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사령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사령관은 미국 대통령이 임명하며, 미국 해군 장관, 해군참모총장, 합참의장의 자문 및/또는 추천을 받는다. 이 직책은 1906년 대서양 함대 사령관으로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조직 개편을 거쳤으며, 2006년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사령관으로 통합되었다. 사령관은 해군 제독이 맡으며, 일반적으로 2년의 임기를 갖는다.

2. 역사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사령관 직책은 1906년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U.S. Atlantic Fleet|영어, CINCLANTFLT)으로 처음 설치되었다.[1] 이 명칭은 1922년 함대 해체로 잠시 사라졌다가,[1]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을 앞두고 미국이 군사력을 증강하면서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으로 부활하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는 군 지휘 구조의 변화가 있었다. 1947년 미국 대서양 사령부(U.S. Atlantic Command, USACOM)가 창설되었고, 1952년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연합군 대서양 사령부(Allied Command Atlantic, ACLANT)가 설립되었다.[1] 이 시기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종종 이 두 사령부의 사령관직을 겸임하여, 한 명의 4성 제독이 세 개의 주요 사령부를 지휘하는 3중 지휘 체제를 이루기도 했다.[1]

그러나 1985년 골드워터-니콜스 국방 조직 개편법이 시행되면서 지휘 구조에 큰 변화가 생겼다. 이 법안은 지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 대서양 함대를 다른 두 사령부에서 분리하고 독자적인 4성 장군 사령관을 임명하도록 했다.[1] 이로써 3중 지휘 체제는 종료되었으며, 잠시 미국 대서양 사령부 부사령관을 겸임하기도 했으나 이 역시 1986년에 분리되었다.[1]

2001년 10월,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새로 창설된 미국 함대전력사령부(U.S. Fleet Forces Command, USFFC)의 사령관 직책을 겸임하게 되었다.[1] 2002년에는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총사령관'(Commander-in-Chief영어)이라는 명칭이 미국의 대통령에게만 사용하도록 제한되면서, 해군 함대 사령관들의 공식 명칭이 '사령관'(Commander영어)으로 변경되었다.[1] 이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으로 바뀌었다.[1]

마지막으로 2006년 5월,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미국 대서양 함대를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로 완전히 통합하도록 명령했다.[1] 이 조치로 기존의 이중 지휘 체제는 해소되었고, 직책 명칭은 현재의 '''미국 함대전력사령관'''으로 단일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1] 통합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는 2006년 10월 31일 항공모함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 함상에서 열렸다.[1]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06년 ~ 1922년)

미국 대서양 함대의 초대 총사령관(영어: Commander-in-Chief, U.S. Atlantic Fleet, 약칭 CINCLANTFLT)은 1906년 1월 1일 기함인 전함 USS 메인에서 지휘권을 인수한 로블리 D. 에반스 소장이었다.[1]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이라는 공식 명칭은 1906년부터 1923년까지 사용되었다.[1] 1922년 12월 미국 대서양 함대가 해체됨에 따라 총사령관 직위는 사실상 공석 상태가 되었으며(원문 표현상 '봉인'),[1] 명칭 자체는 1923년 미국 함대 재편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1] 폐지 이후에는 '정찰부대 사령관'(영어: Commander, Scouting Force)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1]

2. 2. 해체와 재창설 (1922년 ~ 1941년)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 직책은 1922년 12월 함대 해체와 함께 폐지되었으며,[1] 1923년 미국 함대 재편 과정에서는 정찰부대 사령관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1]

1941년 2월 1일, 일반 명령 143호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 직책이 다시 부활하였다.[1] 이 명령은 미국 함대를 미국 대서양 함대, 미국 태평양 함대, 미국 아시아 함대의 세 개 함대로 재편하고, 각 함대 사령관은 4성 장군이 맡도록 규정했다.[1] 이에 따라 어니스트 J. 킹 소장은 푸에르토리코 쿨레브라에 정박 중인 기함 USS 텍사스에서 1941년 2월 1일, 4성 장군으로 진급하며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으로 취임했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 1945년)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라는 명칭은 1923년 미국 함대의 재편 과정에서 폐지되고 정찰부대 사령관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나, 1941년 2월 1일 일반 명령 143호에 따라 다시 부활하였다.[1] 이 명령으로 미국 함대는 미국 대서양 함대, 미국 태평양 함대, 미국 아시아 함대의 세 개 함대로 재편되었으며, 각 함대의 사령관은 4성 장군이 맡게 되었다.[1] 이에 따라 1941년 2월 1일, 당시 소장이었던 어니스트 J. 킹은 푸에르토리코 쿨레브라에 정박 중이던 기함 USS 텍사스에서 2성 장군기를 내리고 4성 장군기를 게양하며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으로 취임하였다.[1]

