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송(米松)은 높이 20~100m, 지름 2~5m까지 자라는 대형 상록수로, 북미 태평양 연안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데이비드 더글러스를 기려 '더글러스 전나무'라고도 불리며,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와 로키산맥 더글러스 전나무 두 변종으로 나뉜다. 잎은 선형이며, 암구과는 독특한 삼열 포린을 가진다. 목재는 건축 자재, 땔감, 관상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활용된다. 2011년 미국 목재 수출의 34.2%를 차지할 정도로 경제적 가치가 높다. 대한민국에서도 건축 자재로 널리 사용되며, 일본을 통해 수입된다.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최소관심종으로 평가되었으나, 현재 정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나무 - 설탕단풍
    설탕단풍은 단풍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수액에서 설탕을 채취할 수 있으며, 가을에는 붉은색 또는 노란색으로 단풍이 든다.
  • 북아메리카의 나무 - 네군도단풍
    네군도단풍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빠르게 성장하고 수명이 짧은 단풍나무로, 겹잎, 노란색-녹색 꽃, 날개 달린 열매가 특징이며 조경수, 침입종, 목재, 아메리카 원주민의 활용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 아시아의 나무 - 사과나무
    사과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장미과 낙엽성 활엽 소교목으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며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달콤하고 새콤한 맛의 사과 열매를 맺으며 목재로도 활용된다.
  • 아시아의 나무 - 호랑가시나무
    날카로운 가시 잎이 특징인 호랑가시나무는 중국과 한국 원산의 상록 관목으로, 관상용, 약용으로 쓰이며 붉은 열매는 크리스마스 장식에 활용되고 한국에는 천연기념물 및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된 개체들이 있다.
  • 소나무과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 소나무과 - 일본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는 일본 특산종으로, 가을에 단풍이 들며 방풍림, 목재 등으로 이용되고, 1960~70년대 한국에서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졌다.
미송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Pseudotsuga menziesii
명명자Mirbel (Franco)
동의어Abies menziesii
Abies mucronata
Abies taxifolia
Pinus douglasii
Pinus taxifolia
Pseudotsuga douglasii
Pseudotsuga mucronata
Pseudotsuga taxifolia
Pseudotsuga taxifolia var. viridis
상태관심 필요 (LC)
분류 체계신에글러 체계
식물계
구과식물문
소나무강
소나무목
소나무과
토가사와라속
베이마쓰
더글러스 전나무
더글러스 전나무
이미지 2
더글러스 전나무 분포도
초록색: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 파란색: 로키산맥 더글러스 전나무(Pseudotsuga menziesii var. glauca)
다른 이름미국토가사와라
더글러스퍼
오리건파인
더글러스모미
언어별 이름
영어 이름Douglas Fir, Oregon Pine
일본어 이름베이마쓰, 미국토가사와라, 더글러스퍼, 오리건파인, 더글러스모미
한국어 이름미송
식물 정보
설명더글러스 전나무는 북미 서부 지역의 중요한 상업적 목재 수종이다.
참고자료
CalfloraPseudotsuga menziesii
eFlorasPseudotsuga menziesii (Barney Lipscomb)
NWFDouglas Fir
Calflora(변종)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
Forensic procedures for boundary and title investigationDonald A. Wilson
PLANTSPseudotsuga menziesii
YListPseudotsuga menziesii (Mirbel) Franco 베이마쓰(표준)
IUCN Red ListPseudotsuga menziesii (Conifer Specialist Group 1998)
IUCNPseudotsuga menziesii
朝日百科 植物の世界清水建美 (1997) トガ사하라 『아사히 백과 식물 세계 제11권』 246 - 247, 아사히 신문사

2. 특징

더글러스 전나무는 중간 크기에서 매우 큰 상록수로, 높이는 20m에서 100m 사이이다.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는 100m에 가까운 높이에 도달하기도 한다.[10] 지름은 일반적으로 2m 정도이지만,[11] 5m에 달하는 나무도 있다.[12]

은 편평하고 부드러우며, 길이는 2cm에서 4cm 사이인 선형 바늘 모양으로 가지를 완전히 둘러싼다. 어린 나무의 수피는 얇고 매끄러우며 회색이지만, 성숙한 나무는 매우 두껍고 코르크질이며 깊은 수직 균열이 생긴다.

