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래학자는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학제적,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구적 문제에 대한 가능한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기회를 파악하거나 위험에 대비하는 활동을 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1842년 '미래학'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으며, 1940년대에는 오시프 K. 플레히타임이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분석하는 의미로 이 용어를 만들었다. 랜드 연구소와 SRI 인터내셔널과 같은 연구소의 등장과 베르트랑 드 주브넬, 데니스 가보어, 앨빈 토플러 등의 저술과 강의를 통해 현대적 미래학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미래학은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하며, 기술, 사회, 환경 등 여러 분야의 트렌드를 연구하고 예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래학자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존재 위험, 인간 향상 윤리, 시뮬레이션 가설, 초지능 위험성 등 연구와 저서 《초지능》을 통해 인공지능 발전과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며 트랜스휴머니즘 및 미래학 분야 주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 미래학자 - 한스 모라벡
한스 모라벡은 로봇 공학, 인공지능, 미래 기술 분야에 기여한 학자이며, 모라벡의 역설을 제안하고, 무어의 법칙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공지능과 로봇 발전에 대한 예측을 제시했으며, 저서 《마음의 아이들》에서 로봇의 진화와 인공 종의 등장을 예견했다. - 직업 - 형사
형사는 범죄 해결을 위해 단서와 기록을 조사 및 평가하며, 경찰 소속으로 범죄 수사, 범인 검거, 증거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일부는 사립탐정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 직업 - 법관
법관은 법원에 소속되어 소송 사건을 심판하고 당사자 간의 갈등을 법적으로 해결하는 헌법기관인 공무원이며, 대통령이 임명하고 대법관회의의 동의를 거쳐 대법원장이 임명하며, 법 적용 과정에서 법 해석을 통해 법의 흠결을 보충하고 법을 창조하기도 한다.
| 미래학자 | |
|---|---|
| 개요 | |
| 직업 종류 | 사회 과학자 |
| 분야 | |
| 연구 분야 | 미래 예측, 사회 동향 분석 |
| 관련 용어 | |
| 관련 용어 | 퓨처리스트 (futurist) 미래학 연구 (futures studies) 미래학 (futurology) 미래 지향적 (futuristic) 예측 (foresight) |
2. 용어의 정의
1842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미래학’이란 단어가 최초로 쓰였다. 이때는 당시의 기독교적 종말론의 추세를 의미했다.[10] 1900년에서 1930년 사이에는 미래주의가 이탈리아와 러시아에서 새로운 예술의 종류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과거를 부정하고 속도, 기술, 그리고 급격한 변화를 추종하였다. 그러나 동시대의 줄 베르느나 에드워드 밸라미, H. G. 웰즈 같은 사람들은 이러한 미래주의와는 관련이 없었다. 그들은 선견지명을 가진 철학자나 작가로 여겨졌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따르면 '미래학'이라는 단어는 1842년에 처음 사용되었는데, 당시에는 기독교적 종말론의 경향을 의미했다.[10] 1900년부터 1930년 사이에는 미래주의라는 새로운 예술 사조가 이탈리아와 러시아에서 나타났다. 이들은 과거를 부정하고 속도, 기술, 그리고 급격한 변화를 추구했다. 그러나 쥘 베른, 에드워드 벨라미, H. G. 웰스와 같은 동시대 인물들은 이러한 미래주의와는 관련이 없었으며, 선견지명을 가진 철학자나 작가로 여겨졌다.
1940년경 독일의 교수인 오십 K. 프래흐테임이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분석하는 의미의 미래학이라는 말을 만들어 내었다. 이는 또한 어떤 미래의 과학적 가능성에 대한 학문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같은 시기 랜드(RAND)나 SRI같은 미래학을 연구하는 전문 연구집단이 등장하였으며, 이들은 장기적 관점에서의 계획과 시스템적인 트랜드 분석, 시나리오 개발, 그리고 전망을 연구하였다. 이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정부와 군과의 계약에 의해 시작되었고, 1950년대부터는 민간 분야의 기업과 연구기관들을 위해 활동하였다. 이러한 194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의 기간에 현대적 관점의 미래 연구 분야의 관념적, 방법론적 연구의 토대가 만들어졌다.
