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1립계, 2립계, 보통계로 분류된다. 1립계에는 외알밀 등이 속하며, 2립계에는 듀럼밀, 엠머밀 등이 있다. 보통계에는 밀, 스펠트밀 등이 있으며, 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되는 종류이다. 밀은 빵, 국수, 과자 등 다양한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며, 밀기울은 가축의 사료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 - 세몰리나
    세몰리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주로 듀럼 밀을 거칠게 갈아 만든 곡물 가루를 의미하며, 굵기에 따라 파스타, 쿠스쿠스, 푸딩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밀 - 스펠트밀
    스펠트밀은 빵 밀, 엠머 밀과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밀의 한 종류로, 과거 유럽에서 널리 재배되었으나 빵 밀로 대체되었다가 유기농법 확산으로 다시 인기를 얻고 있으며, 글루텐 함량이 높고 영양가가 풍부한 곡물이다.
  • 식용작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식용작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보리족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보리족 - 개밀
    개밀은 벼과 에조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며 보랏빛 꽃이 피고, 푸른개밀과 유사하나 흰색을 띠며 건조 시 까끄라기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학명Triticum
학명 명명L.
모식종 (T. aestivum L.)
분류학적 정보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아과포아풀아과
보리족
아족밀아족
하위 분류
하위 링크
하위본문
그림Les Plantes Cultivades. Cereals. Imatge 1821.jpg
그림 설명 (T. aestivum)

2. 하위 분류

밀속은 크게 1립계, 2립계, 보통계로 나뉜다. 1립계는 낱알이 작고 껍질이 얇으며, 2립계는 1립계보다 낱알이 크고 껍질이 두껍다. 보통계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되는 종류이다. 각 계에는 다음과 같은 종이 속한다.

2. 1. 1립계(Monococcon)


  • 외알밀 ''T. monococcum'' L.
  • * ''T. monococcum'' subsp. ''aegilopoides'' (Link) Thell.
  • * ''T. monococcum'' subsp. ''sinskajae'' (Filat. & Kurkiev) Valdés & H. Scholz
  • ''T. boeoticum'' Boiss.
  • ''T. urartu'' Tumanian ex Gandilyan

2. 2. 2립계(Dicoccoidea)

2립계 밀은 1립계 밀보다 낱알이 크고 껍질이 두꺼운 특징을 가진다. 2립계(디코코이데스절, sect. ''Dicoccoidea'')에는 다음 종이 속한다.

  • 듀럼밀 ''T. durum'' Desf.
  • ''T. carthlicum'' Nevski
  • Emmer|엠머밀영어 ''T. dicoccoides'' (Körn. ex Asch. & Graebn.) Schweinf.
  • Emmer|엠머밀영어 ''T. dicoccum'' (Schrank) Schübl.
  • ''T.'' × ''fungicidum'' Zhuk.
  • ''T. ispahanicum'' Heslot
  • ''T.'' × ''petropavlovskyi'' Udachin & Migush.
  • ''T. polonicum'' L.
  • ''T. timopheevii'' (Zhuk.) Zhuk.
  • * ''T. timopheevii'' subsp. ''armeniacum'' (Jakubz.) Slageren
  • ''T. turanicum'' Jakubz.
  • ''T. turgidum'' L.
  • * ''T. turgidum'' subsp. ''palaeocolchicum'' Á. Löve & D. Löve

2. 3. 보통계(Triticum)

보통계 밀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되는 밀 종류로, 제빵 적성이 우수하다. 보통계 밀에는 다음 종류가 있다.

  • ''T. aestivum'' L.

:** ''T. aestivum'' subsp. ''tibeticum'' J. Z. Shao

:** ''T. aestivum'' subsp. ''yunnanense'' King ex S. L. Chen

  • 스펠트밀 ''T. spelta'' (L.) Thell.
  • ''T. compactum'' Host
  • ''T. macha'' Dekapr. & Menabde
  • ''T. sphaerococcum'' Percival
  • ''T. vavilovii'' Jakubz.
  • ''T. zhukovskyi'' Menabde & Eritzjan

3. 쓰임새

밀은 다양한 종류만큼이나 그 쓰임새도 다양하다. 특히, 우리가 빵이나 면으로 흔히 먹는 밀은 보통계 밀(T. aestivum)이다. 밀은 한국인의 식탁에서 쌀 다음으로 중요한 곡물이며, 제분되어 빵, 국수, 과자 등 다양한 식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밀기울은 가축의 사료로도 이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