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조는 꿩과에 속하는 조류로, 깃털이 계절에 따라 흰색과 갈색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23종의 아종이 있으며, 북극 및 아북극 지역의 바위산과 툰드라 지대에 주로 서식한다. 뇌조는 일본의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포식자 증가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후현의 상징 - 은어 (어류)
은어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담수어류로 특유의 향긋한 냄새로 식용되며, 1년의 짧은 생을 사는 동안 강과 바다를 오가지만, 일부는 담수에서만 살고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으며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이 된다. - 기후현의 상징 - 주목
주목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상록침엽수로, 붉은 종의로 싸인 종자를 맺고 독성 물질을 함유하지만, 목재나 관상용으로 활용되며 신성한 나무로 여겨져 보호받기도 한다. - 나가노현의 상징 - 흑요석
흑요석은 빠르게 냉각된 용암에서 형성되는 자연 발생 유리로, 석기 시대부터 도구 제작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외과 수술용 메스로도 활용된다. - 나가노현의 상징 - 시나노노쿠니 (노래)
시나노노쿠니는 나가노현의 자연, 역사, 현민의 자긍심을 담아 1900년에 작사된 이토 치카와 작곡가 다키 렌타로의 현가로, 현민가 공모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1968년 공식적으로 나가노현의 노래가 되었으며 문화 행사와 스포츠 응원가로 활용되고 우주에서도 언급될 정도로 나가노현을 대표한다. - 도야마현의 상징 - 방어 (어류)
방어는 농어목 방어과에 속하는 출세어로서 몸은 긴 방추형이고, 최대 150cm까지 성장하며,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고, 회유하며 육식성 어류이며, 겨울이 제철로 횟감, 구이, 조림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되고, DHA, EPA, 비타민 D가 풍부하다. - 도야마현의 상징 - 다테야마산
다테야마산은 도야마현 도야마시 남동부에 위치하며 일본 알프스 북부에 솟아 있는 산으로, 웅장한 자연경관과 험준한 산세, 다테야마 구로베 알펜 루트의 출발점, 산악 신앙의 중심지로서 많은 관광객을 끌고 있다.
뇌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Lagopus muta |
명명자 | 몬틴, 1781 |
이명 | Tetrao mutus Montin, 1781 Lagopus mutus (오기)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기준 | IUCN3.1 |
상태 참고 | BirdLife International의 평가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키지목 |
과 | 키지과 |
아과 | 들꿩아과 |
속 | 라이초우속 |
종 | 라이초우 |
아종 | 약 20-30개 |
아종 | |
학명 | L. m. muta |
명명자 | (Montin, 1781) |
설명 | 스칸디나비아 라이초우 |
학명 | L. m. rupestris |
명명자 | (그멜린, 1789) |
설명 | 캐나다 바위 라이초우 |
학명 | L. m. helvetica |
명명자 | (티에네만, 1829) |
설명 | 알프스 라이초우 |
학명 | L. m. japonica |
명명자 | (H. L. 클라크, 1907) |
설명 | 일본 라이초우 |
학명 | L. m. millaisi |
명명자 | (하르테르트, 1923) |
설명 | 스코틀랜드 라이초우 |
학명 | L. m. hyperborea |
명명자 | 순데발, 1845 |
설명 | 스발바르 라이초우 |
이미지 | |
![]() | |
언어별 이름 | |
영어 | Ptarmigan, Rock ptarmigan |
일본어 | ライチョウ |
한국어 | 뇌조 |
기타 | |
공식 상징 | 누나부트 준주 공식 새 |
참고 자료 | 누나부트 준주 공식 새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문장, 인장, 상징 산케이 뉴스 기사: 22마리의 라이초우, 코마가타케 도착 |
2. 어원
속명인 ''Lagopus''는 고대 그리스어 ''lagos''(λαγώς ''lagṓs'')에서 유래했는데, "토끼"를 의미하며, 여기에 "발"을 의미하는 ''pous''(πούς ''poús'')가 결합되어, 깃털로 덮인 새의 다리를 가리킨다.[7]
뇌조는 몸길이가 34~36 센티미터(꼬리 길이는 8 센티미터)이고, 날개 길이는 54~60 센티미터이다.[102] 사할린뇌조보다 약 10% 더 작다.[102] 몸무게는 440~640그램이다.[10]
큰뇌조는 정주성 조류로, 북극과 아북극 지역의 구북구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그린란드 포함)의 바위산과 툰드라에서 번식한다. 북극 코르딜레라 산맥에 널리 분포하며, 노르웨이, 스웨덴, 스코틀랜드, 피레네 산맥, 알프스 산맥, 불가리아, 우랄 산맥, 파미르 산맥, 알타이 산맥, 일본(일본 알프스와 하쿠산에만 서식)[16]의 산악 지역에 고립된 개체군이 있다. 서식지가 외진 곳에 있기 때문에 황금 독수리와 같은 포식자가 적으며, 놀랍도록 사람에게 가까이 다가오기도 한다. 뉴질랜드, 사우스조지아 섬, 케르겔렌 제도, 크로제 제도에 도입되었다.[17]
종명인 ''muta''는 신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수컷의 단순한 울음소리를 가리켜 "무언의"를 뜻한다.[7] 오랫동안 ''mutus''로 잘못 쓰였는데, ''Lagopus''의 어미가 남성을 나타낸다는 잘못된 믿음 때문이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어 용어 λαγώπους ''lagṓpous''는 여성 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명은 이에 따라야 하므로 여성형 ''muta''가 올바르다.[8]
영어 단어 ptarmigan은 "울음소리 내는 자"를 의미하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tarmachan''에서 유래했다. 1684년 로버트 시벌드가 특히 "날개", "깃털", 또는 "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teron''(πτερόν ''pterón'')의 영향을 받아 무음의 초기 p를 추가했다.[9]
3. 형태
뇌조는 계절에 따라 보호색을 띠도록 깃털 색깔이 변한다. 겨울에는 흰색, 봄과 여름에는 갈색으로 털갈이를 한다. 번식기 수컷은 윗부분이 회색이고 날개와 아랫부분은 흰색이다. 겨울에는 꼬리깃과 눈 주변의 검은색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흰색이 된다. 흰꼬리뇌조와 비슷해 보이지만, 뇌조는 더 고지대의 황량한 곳에 살고, 부리가 가늘고 검은 눈줄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부화 직후의 병아리는 키가 약 6 센티미터 정도이며, 다리는 몸에 비해 크다. 어른 뇌조의 몸무게는 약 400~600그램 정도이다. 전체 길이는 약 37 센티미터, 날개 길이는 약 20 센티미터이며, 날개를 펼친 길이는 약 59 센티미터이다.[43][68]
여름에는 갈색, 겨울에는 순백색으로 깃털 색깔이 바뀌는 것이 특징이다. 겨울에는 깃털 속에 공기를 가득 채워 체온을 유지한다. 겨울 깃털은 순백색이며, 꼬리깃 바깥쪽과 수컷의 눈앞은 검은색이다.[43] 깃털은 깃축이 둘로 갈라지고, 그 깃축에 붙은 미세한 깃털의 밀도가 높아 많은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봄에는 검은 깃털이 섞이기 시작한다. 여름 깃털의 등, 멱, 가슴은 검고 갈색 얼룩무늬가 많다.[43] 날개깃, 배는 흰색이고 꼬리깃은 주로 검은색이다.[43] 수컷의 경우 눈 위에 붉은색 육관이 있는데,[43] 이것은 수컷의 특징이며 흥분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암컷은 등이 갈색이 된다.