2. 4. 냉전 시대 (1945년 ~ 1991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군은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검토했다.[1] 1947년 12월 1일, 의회가 승인한 군 개편 법안에 따라 미국 대서양 사령부가 통합 전투 사령부로 창설되었으며, 본부는 미국 대서양 함대와 같은 곳에 두었다.[1] 당시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었던 윌리엄 H.P. 블랜디 제독이 초대 미국 대서양 사령관을 겸임하게 되면서, 두 직책을 한 명의 제독이 맡는 이중 지휘 체제가 시작되었다.[1] 이 체제는 1985년까지 유지되었다.[1]

1950년대 초,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북대서양 지역의 연합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버지니아주 노퍽에 본부를 둔 새로운 주요 사령부인 연합군 대서양 사령부(SACLANT)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 이 사령부는 주로 해군 작전을 담당했기 때문에, 기존의 미국 대서양 사령부 및 미국 대서양 함대와 통합하여 운영하는 3중 지휘 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1] 1952년 4월 10일, 당시 미국 대서양 사령관 겸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었던 린드 D. 맥코믹 제독이 초대 연합군 최고 사령관 대서양(SACLANT) 직책을 추가로 맡으면서 이 3중 지휘 체제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1]

이 3중 지휘 구조는 1985년 골드워터-니콜스 국방 조직 개편법이 시행되면서 변화를 맞이했다.[1] 이 법안은 군 지휘 구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 대서양 함대를 다른 두 사령부(미국 대서양 사령부, 연합군 대서양 사령부)에서 분리하고, 독자적인 4성 장군 사령관을 임명하도록 규정했다.[1] 웨슬리 L. 맥도널드 제독은 이 세 사령부를 동시에 지휘한 마지막 인물이었으며, 1985년 10월 4일 미국 대서양 함대 지휘권을 칼라일 A. H. 트로스트 제독에게 이양하며 3중 지휘 체제는 막을 내렸다.[1]

골드워터-니콜스 법에 따라 새로운 역할이 부여되기도 했는데,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사령부의 부사령관을 겸임하게 되었다.[1] 그러나 이 겸직은 오래가지 못했다. 1986년 9월 16일, 미국 국방부 장관의 승인으로 미국 대서양 사령부 부사령관 직책이 별도로 분리되었고, 당시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었던 프랭크 B. 켈소 2세 제독은 부사령관 직책을 공군 소장 토마스 G. 달링에게 이양했다.[1]

2. 5. 냉전 이후와 해체 (1991년 ~ 2006년)

2007년 5월 17일, 핵 추진 항공모함 USS 엔터프라이즈에서 열린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지휘권 이양식에서 사령관 존 B. 네스만 제독이 하선하고 있다.


2001년 10월 1일,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당시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CINCLANTFLT)에게 미국 함대전력사령부(USFFC) 사령관 직책을 겸임하도록 지정했다.[1] 함대전력사령부는 대서양 함대와 태평양 함대 부대의 배치 및 훈련 주기에 필요한 인력, 장비, 훈련 등의 요구 사항과 정책을 통합적으로 조정하고 수립, 이행하는 역할을 맡았다.[1]

2002년 10월 24일,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은 '총사령관'(Commander-in-Chief)이라는 명칭은 미국의 대통령에게만 사용하도록 지시했다.[1] 이에 따라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해군 사령관들의 직책 명칭을 '사령관'(Commander)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했으며,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 역시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으로 명칭이 바뀌었다.[1] 이 조치는 미국 태평양 함대와 미국 유럽 해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1]

2006년 5월 23일,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미국 대서양 함대를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로 통합하도록 명령했다.[1] 이로써 기존의 이중 지휘 체제는 '''미국 함대전력사령관'''이라는 단일 직책으로 통합되었고,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라는 명칭은 사실상 폐지되었다. 이 통합을 공식화하는 행사가 2006년 10월 31일 항공모함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 함상에서 열렸으며, 이 자리에는 과거 대서양 함대 사령관을 역임했던 제독 37명 중 3명이 참석했다.[1]

