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초 세르비아인의 독립 운동과 민족주의 고취를 배경으로 성립되었다. 1878년 베를린 회의를 통해 독립을 승인받았으며, 1882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승인 하에 왕국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동맹군에 점령당했다. 1918년 몬테네그로를 병합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면서 해체되었다. 오브레노비치 왕조와 카라조르제비치 왕조가 세르비아 왕국을 통치했으며, 주요 산업은 농업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 왕국 - 흑수단
    흑수단은 범세르비아주의를 내세우며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영토 통합을 목표로 활동한 세르비아의 비밀 결사 조직으로, 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세르비아 왕국 - 세르비아의 국가
    세르비아의 국가 "정의의 신이여"는 세르비아 왕국의 국가로 채택되어 세르비아 민족의 투쟁과 자유에 대한 염원, 슬라브 민족으로서의 연대 등을 상징하며 유고슬라비아 시기를 거쳐 2006년 세르비아의 공식 국가로 다시 확정되었다.
  • 역사 연표 - 보헤미아
    보헤미아는 중부 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보이족에서 유래되어 슬라브족의 정착과정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나치 독일 점령, 공산 정권 수립 등의 역사를 겪고 1993년 체코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 역사 연표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 유고슬라비아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 유고슬라비아 - 세르비아
    세르비아는 발칸반도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세르비아 혁명으로 독립한 후 유고슬라비아의 일원이었으나 해체 후 독립했으며, 코소보 문제와 EU 가입을 추진 중인 역사와 문화가 풍부한 다문화 국가이다.
세르비아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1914년 세르비아 왕국
1914년 세르비아 왕국
기본 정보
국명세르비아 왕국
로마자 표기Kraljevina Srbija
세르비아어 표기 (키릴 문자)Краљевина Србија
존속 기간1882년 3월 6일 ~ 1918년 12월 21일
이전 국가세르비아 공국
다음 국가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수도베오그라드
위치 좌표44°48′35″N 20°27′47″E
공용어세르비아어
종교정교회 (국교)
통화세르비아 디나르
현재 국가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코소보
데모님세르비아인, 세르브인
국가Боже правде
정치
정치 체제단일 의회 입헌군주제
국왕미란 1세 (1882년 ~ 1889년)
알렉산다르 1세 (1889년 ~ 1903년)
페타르 1세 (1903년 ~ 1918년)
총리밀란 피로차나츠 (1882년 ~ 1883년)
니콜라 파시치 (1912년 ~ 1918년)
입법부국민 의회
역사적 사건
공국 선포1882년 3월 6일
5월 쿠데타1903년 6월 10일
런던 조약1913년 5월 30일
부쿠레슈티 조약1913년 8월 10일
코르푸 선언1917년 7월 20일
포드고리차 의회1918년 11월 28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수립1918년 12월 21일
기타 정보
면적(정보 없음)
인구(정보 없음)
GDP(정보 없음)
HDI(정보 없음)
ISO 3166 코드(정보 없음)
국기 및 국장
세르비아 왕국 국기
국기
세르비아 왕국 국장
국장
점령
1915년 군사 총독부오스트리아-헝가리 군사 총독부
1915년 불가리아 점령불가리아 점령
참고

2. 역사

19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남슬라브인에 속하는 세르비아인들은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독립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 이들은 '대세르비아주의'를 내세우며 끊임없이 독립을 추구했다.[1]

1867년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 군대를 철수시키고 밀란 오브레노비치 4세(밀란 1세)를 세르비아 공작으로 추대했다. 1875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오스만 제국과 다시 전쟁을 벌였으나 패배했다. 그러나 범슬라브주의와 연대하고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 제국을 지원하여 오스만 제국과 싸운 결과, 1878년 산스테파노 조약베를린 회의를 통해 마침내 독립을 인정받았다.[1]

독립 이후 세르비아는 슬라브족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간섭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범슬라브주의와 범게르만주의가 충돌하는 등 국내 정세는 복잡했다. 1903년 알렉산다르 1세가 암살된 후 왕위에 오른 페타르 1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력 확장 정책과 유럽 열강들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인해 발칸 반도는 '화약고'와 같은 일촉즉발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190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강제 병합되고, 1914년에는 세르비아 대학생 가브릴로 프린치프가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를 암살하는 사라예보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세르비아는 초기에 오스트리아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지만, 1915년 불가리아가 동맹국 측에 가담하면서 전세가 불리해졌다. 결국 세르비아는 전 국토를 동맹군에게 점령당했다. 그러나 세르비아인들은 레지스탕스 조직을 결성하여 오스트리아군과 불가리아군에 저항하며 잃어버린 국토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

전쟁 이후 세르비아는 1920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을 성립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 나라는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41년 4월 추축국의 침공 직전까지 존속했다.

