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함마드 라힘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864년부터 1910년 사망할 때까지 히바 칸국의 칸으로 재위했다. 그는 러시아의 히바 침공에 저항했지만 겐데미안스키 평화 조약을 통해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었으며, 이후 러시아 제국 내 자디드 운동을 탄압했다. 그는 통치 기간 동안 문화 부흥을 이끌어 많은 작품을 번역하고 인쇄술을 도입했으며, 페루즈라는 필명으로 시를 썼다. 또한, 노예 무역과 노예 제도를 폐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바 칸국의 칸 - 압둘라 칸
- 히바 칸국의 칸 - 일바르스 1세
일바르스 1세는 16세기 초 호라즘 지역을 다스린 아랍샤 왕조의 창시자로, 우즈베크족의 지지를 받아 칸으로 옹립되어 우르겐치를 정복하고 호라즘 지방을 통치하며 왕조를 세웠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코칸트 칸국
코칸트 칸국은 1709년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에서 독립하며 건국되어 18세기 후반 최대 영토를 확장했으나,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남진과 내부 분열로 쇠퇴하여 1876년 러시아에 의해 멸망, 러시아 투르키스탄에 편입되었으며 청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갈등과 분쟁을 겪었다. - 1845년 출생 - 가브리엘 포레
가브리엘 포레는 프랑스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자로서, 프랑스 가곡의 거장으로 불리며 파반느, 레퀴엠,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야상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1845년 출생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무함마드 라힘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히바 칸국의 칸 |
재위 기간 | 1864년 – 1910년 |
전임자 | 사이드 무함마드 칸 |
후임자 | 이스판디야르 칸 |
사망 | 1910년 |
이름 | |
러시아어 | Мухаммад Рахим-хан II |
2. 생애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845년에 태어나 1864년 아버지 사이드 무함마드 칸이 사망한 이후 히바 칸국의 칸으로 즉위했다.[6][7][8][9][10] 그는 젊은 시절에 히바 칸국의 아랍 마드라사흐 무함마드에게 통치자 교육을 받았다. 그의 교사 중 한 명은 우즈베크족의 시인이자 역사학자인 무함마드 리자 아가키였다.
무함마드 라힘 2세는 러시아의 히바 침공에 저항했지만 결국 조약을 맺고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었다.[6][7][8][9][10]
1873년 러시아의 히바 정복 이후,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 장군은 키바 노예 무역과 노예 제도를 폐지하라는 요구를 했고, 무함마드 라힘 2세는 이를 받아들였다.[4]
무함마드 라힘 2세 칸이 통치하는 동안 히바 칸국은 러시아, 오스만 제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과 외교관계를 유지했다.[6] 그는 최후의 독립된 화레즘의 통치자였다.
1880년대부터는 러시아 제국 내 자디드(Jadid)들이 벌이던 자디드 운동을 탄압했다.[11] 그는 학교나 전기 및 전화 시설 등이 도입되는 것을 방해했다.[12] 1896년에는 육군 중장이 되었으며, 1904년에는 기병대 장군이 되었다.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는 라힘 2세에게 "고요한"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무함마드 라힘 2세의 통치는 문화 부흥의 정점을 찍었으며, 이 기간 동안 "백 편이 넘는 작품이 번역되었으며, 대부분 페르시아어에서 차가타이 튀르크어로 번역되었다."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874년 키바에 인쇄술을 도입했다.[1] 그는 또한 "관대한 후원자"였으며 필명 '''페루즈'''로 시를 썼다.
2. 1. 통치자 교육
2. 2. 외교 관계
무함마드 라힘 2세 칸이 통치하는 동안 히바 칸국은 러시아, 오스만 제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과 외교관계를 유지했다.[6][7][8][9][10] 1873년 러시아의 히바 침공 당시 저항했지만 결국에 조약을 맺고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었다. 1896년에는 육군 중장이 되었으며, 1904년에는 기병대 장군이 되었다.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는 라힘 2세에게 "고요한"이라는 이름을 붙어주었다.2. 3. 러시아의 보호국화
무함마드 라힘 2세는 아버지 사이드 무함마드 칸이 사망한 이후 1864년 히바 칸국의 칸으로 즉위했다.[6] 그는 젊은 시절 아랍 마드라사흐 무함마드에게 통치자 교육을 받았으며, 교사 중 한 명은 우즈베크족 시인이자 역사학자인 무함마드 리자 아가키였다. 무함마드 라힘 2세 칸은 통치 기간 동안 러시아, 오스만 제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과 외교관계를 유지했다.[6] 그는 최후의 독립된 화레즘의 통치자였다.1873년 러시아의 히바 침공 당시 저항했지만, 결국 조약을 맺고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었다.[6][7][8][9][10] 1880년대부터 러시아 제국 내 자디드(Jadid)들이 벌이던 자디드 운동을 탄압했다.[11] 무함마드 라힘 2세 칸은 학교나 전기 및 전화 시설 등이 도입되는 것을 방해했다.[12] 1896년에는 육군 중장이 되었으며, 1904년에는 기병대 장군이 되었다.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는 라힘 2세에게 "고요한"이라는 이름을 붙어주었다.
