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크어는 튀르크어족 카를루크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며 중앙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된다. 차가타이어의 후손으로,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를 사용했으며 현재는 라틴 문자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지만 키릴 문자도 널리 쓰인다.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크어 - 우즈베크어 문자
우즈베크어 문자는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를 거쳐 현재는 라틴 문자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며, 각 문자 체계는 시대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해 왔다. - 우즈베키스탄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우즈베크어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우즈베크어 |
고유 이름 | , , |
사용 국가 |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러시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중국 |
민족 | 우즈베크인 |
총 화자 수 | 3256만 9950명 (북부 우즈베크어 2908만 7050명, 남부 우즈베크어 348만 2900명 포함) |
사용 시기 | 2017년–2022년 |
언어 계통 | 알타이어족 |
어족 | 튀르크어족 |
어파 | 카를루크어파 |
조상 언어 | 카라한어, 호레즘 튀르크어, 차카타이어 |
방언 | 남부 우즈베크어 |
공용 국가 | 우즈베키스탄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우즈베크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페르시아-아랍 문자)(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에서 사용) 우즈베크 점자 (우즈베크 문자들) |
ISO 639-1 | uz |
ISO 639-2 | uzb |
ISO 639-3 | uzb |
Linguasphere | 44-AAB-da, db |
Glottolog | uzbe1247 |
Glottolog 이름 | 우즈베크어 |
소수 언어 사용 지역 | 중국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
북부 방언 코드 | uzn |
남부 방언 코드 | uzs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일본어) | ウズベク語 |
고유 이름 (일본어) | , , اوزبیک |
사용 국가 (일본어) | 외 |
사용 지역 (일본어) | 중앙아시아 |
화자 수 (일본어) | 1850만 명 |
어족 (일본어) | 알타이 제어 |
어파 (일본어) | 튀르크어족 |
어군 (일본어) | 카를루크어군(남동어군) |
문자 체계 (일본어) |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
기관 (일본어) | uz |
소수 언어 사용 지역 (일본어) | |
ISO 639-1 (일본어) | uz |
ISO 639-2 (일본어) | uzb |
ISO 639-3 (일본어) | uzb |
북부 방언 코드 (일본어) | uzn |
남부 방언 코드 (일본어) | uzs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한국어) | 우즈베크어 |
사용 국가 (한국어) | 및 주변 국가들 |
사용 지역 (한국어) | 중앙아시아 |
화자 수 (한국어) | 약 3400만 명 (2021년) |
문자 체계 (한국어) | 로마자, 키릴, 페르시아 문자(아프가니스탄) |
어족 (한국어) | 튀르크어족 |
어파 (한국어) | 카를루크어파 |
ISO 639-1 (한국어) | uz |
ISO 639-2 (한국어) | uzb |
우즈베크어 (일반) 코드 | uzb |
북우즈베크어 코드 | uzn |
남우즈베크어 코드 | uzs |
2. 역사
우즈베크어의 역사는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해왔다. 초기에는 "우즈베크어"라는 명칭이 킵차크 계통의 언어를 가리켰으며, 이는 카자흐어와 매우 유사했다.[25] 600~650년경부터 튀르크어 사용자들이 아무다리야 강, 시르다리야 강, 자라프샨 강 유역에 정착하면서 이 지역에 튀르크계 언어가 유입되기 시작했다. 9세기~12세기에는 이 지역 최초의 튀르크계 왕조인 카라칸 왕조가 등장했다.[26]
차가타이 칸국과 티무르 왕조 시대에는 차가타이어가 중앙아시아 튀르크어 문학의 중심 언어로 발전했다.[28] 차가타이어는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무함마드 샤이바니, 우바이둘라 칸 등 여러 문인들이 차가타이어로 작품을 남겼다.[29][30] 16세기 우즈베크 정치 엘리트에게 차가타이어는 모국어였으며,[31] 17세기 시인 투르디는 분열된 우즈베크 부족들의 통합을 촉구하기도 했다.[32] 수피 지도자 수피 알라야르는 ''세바투'르 아지진''을 저술하여 중앙아시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33]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차가타이어의 전통을 바탕으로 구어 요소를 더한 새로운 문어가 등장했다. 투르키스탄 총독부가 발행한 투르키스탄 지방 신문에서도 현지 구어에 기반한 문어가 “사르트어”라고 불리며 사용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민족 경계 설정 작업을 통해 1924년 투르키스탄 남부의 투르크계 여러 언어 화자들을 모두 “우즈베크인”으로 식별하고, 사마르칸트의 사르트어를 표준 문어로 선정했다.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우즈베크 정부는 우즈베크어의 성장을 위해 알파벳을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했지만, 현재 두 가지 알파벳이 모두 널리 사용되고 있다.[36] 러시아어가 여전히 과학, 정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우즈베크어 위키백과를 포함한 우즈베크어 인터넷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36]
2. 1. 초기 역사
역사적으로 "우즈베크어"라는 이름은 킵차크 계통의 다른 언어를 가리켰다. 이 언어는 카자흐어와 유사했으며, 어휘, 음운, 문법적으로 거의 동일했다. 이 언어는 "튀르키어"와는 달랐지만, 차가타이 칸국 기원으로 인해 서구 학자들에 의해 차가타이어로 변경되었다.[25]튀르크어 사용자들은 기원후 600~650년경부터 아무다리야 강, 시르다리야 강, 자라프샨 강 유역에 정착하여, 이전에 소그디아나, 박트리아, 호라즘에 거주하던 동이란어 사용자들을 점차 몰아내거나 동화시켰다. 이 지역 최초의 튀르크계 왕조는 9세기~12세기의 카라칸 왕조였으며, 카를루크, 치길, 야그마 등 여러 부족들의 연합체였다.[26]
우즈베크어는 차가타이어의 직계 후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차가타이어는 차가타이 칸, 티무르, 그리고 티무르 왕조[28] 시대 중앙아시아 튀르크어 문학 발전의 중심 언어였으며, 많은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19세기가 되자 문학 작품에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어졌고 20세기 초에 사라졌다.
무함마드 샤이바니(1451-1510)는 "시바니"라는 필명으로 시를 썼다. 그의 차가타이어 시집은 이스탄불의 톱카프 궁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508년에 쓰여진 그의 철학 및 종교 작품 ''바흐르 알 후다''의 원고는 런던에 있다.[29]
샤이바니의 조카 우바이둘라 칸(1486-1540)은 코란을 암송하고 차가타이어로 주석을 달았다. 우바이둘라는 차가타이어, 고전 페르시아어, 아랍어로 시를 썼으며, 우바이디라는 문학적 필명을 사용했다.[30]
16세기 우즈베크 정치 엘리트에게 차가타이어는 모국어였다. 샤이바니 칸(1451-1510)은 차가타이어로 시를 썼다.[31]
투르디(17세기) 시인은 그의 시에서 분열된 우즈베크 부족들의 통합을 촉구했다.[32]
수피 알라야르(1633-1721)는 신학자이자 부하라 칸국의 수피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세바투'르 아지진''이라는 책을 저술했다. 수피 알라야르의 저술은 중앙아시아에서 자주 읽혔다.[33]
"우즈베크어"라는 용어는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졌다.