구과는 아래로 처지는 형태이며, 각 비늘 위로 튀어나온 삼열(세 갈래로 갈라진) 포린이 특징이다.

수명은 일반적으로 500년 이상이며, 가장 오래된 표본은 1,300년 이상 생존한다.[13]

3. 분류

일반적인 이름은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이자 수집가였던 데이비드 더글러스를 기리고 있으며, 그가 이 종의 놀라운 특징과 잠재력을 최초로 보고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이름은 전나무속의 구성원이 아니므로, 즉 진정한 전나무가 아니므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종 '''더글러스 전나무'''라고 표기한다 (이 이름은 전체적으로 가짜전나무속 속에도 사용된다).[23][14]

종소명 ''menziesii''는 데이비드 더글러스의 경쟁자였던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자연주의자인 아치볼드 멘지스를 기념하여 붙여졌다. 멘지스는 1791년 밴쿠버 섬에서 이 나무를 최초로 기록했다. 구어체로는 이 종을 '''더글러스 퍼'''[8] 또는 '''더글러스 소나무'''[8]라고도 부르지만 (후자의 일반적인 이름은 ''더글러스소나무''를 가리킬 수도 있다).[24] 이 나무의 다른 이름으로는 '''오레곤 소나무''',[7] '''브리티시 컬럼비아 소나무''',[8] '''퓨젓 사운드 소나무''',[8] '''더글러스 가문비나무''',[8] '''가짜 솔송나무''',[7] '''붉은 전나무''',[7] 또는 '''붉은 소나무'''[7] (하지만 붉은 소나무는 다른 나무 종인 ''소나무속''을, 붉은 전나무는 ''노블전나무''를 가리킬 수도 있다) 등이 있다.[25]

해안 살리시 부족의 하나인 할코멜렘어로 사용되는 이 나무의 이름은 lá:yelhp|라옐프hur이다.[26] 루슛시드어로는 čəbidac|츠비닥hur라고 한다.[27]

4. 분포

미송은 크게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와 로키산맥 더글러스 전나무(*Pseudotsuga menziesii* var. *glauca*)의 두 변종으로 나뉜다.[28][29]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서중부에서 캘리포니아주 중부까지 해안 지역에서 자란다. 오레곤주와 워싱턴주에서는 캐스케이드 산맥 동쪽 가장자리에서 태평양 연안 산맥과 태평양까지 넓게 분포한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클라마스 산맥과 캘리포니아 연안 산맥에 분포하며, 남쪽으로는 산타 루시아 산맥, 산타바바라 카운티의 푸리시마 언덕까지 작은 군락이 있다.[28][29] 시에라네바다 산맥에서는 요세미티 계곡 지역까지 남쪽으로 분포한다. 해안가 해발 0m부터 1500m 이상의 고도까지, 내륙에서는 경우에 따라 최대 2100m까지 분포한다.[14]

로키산맥 더글러스 전나무는 워싱턴주 북부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남부의 캐스케이드 산맥에서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와 섞여 자라며, 거기서부터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중부까지 북쪽으로, 멕시코 국경까지 남동쪽으로 분포하며, 위도가 감소하고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불연속적으로 분포한다.

미송은 유럽,[33] 아르헨티나, 칠레(피노 오레곤이라고 부름) 전역에 귀화되었다. 뉴질랜드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되어 야생 침엽수로 분류되며 방제 조치의 대상이지만, 방사타 소나무와 함께 가장 일반적인 목재로 사용되는 나무 중 하나이며, 전국적으로 대규모 농장이 조성되어 있다.[34][35]

5. 생태

미송은 중간 크기에서 매우 큰 상록수로,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의 경우 키가 100m에 달하기도 한다.[10] 일반적으로 지름은 약 2.44m 정도이지만,[11] 5m에 달하는 나무도 있다.[12]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는 보통 500년 이상 살며, 가장 오래된 표본은 1,300년 이상 생존한다.[13] 록키산맥 더글러스 전나무[14]는 수명이 짧아 대개 400년을 넘지 못한다.[15]

은 편평하고 부드러운 선형 바늘 모양으로 길이가 2cm 에서 4cm이며, 다발이 아닌 하나씩 난다. 잎은 가지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어 종을 구별하는 데 유용하다. 울창한 숲에서는 아래쪽 가지를 잃어 잎이 지면에서 약 33.53m만큼 높은 곳에서 시작될 수 있지만,[18] 빛이 더 많은 환경에서는 가지가 지면에 더 가까이 있을 수 있다.

