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기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기정은 미야기현 중부에 위치했던 정으로, 히로세강 상·중류 지역에 해당하며 센다이시 서쪽에 인접해 있었다. 대부분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국도 48호선이 지나 센다이와 야마가타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 주요 지역으로는 아이코, 사쿠나미, 정의 등이 있었으며, 사쿠나미 온천과 정의 여래와 같은 명소가 있었다. 1955년 히로세촌과 오사와촌이 합병하여 미야기촌이 되었고, 1963년 정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센다이시와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아오바구의 일부가 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임업, 광업이 있었으며, 1960년대부터는 중소 공장이 많이 들어섰다. 교통으로는 JR 센잔선과 도호쿠 자동차도 센다이미야기 IC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오바구 (센다이시)의 역사 - 오사키하치만궁
오사키하치만궁은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가 창건한 것을 기원으로, 다테 마사무네가 현재 위치에 조영하고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돈도 축제와 레이타이사 등의 행사가 열린다. - 아오바구 (센다이시)의 역사 - 오사와촌 (미야기현)
오사와촌은 1889년 이모자와촌과 오쿠라촌의 합병으로 탄생하여 히로세강 유역에서 농업, 임업, 축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 활동을 펼쳤으나 1955년 미야기 정에 편입되어 소멸된 미야기현의 촌이다. - 미야기군 - 시오가마시
시오가마시는 미야기현 중앙부에 위치하며 마쓰시마만과 구릉지에 둘러싸여 있고, 주요 어항인 시오가마항을 중심으로 수산업이 발달하여 참치 어획과 어묵 생산으로 유명하지만, 최근에는 상업 침체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센엔 지역의 중심 도시이다. - 미야기군 - 나나키타촌
나나키타촌은 1889년 미야기현 미야기군에 발족하여 1955년 이즈미촌 발족과 함께 폐지된 일본의 촌이다. - 센다이시의 역사 - 독안룡 마사무네
1987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독안룡 마사무네》는 다테 마사무네의 생애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과 함께 역사 왜곡 논란 및 폭력성 비판이 있었으며, 한국 드라마 복수극 장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센다이시의 역사 - 다테씨
다테 씨는 무쓰국 다테군에서 유래하여 겐페이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지지를 받았으나, 메이지 시대에 화족으로 서임된 일본의 씨족이다.
| 미야기정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폐지일 | 1987년 11월 1일 |
| 폐지 이유 | 편입 합병 |
| 폐지 상세 | 미야기정 → 센다이시 |
| 현재의 자치체 | 센다이시 |
![]() | |
![]() | |
| 요미가나 | 미야기마치 |
| 자치체 명칭 | 미야기정 |
| 행정 구역 | 정 |
| 도도부현 | 미야기현 |
| 군 | 미야기군 |
| 코드 | 04405-9 |
| 면적 | 258.93 |
| 인구 | 29093 |
| 인구 출처 | 주민 기본 대장 |
| 인구 시점 | 1987년 10월 말 |
| 우편 번호 | 989-3125 |
| 소재지 | 미야기군 미야기정 시모아자 자 관음당 5번지 |
![]() | |
![]() | |
| 인접 자치체 | 미야기현 센다이시 이즈미시 나토리군아키우정 구로카와군오와정 가미군시키마정 야마가타현 오바나자와시 히가시네시 |
| 나무 | 미야기노하기 |
| 꽃 | 매화 |
| 상징 새 | 꿩 |
2. 지리
미야기정은 미야기현 중부, 미야기군 서부, 히로세강의 상류 및 중류 지역, 센다이시 서쪽에 위치했었다. 정역(町域)은 대부분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정사무소는 아이코에 있었다.[1]
1967년 당시 미야기정의 토지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지목 | 비율 (%) |
|---|---|
| 산림 원야 | 87.36 |
| 밭 | 2.41 |
| 논 | 2.35 |
| 채초지 | 1.44 |
| 택지 | 0.42 |
| 기타 | 6.02 |
2. 1. 지형
미야기현 중부, 미야기군 서부, 히로세강의 상류 및 중류 지역, 센다이시 서쪽에 인접해 있었다. 정역은 대부분 산림으로, 히로세강을 따라 단구와 지류를 따라 평지가 있었다. 하안 단구인 분지가 지류인 이모자와강 유역에 있어 논이 만들어졌다. 이에 필적하는 평지는 맞은편 아이코에 있었지만, 비옥하다고는 할 수 없는 지질이었다.강을 따라 국도 48호선(사쿠나미 가도, 세키야마 가도)이 동서로 지나 센다이와 야마가타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 히로세강 상류에 사쿠나미 온천이 있으며, 지류인 오쿠라강 유역에는 정의여래가 있어 방문하는 사람이 많았다.
