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기군은 일본 미야기현에 위치한 군이다. 1878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 당시 시오가마시, 다가조시,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이즈미구 및 아오바구 대부분, 와카바야시구 일부를 관할했으며, 오우산맥에서 태평양에 이르는 동서로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1889년 정촌제 시행으로 2정 12촌이 발족했고, 이후 여러 차례의 시정촌 합병 및 분리를 거쳐 현재는 마쓰시마정, 시치가하마정, 리후정 3개 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야기현의 폐지된 군 - 구로카와군
구로카와군은 미야기현에 위치한 군으로, 센다이 도시권에 속하며 요시다 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 지대를 포함하고, 농업에서 기계 공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변화했으며, 현재 오사토정, 다이와정, 오히라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미야기현의 폐지된 군 - 가미군
가미군은 나라 시대에 처음 기록되었고, 에도 시대에 시카마군과 합쳐져 가미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878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하여 여러 차례의 변동을 거쳐 2003년 가미정으로 통합되었다. - 리쿠젠국의 군 - 구로카와군
구로카와군은 미야기현에 위치한 군으로, 센다이 도시권에 속하며 요시다 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 지대를 포함하고, 농업에서 기계 공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변화했으며, 현재 오사토정, 다이와정, 오히라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리쿠젠국의 군 - 게센군
게센군은 일본 이와테현에 존재했던 군으로, 고대 무쓰국 기센군에서 유래하여 센다이번 다테 씨의 영지였으나 메이지 시대 행정 구역 개편과 합병을 거쳐 소멸되었으며, 지명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다. - 미야기현의 군 - 구로카와군
구로카와군은 미야기현에 위치한 군으로, 센다이 도시권에 속하며 요시다 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 지대를 포함하고, 농업에서 기계 공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변화했으며, 현재 오사토정, 다이와정, 오히라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미야기현의 군 - 가미군
가미군은 나라 시대에 처음 기록되었고, 에도 시대에 시카마군과 합쳐져 가미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878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하여 여러 차례의 변동을 거쳐 2003년 가미정으로 통합되었다.
미야기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일본 미야기현 |
면적 | 134.58km² |
인구 | 65,888명 (2023년 10월 1일 기준) |
인구밀도 | 490명/km² |
행정 구역 | |
자치단체 | 마쓰시마정 시치가하마정 리후정 |
역사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미야기군 성립 |
2005년 2월 1일 | 나루세정이 히가시마쓰시마시에 편입 |
교통 | |
철도 | 도호쿠 본선 센세키 선 리쿠우토 선 |
기타 | |
지역 번호 | 022 |
2. 지리
1878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 당시의 미야기군은 시오가마시, 다가조시,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이즈미구 및 아오바구 대부분, 와카바야시구 일부에 해당한다. 1955년 센다이시 아오바구 일부가 나토리군에서 편입되었다. 미야기군은 오우산맥에서 태평양에 이르는 동서로 길쭉한 모양이었다.
1878년 10월 21일, 군구정촌 편제법이 미야기현에서 시행되면서 센다이성 조카마치 구역은 센다이구로 분리되고, 나머지 지역에 미야기군이 설치되었다.[6]
3. 역사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미야기군에는 2정 12촌이 발족하였다.[6]정/촌 현재 비고 하라노정 센다이시 시치고촌 센다이시 다카사고촌 센다이시 시치가하마촌 시치가하마정 우라토촌 시오가마시 마쓰시마촌 마쓰시마정 리후촌 리후정 시오가마정 시오가마시 다가조촌 다가조시 이와키리촌 센다이시 나나키타촌 센다이시 이즈미다케촌 센다이시 1897년 9월 7일 네노시로이시촌으로 개칭 오사와촌 센다이시 히로세촌 센다이시
1928년 1월 1일, 마쓰시마촌이 정제 시행으로 마쓰시마정이 되었다.[1] 1941년 11월 23일에는 시오가마정이 시제 시행으로 시오가마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했다.[1] 이후 여러 차례의 합병과 센다이시로의 편입을 거쳐, 1987년 11월 1일 미야기정이 센다이시에 편입되면서 미야기군은 마쓰시마정, 시치가하마정, 리후정의 3개 정만 남게 되었다.[1]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미야기군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2]
3. 1. 고대
미야기군은 5세기부터 마을이나 도시 지역이었다. 미야기군이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766년, 続日本紀|쇼쿠 니혼기|속일본기일본어에 기록되었다.[1] 고고학자들은 히로세 강과 나나키타 강 사이에 사방형 구획 경작지 흔적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미야기군이 8세기에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724년 무쓰국의 국부(国府)는 나토리군 코리야마 지역에서 다가(현재의 다가조)로 옮겨졌다. 다가의 성벽 너머로 주거 지역이 확장되었다. 785년 다가군과 가미군이 미야기군에서 분리되었지만, 나중에 다시 합쳐졌다.[1]
和名抄|와묘쇼|화명초일본어에 기록된 향의 수는 10개로, 오슈국에서는 시라카와군의 17개와 이와키군의 12개에 이어 많다.