어린 나무의 수피는 얇고 매끄럽고 회색이며 수많은 수지 물집이 있다. 보통 80년이 넘는 성숙한 나무에서는 약 35.56cm 두께의 매우 두껍고 코르크질인 수피를 가지며, 나무가 성장하면서 생기는 독특하고 깊은 수직 균열이 있다. 성숙한 수피는 일부 갈색을 띠는 반면, 코르크 같은 질감을 가진 밝은 색을 띠기도 하며 여러 층으로 발달한다.[19] 이 두꺼운 수피 덕분에 더글러스 전나무는 태평양 북서부에서 가장 내화성이 강한 나무 중 하나가 되었다.[20]

구과는 진짜 전나무와 달리 비늘이 지속되는 아래로 처지는 형태이다. 각 비늘 위로 현저하게 돌출된 독특한 긴 삼열(세 갈래로 갈라진) 포린이 있는데, 이는 두 발과 꼬리를 가진 쥐의 뒷부분과 비슷하다고 한다.[21]

5. 1. 동식물과의 관계

더글러스 다람쥐는 다량의 미송 구과를 수확하여 저장하며, 성숙한 꽃가루 구과, 속껍질, 어린 가지, 그리고 새싹이 돋는 어린 잎도 먹는다.[13] 미송 씨앗은 두더지, 쥐, 다람쥐와 같은 작은 포유류에게 매우 중요한 먹이원이며, 매년 생산되는 씨앗의 약 65%를 소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3]

성숙하거나 “노령림”인 미송 숲은 붉은나무쥐와 점박이올빼미의 주요 서식지이다. 점박이 올빼미 번식쌍의 행동권은 최소 400ha의 노령림이 필요하다.[13] 미송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미성숙 숲에서도 붉은나무쥐를 발견할 수 있다. 붉은나무쥐는 거의 나무의 잎에서만 둥지를 틀며, 일반적으로 지상 2m에서 50m 위에 둥지를 짓고, 주로 미송 잎을 먹는다.[13]

미송 잎은 일반적으로 우제류에게는 품질이 낮은 가지 뜯어먹기 먹이지만, 다른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는 중요한 먹이가 될 수 있으며, 검은꼬리사슴은 봄과 여름에 새로 돋는 묘목과 어린나무의 잎을 먹는다. 뇌조의 봄철 먹이는 미송 잎이 주를 이룬다.[13]

미송 잎은 진딧물과인 털진딧물 ''Adelges cooleyi''의 먹이이기도 하다. 이 0.5mm 크기의 수액을 빨아먹는 곤충은 자신이 생성하는 작은 흰색 “솜털 반점”의 보호 왁스 때문에 잎의 아랫면에서 눈에 잘 띈다. 종종 다량으로 존재하며, 피해로 인해 잎이 누렇게 변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나무가 부분적으로 잎을 잃을 수 있지만, 그 정도로 심각한 피해는 드물다. 나비목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Pseudotsuga''를 먹는 종 외에도, 작은밤나방과의 ''Chionodes abella''와 ''C. periculella'', 그리고 구과의 인편을 먹는 잎말이나방과의 ''Cydia illutana''가 미송(''P. menziesii'')에서 특히 기록되었다.