4. 분류
아종명 학명 분포 지역 비고 L. m. atkhensis (Turner, 1882) 미국 알류샨 열도 중서부 (타나가섬, 아닥섬, 아트카섬) L. m. dixoni (Grinnell, 1909) 글레이셔 베이 섬과 알래스카 남동부 L. m. evermanni (Elliot D.G., 1896) 미국 알류샨 열도 서부 (아투섬) L. m. gerasimovi (Red'kin, 2005) 러시아 카라긴스키섬 L. m. helvetica (Thienemann, 1829) 알프스 산맥 L. m. hyperborea (Sundevall, 1845) 스발바르(노르웨이)와 프란츠 요제프 랜드(러시아) L. m. islandorum (Faber, 1822) 아이슬란드 L. m. japonica (Clark A.H., 1907) 일본 혼슈 일본 고유 아종,[52] 닛폰라이초라고도 불림.[53] 일본의 특별 천연기념물이며 멸종 위기종.[54] L. m. kurilensis (Kuroda, 1924) 쿠릴 열도(러시아) L. m. macruros (Schiøler, 1925) 그린란드 북동부 L. m. millaisi (Hartert, 1923) 스코틀랜드 L. m. muta (Montin, 1781) 북유럽 스칸디나비아에서 러시아 콜라 반도까지 L. m. nadezdae (Serebrovski, 1926) 시베리아 남부와 몽골 북부 L. m. nelsoni (Stejneger, 1884) 미국 알류샨 열도 동부 (우니막섬, 우날라스카섬)과 알래스카 남부 L. m. pleskei (Serebrovski, 1926) 시베리아 북부 L. m. pyrenaica (Hartert, 1921) 피레네 산맥 중앙 및 동부 (프랑스와 스페인) L. m. reinhardi (Brehm C.L., 1824) 그린란드 남부 L. m. ridgwayi (Stejneger, 1884) 코만도르 제도(러시아) L. m. rupestris (Gmelin J.F., 1789) 북아메리카 북부 L. m. saturata (Salomonsen, 1950) 그린란드 북서부 L. m. townsendi (Elliot D.G., 1896) 미국 알류샨 열도 서부 (키스카섬, 암치트카섬, 리틀 시트킨섬, 랫섬) L. m. welchi (Brewster, 1885) 뉴펀들랜드섬(캐나다) L. m. yunaskensis (Gabrielson & Lincoln, 1951) 미국 알류샨 열도 중부 (유나스카섬)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콜라 반도까지의 유럽 대륙과 스코틀랜드에 분포하는 가을에 날개가 회색으로 변하는 무리와, 그 외의 무리(북 시베리아, 알래스카, 북부 유콘 준주, 알류샨 열도에 분포하는 무리)로도 분류된다.[50]
5. 분포 및 서식지
러시아 고북극 지역 프란츠 요제프 랜드에 서식하는 소규모 개체군은 극야 동안 월동하며, 여름에 바닷새 번식지가 있는 높은 절벽 위아래의 풍부한 초목을 먹고 생존한다.[18] 최후 빙하기 동안 이 종은 유럽 대륙에 훨씬 더 널리 분포했다.[19]
라이초아과(Lagopinae) 조류는 전 세계에 6속 17종이 서식하며(다만 분류에는 여러 설이 있음), 라이초류 중에서 가장 추운 기후에 적응한 종이다.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극해 연안, 유럽과 아시아 일부의 고산 지대에 널리 분포한다.[48][49] 피레네 산맥, 알프스 산맥, 일본에는 고립 분포하고 있다.[50] 핀란드에서는 약 8,000마리, 영국에서는 2,000~20,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Johsgard, 1983년).[51] 일본에서는 1980년대 약 3,000마리에서 2000년대에는 2,000마리 미만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신슈대학).[42]
캐나다 누나부트 준주에도 서식한다.
5. 1. 일본의 아종 라이초
일본에는 아종인 라이초(''Lagopus muta japonica'')가 혼슈 주부 지방의 고산 지대(쿠비키 산지(히우치산·야케야마), 히다 산맥(북알프스), 온타케 산, 노리쿠라다케, 기소 산맥(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남알프스))에만 서식한다. 개구리와 비슷한 울음소리를 낸다.[55][56] 일본의 서식지가 라이초의 남방한계선이다. 일본 국내에서 현재 분포 북방한계선은 니가타현 쿠비키 산지의 히우치산과 야케야마이고, 남방한계선은 아카이시 산맥(남알프스)의 이자루가다케이다.[57]
고산식물의 싹·씨앗 외에 곤충류를 먹이로 한다.[42] 주부대학이 북알프스 타로야마에서 채취한 배설물을 DNA 분석한 결과, 진달래과의 쿠로우스고와 간코우란을 중심으로 53종의 식물을 먹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58]
참고로, 홋카이도에는 에조라이초속 ''Tetrastes''의 에조라이초가 서식한다. 홋카이도에 ''Lagopus'' 속이 서식하지 않는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환경성은 서식 상황 조사와 번식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것과 포식자(여우, 까마귀 등)의 서식 상황 조사[59], 동물원 사육 개체의 야생 복귀[45] 등이 있다.