- 산악 - 기타이즈미가타케(1253.1m), 가마쿠라산(520.0m)
- 하천 - 히로세강, 신카와강, 아오시타강, 오쿠라강, 이모자와강, 사이쇼강, 시라사와강
- 호소 - 오쿠라 호수, 겟산 연못, 사이카치 늪
| 지목 | 비율 (%) |
|---|---|
| 산림 원야 | 87.36 |
| 밭 | 2.41 |
| 논 | 2.35 |
| 채초지 | 1.44 |
| 택지 | 0.42 |
| 기타 | 6.02 |
2. 2. 인접 자치단체
2. 3. 토지 이용
미야기정은 미야기현 중부, 미야기군 서부, 히로세강의 상·중류 지역, 센다이시의 서쪽에 인접해 있었다. 정역은 대부분 산림으로, 히로세강을 따라 단구와 지류를 따라 평지가 있었다. 하안 단구인 분지가 지류인 이모자와강 유역에 있어, 논이 만들어졌다. 이에 필적하는 평지는 맞은편의 아이코에 있었지만, 비옥하다고는 할 수 없는 지질이었다.[1]히로세강 상류에 사쿠나미 온천이 있으며, 지류인 오쿠라강 유역에는 정의여래가 있어, 방문하는 사람이 많았다.[1]
1967년 당시 토지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1]
| 지목 | 비율 (%) |
|---|---|
| 산림 원야 | 87.36 |
| 밭 | 2.41 |
| 논 | 2.35 |
| 채초지 | 1.44 |
| 택지 | 0.42 |
| 기타 | 6.02 |
2. 4. 주요 지역
미야기현 중부, 미야기군 서부, 히로세강 상류 및 중류 지역에 위치했으며, 센다이시 서쪽에 인접했던 미야기정은 대부분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히로세강을 따라 단구와 지류를 따라 평지가 있었으며, 정사무소는 아이코에 위치하여 정 중심 시가지 역할을 했다. 국도 48호선이 동서로 지나가 센다이와 야마가타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1967년 토지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지목 | 비율 (%) |
|---|---|
| 산림 원야 | 87.36 |
| 밭 | 2.41 |
| 논 | 2.35 |
| 채초지 | 1.44 |
| 택지 | 0.42 |
| 기타 | 6.02 |
미야기정의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아이코(아이코추오, 시모아이코, 가미아이코): 센다이시 미야기 종합 지소(구 미야기정 정사무소) 및 센잔선 아이코역이 있던 중심지였다.
- 사쿠나미, 닛카: 사쿠나미 온천과 닛카 위스키 센다이 공장・미야기 협곡 증류소가 있다.
- 시라사와
- 구마가네
- 정의(센다이 방언: 조게, 표준어・공통어: 조기): 겐페이 전쟁 때 헤이케 일족의 땅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이호지(정의 여래)로 유명하다.
- 오쿠라: 오쿠라 댐 건설로 지구 일부가 수몰되었다.
- 요시나리, 미나미요시나리: 현도 센다이 북쪽 순환선을 따라 로드 사이드 점포가 많이 있다.
- 오치아이: 센잔선 리쿠젠오치아이역 주변은 미야기현 미야기 히로세 고등학교 개교 후 통학 이용객 증가로 상업・주택지가 발달하였다.
- 신카와: 1970년까지 하치모리 스키장이 있었고, 별장지도 분양되었다.[2]
- 오쿠니카와: 야마가타현 경계 부근으로, 목재 반출 거점이었다.
- 갓토카: 센다이시 갓토카 묘원과 갓토카 온수 풀이 있다.