버트란드 드 주베넬의 1963년 저서 ''추측의 기술''과 데니스 가보의 1964년 저서 ''미래를 발명하기''는 이 시기의 중요한 저작물들이며, 1966년에는 앨빈 토플러에 의해 더 뉴 스쿨에서 미래학에 대한 강의가 미국 대학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미래학자는 작가, 컨설턴트, 조직의 지도자 같은 사람들이 다학제적으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어떠한 다양한 범지구적 문제에 관련하여 가능한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기회를 파악하거나, 닥칠지 모르는 위험에 대비하고자 하는 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많은 미래학자가 이를 원래부터 전공한 것은 아니며 각자의 원래 배경은 다양한 편이다. 기술자, 작가, 예술가 등 여러 학문적, 실용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각자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미래에 대한 연구를 한다. 이때문에 꽤 많은 이론들이 탄탄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3. 미래학의 역사
이 분야에는 세계미래학회(World Future Society), 전문 미래학자 협회(Association of Professional Futurists, APF), 세계미래연구연맹(World Futures Studies Federation, WFSF) 등 여러 전문 기관이 있다.
3. 1. 초기 미래학 (1940년대 ~ 1960년대)
1940년대경 독일의 교수인 오시프 K. 플레히타임은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분석하는 의미의 '미래학'이라는 용어를 제안했다. 이는 또한 미래의 과학적 가능성에 대한 학문을 의미하는 것이었다.[2]
1940년대에는 랜드 연구소(RAND)와 SRI 인터내셔널(SRI) 같은 전문 연구기관들이 미래학 연구를 시작했다. 이들은 장기 계획, 체계적인 트렌드 분석, 시나리오 개발, 그리고 미래 전망을 연구했다. 이 연구기관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정부 및 군과의 계약을 통해 시작되었고, 1950년대부터는 민간 기업과 연구기관들을 위한 활동을 하였다.[3] 1940년대에서 1960년대는 현대적 관점의 미래 연구 분야의 개념적, 방법론적 토대가 만들어진 시기이다.
베르트랑 드 주브넬의 1963년 저서 《추측의 기술》과 데니스 가보어의 1964년 저서 《미래를 발명하기》는 이 시기의 중요한 저작물로 평가받는다.[3] 1966년에는 앨빈 토플러가 뉴스쿨에서 미래학에 대한 강의를 미국 대학에서 처음으로 시작했다.[3]
3. 2. 현대 미래학 (1970년대 이후)
오늘날의 관점에서 미래학자는 작가, 컨설턴트, 조직의 지도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다학제적이고 시스템적인 사고를 통해 범 지구적 문제에 관련하여 가능한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기회를 파악하며, 닥칠지 모르는 위험에 대비하고자 하는 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10]
많은 미래학자가 처음부터 미래학을 전공한 것은 아니며, 각자의 원래 배경은 기술자, 작가, 예술가 등 다양하다. 이들은 여러 학문적, 실용적 배경을 바탕으로 각자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미래에 대한 연구를 한다. 이 때문에 꽤 많은 이론들이 탄탄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미래학자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작가, 컨설턴트, 사상가, 조직 리더 등 미래를 이해하려는 사람들을 지칭하며, 이들은 다양한 글로벌 트렌드, 가능한 시나리오, 신흥 시장 기회 및 위험 관리와 같은 문제에 대해 사적 및 공적 조직에 조언하기 위해 융합 학문 및 시스템 사고에 참여한다.[10] 미래학자는 미래주의 미술 운동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H. G. 웰스, 쥘 베른, 올더스 헉슬리와 같은 선구적인 작가들은 당시 미래학자로 불리지 않았다. 현대적 의미의 미래학이라는 용어는 1940년대 중반에 독일의 오시프 K. 플레히타임 교수가 처음으로 만들었으며, 그는 새로운 확률 과학을 제안했다. 플레히타임은 체계적인 예측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망한 변화 과정을 드러내고 그 진전을 기록하는 데 그치더라도 여전히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지닐 것이라고 주장했다.[2]