에도 시대 이전 문헌에는 다테야마산, 하치가타케, 백산에 암수 모두 흰색인 라이초가 서식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서식하지 않는다.[57] 기후현·이시카와현 경계에 위치한 백산은 다이쇼 초기 이후로 확인이 끊겨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오제에 위치한 후쿠시마현의 히우치가타케에서도 1945년경까지 라이초가 목격되었다는 주민 증언이 있으며, 객관적인 자료는 없지만, 다른 종과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 종이 서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 종이 서식했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60] 같은 오제에 위치한 시부츠산은 눈잣나무대가 존재하지만 라이초에 관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60]
원래 라이초의 번식 활동이 확인되지 않은 하치가타케히가시덴구다케, 이나리산이나 토가쿠시 연봉타카츠마산에서는 1960년대 이후 몇 차례에 걸쳐 등산객에 의해 사진 촬영되거나 배설물이 확인된 적이 있다. 이는 원래 서식지인 고산대의 서식 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날아온 개체로 생각된다.[61]
라이초가 일본에 온 것은 약 2만 년 전의 빙하기로, 사할린과 캄차카반도를 거쳐 혼슈 중앙부의 고산지대에 정착했지만, 빙하기가 끝나고 온난화되면서 대부분의 라이초는 추운 북쪽으로 돌아갔고, 일부만이 일본의 고산에 남았다.[62] 현재는 북극 주변이 주요 서식지이다. 일본의 라이초는 가장 남쪽 끝에 있는 셈이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북알프스에 2계통, 남알프스에 2계통이 서식하고 있다.[63] 또한, 현재보다 연평균 기온이 2~4℃ 높았던 6000년 전부터 9000년 전의 히프시써멀기(홀로세 최고 기온기) 전반에 개체 수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이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개체군을 형성하게 했다.[64] 남부 서식지일수록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다. 동속의 ''Lagopus'' 속의 분포에서 물리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사할린이며, 일본에 서식하는 종은 물리적으로도 고립되어 있다.
6. 생태
뇌조는 고산지대와 툰드라에 서식하며[41], 키 작은 나무와 사초류와 같은 초본, 지의류와 이끼류와 같은 카펫 모양의 식생 또는 바위 표면 등이 모자이크처럼 나타나는 환경에 서식한다.[49]
특히 일본에서는 해발 고도 2,500m 이상의 고산대 암벽이나 눈잣나무 숲을 은신처로 삼고, 눈잣나무는 둥지 장소와 먹이로도 이용된다. 눈잣나무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 일본의 고산대, 시베리아 극동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부에만 분포하기 때문에, 일본처럼 뇌조와 같은 곳에 서식하는 지역은 제한적이다.[53]
에도 시대 이전 문헌에는 다테야마산, 하치가타케, 백산에 암수 모두 흰색인 라이초가 서식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서식하지 않는다.[57] 기후현·이시카와현 경계에 위치한 백산은 다이쇼 초기 이후로 확인이 끊겨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오제에 위치한 후쿠시마현의 히우치가타케에서도 1945년경까지 라이쵸가 목격되었다는 주민 증언이 있지만, 다른 종과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 종이 서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뇌조가 서식했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60]
원래 뇌조의 번식 활동이 확인되지 않은 하치가타케히가시덴구다케, 이나리산이나 토가쿠시 연봉타카츠마산에서는 1960년대 이후 몇 차례에 걸쳐 등산객에 의해 사진 촬영되거나 배설물이 확인된 적이 있다. 이는 원래 서식지인 고산대의 서식 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날아온 개체로 생각된다.[61]
2005년 조사에 따르면 일본 국내에는 총 약 3000마리 정도가 서식하고 있다고 추측되고 있다. 지역별 서식 개체 수는 다음과 같다.
지역 | 개체 수 |
---|---|
니가타현 쿄조산맥의 히우치산과 니가타야케산 | 약 25마리 |
북알프스 아사히다케에서 호타카다케 | 약 2000마리 |
노리쿠라다케 | 약 100마리 |
온타케산 | 약 100마리 |
남알프스 카이코마가타케에서 코우다케 | 약 700마리 |
[68][57]
2007년에는 남알프스 키타다케에서 멸종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2008년에 서식이 재확인되었다.