미송 속껍질은 북아메리카 포큐파인의 주요 겨울 먹이이다.[13]

기생식물 중 하나인 더글러스전나무 왜성겨우살이 (''Arceuthobium douglasii'')는 미송(''P. menziesii'')에 기생한다.[19] 지의류의 일종인 딱지지의류와 이끼류와 같은 착생식물은 미송에서 흔히 볼 수 있다.[19]

5. 2. 질병 및 해충

층상 뿌리썩음병과 끈뿌리썩음병(Armillaria mellea) 같은 균류 질병은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미송 단일 재배가 우세한 조림지에서는 광범위한 나무에 극심한 피해를 줄 수 있다.[13] 서양노간주와 긴잎개암나무(''Corylus cornuta'')[38] 같이 저항성이 있거나 기주가 아닌 수종을 섞어 심으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미송에 대한 다른 위협으로는 붉은 고리 썩음병(''Phellinus pini'')과 더글러스 전나무 좀벌레(''Dendroctonus pseudotsugae'')가 있다.[13]

6. 이용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은 나무껍질, 수지, 잎을 사용하여 여러 질병에 대한 약초 치료제를 만들었다.[39] 하와이 원주민들은 해안가에 표류한 더글러스 전나무 통나무로 ''waʻa kaulua''(이중 선체 카누)를 만들었다.[40] 이 나무는 특히 해안 지역에서 재배된 나무가 땔나무로 역사적으로 선호되었다.[14] 초기 정착민들은 바닥, 들보, 정교한 조각 등 모든 형태의 건축에 더글러스 전나무를 사용했다.

더글러스 전나무는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목재 생산 종 중 하나이며, 북미에서 다른 어떤 종보다 많은 목재를 생산한다. 2011년 미국 목재 수출의 34.2%(총 )를 차지했다.[41][13] 목재는 강도, 경도, 내구성이 뛰어나 베니어, 마루, 목구조, 목재 트러스 등에 사용된다.[42] 2024년 현재, 미국 해군이 운용 중인 유일한 목조 선박은 더글러스 전나무로 만들어진 어벤저급 기뢰제거함이다.[43]

더글러스 전나무는 강한 목재이며, 최대 약 18.29m 길이로 공급될 수 있어 중목 구조물에 널리 사용된다. 페인트는 잘 달라붙지만, 스테인은 천연 색상의 다양성 때문에 균일한 색상 적용에 주의해야 한다. 건조되지 않은 목재는 수지가 흘러나올 수 있다.

이 종은 대형 공원과 정원에서 관상용 가치가 있으며,[44] 1920년대부터 크리스마스 트리로 흔히 사용된다.[45] 싹은 오 드 비 향료로,[46] 잎은 솔잎차로 사용된다.[47] 잎은 감귤류 향이 있어 로즈마리의 야생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48]

6. 1. 대한민국에서의 이용

대한민국에서는 미송이 주로 건축 자재로 활용되며, 특히 목조 주택의 구조재나 내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미송은 적당한 경도를 가지고 있으며 가공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나무결이 아름다워 주택용 건축 자재로서 우수한 자질을 갖추고 있다. 일본을 통해 북미산 더글러스 전나무(베이마츠)가 대량으로 수입되고 있으며, 그 양은 노송나무 다음으로 많다.[52]

7. 보전 상황

IUCN 적색 목록 1998년판에서는 최소관심종으로 평가되었으나, 현재는 정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49]

