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골 국영 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국영 방송은 1931년 울란바토르에서 라디오 방송으로 시작하여, 1967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1960년대부터 전국 라디오 채널과 송신소를 확장했으며, 국제 단파 라디오 서비스 "몽골의 소리"를 운영한다. 2005년 공영 방송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4개의 텔레비전 채널과 3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한다.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장파 라디오 방송을 지속하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의 정회원으로서 국제 교류에도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설립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1967년 설립 -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는 일본 후쿠시마현에 위치한 6기의 비등수형 원자로로 구성된 발전소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여 현재 해체 및 오염 정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문제로 논란이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몽골 국영 방송
기본 정보
공식 명칭 (한국어)몽골 국영 방송
공식 명칭 (몽골어)Монголын Үндэсний Олон Нийтийн Радио Телевиз
공식 명칭 (로마자 표기)Mongolín Ündeszní Olon Nítín Radio Televíz
유형라디오, 텔레비전, 온라인 방송
개국1931년 6월
본사 위치울란바토르
국가몽골
소유주몽골 대통령
웹사이트몽골 국영 방송 공식 웹사이트
호출 부호
호출 부호MNB
의미Mongolian National Broadcaster (몽골 국영 방송)
관련 정보
관련 단체몽골 국영 방송 그룹

2. 역사

1931년 5~6월 울란바토르에서 방송이 시작된 이후, MNB는 여러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1960년대 초 울란바토르 지역 라디오 방송과 두 번째 전국 라디오 채널이 설립되었고, 이후 여러 지역에 송신소가 추가로 설치되면서 방송 서비스가 확장되었다.[3][4] 1967년 9월에는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어, 몽골 국민들에게 더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1964년 국제 단파 라디오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1997년 "몽골의 소리"로 개명되었다. 이는 해외 청취자들에게 몽골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4]

2005년 공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법이 채택되면서 MNB는 공영 방송사로 전환되었다. 이는 MNB가 독립적이고 공정한 방송을 제공하는 기반이 되었다.[1]

초창기 몽골 텔레비전은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 일요일 18시부터 22시까지만 방송을 송출하였으며, 컬러 방송은 1980년대 중반까지 늦어졌다. 사회주의 시대에는 자체 제작 비중이 높았으나, 사회주의 붕괴와 함께 감독과 프로듀서들이 흩어지면서 자체 제작은 뉴스유아 프로그램 정도로 축소되었고, 대부분 한국 드라마를 포함한 외국산 드라마에 의존하게 되었다.

1989년 단파를 통해 일본향 일본어 방송 (몽골의 소리)를 시작하여 외국과의 교류를 지속하려 했으며, 국제협력기구(JICA)에서 전문가를 파견하기도 했다.

MNB는 2022년 현재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장파 라디오 방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1990년 8월 10-12일의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 일정표. 당시 사용된 TV 및 라디오 장치의 로고가 표시되어 있다.

2. 1. 설립 초기 (1931년 ~ 1960년대)

방송은 1931년 5~6월 울란바토르에서 시작되었으며, 무역산업부 장관 곰빈 소드놈에 의해 조직되었다.[3] 1960년대 초, 울란바토르 지역 라디오 방송이 도입되었고, 두 번째 전국 라디오 채널이 설립되었다.[4]

2. 2. 발전 및 확장기 (1960년대 ~ 2000년대)

1965년 올기, 1978년 알타이, 달란자드가드, 초이발산에 장파 송신기가 추가로 개설되었다.[4] 1981년 무릉 송신기가 중파 방송을 시작했다.[4] 1964년 국제 단파 라디오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1997년에 "몽골의 소리"로 개명되었다.[4] 올기 방송국은 카자흐어로 지역 프로그램을 방송한다.[4] 1967년 9월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4]

위치행정 구역설립 연도주파수
올기바얀올기1965209 kHz (1번 프로그램)
알타이고비알타이1978227 kHz (1번 프로그램)
4830 kHz (2번 프로그램)
달란자드가드옴노고비1978209 kHz (1번 프로그램)
초이발산도르노드1978209 kHz (1번 프로그램)
무릉후브스굴1981882 kHz (1번 프로그램)
4895 kHz (2번 프로그램)[5]