천적인 맹금류나 다른 동물에게 포식되는 것 외에도, 산장 등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에 섞여 있는 병원체나 사람이 가져오는 살모넬라균, 닭 등의 전염병인 뉴캐슬병, 로이코시토존 감염으로 인해 국내 뇌조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등산객 증가에 따라 등산로 주변의 눈잣나무대가 짓밟히고 쇠퇴하여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뇌조의 서식 수도 감소하고 있다. 알과 어린 새, 암컷은 족제비, 담비 및 여우 등의 천적에게 포식되기 쉽다고 생각되며, 수컷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멸종의 전조로 여겨진다.[61] 이전부터 일본원숭이에게 어린 새가 포식되고 있다는 정보가 있었지만, 2015년에 연구자가 포식하는 일본원숭이의 사진을 촬영했다.[65]
둥지는 지상에 있으며, 눈잣나무와 월귤 등의 마른 잎을 접시 모양으로 쌓아 만든다.[49] 산란은 5월 하순~7월 상순에 이루어진다. 산란용 둥지는 30cm~40cm 정도의 비교적 키가 낮은 눈잣나무나 진달래류의 그늘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암컷은 연한 황회색 바탕에 짙은 갈색의 크고 작은 반점이 있는 약 25g의 알을 5개에서 10개 정도 낳아 포란한다. 포란기에는 암컷의 배설물이 평소보다 10배 정도 많아진다.[66] 한배 산란 수는 일본 개체군이 다른 지역 개체군에 비해 적은 경향을 보인다. 포란은 암컷만 하며, 20~23일 정도 후에 부화한다.[49]
일본 개체군의 경우, 둥지 성공률은 높지만 새끼의 사망률도 높은 경향이 있으며, 대형 케이지 설치 등의 보호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49]
6. 1. 먹이
뇌조의 먹이는 서식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알래스카의 바위뇌조는 겨울에 사시나무 눈, 왜소자작나무, 버드나무 눈과 미상화서를 주식으로 먹는다.[29] 봄에는 까마귀딸기와 링곤베리 관목으로 먹이를 바꾸고, 초여름에는 버드나무 잎, ''드리아스'', 콩과의 독성식물 잎과 꽃을 먹는다. 늦여름부터 가을까지는 나무딸기류, 비스토르타 씨앗, 자작나무 눈을 먹으며, 병아리는 곤충, 유충, 달팽이를 먹는다.[20]일본의 아종인 라이초(Lagopus muta japonica)는 혼슈 주부 지방의 고산 지대(쿠비키 산지(히우치산·야케야마), 히다 산맥(북알프스), 온타케 산, 노리쿠라다케, 기소 산맥(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남알프스))에만 서식하며, 개구리와 비슷한 울음소리를 낸다.[55][56] 고산식물의 싹, 씨앗 외에 곤충류를 먹이로 한다.[42] 주부대학이 북알프스 타로야마에서 채취한 배설물을 DNA 분석한 결과, 진달래과의 쿠로우스고와 간코우란을 중심으로 53종의 식물을 먹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58]
6. 2. 번식
수컷 바위뇌조는 붉은 눈 볏을 제외하면 온대 지역의 다른 뇌조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뚜렷한 깃털(검은 눈줄무늬 제외)이 없다.[21] 볏은 구애 행동과 수컷 간의 공격적인 상호 작용에 사용된다.[22] 볏의 크기와 수컷의 테스토스테론 수치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23] 테스토스테론의 양은 다른 수컷에 대한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24]수컷의 볏은 성적 선택과 관련된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다. 누나부트 준주 스카르파 호의 수컷 바위뇌조 개체군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첫 해 동안 수컷의 짝짓기 성공은 볏의 크기와 상태에 영향을 받았다. 두 마리 이상의 암컷과 짝짓기를 한 수컷은 일부일처제 수컷보다 볏이 더 컸다. 크기와의 상관관계는 첫 해 이후 사라졌지만, 볏의 상태와의 상관관계는 유지되었다.[25] 짝짓기 성공은 전반적으로 볏의 상태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예외는 처음 번식하는 개체였는데, 이 경우 볏의 크기가 짝짓기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26]
바위뇌조는 생후 6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일반적으로 최대 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이러한 높은 번식률 때문에 개체군의 크기는 사냥과 같은 요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7. 인간과의 관계
일본 뇌조는 과거 사냥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여러 요인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2005년 조사에 따르면, 일본 뇌조는 니가타현 쿄조 산맥에 약 25마리, 북알프스에 약 2,000마리, 노리쿠라다케와 온타케산에 각각 약 100마리, 남알프스에 약 7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 전체에는 약 3,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68][57] 2007년 남알프스 키타다케에서 멸종 보고가 있었으나, 2008년에 서식이 재확인되었다.
뇌조의 개체 수 감소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 천적인 맹금류나 족제비, 담비, 여우 등에 의한 포식[61]
- 산장 등에서 나오는 쓰레기의 병원체, 사람이 가져오는 살모넬라균, 닭의 전염병 (뉴캐슬병, 로이코시토존 감염) 등의 질병 감염[61]
- 등산객 증가로 인한 등산로 주변 눈잣나무 숲 훼손 및 서식지 감소[61]
- 일본원숭이의 어린 새 포식 (2015년 사진 촬영으로 확인)[65]
- 스키장 건설 등 관광 개발, 가축 방목, 사냥, 송전선 충돌, 인간에 의한 교란[38]
- 기후 변화 (알프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관목림 증가 (북극권)[38]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뇌조는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특히 수컷 비율이 높은 지역은 멸종 전조로 여겨진다.[61]