2. 1. 세르비아 공국 (1815년-1882년)

세르비아 공국은 1804년부터 1817년까지 지속된 세르비아 혁명의 결과로 발칸 지역에 등장한 국가였다. 오스만 제국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카라조르제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를 비롯한 혁명 지도자들은 수세기 동안 이어진 투르크 지배에서 세르비아를 해방시키는 목표를 달성했다.

초기 공국은 이전 벨그라드 파샬릭의 영토만 포함했지만, 1831년에서 1833년 사이에 동쪽, 남쪽,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공국 초기 인구는 약 85%가 세르비아인이었고 15%가 비세르비아인이었다. 비세르비아인 중 대부분은 블라흐인이었으며, 일부 투르크화된 알바니아계 무슬림도 있었다. 이들은 스메데레보, 클라도보, 추프리야에 거주하는 무슬림의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새로운 국가는 특히 1690년과 18세기에 걸쳐 일어난 세르비아 대이동(세르비아 대탈출) 이후 인구의 동질화를 목표로 했다. 이 이동은 특히 코소보 빌라예트를 비롯한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여러 지역에서 헝가리 왕국(합스부르크 군주국)으로 이주한 세르비아인들의 대규모 이동이었다. 그 결과, 1830년부터 1876년까지 세르비아 공국 영토에 거주하던 알바니아인 최대 15만 명이 추방되거나 이주한 것으로 추산된다.

1867년 오스만 제국군 주둔군이 공국에서 철수하면서 사실상의 독립을 확보했다.[2] 세르비아는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국제적인 완전한 승인을 획득하면서 남동쪽으로 영토를 더욱 확장했다.

1877년-1878년 확장 이후, 새로 편입된 지역(오늘날의 야블라니차 지방, 톱리차 지방, 니샤바 지방 일부)에서 약 49,000~130,000명의 알바니아인이 추방되었다(1877년-1878년 알바니아인 추방). 이들은 주로 코소보에 정착했다.[3][4][5] 이러한 사건들은 세르비아-알바니아 갈등의 시작을 알렸다.[6]

2. 2. 세르비아 왕국 성립과 발전 (1882년-1912년)

1877년부터 1878년까지 벌어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세르비아는 러시아 제국과 협력하여 오스만 제국과 싸웠고, 1878년 산스테파노 조약베를린 회의를 통해 완전한 독립을 인정받았다.[1] 독립 이후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간섭과 범슬라브주의, 범게르만주의의 갈등 속에서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1] 1882년,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승인 하에 왕정으로 전환하여 세르비아 왕국이 되었고, 밀란 오브레노비치 4세(밀란 1세)가 초대 국왕으로 즉위했다.[4]

1885년, 세르비아는 동루멜리아 자치주 병합 문제를 둘러싸고 불가리아와 전쟁(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을 벌였으나 패배하고, 이듬해 부쿠레슈티 조약을 체결했다.[4]

1903년, 세르비아에서는 군부 쿠데타(5월 쿠데타)가 발생하여 알렉산다르 1세와 드라가 마신 왕비가 암살되고,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단절되었다.[4] 이후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페타르 1세가 즉위하면서, 세르비아는 친 오스트리아 정책에서 벗어나 러시아 및 주변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정책으로 전환했다.[4] 그 결과, 1906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관세 전쟁인 "돼지 전쟁"이 발생하여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다.[4]

2. 3. 발칸 전쟁과 영토 확장 (1912년-1913년)

1912년 3월, 세르비아는 러시아의 중재로 불가리아와 동맹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는 마케도니아를 정복하고 분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7] 5월에는 세르비아-그리스 동맹이, 10월에는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동맹이 체결되었다.[7] 이로써 세르비아는 불가리아, 몬테네그로, 그리스와 함께 발칸 동맹을 결성했다.