- "우즈베크어"는 트란스옥시아나에 도착한 사람들의 후손들이 사용하던 모음 조화가 있는 킵차크어파 언어였다.
- 차가타이어는 페르가나 계곡과 카슈카다리요주, 사마르칸트주 일부 지역에 거주하던 튀르크계 주민들이 사용하던 카를루크어였다. 이 언어에는 페르시아어와 아랍어가 더 많이 혼합되어 있었고 모음 조화가 없었다.
카자흐 학자 세랄리 라핀에 따르면, "우즈베크어와 다른 특별한 사르트어는 없다."[34] 19세기 후반 러시아 연구자들은 "사르트는 특별한 부족이 아니다. 사르트는 도시에 살고 무역에 종사하는 우즈베크인과 타지크인을 가리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35]
히바 칸국에서는 사르트들이 오구즈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카를루크어 변종을 사용했다. 이 세 가지 방언은 현대 우즈베크어 구어 안에서 계속 존재한다.
우즈베크 독립 후, 우즈베크 정부는 북부 우즈베크어의 알파벳을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했다. 그러나 현재 일상생활부터 정부 간행물과 TV 뉴스까지 두 가지 알파벳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즈베크어 위키백과를 포함한 우즈베크어 인터넷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36]
현재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는 마웨라안나흐르 지방은 9세기 이후로 투르크계 유목 세력의 유입을 받았고, 이란계 언어가 우세했던 주민들의 언어에도 점차 투르크계 언어가 침투해 들어갔다.
티무르 제국 지배하의 15세기에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투르크계 문어인 차가타이어가 성립하여 궁정과 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바부르와 나보이를 대표로 하는 많은 문인들에 의해 차가타이어를 사용한 작품들이 저술되었다.
러시아 제국에 의한 중앙아시아 정복 이후인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차가타이어의 전통을 바탕으로 구어의 요소를 더한 새로운 문어를 사용하는 지식인들이 나타났다. 투르키스탄 총독부가 발행한 투르키스탄 지방 신문에서도 현지 구어에 기반한 문어가 “사르트어”라고 불리며 사용되었고, 현대 우즈베크어의 기초가 되는 문화 환경이 조성되었다.
제정 러시아 시대의 러시아령 투르키스탄에서는 오아시스 정주민에 대해서는 “사르트인”이라고, 유목민에 대해서는 유목 우즈베크에 유래하는 “우즈베크인”이라는 민족 명칭이 사용되어 왔다. 소비에트 정권은 1924년 투르키스탄 남부의 투르크계 여러 언어 화자들을 모두 “우즈베크인”으로 식별하였다. 새롭게 만들어진 “우즈베크인”의 표준 문어에는 사마르칸트의 사르트어(현재의 카를루크 방언)가 선정되었다.
2. 2. 차가타이어 시대
킵차크 계통의 언어는 인접한 카자흐어와 어휘, 음운, 문법적으로 거의 동일했다. 이 언어는 해당 지역의 토착어인 "튀르키어"와는 달랐지만, 차가타이 칸국 기원으로 인해 서구 학자들에 의해 차가타이어로 변경되었다.[25] 튀르크어 사용자들은 기원후 600~650년경부터 아무다리야 강, 시르다리야 강, 자라프샨 강 유역에 정착하여 이전에 소그디아나, 박트리아, 호라즘에 거주하던 동이란어 사용자들을 점차 몰아내거나 동화시켰다. 이 지역 최초의 튀르크계 왕조는 9세기~12세기의 카라칸 왕조였으며, 카를루크, 치길, 야그마 등 여러 부족들의 연합체였다.[26]우즈베크어(위구르어와 함께)는 차가타이 칸, 티무르(타메를란) 시대 중앙아시아 튀르크어 문학 발전의 중심 언어였던 차가타이어의 직계 후손으로 간주될 수 있다.[28] 차가타이어에는 많은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19세기가 되자 문학 작품에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어졌고 20세기 초에 사라졌다.
무함마드 샤이바니(1451년경 – 1510년 12월 2일)는 최초의 부하라 칸으로 "시바니"라는 필명으로 시를 썼다. 무함마드 샤이바니의 차가타이어 시집은 현재 이스탄불의 톱카프 궁전 박물관 수집품에 소장되어 있다. 1508년에 쓰여진 그의 철학 및 종교 작품인 ''바흐르 알 후다''의 원고는 런던에 있다.[29]
샤이바니의 조카 우바이둘라 칸(1486-1540)은 능숙하게 코란을 암송하고 차가타이어로 주석을 달았다. 우바이둘라는 자신도 차가타이어, 고전 페르시아어, 아랍어로 시를 썼으며, 우바이디라는 문학적 필명을 사용했다.[30]
16세기 우즈베크 정치 엘리트에게 차가타이어는 모국어였다. 예를 들어, 반유목민 우즈베크의 지도자였던 샤이바니 칸(1451-1510)은 차가타이어로 시를 썼다.[31]
투르디(17세기) 시인은 그의 시에서 분열된 우즈베크 부족들의 통합을 촉구했다. "우리 민족은 분열되어 있지만, 이들은 모두 92개 부족의 우즈베크 사람들이다. 우리는 이름이 다르지만, 우리 모두 같은 피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한 민족이며, 하나의 법을 가져야 한다. 바닥, 소매, 깃 – 이 모든 것은 하나의 옷이다. 그러므로 우즈베크 민족은 단결하여 평화롭게 살아가야 한다."[32]
수피 알라야르(1633-1721)는 뛰어난 신학자이자 부하라 칸국의 수피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세바투'르 아지진''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그의 지식 수준을 보여주었다. 수피 알라야르의 저술은 중앙아시아에서 자주 읽히고 높이 평가되었다.[33]
히바 칸국에서는 사르트들이 오구즈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카를루크어 변종을 사용했다.
티무르 제국 지배하의 15세기에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투르크계 문어인 차가타이어가 성립하여 궁정과 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바부르와 나보이를 대표로 하는 많은 문인들에 의해 차가타이어를 사용한 세련된 작품들이 저술되었다.
2. 3. 근대 우즈베크어의 형성
역사적으로 "우즈베크어"라는 이름은 킵차크 계통의 다른 언어를 가리켰으며, 이는 카자흐어와 유사했다.[25] 600~650년경부터 튀르크어 사용자들이 아무다리야 강, 시르다리야 강, 자라프샨 강 유역에 정착하면서 이 지역 최초의 튀르크계 왕조인 카라칸 왕조가 9세기~12세기에 나타났다.[26]우즈베크어는 차가타이 칸, 티무르(타메를란) 시대 중앙아시아 튀르크어 문학 발전의 중심 언어였던 차가타이어의 후손으로 간주될 수 있다.[28] 차가타이어는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차용어가 많았으며, 19세기에는 문학 작품에 드물게 사용되다가 20세기 초에 사라졌다.