참조

[1] IUCN Pseudotsuga menziesii 2021-11-19
[2] NatureServe Pseudotsuga menziesii 2024-12-08
[3] 웹사이트 Taxonomy - GRIN-Global Web v 1.10.5.0 https://npgsweb.ars-[...] 2019-09-24
[4] Calflora Pseudotsuga menziesii
[5] eFloras Pseudotsuga menziesii 2018-11-07
[6] 웹사이트 Douglas Fir https://www.nwf.org/[...]
[7] Calflora 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
[8] 서적 Forensic procedures for boundary and title investigation John Wiley & Sons 2008-01-28
[9] PLANTS 2018-11-07
[10] 서적 Forest Giants of the World Past and Present
[11] 백과사전 Trees of North America: A Guide to Field Identification Golden Press
[12] 웹사이트 World's Largest Douglas-fir Tree - the Red Creek Fir! https://ancientfores[...] 2011-06-08
[13] pdf Identifying Mature and Old Forests In Western Washington https://www.dnr.wa.g[...]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21-09-01
[14] 서적 Northwest Trees: Identifying & Understanding the Region's Native Trees https://books.google[...] Mountaineers Books
[15] 웹사이트 Douglas Fir: Pseudotsuga menziesii https://www.nwf.org/[...]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2021-09-01
[16] 웹사이트 Tallest Douglas Fir in America https://rephaim23.wo[...] 2012-11-12
[17] 웹사이트 Giant logged long ago but not forgotten https://www.seattlet[...] 2011-09-04
[18] 백과사전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rees of the World Anness Publishing Ltd.
[19] 웹사이트 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 https://www.fs.fed.u[...] 2021-05-11
[20] pdf Identifying Mature and Old Forests In Western Washington https://www.dnr.wa.g[...]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21-05-11
[21] 웹사이트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Open Spaces Blog https://www.fws.gov/[...] 2021-05-12
[22] 학술지 The Douglas-Fir Genome Sequence Reveals Specializ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in Pinaceae 2017-00-00
[23] 웹사이트 Douglas-fir (Pseudotsuga) http://oregonstate.e[...] Oregon State University 2022-02-13
[24] IUCN Pinus douglasiana 2021-11-19
[25] PLANTS 2018-11-07
[26] 서적 Dictionary of Upriver Halkomelem
[27] 웹사이트 čəbidac https://tulaliplusho[...] 2017-03-18
[28] 학술지 A New Douglas-Fir Locality in Southern California http://www.ingentaco[...] 2010-12-31
[29] 서적 The Distribution of Forest Trees in California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PSW – 82/1972 http://www.fs.fed.us[...] USDA Forest Service 2015-05-03
[30] 웹사이트 Douglas Fir, Then and Now | The Seattle Times https://archive.seat[...]
[31] 웹사이트 Tensions Rise In the Battle To Save Old Trees https://alumni.berke[...] 2018-09-01
[32] Special Publication 2b The Genus Pseudotsuga : Ancestral History and Past Distribution https://ir.library.o[...] Forest Research Laboratory, College of Forestry, Oregon State University 1985-10-00
[33]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Douglas-fir https://web.archive.[...] Royal Botanical Garden Edinburgh 2009-01-31
[34] 웹사이트 Weed Information Sheet https://www.weedbust[...] 2021-05-12
[35] 웹사이트 Douglas-fir https://www.nzfoa.or[...]
[36] 웹사이트 Douglas-fir Tree on the Tree Guide https://www.arborday[...]
[37] 논문 New C-methylflavanones from Douglas-fir
[38] 웹사이트 Corylus cornuta https://www.fs.fed.u[...] 2021-05-12
[39] 웹사이트 Douglas Fir https://plants.usda.[...] 2020-02-21
[40] 웹사이트 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 http://www.conifers.[...] The Gymnosperm Database 2013-03-17
[41] 서적 Timber Supply in the Pacific Northwest https://www.fs.fed.u[...] USDA Forest Service
[42] 웹사이트 Douglas-Fir https://www.wood-dat[...] 2018-08-15
[43] 웹사이트 The Navy's Wooden Avengers Are Real-Life Mine Sweepers https://gizmodo.com/[...] 2012-05-23
[44] 웹사이트 Pseudotsuga menziesii https://web.archiv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2-07-14
[45] 웹사이트 Douglas-Fir https://web.archive.[...] 2022-02-10
[46] 뉴스 An Orchard in a Bottle, at 80 Proof https://www.nytimes.[...] 2007-08-15
[47] 웹사이트 Foraging for Pine Needles (and other conifer needles) https://www.growfora[...] 2015-12-23
[48] 뉴스 As a homeless teen, I foraged for wild food to survive. The lessons still shape my cooking. https://www.washingt[...] 2020-11-27
[49] 웹사이트 Pseudotsuga menziesii http://www.iucnredli[...] Conifer Specialist Group 2011-09-21
[50] 웹사이트 Pseudotsuga menziesii (Mirbel) Franco ベイマツ(標準) # YList id만 제공, url정[...] 2024-10-27
[51] 서적 トガサワラ 朝日新聞社
[52] 서적 ビジュアルで学ぶ木を知る図鑑 グラフィック社 2024-05-25
[53] 논문 Pseudotsuga menziesii https://web.archive.[...] IUCN 2016-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