키소코마가타케에서는 로프웨이 설치로 등산객이 늘면서 텐, 여우, 하시부토가라스 등이 유입되어 1965년경까지 확인되던 뇌조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53] 2018년 등산객이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노리쿠라다케에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되는 개체의 알과 둥지가 발견되었고, 2017년부터 암컷 한 마리가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84]
하쿠산에서는 193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09년에 암컷 한 마리가 확인되었고, 2011년 유전자 분석 결과 히다 산맥이나 노리쿠라다케, 오타케산에서 날아온 개체로 추정된다.[85][86]
일본에서는 뇌조를 보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법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 1955년: 특별 천연기념물 지정[53]
- 1993년: 국내 희소 야생 동식물종 지정, 포획 및 양도 금지[87]
또한, 토야마현, 나가노현, 기후현에서 현조(県鳥)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53][68]
7. 1. 문화
아이슬란드 요리에서 바위뇌조 고기는 축제 음식으로 인기가 많다. 2003년과 2004년에는 개체 수 감소로 아이슬란드에서 바위뇌조 사냥이 금지되었다. 2005년부터 다시 사냥이 허용되었지만, 매년 특정일에만 가능하며 바위뇌조의 모든 거래는 불법이다.[34]토마스 베윅의 ''영국 조류사''(1797)에서는 이 새를 "흰뇌조"라고 부르며, "흰 사냥감 또는 뇌조"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베윅은 이 새들이 "때때로 고기에 쓴맛을 주지만 불쾌하지 않은 맛을 내는 산의 야생산물을 먹는다. 고기는 색이 어둡고 토끼고기와 다소 비슷한 맛이 난다"고 기록했다.[35]
독일 연방사냥법(Bundesjagdgesetz=BJG)에서는 과거 주요 사냥 대상이었던 종에 대한 금렵 조치와 위반 시 형사 처벌(밀렵죄) 등을 규정하고 있다. 라이초는 유럽라이초 등과 함께 사냥 동물 목록에 등재된 후 연중 금렵 조치가 취해졌다.[67]
스웨덴에서는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연간 약 11,700마리의 라이초가 포획되었다.[51] 아이슬란드에서는 사냥이 개체 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48]
토야마현, 나가노현, 기후현의 현조(県鳥)로 지정되어 있다.[53][68]
이누와시 등 맹금류를 피하기 위해 아침저녁 외에도 번개가 치는 듯한 날씨에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이 이름의 유래라고 전해지지만,[69] 실제로는 명확하지 않다. 옛날에는 "라이노토리(らいの鳥)"라고 불렸으며 에도 시대부터 불이나 낙뢰 피해를 막는 신앙이 있었지만,[70] "라이(らい)"가 처음부터 "번개(雷)"를 가리키는 것이었는지는 불명확하다.[71][72]
유럽이나 북아메리카에서는 라이초류가 중요한 사냥 대상 조류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으며,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되었던 일본과는 대조적이다.[72] 사냥 문화가 있는 영국인 월터 웨스턴이 일본에 장기 체류했을 당시인 1894년(메이지 27년) 8월 8일에 조넨다케 주변에서 라이초 사냥을 했다.[51]
문헌상으로는 1200년 가집 『후보쿠와카쇼(夫木和歌抄)』에서 고시라카와 법황이 "시라야마의 소나무 그늘에 숨어 편안히 쉬는 라이노토리가 있구나"라고 읊은 것이 첫 기록으로 여겨진다.[53] 에도 시대 초기에 중국 명나라에서 건너온 고젠세이류가 『라이(鶆)』를 저술하여, 이 명칭도 사용되게 되었다.[73] 1711년(쇼토쿠 원년)에 가가번이 라이초를 목격한 하쿠산(白山)과 다테야마 등산객으로부터 조사한 결과 "라이노토리(らいの鳥)"가 사용되었고, 1720년(쿄호 5년)의 조사에서는 "라이노토리(らいの鳥)"와 "라이쵸(雷鳥)" 모두 사용되었다.[73] 에도 시대에는 다테야마, 하쿠산, 오타케산에 라이초가 서식하고 있다는 것이 등산객에 의해 널리 알려져 있었다. 에도 시대 후기에 마키노 사다미가 『야조사생도(野鳥写生図)』에서 라이초 수컷과 암컷을 묘사하여 "라이쵸(鶆鳥)"라고 표기했고, 모리 바이엔이 『모리킨푸(毛利禽譜)』에서 하쿠산의 라이초 수컷과 새끼를 묘사하여 "라이쵸(雷鳥)"라고 표기하고 있다.[70] 1779년(안에이 8년) 가쓰야마 겐고베에의 『키노시타카게(木の陰)』 등에 있는 것처럼 나가노현의 스와 지역이나 카미이나 지역에서는 "이와토리(岩鳥)"라고 불렸고, 1834년(텐포 5년)의 『시나노키쇼로쿠(信濃奇勝録)』의 노리쿠라다케(乗鞍岳)의 라이초에는 "간테우(がんてう)"의 후리가나가 붙어 있었다.[71] 1813년(분카 10년) 코다이문에이(小原文英)의 『하쿠산키코(白山紀行)』의 묘사에서는 "라이쵸(雷鳥)"와 "라이쵸(鶆鳥)" 모두 기록하고 있다.[71] 지방명으로는 토야마현에서 "칸코토리(閑古鳥)", 키소의 오타케산에서 "미토리(御鳥)" 등의 기록이 있다.[71]
1916-1918년(다이쇼 5-7년)의 백과사전 『히로분코』에서 "라이쵸(雷鳥)에 라이(鶆)를 만드는 것은 잘못이며, 본국의 신조(神鳥)로서 중국에는 없다"라고 기록되어 "라이쵸(雷鳥)"라는 명칭이 일반화되었다.[71]

(남알프스코가우치다케에서)
일본의 라이초는 에도 시대 이전부터 고대부터 산악 신앙 등산객들에게 알려져 신비성을 띤 "신의 사자"와 같은 새로 여겨졌다.[74] 에도 시대까지는 종교적인 살생 금지 계율을 지키는 사람도 많아 라이초가 사람에 의해 포획되는 일은 적었다고 생각된다.[74] (일본의 육식 역사 참조)
에도 시대까지는 포획 대상이 되는 일이 적었지만, 메이지 시대에 일시적으로 남획되어 법으로 보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75]
연도 | 사건 |
---|---|
1895년(메이지 28년) 3월 27일 | 수렵법 시행 세칙에 의해, 라이초 및 송계의 사냥 금지 기간이 4월 16일부터 8월 14일까지로 정해졌다.[76] |
1901년(메이지 34년) | 수렵법이 개정되어 사냥 금지 기간이 4월 16일부터 10월 14일까지로 정해졌다. |
1910년(메이지 43년) | 라이초가 수렵법의 보호조로 지정되어 포획이 금지되었다. |
1923년(다이쇼 12년) | 라이초가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에 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77] |
1969년(쇼와 44년) 3월 31일 |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에 의해, 하쿠산 주변의 산악 지대가 하쿠산 조수보호구로 지정되었다.[78] |
1972년(쇼와 47년) 11월 30일 | 니혼라이초가 특수 조류의 양도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에 의해 특수 조류로 지정되었다.[79] |