무함마드 샤이바니 ( – 1510년 12월 2일)은 최초의 부하라 칸으로, "시바니"라는 필명으로 차가타이어 시를 썼다.[29] 그의 조카 우바이둘라 칸(1486-1540)은 코란을 암송하고 차가타이어로 주석을 달았으며, 차가타이어, 고전 페르시아어, 아랍어로 시를 썼다.[30]
16세기 우즈베크 정치 엘리트에게 차가타이어는 모국어였다.[31] 17세기 시인 투르디는 분열된 우즈베크 부족들의 통합을 촉구했다.[32] 수피 지도자 수피 알라야르(1633-1721)는 ''세바투'르 아지진''을 저술하여 중앙아시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33]
"우즈베크어"라는 용어는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졌다.
- "우즈베크어"는 트란스옥시아나에 도착한 사람들의 후손들이 사용하던 모음 조화가 있는 킵차크어였다.
- 차가타이어는 페르가나 계곡과 카슈카다리요주, 사마르칸트주 일부 지역의 튀르크계 주민("사르트")들이 사용하던 카를루크어로, 모음 조화가 없었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카자흐 학자 세랄리 라핀은 "우즈베크어와 다른 특별한 사르트어는 없다."라고 했다.[34] 러시아 연구자들은 "사르트는 특별한 부족이 아니며, 도시에 살고 무역에 종사하는 우즈베크인과 타지크인을 가리키는 말이다."라고 했다.[35]
히바 칸국에서는 사르트들이 오구즈어의 영향을 받은 카를루크어 변종을 사용했다. 현대 우즈베크어 구어에는 이 세 가지 방언이 존재한다.
우즈베크 독립 후, 우즈베크 정부는 우즈베크어 성장을 위해 알파벳을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했지만, 현재 두 가지 알파벳이 모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즈베크어는 과학, 정치 분야에서 러시아어가 널리 사용되어 정부 부문에서 러시아어를 능가하지 못했지만, 우즈베크어 위키백과를 포함한 우즈베크어 인터넷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36]
9세기 이후 현재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는 마웨라안나흐르 지방에는 튀르크계 유목 세력의 유입으로 주민들의 언어에 튀르크계 언어가 침투했다.
15세기 티무르 왕조 지배하에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튀르크계 문어인 차가타이어가 성립되어 궁정과 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바부르와 나보이를 대표로 하는 많은 문인들이 차가타이어를 사용한 작품들을 저술했다.
러시아 제국에 의한 중앙아시아 정복 이후인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차가타이어의 전통을 바탕으로 구어 요소를 더한 새로운 문어를 사용하는 지식인들이 나타났다. 투르키스탄 총독부가 발행한 투르키스탄 지방 신문에서도 현지 구어에 기반한 문어가 “사르트어”라고 불리며 사용되었고, 현대 우즈베크어의 기초가 되는 문화 환경이 조성되었다.
제정 러시아 시대의 러시아령 투르키스탄에서는 오아시스 정주민은 “사르트인”, 유목민은 유목 우즈베크에 유래하는 “우즈베크인”이라는 민족 명칭이 사용되었다. 소비에트 정권은 1924년 투르키스탄 남부의 튀르크계 여러 언어 화자들을 모두 “우즈베크인”으로 식별하였다. 새롭게 만들어진 “우즈베크인”의 표준 문어에는 사마르칸트의 사르트어(현재의 카를루크 방언)가 선정되었다.
2. 4. 소련 시대
역사적으로 "우즈베크어"라는 이름은 킵차크 계통의 다른 언어를 가리켰는데, 이는 인접한 카자흐어와 유사했으며 어휘, 음운, 문법적으로 거의 동일했다. 이 언어는 해당 지역의 토착어인 "튀르키어"와는 달랐지만, 차가타이 칸국 기원으로 인해 서구 학자들에 의해 차가타이어로 변경되었다.[25]튀르크어 사용자들은 기원후 600~650년경부터 아무다리야 강, 시르다리야 강, 자라프샨 강 유역에 정착하여 이전에 소그디아나, 박트리아, 호라즘에 거주하던 동이란어 사용자들을 점차 몰아내거나 동화시켰다. 이 지역 최초의 튀르크계 왕조는 9세기~12세기의 카라칸 왕조였으며, 카를루크, 치길, 야그마 등 여러 부족들의 연합체였다.[26]
우즈베크어는 차가타이 칸, 티무르(타메를란) 시대 중앙아시아 튀르크어 문학 발전의 중심 언어였던 차가타이어의 직계 후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차가타이어에는 많은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19세기가 되자 문학 작품에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어졌고 20세기 초에 사라졌다.
무함마드 샤이바니는 "시바니"라는 필명으로 시를 썼다. 그의 차가타이어 시집은 현재 이스탄불의 톱카프 궁전 박물관 수집품에 소장되어 있다. 1508년에 쓰여진 그의 철학 및 종교 작품인 ''바흐르 알 후다''의 원고는 런던에 있다.[29]
샤이바니의 조카 우바이둘라 칸은 코란을 암송하고 차가타이어로 주석을 달았다. 우바이둘라는 차가타이어, 고전 페르시아어, 아랍어로 시를 썼으며, 우바이디라는 문학적 필명을 사용했다.[30]
16세기 우즈베크 정치 엘리트에게 차가타이어는 모국어였다. 예를 들어, 샤이바니 칸은 차가타이어로 시를 썼다.[31]
투르디(17세기) 시인은 그의 시에서 분열된 우즈베크 부족들의 통합을 촉구했다.[32]
수피 알라야르(1633-1721)는 뛰어난 신학자이자 부하라 칸국의 수피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세바투'르 아지진''이라는 책을 저술했다.[33]
"우즈베크어"라는 용어는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졌다.
- "우즈베크어"는 트란스옥시아나에 도착한 사람들의 후손들이 주로 부하라와 사마르칸트 주변에 거주하며 사용하던 모음 조화가 있는 킵차크어파 언어였다.
- 차가타이어는 페르가나 계곡과 카슈카다리요주, 그리고 현재의 사마르칸트주 일부 지역에 거주하던 튀르크계 주민("사르트")들이 사용하던 카를루크어였다. 이 언어에는 페르시아어와 아랍어가 더 많이 혼합되어 있었고 모음 조화가 없었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카자흐 학자 세랄리 라핀에 따르면, "우즈베크어와 다른 특별한 사르트어는 없다."[34] 19세기 후반 러시아 연구자들은 "사르트는 특별한 부족이 아니다. 사르트는 도시에 살고 무역에 종사하는 우즈베크인과 타지크인을 가리키는 말이다."라고 했다.[35]
히바 칸국에서는 사르트들이 오구즈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카를루크어 변종을 사용했다. 이 세 가지 방언은 현대 우즈베크어 구어 안에서 계속 존재한다.
