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사확은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활약한 인물로, 당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며, 딸 무측천이 황후가 된 후 여러 차례 추존되었다. 그는 두 번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특히 양씨와의 사이에서 무순, 무측천, 무씨를 낳았다. 수나라 말기에 응양부대정으로 임명되었고, 당나라의 건국 과정에서 이연을 도왔다. 장안 평정에 참여한 공로로 광록대부, 태원군공에 봉해졌으며, 공부상서, 응국공, 이주 도독, 형주 도독을 역임했다. 사후에는 딸 무측천이 황후가 되면서 황제까지 추존되었으나, 무주 건국 이후에는 태원군왕으로 격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라의 태자태사 - 우지녕
우지녕은 수나라에서 당나라로 이어진 시기에 활약하며 이세민의 참모, 중서시랑, 시중 등을 역임했고, 역사 편찬에 참여하며 정치적 소신을 드러낸 인물이다. - 635년 사망 - 유정회
유정회는 수나라 말기 당나라 초기의 인물로, 이연 휘하에서 당나라 건국에 공을 세워 형국공에 봉해졌으며, 유무주와의 전투에서 포로가 되었으나 관직을 회복하고 사후 민부상서에 추증, 유국공으로 추봉되었다. - 635년 사망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은 566년에 태어나 635년에 사망한 당나라의 초대 황제로, 수나라의 혼란을 틈타 반란을 일으켜 당나라를 건국하고 재위 기간 동안 수나라 제도를 복원하며 반란 세력을 진압하다가 아들 이세민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물러났다. - 당나라의 공부상서 - 조확
조확은 당나라 낙양 출신의 인물로, 837년 진사에 급제하여 재상인 동중서문하평장사에 오르고 중서시랑 등을 겸임했으며, 유교에 정통하고 신중한 성품으로 알려졌으나, 870년 좌천되어 사망했다. - 당나라의 공부상서 - 염입본
염립본은 수나라 귀족 가문 출신으로 당나라 초기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인 화가이자 정치가로서, 《역대제왕도》 등의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형부상서, 건축가, 재상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당나라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사확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무사확 (武士彠) |
| 출생 | 559년 |
| 사망 | 635년 |
| 칭호 | 정공(定公) |
| 묘호 | 태조(太祖) (무측천이 추존) |
| 시호 | 무상효명고황제(無上孝明高皇帝) (무측천이 추존)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무화(武華) |
| 어머니 | 조씨(趙氏) 부인 |
| 배우자 | 상리씨(相里氏) 부인 양씨(楊氏) 부인 |
| 자녀 | 무원경(武元慶), 양나라 헌왕(梁憲王) 무원상(武元爽), 위나라 덕왕(魏德王) 무지현(武智慧), 서왕(舒王) 한국부인(韓國夫人) 무순 무측천, 당나라와 주나라의 황후 곽국부인(虢國夫人) 무씨 |
2. 가족 관계
| 부인 | 자녀 | 비고 |
|---|---|---|
| 상리씨 | ||
| 양씨 | 수나라 종실 출신, 훗날 효명고황후(孝明高皇后)로 추존됨 |
무사확은 부유한 목재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폭넓은 교우 관계를 맺었다. 수나라 말기 응양부대정(鷹揚府隊正)에 임명되었다. 617년 이연이 태원유수(太原留守)가 되자 행군사개참군(行軍司鎧參軍)으로 발탁되었다.
3. 생애
이연의 거병 과정에서 유홍기, 장손순덕 등과 병사를 모으고 왕위(王威), 고군아(高君雅) 등의 의심을 무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병참군(司兵參軍) 전덕평(田德平)이 모병 상황을 왕위에게 고발하려 하자 전덕평을 협박하여 보고를 중단시키기도 했다.
이연이 거병한 후 대장군부개조참군(大將軍府鎧曹參軍)이 되었고, 장안 평정에 참여한 공으로 광록대부(光祿大夫)가 되고 태원군공(太原郡公)에 봉해졌다.