2. 4. 자디드 운동 탄압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880년대부터 러시아 제국 내 자디드 운동을 탄압했다.[11] 그는 자신의 통치 지역 내에서 학교나 전기, 전화 시설 등의 도입을 방해했다.[12] 이는 근대화 과정의 한계를 보여준다.2. 5. 러시아 제국에서의 지위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873년 러시아의 히바 침공 이후 조약을 맺고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었다.[6][7][8][9][10] 1896년에는 러시아 육군 중장이 되었으며, 1904년에는 기병대 장군이 되었다.[6]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는 라힘 2세에게 "고요한"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6]2. 6. 사망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91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인 아스판디야로프 칸이 칸위를 계승했다.[6][7][8][9][10]3. 문화 정책
무함마드 라힘 2세는 유명한 계몽군주이자 시인, 작곡가였다.[1] 그는 '''페루즈'''라는 필명으로 시를 썼다.[14] 우즈베크어로 여러 유명한 문학 및 과학 작품을 작성했다. 히바 칸국을 라힘 2세가 통치하는 동안 새로운 마드라사 및 사원을 건축했다. 마드라사 중 하나에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무함마드 라힘 2세 마드라사라는 마드라사가 건축되었다. 2년동안 그는 화레즘의 역사가 아가키에게 화레즘에 대한 역사서를 쓰도록 했다. 또한, 화레즘의 유명한 작곡가, 서예가, 화가인 카밀 카와이지미(1825년 ~ 1899년)도 등용했다. 또한, 라힘 2세의 지원 아래 아타잔 압둘이 인쇄술을 도입하기도 했다.[14] 그의 통치는 문화 부흥의 정점을 찍었으며, 이 기간 동안 "백 편이 넘는 작품이 번역되었으며, 대부분 페르시아어에서 차가타이 튀르크어로 번역되었다."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874년 키바에 인쇄술을 도입했다.[1]
3. 1. 문학 및 과학 후원
무함마드 라힘 2세는 계몽군주이자 시인, 작곡가였다. 그는 피르츠라는 필명으로 시를 썼으며, 우즈베크어로 여러 문학 및 과학 작품을 작성했다. 히바 칸국 통치 기간 동안 새로운 마드라사 및 사원을 건축했으며, 그 중 하나는 무함마드 라힘 2세 마드라사로 명명되었다. 2년 동안 화레즘의 역사가 아가키에게 화레즘 역사서를 쓰도록 했다. 또한, 카밀 카와이지미(1825년 ~ 1899년)를 등용하여 작곡가, 서예가, 화가로 활동하게 했다. 아타잔 압둘을 지원하여 인쇄술을 도입했다.3. 2. 건축
무함마드 라힘 2세는 통치 기간 동안 새로운 마드라사 및 사원을 건축했다. 이 중 하나는 자신의 이름을 딴 무함마드 라힘 2세 마드라사이다.3. 3. 역사서 편찬
무함마드 라힘 2세는 계몽군주이자 시인, 작곡가였다. 그는 필명으로 피르츠라는 이름으로 시를 썼다. 우즈베크어로 여러 유명한 문학 및 과학 작품을 작성했다. 히바 칸국을 라힘 2세가 통치하는 동안 새로운 마드라사 및 사원을 건축했다. 마드라사 중 하나에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무함마드 라힘 2세 마드라사라는 마드라사가 건축되었다. 2년동안 그는 화레즘의 역사가 아가키에게 화레즘에 대한 역사서를 쓰도록 했다.3. 4. 예술가 등용
무함마드 라힘 2세는 유명한 계몽군주이자 시인, 작곡가였다. 그는 필명으로 피르츠라는 이름으로 시를 썼다. 또한, 화레즘의 유명한 작곡가, 서예가, 화가인 카밀 카와이지미(1825년 ~ 1899년)도 등용했다.3. 5. 인쇄술 도입
무함마드 라힘 2세는 유명한 계몽군주이자 시인, 작곡가였다. 그는 필명으로 피르츠라는 이름으로 시를 썼다. 그는 우즈베크어로 여러 유명한 문학 및 과학 작품을 작성했다. 히바 칸국을 라힘 2세가 통치하는 동안 새로운 마드라사 및 사원을 건축했다. 마드라사 중 하나에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무함마드 라힘 2세 마드라사라는 마드라사가 건축되었다. 2년동안 그는 화레즘의 역사가 아가키에게 화레즘에 대한 역사서를 쓰도록 했다. 또한, 화레즘의 유명한 작곡가, 서예가, 화가인 카밀 카와이지미(1825년 ~ 1899년)도 등용했다. 또한, 라힘 2세의 지원 아래 아타잔 압둘이 인쇄술을 도입하기도 했다.4. 노예 무역 및 노예 제도 폐지