3. 지휘 구조

미국 함대전력사령관의 지휘 구조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화를 겪으며 발전해왔다. 그 시작은 1906년 창설된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U.S. Atlantic Fleet영어) 직책으로, 이 명칭은 1922년 함대 해체와 함께 잠시 사라졌다가 1941년 부활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군 구조 개편 과정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1947년 통합 전투 사령부인 '''미국 대서양 사령부'''(U.S. Atlantic Command영어)가 창설되면서,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사령부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U.S. Atlantic Command영어)을 겸임하게 되었다.[1] 이어 1950년대 초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대서양 연합사령부 최고사령관'''(Supreme Allied Commander Atlantic|SACLANT영어) 직책을 신설하면서, 1952년부터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은 이 세 가지 주요 지휘관 직책을 동시에 맡는 이른바 '3중 겸임'(triple-hatted) 체제가 운영되었다.[1]

이러한 겸임 구조는 1985년 골드워터-니콜스 국방 조직 개편법 시행으로 큰 변화를 맞았다. 이 법에 따라 군 지휘 구조가 개편되면서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 직책은 다른 두 사령관 직책과 분리되었다.[1] 분리 직후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사령부 부사령관을 잠시 겸임했으나, 이마저도 1986년에 별도의 직책으로 분리되었다.[1]

2001년 10월, 당시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은 함대의 인력, 장비, 훈련 등에 대한 통합적인 조정을 위해 신설된 '''미국 함대전력사령부'''(U.S. Fleet Forces Command|USFFC영어) 사령관(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영어)을 겸임하도록 지정되었다.[1] 2002년 10월에는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총사령관'(Commander-in-Chief영어)이라는 명칭은 미국의 대통령에게만 사용하도록 제한되었고, 이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Commander, U.S. Atlantic Fleet영어)으로 변경되었다.[1]

최종적으로 2006년 5월, 해군작전부장의 명령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는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로 완전히 통합되었고, 이중 지휘 체제는 현재의 '''미국 함대전력사령관'''(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영어)으로 단일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1] 2014년부터는 미국 북부사령부 예하의 '''미국 해군북부사령관'''(Commander, U.S. Naval Forces Northern Command영어)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도 있다.[1]

사령관은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군 장관, 해군참모총장, 그리고 해당될 경우 합참의장의 자문을 받아 해군의 준장(후보) 이상 계급의 장교 중에서 지명하며, 미국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임명될 수 있다.[2] 사령관의 임기는 일반적으로 2년으로 제한된다.[3]

3. 1. 역대 사령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사령관 직책은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조직 개편을 거쳐왔다. 초기에는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of the Atlantic Fleet|CINCLATFLTeng)으로 1905년 신설되었으나 1922년 함대 해체로 잠시 폐지되었다. 1941년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으로 부활했으며, 2002년에는 미국의 대통령만이 '총사령관' 명칭을 사용하도록 조정됨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으로 변경되었다. 이 직책은 2006년 5월 22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한편, 2001년 10월 1일부터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United States Fleet Forces Command|USFFCeng) 사령관을 겸임하기 시작했으며, 2006년 5월 23일부로 미국 대서양 함대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로 통합되면서 현재의 '''미국 함대전력사령관'''(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COMUSFFCeng)으로 명칭이 단일화되었다.[1]

역대 사령관들은 시기에 따라 다른 주요 직책을 겸임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미국 대서양 사령부 총사령관(1947년~1985년), 대서양 연합사령부 최고사령관(Supreme Allied Commander Atlantic|SACLANTeng, 1952년~1985년), 미국 대서양 사령부 부사령관(1985년~1986년) 등이 있으며, 2014년부터는 미국 북부사령부 예하의 미국 해군북부사령관 직책도 겸임하고 있다.[1]

자세한 역대 사령관 목록과 각 시기별 상세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 미국 대서양 함대 (1906년 ~ 1922년, 1941년 ~ 2006년)



대서양 함대의 초대 사령관은 1906년 1월 1일 기함 전함 USS 메인에서 지휘권을 인수한 로블리 D. 에반스 소장이었다.[1]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U.S. Atlantic Fleet, CINCLANTFLT)이라는 명칭은 1906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1922년 함대 해체와 함께 폐지되었다.[1] 1923년 미국 함대의 재편 과정에서 해당 명칭은 폐지되었고, 정찰부대 사령관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1]