; 헤이안 시대의 향[3]3. 2. 중세
가마쿠라 시대에도 다가는 국부(国府)가 존속했지만, 도시 중심지는 서쪽 이와키리 부근으로 옮겨진 것으로 생각된다. 1190년 이사와 이에카게는 오카와 카네토의 난 이후 질서 회복을 명령받은 무쓰국의 권대국가(무쓰국 권대국가)로 임명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다가 주변에 영지를 세우고 루스(Rusu)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권대"를 의미한다.[1]
14세기 남북조 시대에 다가는 남조와 북조 간 군사 작전의 대상이 되었다. 루스 가문은 다가가 위치한 군의 최북단을 점령했다. 루스 가문의 운명은 무쓰(오슈) 지방관들 사이의 싸움에 따라 쉽게 흔들렸다. 무쓰 지방관들은 중앙 정부나 쇼군에서 파견된 강력한 장군들이었다. 루스 가문 외에도 남조를 위해 끈질기게 싸운 오코치, 무쓰 국분사(국분사) 주변 영주인 고쿠분(Kokubun), 과거 무쓰 부국가 후손인 하치만 씨족 등 여러 사무라이 씨족이 군의 남부와 서부에 알려져 있었다.[1]
3. 3. 근세
남북조 시대에 다가는 남조와 북조 사이의 군사 작전의 대상이 되었다. 루스 가문은 다가가 위치한 군의 최북단을 점령했다. 루스 가문의 운명은 무쓰(오슈)의 지방관들 사이의 싸움에 따라 쉽게 흔들렸다.[1] 무쓰 지방관들은 중앙 정부 또는 쇼군에서 파견된 강력한 장군들이었다. 루스 가문 외에도 남조를 위해 끈질기게 싸운 오코치, 무쓰의 국분사(국분사) 주변 영주인 고쿠분 가문, 과거 무쓰 부국가의 후손인 하치만 씨족 등 여러 사무라이 씨족이 군의 남부와 서부에 알려져 있었다.
장기간의 전쟁으로 무쓰의 통일성과 국부의 기능이 깨졌다. 오사키 지방관이 떠난 후, 루스와 고쿠분 가문이 서로 다투면서 군의 지배가 분열되었다. 결국 다테 씨족의 영향력이 미야기군에 미치게 되었고, 다테 씨족은 자녀들을 가문의 장의 사위이자 후계자로 보냈다. 그러자 루스 마사카게와 고쿠분 모리시게는 다테 마사무네의 지휘관이 되어 도호쿠 지방에 대한 다테의 지배를 위해 많은 전투를 치렀다. 두 사람은 가문의 가신들을 달래기 위해 다테로부터 명목상의 독립만을 유지했다.
1590년 마사무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하자 루스 가문은 버려졌고, 고쿠분 가문은 다테 가문의 신하가 되었다. 미야기군은 다테 씨족의 영토가 되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직후, 마사무네는 미야기군에 센다이 성을 쌓고 거기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3. 4. 근대
1878년 10월 21일, 군구정촌 편제법이 미야기현에서 시행되면서 센다이성 조카마치 구역을 센다이구로 분리하고, 잔여 지역에 미야기군이 설치되었다.[6]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미야기군에는 2정 12촌이 발족하였다.[6]
정/촌 | 현재 | 비고 |
---|---|---|
하라노정 | 센다이시 | |
시치고촌 | 센다이시 | |
다카사고촌 | 센다이시 | |
시치가하마촌 | 시치가하마정 | |
우라토촌 | 시오가마시 | |
마쓰시마촌 | 마쓰시마정 | |
리후촌 | 리후정 | |
시오가마정 | 시오가마시 | |
다가조촌 | 다가조시 | |
이와키리촌 | 센다이시 | |
나나키타촌 | 센다이시 | |
이즈미다케촌 | 센다이시 | 1897년 9월 7일 네노시로이시촌으로 개칭 |
오사와촌 | 센다이시 | |
히로세촌 | 센다이시 |
메이지 정부는 1869년 무쓰국을 3개 부분으로 나누었고, 미야기군은 리쿠젠국의 일부가 되었다.