3. 1. 초기 생애와 당 건국 기여
무사확은 부유한 목재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폭넓은 교우 관계를 맺었다. 수나라 말기, 응양부대정(鷹揚府隊正)으로 임명되었다. 617년, 이연이 태원유수(太原留守)가 되자, 무사확은 행군사개참군(行軍司鎧參軍)으로 발탁되었다.
이연의 거병 과정에서 무사확은 유홍기, 장손순덕 등이 병사를 모으는 것을 돕고, 왕위(王威), 고군아(高君雅) 등의 의심을 무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병참군(司兵參軍) 전덕평(田德平)이 모병 상황을 왕위에게 고발하려 하자, 무사확은 전덕평을 협박하여 보고를 중단시키기도 했다.
이연이 거병한 후, 무사확은 대장군부개조참군(大將軍府鎧曹參軍)이 되었고, 장안 평정에 참여한 공으로 광록대부(光祿大夫)가 되고 태원군공(太原郡公)에 봉해졌다.
4. 사후 추존
영휘 연간에 딸 측천무후가 황후가 되면서 무사확은 병주도독(幷州都督)·사도(司徒)로 추증되었고, 주국공(周國公)에 추봉되었다.[1] 함형 연간에는 태위(太尉)·태자태사(太子太師)로 추증되고, 태원군왕(太原郡王)에 추봉되어 공신의 위에 올랐다.[1] 무조가 조정 정치를 보게 되자, 무사확은 충효태황(忠孝太皇)으로 추존되었고, 숭선부(崇先府)가 세워졌으며, 속관이 배치되었고, 오대에 걸쳐 왕위를 추증받았다.[1] 무주가 건국되자, 동도에 무씨 칠묘가 세워졌고, 황제로 추존되었다.[1] 선천 연간에, 무사확의 황제 호칭이 삭감되어 태원군왕이 되었고, 무씨 칠묘도 폐지되었다.[1]
무사확은 상리씨를 아내로 맞이하여 무원경과 무원상 두 아들을 두었고, 그 후 양달의 딸 양씨를 후처로 맞이하여 세 딸을 두었다.[1] 장녀는 하란월석의 부인이 되었고 한국부인에 봉해졌다.[1] 차녀 무조는 고종의 황후가 되었고, 삼녀는 곽효신의 부인이 되었다.[1]
5. 무주 왕조 계도
武周|무주중국어 왕조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관계 | 이름 | 비고 |
|---|---|---|
| 아버지 | 무사확 | 당 고조에게 중용되었으며, 측천무후의 아버지이다. |
| 부인 | 상리씨 | 무원경, 무원상의 어머니 |
| 장남 | 무원경 | 무삼사의 아버지 |
| 차남 | 무원상 | 무승사의 아버지 |
| 부인 | 양씨 | 양달의 딸. 무순, 측천무후, 무씨의 어머니. |
| 장녀 | 무순 | 한국부인. 하란안석과 결혼, 하란민월과 하란민지의 어머니. 측천무후에 의해 독살됨. |
| 사위 | 하란안석 | 무순의 남편 |
| 외손녀 | 하란민월 | 위국부인 |
| 외손자 | 하란민지 | |
| 차녀 | 측천무후 | 당 고종과 결혼, 4남 2녀를 둠. |
| 사위 | 당 고종 | 측천무후의 남편 |
| 삼녀 | 무씨 | 곽효신과 결혼 |
이 가계도는 무사확을 중심으로 그의 두 부인과 자녀, 그리고 그 후손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특히 측천무후와 그 형제자매, 그리고 조카들의 관계는 당나라와 무주 시대의 권력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1]
참조
[1]
논문
EMPEROR GAOZONG, THE RISE OF WU ZETIAN, AND FACTIONAL POLITICS IN THE EARLY TANG
http://www.tandfonli[...]
2012-12
[2]
문서
"「彠」は「約(やく)」と読む。唐の孫処'''約'''(字は茂道)と韋仁'''約'''(字は思謙)は[[避諱]]により字を用い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