1941년 2월 1일, 일반 명령 143호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 명칭이 다시 부활하였고, 미국 함대는 미국 대서양 함대, 미국 태평양 함대, 미국 아시아 함대의 세 개 함대로 재편되었다.[1] 이 명령에 따라 각 함대는 4성 제독이 사령관을 맡게 되었다.[1] 이에 따라 어니스트 J. 킹 소장은 1941년 2월 1일, 푸에르토리코, 쿨레브라에 있는 기함 USS 텍사스에서 제독으로 진급하며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으로 취임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군의 조직 개편 과정에서 1947년 12월 1일, 미국 대서양 사령부(United States Atlantic Command, USACOM)라는 통합 전투 사령부가 설립되었고, 본부는 미국 대서양 함대와 같은 장소에 위치하게 되었다.[1] 당시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었던 윌리엄 H. P. 블랜디 제독은 초대 미국 대서양 사령관을 겸임하게 되었다.[1] 이 두 직책의 겸임은 1985년 골드워터-니콜스 국방 조직 개편법에 따라 미국 대서양 사령부가 미국 대서양 함대에서 분리될 때까지 유지되었다.[1]

2012년 9월 16일, 윌리엄 E. 고트니 제독(오른쪽)이 존 C. 하비 주니어 제독(가운데, 얼굴 가림)으로부터 미국 함대전력사령관 직을 넘겨받고 있다.


1950년대 초,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버지니아주 노퍽에 본부를 두는 새로운 주요 사령부인 대서양 연합사령부(Allied Command Atlantic, ACLANT)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 이 사령부는 북대서양의 연합 방어를 책임지는 해군 중심의 사령부였기 때문에, 미국 대서양 사령부 및 미국 대서양 함대와 함께 3중 지휘 체계를 구성하게 되었다.[1] 1952년 4월 10일, 당시 미국 대서양 사령관이자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었던 린드 D. 맥코믹 제독은 초대 대서양 연합군 최고사령관(Supreme Allied Commander Atlantic, SACLANT) 직함을 추가로 맡게 되었다.[1] 이 3중 지휘 체제 역시 1985년 골드워터-니콜스 법 시행으로 미국 대서양 함대가 분리될 때까지 유지되었다.[1] 웨슬리 L. 맥도널드 제독은 세 조직을 동시에 지휘한 마지막 제독이었으며, 1985년 10월 4일 미국 대서양 함대 지휘권을 칼라일 A. H. 트로스트 제독에게 넘겨주었다.[1]

골드워터-니콜스 법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사령부 부사령관을 겸임하게 되었으나, 이 역할은 1986년까지 지속되었다.[1]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이 미국 대서양 사령부 부사령관을 위한 별도 직위를 승인함에 따라, 1986년 9월 16일 프랭크 B. 켈소 2세 제독은 부사령관 직을 공군 소장 토마스 G. 달링에게 넘겨주었다.[1]

2021년 12월 7일,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지휘권 이양식에서 참석자들이 집단 경례를 하고 있다.


2001년 10월 1일, 해군작전부장은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이 미국 함대전력사령부(United States Fleet Forces Command, USFFC) 사령관을 겸임하도록 지정했다.[1]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는 대서양 및 태평양 함대 부대의 인력, 장비, 훈련에 대한 통합 요구 사항 및 정책의 조정, 수립, 이행을 담당하게 되었다.[1]

2002년 10월 24일,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부 장관은 '총사령관'(Commander-in-Chief)이라는 명칭을 미국의 대통령에게만 사용하도록 지시했다.[1] 이에 따라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관련 직책의 명칭을 '사령관'(Commander)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했으며,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06년 5월 23일,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미국 대서양 함대를 미국 함대전력사령부에 통합하고, 이중 지휘 체제를 현재의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사령관'''으로 단일화하도록 명령했다.[1] 이로써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 직책은 2006년 5월 22일부로 폐지되었다. 2006년 10월 31일, 항공모함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에서 미국 대서양 함대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의 통합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1]

=== 역대 사령관 ===

3. 1. 2.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2006년 ~ 현재)

2006년 5월 23일, 해군 작전 참모총장의 명령으로 미국 대서양 함대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로 통합되면서, 이중 지휘 체제가 '''미국 함대전력사령관'''(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eng)으로 단일화되었다.[1] 같은 해 10월 31일에는 항공모함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에서 공식 전환 기념 행사가 열렸다.[1]

미국 함대전력사령관 (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eng)
#성명계급사진취임일이임일비고
28John B. Nathmaneng
존 B. 나스먼
----2006년 5월 22일2007년 5월 16일
29Gary Rougheadeng
개리 로그해드
----2007년 5월 17일2007년 9월 28일제29대 해군작전부장
30Jonathan W. Greenerteng
조나단 W. 그린어트
--
2007년 9월 29일2009년 7월 23일제30대 해군작전부장
31John C. Harvey, Jr.eng
존 C. 하비 Jr.
--
2009년 7월 24일2012년 9월 14일
32William E. Gortneyeng
윌리엄 E. 고트니
--
2012년 9월 14일2014년 12월
33Philip S. Davidsoneng
필립 S. 데이비드슨
--
2014년 12월 19일2018년 5월 4일초대 미국 해군북부사령부, 사령관
34Christopher Gradyeng
크리스토퍼 그래디
--
2018년 5월 4일임기중2대 미국 해군북부사령부, 사령관