3. 5. 현대
1928년 1월 1일, 마쓰시마촌이 정제 시행으로 '''마쓰시마정'''이 되었다.[1] 1941년 11월 23일에는 시오가마정이 시제 시행으로 '''시오가마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했다.[1] 이후 여러 차례의 합병과 센다이시로의 편입을 거쳐, 1987년 11월 1일 미야기정이 센다이시에 편입되면서 미야기군은 마쓰시마정, 시치가하마정, 리후정의 3개 정만 남게 되었다.[1]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미야기군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2]
미야기군의 행정 구역 변천은 아래 표와 같다.
메이지 22년 이전 | 메이지 22년 4월 1일 | 메이지 22년 ~ 다이쇼 15년 | 쇼와 원년 ~ 쇼와 30년 | 쇼와 31년 ~ 쇼와 64년 | 헤이세이 원년 ~ 현재 | 현재 | ||||
---|---|---|---|---|---|---|---|---|---|---|
오다와라촌(小田原村) | 하라정(原町) | 하라정(原町) | 쇼와 3년 4월 1일 센다이시에 편입 | 센다이시 | 센다이시 | 센다이시 | ||||
니가타케촌(苦竹村) | ||||||||||
미나미메촌(南目村) | ||||||||||
미나미코이즈미촌(南小泉村) | 일부 | 시치고촌(七郷村) | 시치고촌(七郷村) | |||||||
일부 | 쇼와 3년 4월 1일 센다이시에 일부 편입 | 쇼와 16년 9월 15일 센다이시에 편입 | ||||||||
아라이촌(荒井村) | ||||||||||
이자이촌(伊在村) | ||||||||||
가스미메촌(霞目村) | ||||||||||
가마치촌(蒲町村) | ||||||||||
나가기죠촌(長喜城村) | ||||||||||
록쵸메촌(六丁目村) | ||||||||||
아라하마(荒浜) | ||||||||||
이와키리촌(岩切村) | 이와키리촌(岩切村) | 이와키리촌(岩切村) | 이와키리촌(岩切村) | |||||||
코즈루촌(小鶴村) | ||||||||||
쓰바메자와촌(燕沢村) | ||||||||||
쓰루야촌(鶴谷村) | ||||||||||
오카다촌(岡田村) | 타카사고촌(高砂村) | 타카사고촌(高砂村) | 타카사고촌(高砂村) | |||||||
가모촌(蒲生村) | ||||||||||
다고촌(田子村) | ||||||||||
나카노촌(中野村) | ||||||||||
후쿠무로촌(福室村) | ||||||||||
오오쿠라촌(大倉村) | 오사와촌(大沢村) | 오사와촌(大沢村) | 쇼와 30년 2월 1일 미야기촌(宮城村) | 미야기촌(宮城村) | 쇼와 38년 11월 3일 정으로 승격, 미야기정(宮城町) | 쇼와 62년 11월 1일 센다이시에 편입 | ||||
이모자와촌(芋沢村) | ||||||||||
쿠마가네촌(熊ヶ根村) | 히로세촌(広瀬村) | 히로세촌(広瀬村) | ||||||||
사쿠나미촌(作並村) | ||||||||||
카미아이코촌(上愛子村) | ||||||||||
시모아이코촌(下愛子村) | ||||||||||
고로쿠촌(郷六村) | ||||||||||
나토리군 나가후쿠로촌(名取郡長袋村) (일부) [3] | ||||||||||
나토리군 신카와촌(名取郡新川村) | 나토리군 아키우촌(名取郡秋保村) 일부 | 나토리군 아키우촌(名取郡秋保村) 일부 | 나토리군 아키우촌(名取郡秋保村) 일부 | 쇼와 30년 4월 1일 나토리군 아키우촌에서 편입(신카와) | ||||||
네가라이시촌(根白石村) | 이즈미다케촌(泉嶽村) | 메이지 30년 9월 7일 네가라이시촌(根白石村) | 네가라이시촌(根白石村) | 쇼와 30년 4월 10일 이즈미촌(泉村) | 쇼와 32년 8월 1일 정으로 승격, 이즈미정(泉町) | 쇼와 46년 11월 3일 시로 승격, 이즈미시(泉市) | 쇼와 63년 3월 1일 센다이시에 편입 | |||
