년–1948년 |
알렉산더 칼랴긴 | 1971년–1991년 |
콘스탄틴 하벤스키 | 2003년부터 |
예브게니야 카나예바 | 1947년–1987년 |
니콜라이 흐멜료프 | 1924년–1945년 |
올가 크니퍼 | 1898년–1950년 |
알리사 쿠넨 | 1906년–1913년 |
아나톨리 크토로프 | 1933년–1980년 |
타티아나 라브로바 | 1959년–2007년 |
레오니드 레오니도프 | 1903년–1943년 |
보리스 리바노프 | 1924년–1970년 |
브세볼로드 메이어홀트 | 1898년–1902년 |
이리나 미로시니첸코 | 1965년부터 |
이반 모스크빈 | 1898년–1946년 |
안드레이 미야코프 | 1977년–2013년 |
비야체슬라프 네빈니 | 1959년–2009년 |
보리스 플로트니코프 | 2002년–2020년 |
알라 포크로프스카야 | 2004년–2019년 |
안드레이 포포프 | 1973년–1983년 |
마르크 프루드킨 | 1924년–1987년 |
브세볼로드 사나예프 | 1937년–1943년 |
이야 사비나 | 1977년–2011년 |
이노켄티 스목투놉스키 | 1976년–1994년 |
빅토르 스타니친 | 1924년–1976년 |
안젤리나 스테파노바 | 1924년–1987년 |
올레그 타바코프 | 1983년–2018년 |
알라 타라소바 | 1924년–1973년 |
미하일 타르하노프 | 1922년–1948년 |
아킴 타미로프 | ?–1927년 |
나탈리아 테냐코바 | 1988년부터 |
예브게니 바흐탕고프 | 1911년–1919년 |
아나스타시야 베르친스카야 | 1980년–1989년 |
미하일 얀신 | 1924년–1976년 |
올레그 예프레모프 | 1970년–2000년 |
예브게니 예프스티그네예프 | 1971년–1988년 |
아나스타시야 주예바 | 1924년–1986년 |
8. 평가 및 의의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1898년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 재연으로 연극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알렉산드린스키 극장에서의 초연이 실패한 것과 달리, 모스크바 예술극장판 갈매기는 배우들의 생동감 있는 연기와 새로운 연출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극장은 이를 기념하여 비상하는 갈매기를 심볼 마크로 채택했다.[10]
이후 바냐 아저씨, 세 자매, 벚꽃 동산 등 체호프의 다른 작품들과 막심 고리키, 미하일 불가코프의 작품,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모스크바 예술 극장판 햄릿』 등 다양한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10]
10월 혁명 이후에도 소비에트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발전을 계속했고, 소속 배우들에게는 소련 인민예술가 칭호가 수여되었다. 1923년과 1924년에는 뉴욕 공연을 통해 리 스트라스버그에게 배우의 꿈을 심어주었으며,[10] 1958년에는 일본에서 공연(12월 5일부터 12일)했다.[13]
1987년, 극단은 “체호프 기념 모스크바 예술극장”과 “고리키 기념 모스크바 예술극장”으로 분열되었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서적
Московский Художественный Театр,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Изобразительного Искусства, Москва
[9]
논문
Экономика Московског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атра 1898—1914 годов: к вопросу о самоокупаемости частных театров.
[10]
서적
スタニスラフスキイ
弘文堂
[11]
서적
スタニスラフスキイ
弘文堂
[12]
서적
スタニスラフスキイ
弘文堂
[13]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14]
웹사이트
オレグ・タバコフ死去
https://sputniknews.[...]
2019-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