3. 2. 기타 지휘 직책

미국 함대전력사령관은 역사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주요 지휘 직책을 겸임하거나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다.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 (Commander, U.S. Atlantic Fleet, CINCLANTFLT / COMLANTFLT) 직책은 1906년 1월 1일 기함 USS 메인에서 지휘권을 인수한 로블리 D. 에반스 소장이 초대 사령관으로 취임하며 시작되었다.[1] 이 명칭은 1923년까지 사용되다가 미국 함대 재편 과정에서 잠시 폐지되었으나, 1941년 2월 1일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 (Commander-in-Chief, U.S. Atlantic Fleet, CINCLANTFLT)으로 부활하였다.[1] 당시 어니스트 J. 킹 소장은 푸에르토리코, 쿨레브라에 있는 기함 USS 텍사스에서 2성 기를 내리고 4성 기를 게양하며 4성 제독으로 진급하며 이 직책을 맡았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 12월 1일 통합 전투 사령부인 '''미국 대서양 사령부''' (U.S. Atlantic Command, USACOM)가 창설되면서,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대서양 사령관(Commander-in-Chief, U.S. Atlantic Command, CINCUSACOM)을 겸임하게 되었다. 초대 겸임 사령관은 윌리엄 H.P. 블랜디 제독이었다.[1]

1950년대 초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연합군 최고 사령관 대서양''' (Supreme Allied Commander Atlantic, SACLANT) 직책을 신설하였고, 1952년 4월 10일부터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 이 직책까지 맡아 3중 지휘 체제를 이루었다. 린드 D. 맥코믹 제독이 첫 3중 겸임 사령관이었다.[1]

이러한 겸임 구조는 1985년 골드워터-니콜스 국방 조직 개편법 시행으로 변화를 맞이했다. 1985년 10월 4일, 대서양 함대 사령관 직책이 분리되었고, 웨슬리 L. 맥도널드 제독을 마지막으로 3중 겸임 시대가 끝났다.[1] 칼라일 A. H. 트로스트 제독이 분리된 대서양 함대 사령관으로 취임했다.[1]

골드워터-니콜스 법에 따라 대서양 함대 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사령부 부사령관''' 직을 겸임하게 되었으나, 이 역시 1986년 9월 16일 분리되어 프랭크 B. 켈소 2세 제독이 공군 소장 토마스 G. 달링에게 직책을 이양했다.[1]

2001년 10월 1일, 당시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CINCLANTFLT)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사령관''' (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 COMUSFFC) 직책을 겸임하도록 지정되었다. 이는 함대의 인력, 장비, 훈련 등에 대한 통합적인 조정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1]

2002년 10월 24일,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명칭 사용이 미국 대통령에게만 부여되도록 제한되면서, '미국 대서양 함대, 총사령관'은 '''미국 대서양 함대, 사령관''' (Commander, U.S. Atlantic Fleet, COMLANTFLT)으로 변경되었다.[1]

최종적으로 2006년 5월 23일, 해군 작전 참모총장의 명령에 따라 미국 대서양 함대는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로 완전히 통합되었고, 이중 지휘 체제는 현재의 '''미국 함대전력사령관''' (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으로 단일화되었다.[1] 공식적인 전환 행사는 2006년 10월 31일 항공모함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 함상에서 열렸다.[1]

또한, 미국 함대전력사령관은 2014년 12월 19일 재정된 '''미국 해군북부사령관''' (Commander, U.S. Naval Forces Northern Command)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U.S. Fleet Forces Command http://www.public.na[...] United States Navy 2009-10-02
[2] 법률 10 USC 601. Positions of importance and responsibility: generals and lieutenant generals; admirals and vice admirals https://www.law.corn[...]
[3] 웹사이트 Chief of Naval Operations. Navy Military Personnel Assignment Policy, 2006, pg 6 http://doni.daps.dla[...] 2013-09-19
[4] 웹사이트 Previous Commanders - U.S. Fleet Forces Command https://www.usff.nav[...] 2021-12-19
[5] 문서
[6] 웹사이트 Fleet Forces Deputy CO to Temporarily Take Command, Change of Command Cancelled https://news.usni.or[...] 2014-11-20
[7] 웹인용 Commander, U.S. Fleet Forces Command History http://www.public.na[...] United States Navy 2019-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