- 구리우: 미야기정 시대 말 개발된 주택지로, 센다이 서부 도로를 통해 센다이시 도심부로 빠르게 이동 가능하다.
3. 역사
1955년 2월 1일, 정촌합병촉진법에 따라 히로세강 남쪽의 히로세촌과 북쪽의 오사와촌이 합병하여 미야기촌이 되었다. 촌의 이름은 군 이름을 딴 것이지만, 이전에 미야기촌이 군내 다른 지역을 제쳐두고 미야기라고 불린 적이나 군의 중심지가 미야기촌에 놓인 적은 없었다. 같은 해 4월 1일에는 나토리군 아키우촌으로부터 신카와강 유역의 신카와와 오쿠신카와를 넘겨받았다. 신카와강은 히로세강의 지류이므로, 이로써 히로세강 상·중류역이 거의 하나의 촌으로 묶였지만, 여전히 아키우촌에 속하는 곳도 일부 있었다. 촌사무소는 처음에는 오사와촌사무소를 사용했지만, 이듬해 5월 3일에 가미아이코의 자다이하라에 있는 신축 건물로 이전했다.
1963년에 정제를 시행하여 미야기정이 되었다. 센잔선 연선의 센다이시 교외로서 미야기정의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였다. 1969년에는 사쿠나미 지역에 닛카 위스키 센다이 공장이 완공되어 정의 산업의 기둥이 되었다. 그 당시에 닛카의 다케쓰루 마사타카의 요청을 받아, 미야기정은 새롭게 "닛카"라는 지명을 붙였다.
사무량이 늘어나 기존 읍사무소가 비좁아지자, 1979년 5월 28일에 신축 건물로 이전했다.
1975년 11월 3일, 정의 나무로 매화, 정의 꽃으로 미야기노하기, 정의 기타 생물로 참개구리가 선정되었다.
3. 1. 센다이시와의 합병
1987년 11월 1일에, 합병 추진파와 반대파의 격렬한 대립 속에서 센다이시와의 합병이 실시되었다. 이것은 정령지정도시를 목표로 하는 센다이시가 주변 시정촌에 협력하여 추진한 합병의 일환으로, 미야기 정 의회는 6월 15일에, 일본 공산당 의원을 제외한 다수로 합병하는 것을 결의했다.[3] 합병 반대파는 주민 투표를 청원했지만 의회에서 기각되었다. 이어서 의회의 리콜을 요구하는 6896명의 서명 (필요한 서명은 유권자의 3분의 1로 6570명)을 7월 29일에 제출했지만, 선거 관리 위원회는 전입한 지 얼마 안 된 정민의 서명 등 무효 411명분이 있어 78명 부족하다고 판정했다. 9월 18일에 7309명분을 재제출했고, 필요 수 6667명에 대해 7103명분의 서명이 인정되었다. 합병 추진파 의원은 이 서명에 이의를 제기하여 시간을 끌었고, 11월 1일 합병이 성립되었다. 정 의회가 소멸했기 때문에 리콜은 헛수고가 되었고, 미야기 정의 의원은 그대로 센다이시의 의원이 되었다.[3]센다이시에 합병된 후, 1989년에 센다이시가 정령지정도시로 이행하면서 구 미야기 정 지역은 아오바구의 일부가 되었다. 아오바구 면적의 86%를 차지하는[3] 광대한 구 미야기 정 지역은, 구 미야기 정 읍사무소 건물을 물려받은 아오바구청 미야기 종합지소가 관할하고 있다. 정령지정도시 이행 후, 급격한 택지 개발이 진행되면서 구 미야기 정 지역에 사는 인구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아오바구로부터의 분구가 종종 거론되지만, 2015년 현재 실현되지 않고 있다.