1940년대 중반에 랜드 연구소(RAND) 및 SRI 인터내셔널(SRI International)과 같은 최초의 전문 "미래학" 컨설팅 기관이 제2차 세계 대전 군 및 정부 계약을 시작으로, 1950년대부터는 민간 기관 및 기업을 위해 장기 계획, 체계적인 트렌드 관찰, 시나리오 개발, 비전 수립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4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의 기간은 현대 미래학 분야의 개념적,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베르트랑 드 주브넬의 1963년 저서 《추측의 기술》과 데니스 가보어의 1964년 저서 《미래의 발명》은 초기 주요 저서로 여겨지며, 1966년 앨빈 토플러가 뉴스쿨에서 미래를 주제로 한 최초의 미국 대학 강좌를 개설했다.[3]
4. 미래학의 방법론
미래학은 "가능한, 개연성 있는, 선호되는" 미래와 "예측 불가능한 변수"를 다루는 학문이다. 통신 비용 하락, 인터넷 성장 등 유력한 사건조차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래 분석의 핵심은 불확실성과 위험 관리에 있다.

모든 미래학자가 동일한 방법론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 종교적 미래학자, 점성가 등은 학계에서 인정하는 미래학의 정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미래를 예측한다.[1]
미래학자로 인정받는 여러 저자들은 기술 분야의 트렌드를 연구하고 예측한다. 존 맥헤일과 같이 학술 기관에 소속되거나, 앨빈 토플러, 존 네이스비트처럼 컨설턴트나 강사로 활동하기도 한다.[2] 아서 C. 클라크와 같은 일부 SF 작가도 미래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어슐러 K. 르 귄은 소설가와 미래학자를 구분하며, 소설가의 일은 "거짓말"이라고 말했다.[3]
2001년 108명의 미래학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통된 가정을 발견했다.[4]
| 번호 | 내용 |
|---|---|
| 1 | 우리는 역사적 변혁의 한가운데에 있으며, 현재는 단순한 정상적인 역사의 일부가 아니다. |
| 2 | 미래 연구의 핵심은 여러 관점을 가지는 것이며, 비관습적인 사고, 내부 비판, 문화 간 비교를 포함한다. |
| 3 | 미래학자들은 자신들을 가치 중립적인 예측가로 보지 않고, 여러 가능성을 인식한다. |
| 4 | 미래학자들은 각 사람의 미래를 해방시키고, 미래에 대한 공공 소유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
| 5 | 미래 연구의 역할은 공공 정책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믿으며, 의식적으로 장기적인 관점을 고려한다. |
| 6 | 대안적인 미래를 창조하고 공공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일부는 내부 변혁이다. |
| 7 | 복잡성을 심각하게 고려하는 초학제적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진화적 측면에서 시스템 사고도 중요하다. |
| 8 | 미래학자들은 변화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으며, 세계 변혁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자 한다. |
| 9 | 그들은 "스트레인지 어트랙터"로서 더 나은 미래를 희망한다. |
| 10 | 미래학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
| 11 | 지속 가능한 미래는 미래의 선택지를 줄이지 않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며, 환경 보호 지속 가능성은 기술, 정신, 그리고 포스트 구조적 이상과 조화를 이룬다. |
5. 비판과 한계
미래학은 "가능한, 개연성 있는, 선호되는" 미래와 예측 불가능한 변수를 다루며, 불확실성과 위험 관리가 핵심이다. 모든 미래학자가 일반적으로 정의된 미래학을 실천하는 것은 아니며, 종교적 미래학자, 점성가 등은 학계의 미래학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1]
여러 저자들이 미래학자로 인정받으며, 기술 분야 트렌드를 연구하고 예측한다. 일부 미래학자는 학술 기관에 소속되거나, 컨설턴트 그룹을 시작하거나, 강사로 활동한다. 아서 C. 클라크와 같은 일부 SF 작가도 미래학자로 알려져 있다.[1] 어슐러 K. 르 귄은 소설가와 미래학자를 구별하며, 소설가의 일은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1]