2. 3. 공영 방송 전환 및 현대화 (2005년 ~ 현재)

2005년 채택된 공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법에 따라 MNB는 전국적인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비영리 법인으로 전환되었다.[1] MNB의 최고 의결 기구는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MNB 국가 평의회이다.[1] 조직의 일반적인 관리는 국가 평의회에서 임명하는 사무총장이 담당한다.[1]

2006년 1월 1일 독립 행정 법인으로 전환했지만, 원래부터 어려웠던 MNB의 재정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5] 상업 광고는 법률로 금지되어 있다.[5]

2011년 젊은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인 P3가 시작되었고, 두 번째 텔레비전 채널이 개설되었다. 현재 MNB는 4개의 텔레비전 채널과 3개의 라디오 채널 (국내 2개, 국제 1개)을 운영하고 있다.

3. 서비스

몽골 국영 방송(MNB)은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1967년 개국 당시에는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 일요일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만 방송되었고, 컬러 방송도 1980년대 중반까지 늦어졌다. 사회주의 시대에는 자체 제작 비중이 높았지만, 사회주의 붕괴 이후 자체 제작은 뉴스와 일부 유아 프로그램으로 축소되었고, 대부분 한국 드라마와 같은 외국산 드라마에 의존하고 있다.

MNB는 4개의 텔레비전 채널과 3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1. 텔레비전

몽골 국영 방송은 4개의 텔레비전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 MNB (МҮОНТ-1): 몽골의 대표적인 공영 채널
  • MNB News (Монголын мэдээ): 뉴스 및 시사 보도 채널
  • MNB Sport HD (몽골 국영 방송 스포츠 채널): 스포츠 전문 채널
  • MNB World: 영어 채널

3. 2. 라디오

몽골 국영 방송의 라디오 서비스는 2개의 국내 네트워크와 1개의 국제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 МҮОНР-1(몽골어: Монголын үндэсний олон нийтийн радио): 장파로 전국에 방송되며, 울란바토르에서는 FM 106으로 청취할 수 있다.
  • Р3 FM: 전국 방송이며, 울란바토르에서는 FM 100.9로 청취할 수 있다.
  • 몽골의 소리: 5개 언어(몽골어,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로 방송되는 국제 단파 라디오 서비스이다. 1989년에는 단파를 통해 일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방송(몽골의 소리)을 시작하여 외국과의 교류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일본의 국제 협력 기구(JICA)도 전문가를 파견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몇 안 되는 장파 라디오 방송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2022년 현재 일본 주변에서 수신 가능한 장파 라디오 방송국은 몽골 국영 방송뿐이다.

3. 3. 웹사이트

MNB는 몽골어영어 웹사이트를 운영하여 온라인으로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4. 국제 관계

몽골 국영 방송(MNB)은 설립 이후 국제 관계를 발전시키고 국제 방송사와의 협력을 위해 노력해 왔다. 1997년 1월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의 정회원이 되었다. 국내 제작 자료 외에도 러시아 공영 TV, NHK, CNN, ZDF, 도이체 벨레와 프로그램 교류를 하고 있다.

1989년에는 단파에 의한 일본향 일본어 방송 (몽골의 소리)을 시작하여 외국과 교류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일본의 국제 협력 기구(JICA)도 전문가를 파견하고 있다.[4]

5. 송신소 현황

송신소는 RTBN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 네트워크; РТС|Радио Телевизийн Үндэсний Сүлжээmn)에서 운영한다.[2]

위치좌표행정 구역설립 연도주파수
촌초르울란바토르1960164 kHz (1번 프로그램)
7260 kHz (2번 프로그램)
올기바얀올기1965209 kHz (1번 프로그램)
알타이고비알타이1978227 kHz (1번 프로그램)
4830 kHz (2번 프로그램)
달란자드가드옴노고비1978209 kHz (1번 프로그램)
초이발산도르노드1978209 kHz (1번 프로그램)
무릉후브스굴1981882 kHz (1번 프로그램)
4895 kHz (2번 프로그램)[5]


참조

[1] 웹사이트 Group: Mongolian National Broadcaster http://mongolia.mom-[...]
[2] 서적 World radio handbook for listeners 1959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4]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5] 웹사이트 Mongolische Inlandskurzwellen wieder eingeschaltet https://www.radioe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