1984년(쇼와 59년) 11월 1일 |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에 의해, 북알프스 조수보호구가 확대되어, 북알프스의 주요 산악 지대가 지정되었다.[80] |
1999년(헤이세이 11년) 9월 15일 |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에 의해, 보호 번식을 특히 도모할 필요가 있는 조수로 지정되었다.[81] |
2003년(헤이세이 15년) 4월 15일 | 조수의 보호 및 수렵의 적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해, 희소 조수로 지정되었다.[82] |
2012년(헤이세이 24년) 9월 18일 | 중앙환경심의회 야생생물부회에서, 「라이초의 보호 증식 사업 계획의 책정에 대해」답신이 이루어졌다.[83] |
지구 온난화, 저지대에서의 포식자(아카기츠네, 텐, 하시부토가라스, 초우겐보, 니혼자루 등)의 침입 및 증가, 저지대에서의 다른 동물의 침입(이노시시, 니혼지카, 니혼자루 등)과 그것에 따른 식생의 파괴 등에 의해 서식 수는 감소하고 있다.[52][53] 1980년대 조사에서 "연평균 기온이 3℃ 상승할 경우, 일본의 라이초는 멸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53]
키소코마가타케에서는 로프웨이 설치에 따른 등산객 증가로 남은 음식물을 찾아 텐이나 여우, 하시부토가라스 등이 침입했기 때문에, 1965년경까지 확인되었지만 멸종했다고 여겨진다.[53] 2018년 7월에 키소코마가타케에서 등산객에 의한 촬영이 있었고, 8월에 조사 결과 알과 둥지가 발견되었다.[84] 채취된 깃털의 유전자 분석에서 노리쿠라다케에서 날아온 개체라고 생각되며, 2018년 11월에도 복수의 촬영이 있어 2017년부터 2018년에 걸쳐 적어도 암컷 1마리가 정착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84] 하쿠산에서는 1930년대에 멸종했다고 생각되었지만, 2009년 5월에 촬영이 있었고 동년 6월 조사에서 암컷 1마리가 확인되었다(2011년 시점에서, 2010년에도 확인 예가 있다).[85] 2011년에 발표된 2009년에 하쿠산에서 발견된 개체와 1936년에 채취된 하쿠산산 박제 표본의 미토콘드리아 DNA 제어 영역의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어느 쪽도 히다 산맥이나 노리쿠라다케·오타케산에서 볼 수 있는 해프로타입에 포함된다는 분석 결과가 얻어지고 있으며, 2009년에 발견된 개체는 이러한 지역에서 날아온 것이라고 생각된다.[86]
1955년에 국의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53] 1993년에 국내 희소 야생 동식물종으로 지정되어, 알을 포함하여 포획·양도 등이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다.[87]
다음은 라이초가 조류로 지정된 지방 자치단체 목록이다.
다음은 라이초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목록이다.
단체/캐릭터 |
---|
토야마현 경찰, 토야마현 교통안전협회 "토야마루쿤"[97] |
다테야마정 "라이지"[97] |
카타레 토야마 "라이카쿤" |
토야마 그라우지스 "그라키" |
토야마 GRN 썬더버즈 "라이티" |
토야마 경륜장 "라이짱" |
마쓰모토 야마가 FC "간즈쿤"[98] |
7. 2. 보존 노력 (일본)
2005년 조사에 따르면 니가타현 쿄조 산맥의 히우치산과 니가타야케산에 약 25마리, 북알프스 아사히다케에서 호타카다케에 걸쳐 약 2,000마리, 노리쿠라다케에 약 100마리, 온타케산에 약 100마리, 남알프스 카이코마가타케에서 코우다케에 걸쳐 약 700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68][57] 일본 국내에는 총 약 3,000마리 정도가 서식하고 있다고 추측되고 있다. 2007년에는 남알프스 키타다케에서 멸종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2008년에 서식이 재확인되었다.맹금류나 다른 동물에게 포식되는 것 외에도, 산장 등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에 섞여 있는 병원체나 사람이 가져오는 살모넬라균, 닭 등의 전염병인 뉴캐슬병, 로이코시토존 감염으로 인해 국내 뇌조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등산객 증가에 따라 등산로 주변의 눈잣나무대가 짓밟히고 쇠퇴하여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뇌조의 서식 수도 감소하고 있다. 알과 어린 새, 암컷은 족제비, 담비 및 여우 등의 천적에게 포식되기 쉽다고 생각되며, 수컷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멸종의 전조로 여겨진다.[61]
이전부터 일본원숭이에게 어린 새가 포식되고 있다는 정보가 있었지만, 2015년에 연구자가 포식하는 일본원숭이의 사진을 촬영했다.[65] 위와 같이 심각한 보존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에, 사육 번식과 지역 개체군이 멸종한 지역에 대한 재도입이 반복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1960년에 하쿠바다케에서 포획한 개체(수컷 1마리, 암컷 2마리, 새끼 4마리 총 7마리)를 후지산으로 옮겼고, 1966년에 9마리가 확인되어 번식에도 성공했지만, 1970년 이후 목격 정보가 없어 정착하지 못했다.[53] 2015년-2016년에 노리쿠라다케에서 22개의 알이 채취되어 인공 부화 시도가 진행되었다.[87] 장마철 악천후와 포식자에 의한 새끼의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부화 직후의 새끼를 어미와 함께 우리에서 보호하고 비상할 수 있게 되면 방사한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52]
일본에서 1961년-1985년 번식기 세력권으로 추정한 개체 수는 2,953마리이다.[53] 2000년대에 유사한 조사에서 추정한 개체 수는 약 1,700마리이다.[52] 도야마현 다테야마의 서식지에서 다테야마 구로베 알펜 루트 개발 전후 개체 수가 약 250마리에서 약 150마리(1983년)로 감소했다는 조사 보고가 있다.[90]
2019년 시점에서 5개 시설(이시카와 동물원, 오마치 산악 박물관, 온시 우에노 동물원, 도야마시 패밀리파크, 나스 동물왕국)에서 총 29마리(수컷 18마리, 암컷 11마리)가 사육되고 있다.[87] 나가노시 차우스산 동물원은 2024년 세 번째 사육을 시작했다.[46]
- 1963년(쇼와 38년): 생태 연구를 위해 오마치 산악 박물관(나가노현 오마치시)이 사육 연구를 시작했다.
- 1966년(쇼와 41년): 도야마현도 사육 연구를 시작했다.
- 1967년(쇼와 42년) 7월: 남알프스 북악에서 야마나시현 금봉산으로 5마리가 이식되었지만 정착하지 못했다. 정착하지 못한 이유로는 은신처와 둥지를 틀 장소가 되는 눈잣나무대의 면적이 작았던 것과 산체의 형성 연대가 새로워 먹이가 되는 고산 식물이 충분하지 않았던 것 등으로 여겨진다.
