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뭉뚝한 주둥이와 점박이 무늬를 가진 중대형 도마뱀붙이류이다. 야행성이며 잡식성으로, 누벨칼레도니의 특정 지역에 분포한다. 서식지 감소, 외래종 유입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리치도마뱀붙이속에 속하며, 새끼를 낳는다. 1873년 호세 비센테 바르보사 뒤 보카쥬에 의해 종이 기술되었고, 현재는 Rhacodactylus trachycephalus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치도마뱀붙이속 - 가고일도마뱀붙이
가고일도마뱀붙이는 뉴칼레도니아 남부 고유종으로, 뿔이나 귀처럼 보이는 혹이 있는 두개골과 잡는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야행성, 수목성 파충류로 곤충과 과실 등을 먹고 애완동물로 사육된다. - 리치도마뱀붙이속 - 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
뭉툭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몸길이 약 10cm의 태생 도마뱀붙이로, 누벨칼레도니 특정 지역에만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 1873년 기재된 파충류 - 구렁이
구렁이는 동북아시아 고유종으로, 습한 환경에 서식하며 작은 포유류 등을 먹고, 중국에서는 취약종, 러시아와 한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 1873년 기재된 파충류 - 오스트레일리아악어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가늘고 긴 주둥이와 밝은 갈색 몸통에 어두운 줄무늬가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악어로, 담수 습지, 강, 개울 등에서 곤충, 물고기, 갑각류 등을 섭취하며 서식하지만, 최근 외래종인 사탕수수 두꺼비 섭취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 | |
---|---|
일반 정보 | |
학명 |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
명명자 | 보카쥬, 1873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돌도마뱀붙이과 |
아과 | 해당사항 없음 |
속 | 리치도마뱀붙이속 |
종 |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
보전 상태 | |
IUCN | VU (취약) |
상태 출처 | Whitaker, A.H. 등 |
평가 년도 | 2021 |
2. 형태
주둥이는 뭉뚝하고 크고 넓적한 비늘로 뒤덮여 거칠며, 이는 '뭉뚝주둥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15][6] 다른 특징으로는 넓적한 발가락과[15][6] 물체를 잡을 수 있는 잡는꼬리가 있어 꼬리로 매달리는 것이 가능하다.[15][6] 몸은 얼룩덜룩한 무늬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녹회색이나 갈색 바탕에 흰색 점들이 섞여 있다.[15][6] 몸길이(주둥이-항문 길이, BDL)는 평균 19cm 정도이고 꼬리 길이도 이와 비슷하여, 중대형 도마뱀붙이류에 속한다.[15][6]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야행성으로, 밤에 사냥하고 낮에는 은신처에서 숨어지낸다.[10][1] 이들은 삼림에 서식하며, 주로 열대 및 아열대 기후의 숲에서 발견되지만 온대 지역의 상록수 숲에서도 서식한다.[10][1] 난태생이기 때문에 같은 속(''Rhacodactylus'')의 다른 종들보다 번식률이 낮다.[10][1]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누벨칼레도니의 일부 좁은 지역에만 서식한다.[10] 주요 서식지는 남부주, 북부주이며, 특히 일데팡과 누벨칼레도니 본섬인 그랑드테르의 일부 지역에서 드물게 발견된다.[15] 서식 면적은 총 149km2 정도이며, 해발 500m까지 분포한다.[10]
리치도마뱀붙이속에 속하는 도마뱀붙이 중 뭉뚝주둥이도마뱀붙이와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다른 종들이 알을 낳는 것과 달리 새끼를 직접 낳는 난태생이다. 사육 시에는 교목성 특성을 고려하여 위아래로 길쭉한 형태의 테라리움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좋다. 수컷은 단독으로 사육하거나 번식을 위해 암컷 한두 마리와 함께 짝을 지어 사육해야 한다. 수컷끼리 함께 두면 서로 싸우는 경향이 있지만, 암컷들은 비교적 사회적이어서 함께 사육해도 큰 문제가 없다.
1873년 호세 비센테 바르보사 뒤 보카쥬가 처음으로 이 종을 기술하였다.[16] 조르주 불랑제가 1878년에 ''Chameleonurus trachycephalus''라는 이름으로 기재했던 아종은[17] 현재 별도의 종인 ''Rhacodactylus trachycephalus''로 분류된다.[18]
[1]
간행물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2021-11-20
3. 습성
모든 ''Rhacodactylus'' 속 도마뱀붙이와 마찬가지로 잡식성이다.[1] 식단은 주로 곤충과 과일로 구성되며, 작은 도마뱀, 둥지의 새, 설치류 등도 잡아먹는다.[10][1]
4. 분포
정확한 개체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서식 범위와 개체 수가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다. 주요 위협으로는 서식지 감소가 있는데, 자연 발생적인 산불, 돼지와 같이 서식지를 파괴하는 대형 동물, 농경지 확보를 위한 인간의 삼림 벌채 등이 원인이다. 또한, 설치류와 고양이 같은 외래 포식자들이 유입되어 도마뱀붙이를 사냥하며, 전기개미와 같은 침입종 개미도 위협이 된다.[15] 일부 지역에서는 불법적인 포획과 거래가 이루어지며, 애완동물로 키워지기도 한다. 서식지 일부는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종 자체를 위한 구체적인 보전 조치는 미흡한 실정이다. 개체수 감소와 제한된 분포 지역 때문에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VU)으로 등재되었다.[10][15]
5. 번식
6. 분류
참조
[2]
논문
Catalogue of the Lizards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2018-12-18
[3]
논문
New data on the distribution, status, and biology of the New Caledonian giant geckos (Squamata: Diplodactylidae: Rhacodactylus spp.)
http://www.amphibian[...]
2018-12-18
[4]
논문
Revision of the giant geckos of New Caledonia (Reptilia: Diplodactylidae: Rhacodactylus)
https://www.research[...]
2018-12-18
[5]
웹사이트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http://reptile-datab[...]
2018-12-18
[6]
웹사이트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http://endemia.nc/en[...]
2018-12-18
[7]
문서
Mélanges erpétologiques. l. Note sur quelques geckotiens nouveaux ou peu connus de la Nouvelle Calédonie
1873
[8]
논문
Description d'un genre nouveau et d'une espece nouvelle de la famille des geckotides
https://biodiversity[...]
1878
[9]
웹사이트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http://reptile-datab[...]
2018-12-20
[10]
간행물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2011
[11]
저널
Catalogue of the Lizards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2018-12-18
[12]
저널
New data on the distribution, status, and biology of the New Caledonian giant geckos (Squamata: Diplodactylidae: Rhacodactylus spp.)
http://www.amphibian[...]
2018-12-18
[13]
저널
Revision of the giant geckos of New Caledonia (Reptilia: Diplodactylidae: Rhacodactylus)
https://www.research[...]
2018-12-18
[14]
웹인용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http://reptile-datab[...]
2018-12-18
[15]
웹인용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http://endemia.nc/en[...]
2018-12-18
[16]
문서
Mélanges erpétologiques. l. Note sur quelques geckotiens nouveaux ou peu connus de la Nouvelle Calédonie
1873
[17]
저널
Description d'un genre nouveau et d'une espece nouvelle de la famille des geckotides
https://biodiversity[...]
1878
[18]
웹인용
Rhacodactylus trachyrhynchus
http://reptile-datab[...]
2018-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