제정 러시아 시대의 러시아령 투르키스탄에서는 오아시스 정주민은 “사르트인”, 유목민은 우즈베크인에 유래하는 “우즈베크인”이라는 민족 명칭이 사용되어 왔다. 소비에트 정권은 정책적인 민족 경계 설정 작업을 실시하여, 1924년에는 투르키스탄 남부의 투르크계 여러 언어 화자들을 모두 “우즈베크인”으로 식별하였다. 새롭게 만들어진 “우즈베크인”의 표준 문어에는 사마르칸트의 사르트어(현재의 카를루크 방언)가 선정되었다.
2. 5. 독립 이후
우즈베키스탄 독립 후, 우즈베크 정부는 우즈베크어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북부 우즈베크어의 알파벳을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하는 개혁을 단행했다. 그러나 이 개혁은 완전히 시행되지 않아, 현재 일상생활부터 정부 간행물, TV 뉴스까지 두 가지 알파벳이 모두 널리 사용되고 있다.[36] 과학, 정치 분야와 상류층에서는 러시아어가 널리 사용되어, 우즈베크어가 정부 부문에서 러시아어를 능가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우즈베크어 위키백과를 포함한 우즈베크어 인터넷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36]3. 사용 현황
우즈베크어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착 언어이며, 우즈베키스탄과 인접 국가들의 소수 민족들도 사용한다.[13][14] 우즈베크 매체의 인기는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들, 특히 중앙아시아에서 확산되었다.
키르기스스탄 오쉬 주와 오쉬시, 카자흐스탄 투르키스탄 주, 투르크메니스탄 다쇼구즈 벨라야트, 타지키스탄 등에서도 우즈베크어가 사용된다.[13][14] 우즈베크어 제2언어 사용자 수는 100만 명에서 500만 명으로 추산된다.
러시아 연방은 우즈베키스탄 시민들의 주요 이민 목적지 중 하나이며,[15] 2021년 기준 약 500만 명의 우즈베크인이 러시아에서 일했다.[15]
우즈베크어 원어민 수는 자료에 따라 3,500만 명에서 4,000만 명까지 다양하게 추산된다. ''에스노로그''는 3,300만 명,[16] 스웨덴 국립 백과사전은 3,800만 명,[16] ''CIA 월드 팩트북''은 3,000만 명으로 추산한다.
자료 출처 | 우즈베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파키스탄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러시아 |
---|---|---|---|---|---|---|---|---|
기타 자료[17][18][3][19][20][21][22][23] | 3,400만 명 | 450만 명 | 163만 명 | 150만 명 | 약 100만 명 | 60만 명 | 60만 명 | 30만 명 |
우즈베크어는 전 세계 50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가르친다.[24]
2000년대 이후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투르크메니스탄에 거주하는 우즈베크족에 대해 강제적인 "투르크메니스탄화"를 실시했다.[52][53][54] 현재 투르크메니스탄에는 약 30만~60만 명의 우즈베크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 다쇼구즈 벨라야트와 레바프 벨라야트에 거주한다.[55]
우즈베크어는 러시아의 많은 공인 소수민족 언어 중 하나이다. 40만 명이 넘는 우즈베크인들이 러시아 연방 시민으로 러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에는 중앙아시아 공화국 출신의 이주민과 이민자 200만 명에서 600만 명에 달하는 우즈베크인들이 있다. 러시아의 우즈베크인들은 키릴 문자 우즈베크어 알파벳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러시아의 젊은 우즈베크인들은 라틴 문자 우즈베크어 알파벳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56][57][58] 러시아에서 가장 큰 우즈베크어 학습 센터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대학에 위치해 있다. 또한 우즈베크어와 문화에 관심이 많고 스스로 이 언어를 배우는 많은 러시아인들도 있다. 우즈베크어는 러시아에서 전 소련의 많은 언어 중 가장 많이 연구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59]
3. 1. 대한민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과 우즈베크어 간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언급이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대한민국과 관련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분류
우즈베크어는 튀르크어족의 한 하위 그룹인 카를루크어의 서쪽 방언이며, 동쪽 방언은 위구르어이다. 카를루크어는 방언 연속체로 분류된다. 북부 우즈베크어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에도 불구하고(페르시아화)[11] 시베리아 튀르크어족[12]을 제외한 대부분의 튀르크어 화자들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변종으로 여겨진다. 특정 튀르크어들 사이에서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력이 발견되어 우즈베크어 화자들은 다른 여러 관련이 먼 언어들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우즈베크어는 투르크어족 남동어군(차가타이어군)에 속하며, 현대 위구르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투르크어족 언어에서 널리 보이는 모음조화 현상이 사라진 점, 어휘에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점 등이 특징이다.
5. 방언
우즈베크어는 크게 세 가지 방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부하라, 페르가나 계곡을 중심으로 하는 카를루크 방언은 표준 우즈베크어의 기반이 된다. 수르한다리야주에서 우즈베키스탄 중북부를 거쳐 카라칼팍스탄까지 사용되는 킵차크 방언은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등의 킵차크어군의 영향을 받았다. 투르크메니스탄 국경을 따라 호라즘 지방에서 주로 사용되는 오구즈 방언은 투르크멘어와 연관성이 있으며, 단어 앞의 [k]가 [g]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11] [12]
5. 1. 카를루크 방언
우즈베크어는 튀르크어의 한 하위 그룹인 카를루크어의 서쪽 방언이며, 동쪽 방언은 위구르어이다. 카를루크어는 방언 연속체로 분류된다. 북부 우즈베크어는 페르시아화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시베리아 튀르크어족을 제외한 대부분의 튀르크어 화자들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변종으로 여겨진다. 특정 튀르크어들 사이에서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력이 발견되어 우즈베크어 화자들은 다른 여러 관련이 먼 언어들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11] [12]우즈베크어는 크게 세 가지 방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부하라, 페르가나 계곡을 중심으로 하는 카를루크 방언은 표준 우즈베크어의 기반이 된다. 이 방언 그룹은 특히 부하라와 사마르칸트의 중요한 타지크족이 지배하는 도시에서 페르시아어 어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현대 우즈베크어는 카를루크 방언, 킵차크 방언, 오구즈 방언의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크게 나뉜다. 우즈베크어는 그 성립 경위로 보아 기원이 다른 다양한 투르크어족 언어 화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즈베크어”라는 명칭은 이러한 언어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카를루크 방언 - 페르가나, 사마르칸트의 정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현대 표준어의 기반이 된 방언이다.