발칸 동맹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하여 제1차 발칸 전쟁을 일으켰다.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와 함께 프리슈티나노비파자르를 점령했다. 쿠마노보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를 격파하고 스코페와 코소보 비라예트 전체를 점령했다.[8] 메토히야 지역은 몬테네그로가 점령했고, 비톨라오흐리드에서 세르비아군은 그리스군과 만났다.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런던 조약을 통해 코소보와 마케도니아 북서부 영토는 세르비아의 영토로,[11] 메토히야 북부는 몬테네그로의 영토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영토 분할을 둘러싸고 발칸 동맹 회원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제2차 발칸 전쟁이 발발했다. 세르비아는 그리스, 루마니아, 오스만 제국, 몬테네그로와 함께 불가리아에 맞서 싸웠다.

1913년 부쿠레슈티 조약을 통해 최종 국경이 확정되었다. 세르비아는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 지역을 차지했지만, 알바니아 공국의 성립으로 아드리아해 진출이 좌절되어 내륙국으로 남게 되었다.

발칸 전쟁의 결과, 세르비아의 인구는 290만 명에서 450만 명으로, 영토는 81% 증가했다.

1913년 세르비아 왕국의 영토 확장


1913년, 제1차 발칸 전쟁 종결 후. 런던 조약에 따라 알바니아의 독립이 승인됨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의 통합 (1914년-1918년)

1914년 사라예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암살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14] 이 사건의 배후에는 세르비아 비밀 장교 조직인 흑수단이 있었다. 암살자들은 세르비아 민간인과 군 장교들의 지원을 받아 이동 수단을 제공받고 숨어 지냈으며, 세르비아 군인들은 암살자들을 훈련시키고 격려하며 무기, 지도 및 기타 정보를 제공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했고, 세르비아는 초기에 오스트리아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그러나 1915년 불가리아 왕국이 참전하면서 전세가 기울어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 불가리아 왕국 군대의 연합 침공으로 점령당했다. 세르비아 군대 13만 5천 명은 알바니아를 통해 그리스의 코르푸 섬으로 후송되었고, 1916년 봄 살로니카 전선의 일부가 되었다. 1916년에는 몬테네그로 왕국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정복당했다. 세르비아는 레지스탕스 조직을 통해 저항을 이어갔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는 전쟁 전 인구의 28%를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1918년 전쟁이 끝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자, 세르비아는 포드고리차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 왕국을 병합했다.[16][17] 그리고 1918년 12월 1일, 새로 건국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와 통합하여 새로운 남슬라브 국가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을 형성했다.[18] 1921년 8월 알렉산다르 1세가 왕위에 오르면서 새로운 국가는 세르비아 왕가의 통치를 계속 받았다.

3. 정치

세르비아 왕국의 정치는 입헌군주제를 기반으로 오브레노비치 왕조와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두 왕조가 경쟁했다. 1888년 사바 그루이치와 니콜라 파시치가 이끄는 인민급진당이 집권하여 벨기에 헌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헌법을 제정했다.[19] 그러나 1894년 알렉산다르 1세는 이 헌법을 폐지했다.

1903년 5월,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드라가 왕비가 왕궁에서 암살당하면서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멸망했다. 이후 스쿠프시티나는 페타르 1세를 왕으로 추대했고, 군부 비밀결사대 흑수단이 배후에서 활동하는 입헌군주제가 수립되었다.

3. 1. 외교 관계

세르비아 왕국은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에서 복잡한 외교 정책을 펼쳤다. 초기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았지만, 인접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점령하에 놓였다. 이로 인해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접근하게 되었고,[20] 1882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승인 하에 왕정으로 전환했다.

1903년 알렉산다르 1세가 암살당하고 페타르 1세가 즉위하면서, 세르비아는 외교 정책을 전환하여 러시아 제국불가리아 왕국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이후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몰락하고 카라조르제비치 왕조가 들어서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와의 전통적인 우호 관계는 종식되었다.

1906년부터 1909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돼지 전쟁으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세르비아가 1904년 불가리아와 친선 조약 및 관세 동맹을 체결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관세 전쟁을 시작했다.

