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누벨칼레도니에 서식하는 희귀한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10cm에 달하며, 몸에는 다양한 색조의 모자이크 무늬가 있다. 리치도마뱀붙이속 중 유일하게 태생하며, 가족 단위로 나무구멍에서 잠을 자는 습성이 있다. 뭉툭주둥이는 일데팡과 그 해안가에 있는 작은 섬의 좁은 구역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편화, 불법 거래, 전기개미, 고양이, 설치류의 위협을 받는다. 멸종위급종으로 분류되며, 북부주에서 보호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치도마뱀붙이속 - 가고일도마뱀붙이
가고일도마뱀붙이는 뉴칼레도니아 남부 고유종으로, 뿔이나 귀처럼 보이는 혹이 있는 두개골과 잡는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야행성, 수목성 파충류로 곤충과 과실 등을 먹고 애완동물로 사육된다. - 리치도마뱀붙이속 -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뭉뚝한 주둥이와 점박이 무늬를 가진 야행성 잡식성 도마뱀붙이류로, 누벨칼레도니에 분포하며 서식지 감소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 1878년 기재된 파충류 - 바다왕도마뱀
바다왕도마뱀은 보르네오 섬 고유종으로, 왕도마뱀과에 속하며 열대 우림 지역에 서식하며 지렁이, 갑각류 등을 먹고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위기종으로 평가받는다. - 1878년 기재된 파충류 - 악어왕도마뱀
악어왕도마뱀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의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255cm까지 성장하는 육식성 도마뱀으로, 공격적인 성향과 멸종 위협, 서식지 파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르주 알베르 불랑제가 명명한 분류군 - 우단도마뱀붙이속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4종의 도마뱀붙이로 이루어진 우단도마뱀붙이속은 도마뱀붙이목에 속하며, 각 종은 명명자에 따라 학명이 부여되고 일부 철자가 수정되었다. - 조르주 알베르 불랑제가 명명한 분류군 - 장님도마뱀과
장님도마뱀과는 사지 퇴화로 뱀과 유사한 형태를 띠며 멕시코의 *Anelytropsis*속과 동남아시아의 *Dibamus*속으로 구성된 뱀목의 도마뱀 과로, 뱀목 내에서 가장 원시적인 형태 중 하나로 추정된다.
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Rhacodactylus trachycephalus |
명명자 | Boulenger, 1878 |
이명 | Chameleonurus trachycephalus Boulenger, 1878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trachycephalus Myers, 2005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trachycephalus Kaverkin, 2009 Rhacodactylus trachycephalus Bauer, 2012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돌도마뱀붙이과 |
속 | 리치도마뱀붙이속 |
종 | 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 |
2. 분류
조지 알버트 불렝거는 1878년에 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를 최초로 기술했다.[1] 같은 해에 불렝거는 ''Chameleonurus trachycephalus''로도 명명했다.[1] 2005년에는 마이어스(Myers)에 의해 ''Rhacodactylus trachyrhynchus''의 아종인 ''R. trachyrhynchus trachycephalus''로 명명되었고, 2009년에는 유리 카베르킨에 의해 다시 같은 이름으로 명명되었다.[1] 2012년에는 아론 M. 바우어에 의해 ''Rhacodactylus'' 속에 포함되어 현재의 학명인 ''Rhacodactylus trachycephalus''가 되었다.[1]
뭉툭주둥이의 몸뚱이는 10cm에 이르며,[2] 주둥이-항문 길이는 14cm를 넘지 않고,[1] 꼬리길이는 몸뚱이와 비슷하다. 몸에는 흰색, 갈색, 회색, 녹색의 다양한 색조가 어우러진 모자이크 무늬가 아로새겨져있다. 발가락은 다소 넓적하고 꼬리로 매달릴 수 있다.[2]
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리치도마뱀붙이속 중 유일하게 태생하는 종이다.[1]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종류를 제외하면 새끼를 낳는 도마뱀붙이류는 드물다.[2] 뭉툭주둥이는 보통 해마다 두 마리 이상을 낳지 않는데, 이러한 낮은 번식률은 뭉툭주둥이가 희귀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3]
뭉툭주둥이는 누벨칼레도니에만 서식하는 희귀종이다.[1] 분포 영역은 극단적으로 제한되어있으며, 일데팡(:en:Ile des Pins)의 좁은 구역, 그 해안가에 있는 작은 섬의 습한 숲에 서식한다. 해안가의 작은 섬은 너무 작아서 단 한 번의 재앙으로 모든 개체가 죽어버릴 수도 있으며, 두 개체군 모두 극단적으로 취약하다.[2]
3. 외형
뭉뚝주둥이와 근연종이지만 몇 가지 눈에 띄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뭉뚝주둥이는 뭉툭주둥이보다 덩치는 큰데 눈은 작고, 몸통가운데(midbody)에 비늘줄(scale row)이 많으며, 눈과 콧구멍 사이에도 비늘이 많고 크기도 크다.[1]
4. 습성
온도와 습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개체가 피난처에 모여 쉬는 습성이 있으며, 이는 도톰꼬리도마뱀붙이와 유사하다. 뭉툭주둥이는 가족 단위로 나무구멍에서 함께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5. 분포 및 보존
뭉툭주둥이는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있지 않지만, 북부주에서는 보호받는다. ''Endemia.nc''는 이 종을 절멸위급종으로 분류하였다.[2] 뭉뚝주둥이는 불법거래, 서식지 파편화로 고통받으며, 전기개미(:en::en:Wasmannia auropunctata)의 서식지 침략은 특히 해안가에 서식하는 개체들에게 문제가 된다.[2] 고양이와 설치류도 뭉툭주둥이를 노리며, 알, 유체, 성체를 가리지 않는다. 이리하여 뭉툭주둥이는 오늘날 세계에서 제일 희귀한 도마뱀붙이류 중 하나가 된 것이다.[3]
5. 1. 한국의 뭉툭주둥이 관련 사례
참조
[1]
웹인용
Rhacodactylus trachycephalus
http://reptile-datab[...]
2017-11-11
[2]
웹인용
Endemia.nc
http://endemia.nc/en[...]
2018-11-24
[3]
서적
Geckos: The Animal Answer Guide
JHU Press
2018-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