- 1969년(쇼와 44년): 야마나시현도 사육 연구를 시작했다. 하지만 각 현의 사육은 기생충이나 가금류 기원의 감염증, 살모넬라균, 트리아데노바이러스, 녹농균[91] 등에 의해 폐사하는 예가 많아 안정적인 증식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 2008년(헤이세이 20년) 12월 5일: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제도산의 대형 아종 스발바르라이초가 우에노 동물원에서 공개되었고, 거기서 태어난 개체가 나가노시 차우스산 동물원과 도야마시 패밀리파크[92]에서도 공개되었다.
도야마시 패밀리파크에서는 모금으로 뇌조의 사육·번식 기술 확립과 야생 복귀를 목표로 하는 "라이초 기금"을 설립했다.[93]
중앙알프스의 코마가타케(기소코마가타케)에서는 환경성 신에쓰 자연환경사무소가 2022년 8월에 22마리를 방사했다(12일에 차우스산 동물원에서 온 성조 3마리, 13일에 나스 동물왕국에서 온 가족 8마리, 14일에 나스 동물왕국에서 온 2가족 11마리).[94]
참조
[1]
IUCN
Lagopus muta
[2]
서적
Tvänner Arter af Snöripan
[3]
논문
The date of publication of Montin's description of Lagopus mutus
[4]
웹사이트
The Rock Ptarmigan (Lagopus mutus) Official Bird of Nunavut
http://www.assembly.[...]
Government of Nunavut
2010-12-04
[5]
웹사이트
The Arms, Seals, and Emblems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http://www.heritage.[...]
[6]
서적
Seibido Publishing
2010-02-01
[7]
서적
A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OUP
[8]
논문
The grammatical gender of avian genera
https://www.biodiver[...]
[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ritish Bird Name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Abridged]
OUP
[11]
웹사이트
Rock Ptarmigan Identification, All About Birds, Cornell Lab of Ornithology
https://www.allabout[...]
2020-09-26
[12]
웹사이트
Pheasants, partridges, francolins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10-13
[13]
웹사이트
Sounds and Vocal Behavior – Rock Ptarmigan – Lagopus muta – Birds of the World
https://birdsofthewo[...]
2020-03-04
[14]
서적
RSPB pocket guide to British birds
https://www.worldcat[...]
2012
[15]
웹사이트
Behavior – Rock Ptarmigan – Lagopus muta – Birds of the World
https://birdsofthewo[...]
2020-03-04
[16]
서적
Birds in Japan
Tokyo News Service
[17]
서적
Introduced Birds of the World
Agricultural Protection Board of Western Australia
[18]
논문
Winter ecology of Willow Ptarmigan Lagopus lagopus and Rock Ptarmigan L. mutus at the northern limit of their range
[19]
논문
Weichselian and Holocene bird remains from Komarowa Cave, Central Poland
http://docserver.ing[...]
[20]
웹사이트
Diet and Foraging – Rock Ptarmigan – Lagopus muta – Birds of the World
https://birdsofthewo[...]
2020-03-04
[21]
서적
Grouse of the world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2]
논문
Reproductive behaviour in Tetraonidae
[23]
논문
Testosterone and daylength-dependent development of comb size and breeding plumage of male willow ptarmigan (Lagopus lagopus lagopus)
[24]
논문
Hormone implants affecting territory size and aggressive and sexual behaviour in red grouse
[25]
논문
Mating tactics of male rock ptarmigan, Lagopus mutus: a conditional mating strategy
[26]
논문
Context and consequences of comb displays by male rock ptarmigan
[27]
서적
Aspects of morphology in female rock ptarmigan (Lagopus mutus) during ovarian recrudescence
http://worldcat.org/[...]
[28]
논문
Fat and protein reserves of wintering and prebreeding rock ptarmigan from south Hudson Bay
1981-07-01
[29]
서적
Seasonal variation in diet,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and size of the cecum of rock ptarmigan
http://worldcat.org/[...]
[30]
논문
Fat Deposition in Spitzbergen Ptarmigan (Lagopus mutus hyperboreus)
1978-01-01
[31]
논문
Season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Crop Content of Spitzbergen Ptarmigan Lagopus mutus hyperboreus
1983-06-01
[32]
논문
Reduced Metabolic Cost of Locomotion in Svalbard Rock Ptarmigan (Lagopus muta hyperborea) during Winter
2010-11-15
[33]
논문
Seasonal Changes in Energy Intake, Energy Expenditure, and Digestibility in Captive Svalbard Rock Ptarmigan and Norwegian Willow Ptarmigan
1989-03-01
[34]
웹사이트
Umhverfisráðuneyti
http://www.reglugerd[...]
2013-05-30
[35]
서적
A History of British Birds, Volume 1: Land Birds
Beilby and Bewick
[36]
웹사이트
The Official Bird of Nunavut {{!}} Nunavut Legislative Assembly
https://assembly.nu.[...]
2019-02-22
[37]
웹사이트
Anirniliit – those which breathe
http://www.arctic.uo[...]
2019-02-22
[38]
논문
Lagopus muta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7)
https://doi.org/10.2[...]
BirdLife International
2020-08-01
[39]
웹사이트
Pheasants, partridges, francolins
https://www.worldbir[...]
Gill F, D Donsker & P Rasmussen
2020-08-01
[40]
서적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2012
[41]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10-I (キジ目)
東京動物園協会
1987
[42]
웹사이트
保護増殖事業:ライチョウ
https://www.env.go.j[...]
環境省
2022-04-24
[43]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08-01-11
[44]
뉴스
ライチョウ22羽、駒ケ岳に到着 初の野生復帰へ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2-08-10
[45]
뉴스
ライチョウ 120羽生息確認/中央アルプス 野生復帰させた個体も
https://web.archive.[...]
東京新聞
2024-07-09
[46]
뉴스
ニホンライチョウつがい、3回目の飼育へ 長野市の茶臼山動物園 ひなを成鳥まで「今回こそ」
https://www.shinmai.[...]