1908년 보스니아 위기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세르비아 간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하면서, 세르비아의 영토 확장 희망은 좌절되었다. 이 위기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세르비아는 발칸 동맹의 일원으로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다.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와 함께 프리슈티나노비파자르를 정복하고, 쿠마노보 전투에서 승리하여 스코페와 코소보 비라예트 전체를 점령했다. 1913년 런던 조약으로 코소보와 마케도니아 북서부 영토는 세르비아의 영토로, 메토히야 북부는 몬테네그로의 영토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11][12] 그러나 제2차 발칸 전쟁에서 세르비아는 마케도니아 영토 분할을 둘러싸고 불가리아와 갈등을 빚었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은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세르비아 간의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올렸고, 결국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4. 행정 구역

1890년, 세르비아 왕국은 15개의 구(오크루지, okruzi)로 나뉘었고, 각 구는 다시 군(스레조비, srezovi)으로 세분되었다. 베오그라드와 니슈는 특별 행정구역을 가졌다.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승리한 후, 세르비아는 1912년과 1913년에 걸쳐 영토를 확장하고 11개의 새로운 구를 신설했다. 1913년 11월 29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빼앗은 알바니아 영토 일부에 드라치현이 설립되었다. 드라치현에는 드라치, 례시, 엘바산, 티라나의 4개 군(срез)이 있었다.[9][10]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코소보마케도니아 북서부 영토는 국제적으로 세르비아의 일부로 인정되었고,[11] 메토히야 북부는 1913년 5월 런던 조약에 따라 몬테네그로의 일부로 인정되었다.[12]

5. 경제

세르비아는 서유럽과 중앙유럽을 중동과 연결하는 여러 무역로의 지리적 경로상에 있었다. 모라바 계곡은 중앙유럽과 그리스, 콘스탄티노플을 연결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육상 루트였다. 19세기에는 이러한 연결을 위한 교통 개선 노력이 이루어졌다.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가 새로운 영토를 얻도록 도왔지만, 세르비아에게 새로운 협약에 서명하도록 조건을 달았다. 이 협약은 세르비아가 베오그라드에서 브라녜와 터키 및 불가리아 국경까지 철도를 3년 안에 건설하도록 의무화했다. 또한 세르비아는 상업 계약을 체결하고 데르다프에서 규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의무도 부과받았다. 세르비아 정부는 협약 선포에 관한 법률을 채택하여 이 조약을 승인했다. 그 결과, 세르비아 철도가 1881년에 설립되었고, 베오그라드-니슈 철도 노선의 정기 운행은 1884년에 시작되었다.[21]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축산업이었으며, 특히 수출용 돼지 사육이 성행했다.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 지도자인 카라조르제 페트로비치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도 원래 돼지 거래 상인이었다. 이는 돼지 거래 상인들에게 자본이 축적되고, 이들이 지역 명망가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공국·왕국 시대를 통틀어 산업화는 진전되지 않았다. 돼지 전쟁 시대에 새로운 판로 개척이나 식육 가공업 발달 등이 있었지만, 공산품은 다른 나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했다.

6. 문화

세르비아 왕국은 1911년 1911년 국제 예술 전람회에 참가하여 세르비아관을 통해 마르코 무라트, 이반 메스트로비치, 조르제 요바노비치 등 여러 예술가들의 작품을 선보였다.[22]

7. 역대 군주

세르비아 왕국은 오브레노비치 왕가와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라는 두 왕조가 통치했다.


  • 오브레노비치 왕조는 제2차 세르비아 봉기의 지도자였던 밀로시 오브레노비치의 일족이다.
  •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제1차 세르비아 봉기의 지도자였던 죠르제 페트로비치의 일족이다.


밀란 1세는 새로운 헌법 제정, 전쟁 패배, 인민급진당의 압도적인 선거 승리로 인해 퇴위했다.[19] 그의 아들 알렉산다르 1세는 1893년 왕위에 올랐고, 1894년 헌법을 폐지했다.[19]

7. 1. 오브레노비치 왕가

오브레노비치 왕가와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세르비아 왕국의 경쟁 왕조였다. 밀란 오브레노비치 국왕(밀란 오브레노비치)은 1882년 3월 6일부터 1889년 3월 6일까지 통치하다 퇴위했다.[19]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가 1889년 3월 6일부터 1903년 6월 11일까지 통치했으나, 장교들의 쿠데타로 살해당했다.[19] 국왕과 드라가 왕비 부부의 살해는 흑수단에 의해 자행되었고, 유럽에 충격을 주었다.[19]

7. 2. 카라조르제비치 왕가

1903년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 국왕과 드라가 왕비 부부가 흑수단에 의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터키로부터 세르비아인들을 해방시킨 카라조르제의 후손들이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19]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는 처음에는 쿠데타에 혐오감을 느껴 왕위에 오르는 것을 망설였으나, 결국 1903년 6월 15일 왕위에 올라 1918년 12월 1일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이 선포될 때까지 세르비아 왕국을 통치하였다.