- * 페르가나 방언
- * Qarluq-xorazmiy tillari|카를루크-호라즘 방언uz
5. 2. 킵차크 방언
킵차크 방언은 수르한다리야주에서 우즈베키스탄 중북부를 거쳐 카라칼팍스탄까지 사용되며, 카자흐어와 키르기스어에서처럼 [j]가 [ʑ]로 변하는 등 킵차크어군의 영향을 받았다.[11][12] 킵차크 방언은 유목 우즈베크인의 후손들인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부하라 주민들이 사용하며, 모음 조화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타슈켄트 방언
- Ногайские языки|노가이 방언ru(노가이어)
5. 3. 오구즈 방언
현대 우즈베크어는 카를루크 방언, 킵차크 방언, 오구즈 방언의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크게 나뉜다. 우즈베크어는 그 성립 경위로 보아 기원이 다른 다양한 튀르크어족 언어 화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즈베크어”라는 명칭은 이러한 언어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1]오구즈 방언은 투르크메니스탄 국경을 따라 호라즘 지방에서 주로 사용되며, 투르크멘어와 연관성이 있다. 단어 앞의 [k]가 [g]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6. 문자
우즈베크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다. 1000년부터 1920년대까지는 전통적인 아랍 문자를 사용했고, 1928년부터 1940년까지는 라틴 문자 기반의 야냐리프가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1940년부터 1992년까지는 키릴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38] 1992년 이후 라틴 문자로 전환되었지만, 키릴 문자의 사용은 여전히 널리 남아있다.[39]
1992년 라틴 문자 전환 이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공공 부문의 모든 문서를 새로운 표기법으로 전환하려 노력했지만, 현재도 키릴 문자를 사용한 기존 표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광고나 간판에서 키릴 문자가 많이 보이며, 신문에서는 라틴 문자로 된 제목과 키릴 문자로 된 기사가 혼용되는 경우도 있다.[39]
2019년에는 튀르키예어와 카자흐어 라틴 문자에 가까운 표기로 변경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했다.[62]
문자 체계 | 사용 기간 | 특징 |
---|---|---|
아랍 문자 | 1000년~1920년대 | 전통적인 문자, 우즈베크어 문학 황금기 |
야냐 임라 알파벳 | 1920년~1928년 | 아랍 문자 기반 |
야냐리프 | 1928년~1940년 | 라틴 문자 기반 |
키릴 문자 | 1940년~1992년 | 공식 문자 |
라틴 문자 | 1992년~현재 | 공식 문자, 키릴 문자와 혼용 |
ʻuz(U+02BB)는 문자 자체가 아니라, 앞의 문자 Guz 또는 Ouz와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이룬다. Gʻ gʻuz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G guz (IPA: )에 대한 유성 연구개 마찰음(IPA: )이지만, 정확하게는 조음 위치가 뒤로 이동한 후두개음(post-velar)이다.[63] Oʻ oʻuz는 O ouz보다 약간 더 좁은 모음으로, 예를 들어 국가명 Oʻzbekistonuz은 "우즈베키스탄"으로 발음된다.
ʼuz(U+02BC)는 러시아어 ъru의 음역 외에도, shuz ()와 sʼhuz ()를 표기상 구분할 때에도 사용된다.
6. 1. 아랍 문자
우즈베크어는 1000년부터 1920년대까지 전통적인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 이 시기는 우즈베크어와 문학사의 황금기로 여겨진다. 1920년~1928년에는 아랍어 기반의 야냐 임라 알파벳이 사용되었다.[37]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아랍 문자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제한적인 텍스트[39]나 차가타이어(구 우즈베크어)의 학술 연구[37]에는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중국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아프가니스탄 북부, 그리고 파키스탄[44]의 우즈베크 소수 민족 지역에서는 아랍 문자 기반의 문자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21세기 초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표준화, 사전 출판, 사용 증가(예: BBC와 같은 뉴스 기관의 웹사이트 [https://www.bbc.com/uzbek/afghanistan BBC 우즈베크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자 | IPA 음가 |
---|---|
ﺍ, ه | |
ﺏ | |
ﺩ | |
ﻩ | |
ﻑ | |
گ | |
ﺡ,ﻩ | |
ی | |
ﺝ, ژ | |
ﻙ | |
ﻕ | |
ﻝ | |
ﻡ | |
ﻥ | |
ﺍ | |
پ | |
ﺭ | |
ﺙ,ﺱ,ﺹ | |
ﺕ,ﻁ | |
ﻭ | |
ﻭ | |
ﺥ | |
ی | |
ﺫ,ﺯ,ﺽ,ﻅ | |
ﻭ | [65] |
ﻍ | [66] |
ﺵ | |
چ | |
نگ | |
ء, ع | [67] |
6. 2. 라틴 문자
우즈베크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로 표기되었는데, 1928년부터 1940년까지는 라틴 문자 기반의 야냐리프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1992년 이후 라틴 문자로 전환되었지만, 키릴 문자의 사용도 여전히 널리 남아있다.우즈베크어의 신구 정서법 대조표 | ||||
---|---|---|---|---|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1936~40) | 키릴 문자 (1940~92) | 라틴 문자 (1992~) | 음가(IPA) |
~1929 | 1936~40 | 1940~92 | 1992~ | |
ﺍ, ه | Ə ə | А а | A a | |
ﺏ | B в | Б б | B b | |
ﺩ | D d | Д д | D d | |
ﻩ | E e | Е е | E e | |
ﻑ | F f | Ф ф | F f | |
گ | G g | Г г | G g | |
ﺡ,ﻩ | H h | Ҳ ҳ | H h | |
ی | I i | И и | I i | |
ﺝ, ژ | Ç ç, Ƶ ƶ | Ж ж | J j | |
ﻙ | K k | К к | K k | |
ﻕ | Q q | Қ қ | Q q | |
ﻝ | L l | Л л | L l | |
ﻡ | M m | М м | M m | |
ﻥ | N n | Н н | N n | |
ﺍ | A a | О о | O o | |
پ | P p | П п | P p | |
ﺭ | R r | Р р | R r | |
ﺙ,ﺱ,ﺹ | S s | С с | S s | |
ﺕ,ﻁ | T t | Т т | T t | |
ﻭ | U u | У у | U u | |
ﻭ | V v | В в | V v | |
ﺥ | X x | Х х | X x | |
ی | J j | Й й | Y y | |
ﺫ,ﺯ,ﺽ,ﻅ | Z z | З з | Z z | |
ﻭ | O o | Ў ў | Oʻ oʻ[65] | |
ﻍ | Ƣ ƣ | Ғ ғ | Gʻ gʻ[66] | |
ﺵ | Ş ş | Ш ш | Sh sh | |
چ | C c | Ч ч | Ch ch | |
نگ | Ꞑ ꞑ | Нг нг | Ng ng | |
ء, ع | ʼ | Ъ ъ | ʼ[67] |
2019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우즈베크 라틴 알파벳의 개정판을 발표했는데, 다섯 개의 문자가 수정되었다. "ts", "sh", "ch", "oʻ", "gʻ"를 각각 "c", "ş", "ç", "ó", "ǵ"로 표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40] 이는 1995년 개혁을 되돌리는 것이었고, 튀르키예어, 투르크멘어, 카라칼파크어, 카자흐어(2018년 버전), 아제르바이잔어의 철자법에 더 가깝게 만들었다.[41] 2021년에는 "sh", "ch", "oʻ", "gʻ"를 "ş", "ç", "ō", "ḡ"로 변경하는 것이 제안되었다.[42][43] 하지만 이러한 제안은 채택되지 않았다.