코카쿠촌(小角村) | ||||||||||
미나미자와촌(実沢村) | ||||||||||
후쿠오카촌(福岡村) | ||||||||||
호쿠자와촌(朴沢村) | ||||||||||
니시나카타나카촌(西田中村) | ||||||||||
나나키타촌(七北田村) | 나나키타촌(七北田村) | 나나키타촌(七北田村) | 쇼와 6년 4월 1일 센다이시에 일부 편입 | |||||||
이치나사카촌(市名坂村) | ||||||||||
카미야가리촌(上谷刈村) | ||||||||||
노무라(野村) | ||||||||||
후루우치촌(古内村) | ||||||||||
마츠모리촌(松森村) | ||||||||||
아라마키촌(荒巻村) | 쇼와 6년 4월 1일 센다이시에 편입 | 센다이시 | ||||||||
키타네촌(北根村) | ||||||||||
시오가마촌(塩竈村) | 나나가하마촌(七ヶ浜村) | 나나가하마촌(七ヶ浜村) | 나나가하마촌(七ヶ浜村) | 쇼와 34년 1월 1일 정으로 승격, 시치가하마정(七ヶ浜町) | 시치가하마정(七ヶ浜町) | 시치가하마정(七ヶ浜町) | ||||
시오가마정(塩竈町) | 시오가마정(塩竈町) | 쇼와 16년 11월 23일 시로 승격, 시오가마시 | 시오가마시 | 시오가마시 | 시오가마시 | 시오가마시 | ||||
칸푸사와하마(寒風沢浜) | 우라토촌(浦戸村) | 우라토촌(浦戸村) | 우라토촌(浦戸村) | 쇼와 25년 4월 1일 시오가마시에 편입 | ||||||
이시하마(石浜) | ||||||||||
케이시마(桂島) | ||||||||||
노노시마(野々島) | ||||||||||
이치카와촌(市川村) | 타가조촌(多賀城村) | 타가조촌(多賀城村) | 쇼와 26년 7월 1일 정으로 승격, 타가조정(多賀城町) | 쇼와 46년 11월 3일 시로 승격, 다가조시 | 다가조시 | 다가조시 | ||||
우키시마촌(浮島村) | ||||||||||
오오다이촌(大代村) | ||||||||||
카사가미촌(笠神村) | ||||||||||
시모우마촌(下馬村) | ||||||||||
산노우촌(山王村) | ||||||||||
타카사키촌(高崎村) | ||||||||||
타카하시촌(高橋村) | ||||||||||
토메야촌(留谷村) | ||||||||||
나나미야촌(南宮村) | ||||||||||
신타촌(新田村) | ||||||||||
하치만촌(八幡村) | ||||||||||
히가시나카타나카촌(東田中村) | ||||||||||
마츠시마촌(松島村) | 마츠시마촌(松島村) | 마츠시마촌(松島村) | 쇼와 3년 1월 1일 정으로 승격, 마쓰시마정 | 마쓰시마정 | 마쓰시마정 | 마쓰시마정 | ||||
타카조혼고(高城本郷) | ||||||||||
이소자키촌(磯崎村) | ||||||||||
사쿠라와토촌(桜渡戸村) | ||||||||||
타케야촌(竹谷村) | ||||||||||
테타루촌(手樽村) | ||||||||||
네마와리촌(根廻村) | ||||||||||
하타야촌(幡谷村) | ||||||||||
하츠하라촌(初原村) | ||||||||||
키타코이즈미촌(北小泉村) | ||||||||||
리후혼고(利府本郷) | 리후촌(利府村) | 리후촌(利府村) | 리후촌(利府村) | 쇼와 42년 10월 1일 정으로 승격, 리후정 | 리후정 | 리후정 | ||||
리후모리고(利府森郷) | ||||||||||
이이도이촌(飯土井村) | ||||||||||
카스가촌(春日村) | ||||||||||
카세촌(加瀬村) | ||||||||||
카미야자와촌(神谷沢村) | ||||||||||
사와오토촌(沢乙村) | ||||||||||
스가야촌(菅谷村) | ||||||||||
아카누마촌(赤沼村) |
4. 행정 구역 변천
정촌제 시행 이후 미야기군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878년 10월 21일: 군구정촌 편제법이 미야기현에서 시행되면서 센다이성 조카마치 구역을 센다이구로 분리하고, 잔여 지역에 미야기군을 설치했다.
