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주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주택은 일본에서 시작된 용어로, 시대에 따라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첫째는 다이쇼 시대에 서양식 생활 양식을 수용하여 일본식 주택에 서양식 응접실 등을 결합한 주택을 지칭하며, 1922년 평화기념 도쿄 박람회에서 문화촌이 조성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둘째는 킨키 지방에서 사용되는 집합 주택의 호칭으로, 1950~60년대 고도 경제 성장기에 지어진 기와를 얹은 목조 몰탈 2층 건물을 의미하며, 각 가구에 독립된 설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문화주택이 도입되었으며, 해방 이후 한국식 문화주택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주택 - 우로코의 집
우로코의 집은 고베 외국인 거류지에 고급 임대 주택으로 지어진 서양관으로, 독특한 건축 양식과 외관, 다양한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여러 작품의 촬영 장소로 활용된 관광 명소이다. - 일본의 주택 - 코타츠
코타츠는 일본의 전통 난방 기구로, 테이블 아래 열원을 두고 이불을 덮어 다리를 따뜻하게 하는 가구이며, 이로리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 현대에는 전기 난방 방식과 함께 일본 가정의 필수 가구로 자리 잡았고, 세계 각지에 유사한 난방 기구가 있지만 일본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주택 종류 - 유르트
유르트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이동식 주거 형태로, 나무 골조에 펠트 천을 덮어 만들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유목 생활에 적합하고, 스키타이족 시대부터 사용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주택 종류 - 빌라
빌라는 고대 로마 시대 상류층의 시골 저택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와 형태가 변화하여 현대에는 단독주택, 고급 숙박 시설, 소규모 공동주택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문화주택 |
|---|
2. 일본의 문화주택


일본에서 '문화주택'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하나는 다이쇼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걸쳐 유행한 서양식 응접실이 딸린 일본식 주택을 의미하고, 다른 하나는 킨키 지방에서 1950~60년대 고도 경제 성장기에 지어진 집합 주택을 의미한다. 아이치 엑스포에서 인기를 얻은 "사츠키와 메이의 집"도 문화주택풍이다.[1]
2. 1. 양풍 주택으로서의 문화주택
메이지 시대에 서양관이 세워지기 시작했지만, 주로 재벌이나 정치가들의 일부 주택이었으며, 일반적인 경우에는 일본식 집에 사는 것이 당연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대중문화가 성립했고, 주택에서도 서양식 생활에 대한 동경이 퍼져나갔다.1922년(다이쇼 11년), 우에노에서 평화기념 도쿄 박람회가 열렸고, 전시 기획으로 "'''문화촌'''"이 조성되었다. 14채의 "문화주택"이 세워졌으며, 모던하고 합리적인 주거 방식을 제시하는 일종의 모델 룸이었다.[1] 문화주택이라는 말은 1921년(다이쇼 10년) 즈음부터 일부 잡지에서 사용되었지만, 이 박람회를 계기로 일반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생각된다.[1]
쇼와 시대에 들어서 "문화주택"이라는 명칭으로 일정한 패턴이 자리 잡았다. 주택 본체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일본식 주택이지만, 현관 옆에 서양식 디자인의 응접실이 만들어지는 형태였다. 한신간 및 도쿄 근교 지역(세타가야, 스기나미 등)의 택지 개발과 함께 수많은 문화주택이 지어졌다.
2. 2. 킨키 지방의 집합 주택으로서의 문화주택
킨키 지방에서 사용되는 집합 주택의 한 형태이다.[2] 분가 주택이라고도 한다.1950~60년대 고도 경제 성장기에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로[2], 주로 당시에 지어진 기와를 얹은 목조 모르타르 2층 건물로, 1~2층이 연결된 메조네트, 또는 각 층에 여러 채의 주택이 늘어선 욕실 없는 아파트를 가리킨다.[3] 실제로는 각 가구에 독립된 현관이 있고, 화장실과 부엌, 욕실도 갖춘[2] 연립식 집합 주택(예: 1동 4호 등)이 많다.
"문화"(「ん」에 악센트)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종류의 주택이 "문화주택"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이전의 셋집이나 하숙집 등 집합 주택의 대부분이 변소나 부엌을 공동으로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이러한 설비를 각 가구에 독립적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기존의 집합 주택보다 "문화적"이라는 이유에서이다.[2] 이 "문화주택"의 기원은 불분명하다.[2]
킨키 지방에도 전쟁 전의 "양풍 주택으로서의 문화주택"은 한신칸 등 다이쇼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개발된 지역에 다수 존재하지만 (한신칸 모더니즘 참조)[4], "문화주택"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보급되지 않고, 주로 이쪽 의미(집합 주택으로서의 문화주택)가 널리 퍼졌다.
최근에는 노후화가 진행되어, 1995년 (헤이세이 7년)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에서는 많은 "문화주택"이 붕괴되어, 거주자들의 많은 희생이 있었다. 이들이 밀집한 지역의 재개발이 노후화에 따른 리노베이션과 함께 과제가 되고 있다.
3. 한국의 문화주택
문화주택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유입된 주거 형태로, 전통적인 한옥과는 다른 서양식 주택 양식을 의미한다. 당시 경성을 중심으로 보급되었으며, 주로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문화주택은 새로운 생활 방식과 문화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여겨졌다.
문화주택은 붉은 벽돌과 기와를 사용한 2층 양옥 형태가 일반적이었으며, 응접실, 서재, 욕실 등 근대적인 실내 공간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입식 부엌과 수세식 화장실 등 새로운 설비가 도입되어 생활의 편리성을 높였다.
문화주택은 당시 신문물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영화나 소설 등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등장하였다. 이러한 문화주택은 당시의 생활상과 시대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文化住宅にしひがし(1ページ目) - 朝日新聞デジタル(ことばマガジン)
http://www.asahi.com[...]
2022-01-29
[2]
웹사이트
文化住宅にしひがし(2ページ目) - 朝日新聞デジタル(ことばマガジン)
http://www.asahi.com[...]
2021-12-24
[3]
문서
[4]
뉴스
約六万坪にわたり勤人向けの文化住宅百五十余戸を建てる目的ですでに建設に着手し
大阪朝日新聞
1929-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