2001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래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가정을 공유한다.[1]
| 번호 | 내용 |
|---|---|
| 1 | 역사적 변혁의 중심에 있으며, 현재는 정상적인 역사의 일부가 아니다. |
| 2 | 여러 관점, 비관습적 사고, 내부 비판, 문화 간 비교를 중시한다. |
| 3 | 대안을 고려하며, 가치 중립적 예측가가 아닌 여러 가능성을 인식한다. |
| 4 | 참여적 미래를 추구하며, 각 사람의 미래를 해방하고 미래에 대한 공공 소유권을 강화한다. |
| 5 | 장기적인 정책 변혁을 추구하며, 미래 연구의 역할이 공공 정책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
| 6 | 대안적 미래 창조와 공공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일부는 내부 변혁이며, 구조적/개인적 요인을 동등하게 중요하게 간주한다. |
| 7 | 복잡성을 고려하며, 초학제적 접근 방식과 시스템 사고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
| 8 | 변화에 동기 부여를 받으며, 세계 변혁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자 한다. |
| 9 | 더 나은 미래를 희망하며, 실용주의자라고 믿는다. |
| 10 | 지속 가능한 미래는 미래의 선택지를 줄이지 않는 결정이며, 기술, 정신, 포스트 구조적 이상과 조화를 이룬다고 본다. |
6. 주요 미래학자
- 토마스 프레이
- 패트릭 딕슨[11]
- 자크 프레스코
- 벅민스터 퓰러
- 아서 하킨스[12]
- 스티븐 호킹[13]
- 미치오 카쿠
- 쏘릴 크리스튼슨
- 레이 커즈와일
- 데이비드 시어스[14]
- 존 제르잔
- 앨빈 토플러[15]
- 마르티스 호르크스
- 니콜라스 카
- 허먼 칸 - 박정희 대통령의 미래학 교사
- 짐 데이터
- 제러미 리프킨
- 재러드 다이아몬드
- 존 맥헤일 - 저서 《미래의 미래》를 저술하고 1968년 뉴욕 주립 대학교에 있는 싱크탱크인 통합 연구 센터의 소장이었다.
- 존 네이스비트
- 프랭크 페더
- 아서 C. 클라크
- 폴 사포
참조
[1]
논문
The Namesake: Futures; futures studies; futurology; futuristic; foresight—What's in a name?
https://www.scienced[...]
2021-05-22
[2]
서적
Futurology-The New Science of Probability?
http://www.ghandchi.[...]
1972
[3]
서적
Foundations of Futures Studies: Volume 1
Transaction Publishers
1997
[4]
웹사이트
The Future: An Owner's Manual
http://www.wfs.org/o[...]
[5]
뉴스
Magda Cordell McHale, 86, artist and futurist
https://www.nytimes.[...]
2008-03-17
[6]
웹사이트
Sir Arthur C. Clarke
http://www.arthurccl[...]
2016-11-06
[7]
간행물
The Views of Futurists
Foresight International
2001
[8]
웹사이트
OMD, Brighton Dome, review
https://www.telegrap[...]
2017-04-06
[9]
웹사이트
The Human League: Credo – review
https://www.theguard[...]
2017-04-06
[10]
서적
Dictionary of Biblical Prophecy and End Times
http://books.google.[...]
[11]
웹사이트
Patrick Dixon official site: 11 million different visitors - Futurist 180 videos watched by 700,000
http://www.globalcha[...]
[12]
웹인용
Harkins
http://education.umn[...]
2004-10-30
[13]
뉴스
Alter our DNA or robots will take over, warns Hawking
http://observer.guar[...]
2001-09-02
[14]
웹사이트
myfuturist.com
http://www.myfuturis[...]
[15]
웹사이트
엘빈 토플러 ::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