1904년 9월 21일 대관식 후의 페타르 1세

참조

[1] 서적 Minorities in the Balkans: state policy and interethnic relations (1804–2004): Les minorites dans les Balkans Balkanološki institut SANU
[2] 웹사이트 The Republics of the Former Yugoslavia: Independent States or Yugoslav People? http://globalanalyst[...] 2010-01-10
[3] 웹사이트 U tradiciji nacionalizma ili stereotipi srpskih intelektualaca XX veka o "nama" i "drugima" https://www.helsinki[...] Helsinški odbor za ljudska prava u Srbiji
[4] 서적 Using secondary sources, we establish that there have been Albanians living in the area of Nish for at least 500 years, that the Ottoman Empire controlled the area from the four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which led to many Albanians converting to Islam, that the Muslim Albanians of Nish were forced to leave in 1878, and that at that time most of these Nishan Albanians migrated south into Kosovo, although some went to Skopje in Macedonia.
[5] 서적 The Serbian-Ottoman wars 1877/1878, followed mass and forceful movements of Albanians from their native territories. By the end of 1878 there were 60,000 Albanian refugees in Macedonia and 60,000–70,000 in the villayet of Kosova. At the 1878 Congress of Berlin, the Albanian territories of Niš, Prokuple, Kuršumlia, Vranje and Leskovac were given to Serbia.
[6] 서적 Despite some voices of dissent, the Serbian regime 'encouraged' about 71,000 Muslims, including 49,000 Albanians, 'to leave'. The regime then gradually settled Serbs and Montenegrins in these territories. Prior to 1878, the Serbs comprised not more than one half of the population of Nis, the largest city in the region; by 1884 the Serbian share rose to 80 per cent. (..) The 1878 cleansing was a turning point because it was the first gross and large-scale injustice committed by Serbian forces against the Albanians. From that point onward, both ethnic groups had recent experiences of massive victimization that could be used to justify 'revenge' attacks. Furthermore, Muslim Albanians had every reason to resist the incorporation into the Serbian state.
[7] 서적 The Balkans: Revolution, War, and Political Violence Since 187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5-04
[8] 뉴스 Is Kosovo Serbia? We ask a historian https://www.theguard[...] 2008-02-26
[9] 서적 Knjiga o Kosovu: razgovori o Kosovu https://books.google[...] Književne novine 2011-08-02
[10] 웹사이트 Heterogenost stanovništva determinanta složenosti rešenja političkog statusa albanskog prostora (Heterogeneity of the population as determinant of the complexity of solving the political status of the Albania) http://www.rastko.rs[...]
[11] 웹사이트 (HIS,P) Treaty of Peace between Greece, Bulgaria, Montenegro, Serbia on the one part and Turkey on the other part. (London) May 17/30, 1913 http://www.zum.de/ps[...] 2018-05-04
[12] 웹사이트 The Treaty of London, 1913. http://www.mtholyoke[...] 2018-05-04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5-04
[14] 서적 The First World War Volume 1: To Arms Oxford University Press
[15] 학술지 125 years' of the Serbian Medical Society 1998-09
[16] 웹사이트 Montenegrins' Effort to Prevent Annexation of Their Country to Serbia https://timesmachine[...] 2018-05-04
[17] 웹사이트 Serbs wipe out royalist party in Montenegro http://www.montenegr[...]
[18] 서적 The Balkan Wars, 1912–1913: Prelude to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5-04
[19] 학술지 ANTISEMITIZAM U JUGOSLAVIJI (1918—1945) 1981
[20] 학술지 Austria-Hungary's "Civilizing Mission" in the Balkans A View from Belgrade (1903–1914) 2017
[21] 웹사이트 History of Serbian railways http://serbianrailwa[...] 2018-10-26
[22] 학술지 Kosovske teme paviljona Kraljevine Srbije na međunarodnoj izložbi u Rimu 1911. godine 2009
[23] 서적 Minorities in the Balkans: state policy and interethnic relations (1804–2004): Les minorites dans les Balkans Balkanološki institut SAN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