-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미야기군에 2정 12촌이 발족했다.
- 하라노정(原町)
- 시치고촌(七郷村)
- 다카사고촌(高砂村)
- 시치가하마촌(七ヶ浜村): 현 시치가하마정
- 우라토촌(浦戸村): 현 시오가마시
- 마쓰시마촌(松島村): 현 마쓰시마정
- 리후촌(利府村): 현 리후정
- 시오가마정: 현 시오가마시
- 다가조촌(多賀城村): 현 다가조시
- 이와키리촌(岩切村)
- 나나키타촌(七北田村)
- 이즈미다케촌(泉嶽村)
- 오사와촌(大沢村)
- 히로세촌(広瀬村)
- 1897년 9월 7일: 이즈미다케촌이 네노시로이시촌(根白石村)으로 개칭되었다.
- 1928년
- 1월 1일: 마쓰시마촌이 정제 시행으로 마쓰시마정(松島町)이 되었다. (3정 11촌)
- 4월 1일: 하라노정과 시치고촌 일부가 센다이시에 편입되었다. (2정 11촌)
- 1931년 4월 1일: 나나키타촌 일부가 센다이시에 편입되었다. (2정 11촌)
- 1938년 9월 1일: 다가조촌 일부가 시오가마정에 편입되었다.
- 1941년
- 9월 15일: 이와키리촌, 다카사고촌, 시치고촌이 센다이시에 편입되었다. (2정 8촌)
- 11월 23일: 시오가마정이 시제 시행으로 시오가마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하였다. (1정 8촌)
- 1950년 4월 1일: 우라토촌이 시오가마시에 편입되었다. (1정 7촌)
- 1951년 7월 1일: 다가조촌이 정제 시행으로 다가조정(多賀城町)이 되었다. (2정 6촌)
- 1955년
- 2월 1일: 오사와촌, 히로세촌이 합병하여 미야기촌(宮城村)이 발족하였다. (2정 5촌)
- 4월 1일: 미야기촌이 나토리군 아키우촌 일부를 편입하였다. (2정 5촌)
- 4월 10일: 나나키타촌, 네노시로이시촌이 합병하여 이즈미촌(泉村)이 발족하였다. (2정 4촌)
- 1957년 8월 1일: 이즈미촌이 정제 시행으로 이즈미정(泉町)이 되었다. (3정 3촌)
- 1959년 1월 1일: 시치가하마촌이 정제 시행으로 시치가하마정(七ヶ浜町)이 되었다. (4정 2촌)
- 1963년 11월 3일: 미야기촌이 정제 시행으로 미야기정(宮城町)이 되었다. (5정 1촌)
- 1967년 10월 1일: 리후촌이 정제 시행으로 리후정(利府町)이 되었다. (6정)
- 1971년 11월 3일 (4정)
- 이즈미정이 시제 시행으로 이즈미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하였다.
- 다가조정이 시제 시행으로 다가조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하였다.
- 1987년 11월 1일: 미야기정이 센다이시에 편입되었다. (3정)
이후, 현재(2023년 기준) 미야기군에는 마쓰시마정, 시치가하마정, 리후정 3정이 속해있다.
5. 역대 군수
참조
[1]
문서
Ōshū is another name of Mutsu
[2]
웹사이트
Photos: 10 Years Since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
[3]
문서
和名類聚抄郡郷里驛名考證
池邊彌
[4]
문서
仙台市町名一覧
[5]
서적
宮城県史
宮城県史編集委員会 (추정)
[6]
법령
宮城県令第8号
1889-02-09
[7]
문서
[8]
문서
宮城郡誌, 塩竈市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