信濃毎日新聞デジタル
2024-07-11
[47]
논문
The grammatical gender of avian genera
Bulletin of the British Ornithologists' Club
2002
[48]
웹사이트
Lagopus mutus Montin, 1776
http://www.galliform[...]
GSG
2012-07-28
[49]
웹사이트
バードリサーチ バードリサーチニュース
http://www.bird-rese[...]
特定非営利活動法人 バードリサーチ
2022-07-16
[50]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1992
[51]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1992
[52]
서적
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4 日本の絶滅のおそれのある野生動物 2 鳥類
ぎょうせい
2014
[53]
논문
ライチョウLagopus mutus japonicus
日本鳥学会
2007
[54]
뉴스
栃木でライチョウ4羽ふ化 那須どうぶつ王国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2-07-12
[55]
웹사이트
ライチョウの鳴き声
https://www.bird-res[...]
認定NPO法人バードリサーチ
2024-07-25
[56]
뉴스
市川美織、ライチョウは「鳴き声がカエル」至近距離で見ても逃げない性格に関心
https://www.oricon.c[...]
oricon
2020-08-07
[57]
서적
日本動物大百科 鳥類II
平凡社
1997-03
[58]
웹사이트
ライチョウの糞の精密DNA解析で採食した植物を高精度で同定─保護のための高山植生保全に活用─(藤井太一助手、上野薫准教授、南基泰教授ら)
https://www3.chubu.a[...]
中部大学
2022-04-24
[59]
뉴스
ライチョウ 来年度ふ化試験/木曽駒ケ岳で生息確認/絶滅危惧種 野生復帰目指す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1-24
[60]
웹사이트
群馬県鳥類目録改訂版
https://www.wbsj-gun[...]
日本野鳥の会群馬
2022-07-16
[61]
논문
山岳地帯の環境破壊による鳥類の分布と生態の変化について:特にライチョウを中心として
日本生態学会誌
1974
[62]
서적
雷鳥が語りかけるもの
2006
[63]
웹사이트
ニホンライチョウの遺伝的多様性と分化
http://ornithology.j[...]
日本鳥類学会
[64]
논문
ニホンライチョウ(Lagopus mutus japonicus)におけるミトコンドリアDNAコントロール領域の遺伝変異性
日本鳥学会誌
2001
[65]
뉴스
ニホンザル、ライチョウ捕食の瞬間 研究者が初めて確認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5-09-01
[66]
서적
雷鳥が語りかけるもの
2006
[67]
웹사이트
ドイツの狩猟(3)狩猟の対象となる動物
http://repo.komazawa[...]
駒澤大学
2022-07-16
[68]
서적
ひと目でわかる野鳥
成美堂出版
2010-01
[69]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1992
[70]
서적
雷鳥が語りかけるもの
2006
[71]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72]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73]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74]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75]
서적
雷鳥が語りかけるもの
[76]
법률
狩猟法施行細則
農商務省
1895-03-27
[77]
법률
史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ニ依リ指定
内務省
1923-03-07
[78]
법률
鳥獣保護区を設定した件
農林省
1969-03-26
[79]
법률
特殊鳥類の譲渡等の規制に関する法律施行規則
総理府
1972-11-27
[80]
법률
鳥獣保護区を設定する件
環境庁
1984-10-23
[81]
법률
保護繁殖を特に図る必要がある鳥獣を定める件
環境庁
1999-09-14
[82]
법률
鳥獣の保護及び狩猟の適正化に関する法律施行規則
環境省
2002-12-26
[83]
웹사이트
「ライチョウ保護増殖事業計画の策定について」及び「国指定鳥獣保護区及び特別保護地区の指定について」に関する中央環境審議会答申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www.env.go.j[...]
環境省
2012-09-18
[84]
웹사이트
中央アルプス木曽駒ヶ岳のライチョウの生存確認について
http://chubu.env.go.[...]
環境省
2020-08-01
[85]
논문
2009・2010年に白山で観察された雌ライチョウの行動,食性および営巣場所
[86]
논문
白山で発見されたライチョウの遺伝子分析
[87]
웹사이트
国内希少野生動植物種一覧, ニホンライチョウの公開展示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20-08-01
[88]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にいがた
https://www.pref.nii[...]
新潟県
2001-03
[89]
웹사이트
岐阜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動物編)改訂版
https://www.pref.gif[...]
岐阜県
2010-08
[90]
서적
ライチョウ・生活と飼育への挑戦
[91]
논문
肉芽腫病変を伴った日本ライチョウの緑膿菌感染症例
[92]
웹사이트
スバールバルライチョウ
http://www.toyama-fa[...]
富山市ファミリーパーク
2012-07-28
[93]
웹사이트
「ライチョウ基金」について
http://www.toyama-fa[...]
富山市ファミリーパーク
2018-02-02
[94]
뉴스
ライチョウ22羽 野生へ返る/中ア駒ケ岳 全国初
https://web.archive.[...]
東京新聞
2022-08-15
[95]
웹사이트
12TH INTERNATIONAL GROUSE SYMPOSIUM(第12回国際ライチョウシンポジウム)
http://cert.shinshu-[...]
The Conference Committee of the IGS2012
2012-07-28
[96]
서적
雷鳥が語りかけるもの
[97]
웹사이트
「ライチョウ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大集合」にライカくん参加のお知らせ
https://www.kataller[...]
カターレ富山公式サイト
2024-07-11
[98]
웹사이트
ガンズくん松本山雅FCオフィシャルマスコット就任10周年 「ライチョウを守ろうプロジェクト」が発足します!!
https://www.yamaga-f[...]
松本山雅FC公式サイト
2024-07-11
[99]
저널
Lagopus muta
http://www.iucnredli[...]
IUCN
2018-03-18
[100]
웹사이트
The Rock Ptarmigan (LAGOPUS MUTUS) Official Bird of Nunavut
http://www.assembly.[...]
2010-12-04
[101]
웹사이트
The Arms, Seals, and Emblems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http://www.heritage.[...]
[102]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Abridged]
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