А а | B b | D d | Е е | F f | G g |
H h | I i | J j | K k | L l | М m |
N n | О о | P p | Q q | R r | S s |
Т t | U u | V v | X x | Y y | Z z |
Oʻ oʻ | Gʻ gʻ | Sh sh | Ch ch | Ng ng |
우즈베키스탄에서 라틴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광고나 간판에서는 키릴 문자의 사용이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 신문에서는 라틴 문자로 된 제목과 키릴 문자로 된 기사가 혼용되는 경우도 있다.[39]
6. 3. 키릴 문자
우즈베크어는 1940년부터 1992년까지 키릴 문자를 공식 문자로 사용하였다.[38] 1992년 이후 라틴 문자로 전환되었지만, 여전히 키릴 문자의 사용이 널리 남아있다. 특히 광고나 간판에서 키릴 문자가 널리 사용되며, 신문에서는 라틴 문자로 된 제목과 키릴 문자로 된 기사가 혼용되는 경우도 있다.[39]우즈베크어의 신구 정서법 대조표 | ||||
---|---|---|---|---|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음가 (IPA) |
~1929 | 1936~40 | 1940~92 | 1992~ | |
ﺍ, ه | Ə ə | А а | A a | /æ/ |
ﺏ | B в | Б б | B b | /b/ |
ﺩ | D d | Д д | D d | /d̪/ |
ﻩ | E e | Е е | E e | /e/ |
ﻑ | F f | Ф ф | F f | /ɸ/ |
گ | G g | Г г | G g | /ɡ/ |
ﺡ,ﻩ | H h | Ҳ ҳ | H h | /h/ |
ی | I i | И и | I i | /i/ |
ﺝ, ژ | Ç ç, Ƶ ƶ | Ж ж | J j | /dʒ/ |
ﻙ | K k | К к | K k | /k/ |
ﻕ | Q q | Қ қ | Q q | /q/ |
ﻝ | L l | Л л | L l | /l/ |
ﻡ | M m | М м | M m | /m/ |
ﻥ | N n | Н н | N n | /n/ |
ﺍ | A a | О о | O o | /ɔ/ |
پ | P p | П п | P p | /p/ |
ﺭ | R r | Р р | R r | /r/ |
ﺙ,ﺱ,ﺹ | S s | С с | S s | /s/ |
ﺕ,ﻁ | T t | Т т | T t | /t̪/ |
ﻭ | U u | У у | U u | /u/ |
ﻭ | V v | В в | V v | /v~w/ |
ﺥ | X x | Х х | X x | /χ/ |
ی | J j | Й й | Y y | /j/ |
ﺫ,ﺯ,ﺽ,ﻅ | Z z | З з | Z z | /z/ |
ﻭ | O o | Ў ў | Oʻ oʻ[65] | /o/ |
ﻍ | Ƣ ƣ | Ғ ғ | Gʻ gʻ[66] | /ʁ/ |
ﺵ | Ş ş | Ш ш | Sh sh | /ʃ/ |
چ | C c | Ч ч | Ch ch | /tʃ/ |
نگ | Ꞑ ꞑ | Нг нг | Ng ng | /ŋ/ |
ء, ع | ʼ | Ъ ъ | ʼ[67] | /ʔ/ |
아 | 베 | 베 | 게 | 그 | 데 | 예 |
---|---|---|---|---|---|---|
요 | 제 | 제 | 이 | 이 | 카 | 카 |
엘 | 엠 | 엔 | 오 | 페 | 에르 | 에스 |
테 | 우 | 우 | 에프 | 하 | 헤 | 체 |
체 | 샤 | 트제 | 연음 부호 | 에 | 유 | 야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Қ қ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Ў ў | Ф ф | Х х | Ҳ ҳ | Ц ц |
Ч ч | Ш ш | Ъ ъ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7. 음운
우즈베크어 단어는 보통 고음절어(마지막 음절이 강세를 받음)이지만, 특정 어미와 접미사는 강세를 받지 않는다. ʻuz(U+02BB)는 문자 자체가 아니라, 앞의 문자 Guz 또는 Ouz와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이룬다.
Gʻ gʻuz는 대략 폐쇄음 G guz의 마찰음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조음 위치가 뒤로 이동한 후두개음(post-velar)[63], 즉 와 의 중간적인 소리이다. 아제르바이잔어의 Ğ ğaz()와 위구르어의 GH Gh ghuz()가 같은 어원에서 유사한 소리를 가진 튀르크어족 언어이다.
Oʻ oʻuz는 O ouz보다 약간 더 좁은 모음이다. O ouz는 "아에 가까운 오", Oʻ oʻuz는 "우에 가까운 오"로 구분되며, 예를 들어 국가명 Oʻzbekistonuz은 "우즈베키스탄"이다.
ʼuz(U+02BC)는 러시아어 의 음역 외에도, shuz()와 sʼhuz()를 표기상 구분할 때에도 사용된다.
"반모음 + 모음"을 나타내는 키릴 문자 Е е Ё ё Ю ю Я яuz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에 사용되었다.
7. 1. 닿소리 (자음)
colspan=2 | | 양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파찰음 | p, b | t̪, d̪ | t̠ʃ, ḏʒ | k, ɡ | q | ||||
마찰음 | ɸ | s, z | ʃ | χ, ʁ | h | ||||
유음 | 설측음 | l | |||||||
탄음 | ɾ | ||||||||
반모음 | w~v | j |
단어는 보통 고음절어(마지막 음절이 강세를 받음)이지만, 특정 어미와 접미사는 강세를 받지 않는다. 괄호 안의 자음은 외래어에서만 확인된다.[45]
7. 2. 홀소리 (모음)
표준 우즈베크어에는 여섯 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45] 우즈베크어는 많은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많은 투르크어와 달리 표준 우즈베크어는 모음 조화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킵차크 우즈베크어와 오구즈 우즈베크어 등 다른 방언들은 모음 조화를 유지하고 있다.- iuz와 uuz는 짧은 동소 ɪuz와 ʊuz, 그리고 중설 동소 ɨ̞uz와 ʉuz를 가질 수 있다. ɔuz는 개방 후설 동소 ɒuz를 가질 수 있다.
- iuz와 æuz는 음절이나 모음이 음소 quz, ʁuz, 그리고 χuz (''yaxshi'' یخشیuz "좋은")에 인접할 때 ɨuz와 auz가 될 수 있다.