4. 행정
(소스에 행정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 내용 없음)
4. 1. 역대 촌장・정장
| 대 | 성명 | 취임 | 퇴임 | 임기 및 비고 |
|---|---|---|---|---|
| 초대 | 쇼지 쵸키치 | 1955년 3월 11일 | 1959년 3월 10일 | 1기 |
| 2대 | 하치야 토미시로 | 1959년 3월 11일 | 1963년 3월 10일 | 1기 |
| 3대 | 쇼지 쵸키치 | 1963년 3월 11일 | 1964년 11월 24일 | 1기 (통산 2기) |
| 4대 | 1964년 12월 27일 | 1968년 12월 26일 | 2기 (통산 3기) | |
| 5대 | 1968년 12월 27일 | 1972년 12월 26일 | 3기 (통산 4기) | |
| 6대 | 시라이시 케이쇼 | 1972년 12월 27일 | 1976년 7월 3일 | 1기 |
| 7대 | 쇼지 마모루 | 1976년 8월 22일 | 1980년 8월 21일 | 1기 |
| 8대 | 1980년 8월 22일 | 1984년 8월 21일 | 2기 | |
| 9대 | 1984년 8월 22일 | 1987년 10월 31일 | 3기, 센다이시로의 편입 합병에 따라 실직 |
5. 산업
20세기 중반까지 미야기정에서는 농업 종사자가 많았지만, 부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넓은 산림에서는 임업이 이루어졌고, 강을 따라 펼쳐진 평지에서는 논과 밭을 함께 경작하며 쌀, 밀, 콩, 채소 등을 재배했다. 히로세강은 깊은 계곡을 흘렀기 때문에, 용수는 주로 지류와 저수지에 의존했다. 오쿠라 댐 건설 이후에는 오쿠라강 하류 지역이 댐의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가마사와 광산에서는 사철과 티타늄을 채굴하고 정련했으며, 그 외 6곳에서는 아탄이 채굴되었다. 아탄 탄광은 1968년에 폐광되었다.
1960년대부터는 중소 공장들이 많이 들어섰다. 종업원 100명 이상의 대규모 공장으로는 닛카 위스키 센다이 공장(미야기쿄 증류소)과 시라스가 모나카 본점 미야기 공장이 있었다.
5. 1. 산업별 취업자 비율 변화
| 1960년 | 1970년 | 1980년 | |
|---|---|---|---|
| 제1차 산업 | 51.7 | 26.2 | 22.1 |
| 제2차 산업 | 31.3 | 26.7 | 42.0 |
| 제3차 산업 | 9.5 | 28.5 | 62.0 |
6. 교통
미야기정에는 JR 동일본 센잔선이 지난다.
일반 국도로는 국도 48호가 있으며, 센다이와 야마가타를 잇는 주요 도로이다. 고속도로는 도호쿠 자동차도가 지나며 센다이미야기 IC가 있다.
6. 1. 철도
JR 동일본 센잔선: 리쿠젠오치아이역 - 아야시역 - 리쿠젠시라사와역 - 구마가네역 - 니시센다이 하이랜드역 - 사쿠나미역 - 야쓰모리역 - 오쿠니카와역6. 2. 도로
7. 교육
| 학교 종류 | 학교 이름 |
|---|---|
| 초등학교 | 미야기정립 히로세 초등학교 |
| 초등학교 | 미야기정립 가미아이코 초등학교 |
| 초등학교 | 미야기정립 사쿠나미 초등학교 |
| 초등학교 | 미야기정립 오쿠라 초등학교 |
| 초등학교 | 미야기정립 오사와 초등학교 |
| 초등학교 | 미야기정립 가와마에 초등학교 |
| 초등학교 | 미야기정립 요시나리 초등학교 |
| 중학교 | 미야기 정립 히로세 중학교 |
| 중학교 | 미야기 정립 구마가네 중학교 |
| 중학교 | 미야기 정립 오사와 중학교 |
| 중학교 | 미야기 정립 오쿠라 중학교 |
| 중학교 | 미야기 정립 요시나리 중학교 |
| 고등학교 | 미야기현 미야기히로세고등학교 |
| 고등전문학교 | 센다이 전파 공업 고등전문학교 |
8. 명소
- 사쿠나미 온천
- 정의여래
- 니시센다이 하이랜드
참조
[1]
간행물
合併による人口の変遷
http://www.city.send[...]
仙台市
[2]
서적
仙台圏 分譲地と住宅の案内 平成19年7月1日現在
月刊"住まいの情報"姉妹誌(フルタプランニング 発行)
[3]
웹사이트
仙台市青葉区の西部は旧宮城県宮城郡宮城町…
https://kahoku.news/[...]
株式会社河北新報社
2022-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