무함마드 라힘 2세는 키바 노예 무역과 노예 제도를 폐지했다.[4] 1873년 키바 원정 중 러시아 장군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과 그의 군대가 키바 도시에 접근했을 때, 칸은 요무트족 사이에 숨어 도망갔고, 키바의 노예들은 도시의 멸망을 알게 된 후 반란을 일으켰다.[2] 카우프만의 러시아 군대가 3월 28일 키바에 입성했을 때, 그는 노예 반란을 진압해달라고 간청하는 키바인들에게 접근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노예들은 이전의 노예주들에게 복수했다.[3] 러시아 정복 후 칸이 수도로 돌아왔을 때, 러시아 장군 카우프만은 그에게 키바 노예 무역과 노예 제도를 폐지하라는 요구를 제시했고, 그는 그렇게 했다. [4] 무함마드 라힘 2세의 통치는 문화 부흥의 정점을 찍었으며, 이 기간 동안 "백 편이 넘는 작품이 번역되었으며, 대부분 페르시아어에서 차가타이 튀르크어로 번역되었다."[1] 무함마드 라힘 2세는 1874년 키바에 인쇄술을 도입했다.[1] 그는 또한 "관대한 후원자"였으며 필명 '''페루즈'''로 시를 썼다.[1]
4. 1. 배경
4. 2. 러시아의 요구
5. 가잘 (Ghazals)
무함마드 라힘 2세는 페루즈라는 필명으로 가잘을 남겼다. 다음은 그가 남긴 가잘 중 일부를 현대 우즈베크 라틴 문자로 표기한 것이다.
Furqating soldi dil-u jon ichra oʻt,
Kufri zulfing din-u iymon ichra oʻt.
Nargisi shahlo koʻzung solgʻusidur,
Bir nigahdin bogʻ-u rizvon ichra oʻt.
Oh cheksam furqatingdin oʻrtanib,
Tushgusidur baytulahzon ichra oʻt.
Jurmim, ey mahvash, nedur, har dam solur
Barqi ishqing jismivayron ichra oʻt.
Oy kibi farrux yuzungning furqati
Soldi koʻkda mehri raxshon ichra oʻt.
Ne ajab, koʻrgach yuzing Feruzning
Ohidin tushsa guliston ichra oʻt.
참조
[1]
Britannica
Chagatai literature
[2]
서적
Slavery and Empire in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Slavery and Empire in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Slavery and Empire in Central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Очерк историко-географических сведений о Хивинском ханстве
Спб
[6]
서적
동양의 역사와 문화
https://web.archive.[...]
국학자료원
2014-10-30
[7]
서적
교양인을 위한 중앙아시아사
https://web.archive.[...]
책과함께
2014-10-30
[8]
서적
토픽세계사 2
http://books.google.[...]
플레이북
[9]
서적
중앙아시아 국제정세의 이해
http://book.naver.co[...]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0]
서적
통 아시아사 2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근대부터 현대까지
http://book.naver.co[...]
다산에듀
[11]
서적
교양인을 위한 중앙아시아사
https://web.archive.[...]
책과함께
2014-10-30
[12]
서적
중앙아시아 국제정치의 이해
http://book.naver.co[...]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사
[13]
문서
이 왕조는 히바 칸국이 생겨나기 이전 화레즘 지역에서 독립 운동을 이끈 칸들이다.
[14]
문서
이 왕조는 야디가리드 샤바니드 왕조라고도 한다
[15]
문서
1804년 (사실상 1763년)부터 칸 전원이 온기리트 왕조가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