8. 문법
투르크어족에 속하는 우즈베크어는 주어가 없어도 되는 언어이자 단어에 여러 요소가 붙어 뜻을 나타내는 언어이다. 성 구별은 없으며, 부정관사 'bir'과 'bitta'를 가지고 있다.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 순서이다.
우즈베크어에는 크게 명사(명사, 대명사, 형용사, 일부 부사 포함)와 동사(동사, 일부 부사 포함) 두 가지 범주가 있다.
(명사, 동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8. 1. 명사
우즈베크어는 투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주어가 없어도 되는 언어이자 단어에 여러 요소가 붙어 뜻을 나타내는 언어이다. 성 구별은 없다.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 순서이다.우즈베크어에는 크게 명사(명사, 대명사, 형용사, 일부 부사 포함)와 동사(동사, 일부 부사 포함) 두 가지 범주가 있다. 복수형은 접미사 '-lar'를 붙여 만든다. 명사는 정관사 '-ni' 접미사를 붙여 특정 대상을 가리킬 수 있으며, 접미사가 없으면 부정관사(특정하지 않은 대상)로 이해된다. 여격 어미 '-ga'는 명사가 '-k'로 끝나면 '-ka', '-q'로 끝나면 '-qa', '-gʻ'로 끝나면 '-qa'로 바뀐다(예: ''toqqa'' ← ''tog‘qa''). 소유격 접미사는 끝 자음 '-k'와 '-q'를 각각 유성음 '-g'와 '-gʻ'로 바꾼다(예: ''yuragim'' ← ''yurak'').[46]
투르크멘어, 카자흐어와 달리, 소유격 뒤의 격 변화에 불규칙성이 없다.[47]
격 | 접미사 | 예시 |
---|---|---|
주격 | -∅ | uy|집uz |
소유격 | -ning | uyning|집의uz |
여격 | -ga | uyga|집에uz |
정관사 목적격 | -ni | uyni|그 집uz |
처소격 | -da | uyda|집 안에uz |
탈격 | -dan | uydan|집에서uz |
(문어) | -la | uyla|집으로uz |
비유격 | -day, -dek, -daqa | uyday/uydek/uydaqa|집처럼uz |
소유자 수 | 단수 | 복수 |
---|---|---|
1인칭 | -(i)m | -(i)miz |
2인칭 | -(i)ng | -(i)ngiz |
3인칭 | -(s)i |
8. 2. 동사
투르크어족에 속하는 우즈베크어는 교착어이자 무주어 언어이며, 명사의 성이 없다. 우즈베크어 동사는 주어의 수와 인칭에 따라 활용되며, 다양한 구문 변용을 사용한다. 우즈베크어는 다음과 같은 일부 굴절적(단순) 동사 시제를 사용한다.[48]기능 | 접미사 | 예시 |
---|---|---|
원형 | -moq ـماق | koʻrmoq|코르마크uz (보다) |
기능 | 접미사 | 예시 |
---|---|---|
현재-미래 | -a/-y ـه، ـهی | koʻra|코라uz (보다/볼 것이다) |
강조 현재 | -yap ـیپ | koʻryap|코랖uz (현재) 보고 있다 |
순간 현재 | -yotir ـیاتیر | koʻryotir|코료티르uz (바로 지금) 보고 있다 |
진행 현재 | -moqda ـماقده | koʻrmoqda|코르모크다uz 보고 있다 |
현재 완료 | -gan ـگن | koʻrgan|코르간uz 보았다 |
과거 시제 | -di ـدی | koʻrdi|코르디uz 보았다 |
간접 과거 | -ib ـیب | koʻrib keldi|코립 켈디uz (보러) 왔다 |
명확한 미래 | -(y)ajak ـهجک، ـیهجک | koʻrajak|코라작uz (특정 미래 시점에) 볼 것이다 |
의무적 미래 | -adigan/ydigan ـهدیگن، ـیدیگن | koʻradigan|코라디간uz (반드시) 볼 것이다 |
가정법 | -sa ـسه | koʻrsa|코르사uz (만약) 본다면 |
의도 | -moqchi ـماقچی | koʻrmoqchi|코르모크치uz (보려고) 한다 |
명령법 | -(a)y (men) ـهی (مین) | koʻray|코라이uz (1인칭 단수) |
동사 어근 뒤에 '-ma'를 붙이거나, 보조동사 'emas'를 사용하여 부정을 표현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Koʻrmay(man)'' Koʻrmay(man)|코르마이(만)uz: (나는) 보지 않는다.
- ''Koʻrmoqchi emas(man)'' Koʻrmoqchi emas(man)|코르모크치 에마스(만)uz: (나는) 보고 싶지 않다.
'yoʻq' ـیوق 조사는 명사나 동작의 부재 또는 금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동명사는 동사 어근 + ''ish'' ـیش로 형성된다.
- ''Chekish mumkin emas'' Chekish mumkin emas|체키쉬 뭄킨 에마스uz: 흡연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명사 | 접미사 | 뜻 |
---|---|---|
men men|멘uz | -man ـمن | 나 |
biz biz|비즈uz | -miz ـمیز | 우리 |
sen sen|센uz | -san ـسن | 너 (정중한 단수 및 비격식 단수, 비존칭) |
senlar senlar|센라르uz | -sanlar سنلر | 너희들 (비격식 복수, 비존칭) |
siz siz|시즈uz | -siz ـسیز | 당신 (정중한 복수 및 비격식 단수, 존칭) |
sizlar sizlar|시즐라르uz | -sizlar ـسیزلر | 당신들 (비격식 복수, 존칭) |
u u|우uz | -∅ ـ | 그/그녀/그것 |
ular ular|울라르uz | -lar ـلر | 그들 |
9. 어휘
우즈베크어에는 이슬람의 영향으로 아랍어 차용어가 많이 나타난다.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지배 시기의 영향으로 러시아어 차용어도 많이 남아있는데, 기술 및 현대 용어뿐만 아니라 일상 용어와 사회정치 용어에도 많이 존재한다. 우즈베크어는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아 어휘, 구문론, 발음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또한 동물, 새, 가정 용품, 화학 원소, 특히 군사 용어 등에는 약 60개의 몽골어 차용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1]
10. 연구자
우즈베크어 역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19세기에 유럽과 러시아의 동양학자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다. A. 밤베리, V. 바르톨트, S. 라핀 등이 우즈베크어 역사에 대해 저술하였다. 소비에트 시대에는 언어 역사 연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E. 폴리바노프, N. 바스카코프,[60] A. 코노노프,[61] U. 투르수노프, A. 무흐타로프, S. 라흐마툴라예프 등 유명한 언어학자들이 우즈베크어 역사에 대해 저술하였다.
참조
[1]
서적
Law and the Making of the Soviet World: The Red Demiur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1-20
[2]
웹사이트
少数民族的语言文字有哪些?
http://fujian.gov.cn[...]
2022-09-13
[3]
웹사이트
Uzbek, Southern
https://www.ethnolog[...]
2022-12-29
[4]
웹사이트
Uzbek, Northern
https://www.ethnolog[...]
2022-12-29
[5]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6]
서적
Migration and Identity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1-19
[7]
뉴스
Uzbekistan Aims For Full Transition To Latin-Based Alphabet By 2023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
2021-02-12
[8]
웹사이트
В Узбекистане в 2023 году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в делопроизводстве переведут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interfax.az/v[...]
[9]
웹사이트
Uzbekistan: Keeping the Karakalpak Language Alive
https://iwpr.net/glo[...]
2019-05-17
[10]
웹사이트
Uzbekistan's Drawn-out Journey From Cyrillic to Latin Script
https://thediplomat.[...]
2023-09-14
[11]
웹사이트
The Weird Case of the Uzbek Language
https://thediplomat.[...]
[12]
웹사이트
Uzbek, "the penguin of Turkic languages"
https://www.language[...]
2011-02-25
[13]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Turkmenistan?
https://www.worldatl[...]
2019-06-12
[14]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Tajikistan?
https://www.worldatl[...]
2017-08
[15]
웹사이트
Central Asians in Russia Pressured to Join Moscow's Fight in Ukraine
https://www.themosco[...]
2022-03-17
[16]
간행물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Nationalencyklopedin
[17]
웹사이트
Uzbekistan
https://www.cia.gov/[...]
2012-12-07
[18]
웹사이트
Languages of Afghanistan
http://www.ethnologu[...]
2012-12-07
[19]
웹사이트
Languages of Tajikistan
http://www.ethnologu[...]
2012-12-07
[20]
웹사이트
Ethnic Makeup of the Population
http://www.stat.kg/s[...]
2012-12-07
[21]
웹사이트
National Census 2009
http://www.stat.kz/p[...]
2010-12-07
[22]
웹사이트
Languages of Turkmenistan
http://www.ethnologu[...]
2012-12-07
[23]
웹사이트
National Census 2010
http://www.gks.ru/fr[...]
2012-12-07
[24]
웹사이트
Number of Uzbek language speakers exceeds 60 million people worldwide
https://kun.uz/en/ne[...]
2023-10-27
[25]
서적
Political Organization in Central Asia and Azerbaijan: Sources and Documents
Routledge
2004-11-23
[26]
웹사이트
The Origins of the Uzbek Language
http://www.ooo-perev[...]
2013-01-05
[2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Central Asia: 130 Years of Russian Dominance, a Historical Overview
Duke University Press
[29]
논문
Muhammad Shaybanî’s Bahru’l-huda : An Early Sixteenth Century Didactic Qasida in Chagatay
[30]
서적
Rol shibanidskikh praviteley v literaturnoy zhizni Maverannakhra XVI v. // Rakhmat-name
Sankt Petersburg
[31]
논문
MuÌammad Shaybænî’s Bahru’l-huda : An Early Sixteenth Century Didactic Qasida in Chagatay
[32]
서적
Turdy. Izbrannyye proizvedeniya
Tashkent
[33]
웹사이트
Sûfî Allahyâr
https://islamansiklo[...]
[34]
서적
Sarty v etnicheskoy istorii Sredney Azii (k postanovke problemy) Etnosy i etnicheskiye protsessy
Vostochnaya literatura
[35]
서적
Geograficheskiye i statisticheskiye svedeniya o Zeravshanskom okruge (s prilozheniyem spiska naselonnykh mest okruga), Zapiski IRGO po otdeleniyu statistiki
SPb.
[36]
웹사이트
Uzbekistan: Why Uzbek Language Has Not Become a Language of Politics and Science?
https://cabar.asia/e[...]
2023-10-27
[37]
서적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of Eurasia: Handbook of Former Soviet Republic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8]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National Development : the Uzbek Experience
http://worldcat.org/[...]
Walter de Gruyter
2011-05-02
[39]
서적
Central Asia on Displa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40]
웹사이트
Uzbekistan unveils its latest bash at Latin alphabet
https://eurasianet.o[...]
2019-05-23
[41]
웹사이트
Uzbekistan Moves to Make Its Latin Script Closer to One Used in Turkey
http://windowoneuras[...]
2019-05-27
[42]
뉴스
Проект нового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представлен для обсуждения
https://www.gazeta.u[...]
2021-04-02
[43]
웹사이트
Uzbekistan unveils its latest bash at Latin alphabet
https://eurasianet.o[...]
2019-05-23
[44]
서적
Afghanistan Labor Policy, Laws and Regulations Handbook: Strategic Information and Regulations
https://books.google[...]
Lulu.com
2017-07-01
[45]
서적
Uzbek Structural Grammar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1963
[46]
웹사이트
Uzbek Language
https://slaviccenter[...]
[4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9
[48]
웹사이트
The Uzbek Tense Aspect Modality System
https://www.scribd.c[...]
2024-01-07
[49]
서적
Intransitive Predication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7-10-04
[50]
서적
Turkic-Iranian Contact Area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23-08-14
[51]
서적
The Persian Presence in the Islamic World
[52]
웹사이트
«Туркменизация» руководящих кадров в Дашогузе
https://memohrc.org/[...]
2024-01-07
[53]
웹사이트
iamik.ru — Туркменизация узбеков
https://iamik.ru/new[...]
2019-06-17
[54]
웹사이트
В Туркмении завершается принудительная туркменизация
https://www.vb.kg/do[...]
2024-01-07
[55]
웹사이트
Туркменские узбеки тихо ликуют и следят за Мирзиёевым
https://365info.kz/2[...]
2024-01-07
[56]
웹사이트
В Москве начинает выходить газета на узбекском языке
http://www.ferganane[...]
2024-01-07
[57]
웹사이트
В Москве начинает выходить газета на узбекском языке
https://vesti.kg/pol[...]
2024-01-07
[58]
웹사이트
В Москве начинает выходить газета на узбекском языке
https://www.caravan.[...]
2024-01-07
[59]
웹사이트
Москвичи, изучающие узбекский, таджикский и молдавский языки
https://www.the-vill[...]
2024-01-07
[60]
간행물
Istoriko-tipologicheskaya fonologiya tyurkskikh yazykov
Nauka
[61]
간행물
Grammatika sovremennogo uzbekskogo literaturnogo yazyka
Izdatel'stvo AN SSSR
[62]
웹사이트
Uzbekistan unveils its latest bash at Latin alphabet
https://eurasianet.o[...]
2019-08-27
[63]
서적
Uzbek Structural Grammar
[64]
저널
『바부르나마』의 현대 우즈벡어 및 위구르어 번역 비교 연구 - 어휘의미론적 관점에서
https://www.kci.go.k[...]
2021
[65]
기타
[66]
기타
[6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