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르벨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벨로는 영지주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존재로, 주로 나그 함마디 문서와 같은 고대 문서에서 언급된다. 나그 함마디 문서에서는 '첫 번째 권능'으로 묘사되며, 신성한 영역에서의 창조 행위에 참여한다. 피스티스 소피아에서는 신들 중 하나로, 예수와도 관련된다. 교부들의 문헌에서는 영지주의자들의 신앙에서 바르벨로의 역할과 중요성이 언급되며, 다양한 어원 해석이 존재한다. 바르벨로의 중요성은 신성의 매개적 측면 또는 추상화, 그리고 그녀의 양성성과 이름 자체에 반영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지주의 - 데미우르고스
    데미우르고스는 그리스어로 장인을 의미하며, 플라톤 철학에서 물질 세계를 창조한 선량한 존재를 지칭하며, 유대교, 기독교, 영지주의, 신플라톤주의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영지주의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개종
    개종은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또는 무신론으로 신념을 바꾸는 행위이며, 종교에 따라 개종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개인의 신념 변화,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될 수 있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바르벨로
바르벨로
일반 정보
바르벨로의 상징
바르벨로의 상징
다른 이름프로노이아
어머니-아버지
삼중 남성
영원한 아이온
처녀
관련 종교영지주의
성별여성
신화 속 역할
역할최초의 아이온
보이지 않는 아버지의 첫 번째 생각
신성한 여성 원리
지혜의 현현
빛의 어머니
모든 것의 어머니
생명의 어머니
가족 관계
부모보이지 않는 아버지
배우자없음 (스스로 잉태)
자녀자생자 그리스도
완전한 아이온
숭배
숭배 형태묵상
기도
신비 의식
상징
상징
지혜
처녀성
완전함
생명

2. 바르벨로의 본질

바르벨로는 영지주의에서 중요한 여성적 원리로, 그 본질은 나그 함마디 문서와 피스티스 소피아, 그리고 교부들의 문헌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 문헌에서 바르벨로는 신의 첫 번째 발현, 혹은 신과 협력하는 존재 등으로 묘사되는데, 그 역할과 위상은 문헌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1]

바르벨로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네 분 안에 계신 신', '최고의 경계', '혼합' 또는 '혼란'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제시되었으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2. 1. 나그 함마디 문서

요한의 계시록에 나오는 글인 나그 함마디 문서에 있는 파편으로, 세스교 창조 신화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글에서 바르벨로는 "첫 번째 권능, 영광, 바르벨로, 시대의 완전한 영광, 계시의 영광"으로 묘사된다. 신성한 영역 내에서의 모든 후속 창조 행위(소피아를 제외)는 그녀가 하느님과 함께 협력하여 일어난다. 이 텍스트는 그녀를 이렇게 묘사한다.[1]

이것은 첫 번째 생각, 그의 형상이다. 그녀는 모든 것의 자궁이 되었다. 왜냐하면 그녀는 그들 모두보다 앞섰기 때문이다. 어머니-아버지(안트로포스), 거룩한 영, 세 번 남성, 세 번 강력한, 세 번 이름이 불린 양성적인 존재, 보이지 않는 자들 중 영원한 시대, 그리고 가장 먼저 나타난 자.


바르벨로는 다른 나그 함마디 문서에서도 발견된다.[1]

  • 알로게네스는 바르벨로인 이중의 강력한 보이지 않는 영, 남성적 여성 처녀에 대해 언급한다.[1]
  • ''위대한 보이지 않는 영의 성서''는 '어머니'라고 불리는 신성한 화현에 대해 언급하며, 그녀는 또한 바르벨로로 확인된다.[1]
  • ''마르사네스''—여러 곳에서.[1]
  • ''멜기세덱''—두 번, 두 번째는 멜기세덱의 기도에서: "거룩하시고, 거룩하시고, 거룩하소서, 시대의 어머니, 바르벨로여, 영원히, 아멘."[1]
  • ''세스의 세 개의 석비''는 "보이지 않는 아버지의 첫 번째 영광, 남성적 처녀 바르벨로, '완전한 자'라고 불리는 첫 번째 시대"에 대한 묘사를 제공한다.[1]
  • ''트리모르픽 프로테노이아''('세 가지 형태의 첫 번째 생각')는 심지어 1인칭으로도: "그는 모든 시대의 아버지, 나, 아버지의 생각, 프로테노이아, 즉 바르벨로, 완전한 영광, 그리고 숨겨진 측량할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자를 영속시켰다. 나는 보이지 않는 영의 형상이며, 나를 통해 모든 것이 형상을 갖추게 되었고, (나는) 어머니이자 처녀로 임명된 빛, 즉 '메이로테아', 이해할 수 없는 자궁, 억제할 수 없고 측량할 수 없는 목소리라고 불린다."[1]
  • ''조스트리아노스''—시대 바르벨로는 여러 곳에서 언급된다.[1]


조스트리아노스에서 바르벨로는 세 가지 개별 단계를 나타내는 세 개의 하위 레벨 또는 하위 시대를 갖는다.[1]

\# 칼립토스 ("숨겨진 자"), 바르벨로 시대 내의 첫 번째이자 가장 높은 하위 시대, 바르벨로 시대의 초기 잠재성 또는 잠재적 존재를 나타낸다.[1]

\# 프로토파네스 ("처음 나타난 자"), 두 번째로 높은 하위 시대는 위대한 완전한 남성적 마음이라고 불리며 바르벨로 시대의 초기 현현을 나타낸다.[1]

\# 오토게네스 ("자기 생성"), 바르벨로 시대의 자기 생성적 실현으로 세 개의 하위 시대 중 가장 낮다.[1]

2. 2. 피스티스 소피아

피스티스 소피아에서 바르벨로는 자주 언급되지만, 그 위치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다. 바르벨로는 신들 중 하나이며(359쪽)[1], "보이지 않는 신의 위대한 권능"(373쪽)이자 그분과 세 명의 "세 배 강력한 신들"(379쪽)과 함께하며, 피스티스 소피아(361쪽)와 다른 존재들(49쪽)의 어머니이다. 예수는 그녀로부터 그의 "빛의 옷" 또는 천상의 몸을 받았다(13, 128; cf. 116, 121). 지구는 "바르벨로의 물질"(128쪽) 또는 "바르벨로의 장소"(373쪽)이다.

2. 3. 교부들의 문헌

이레네우스는 바르벨로를 "처녀의 영으로 늙지 않는 영원"으로 모호하게 묘사한다. 일부 "영지주의자"에 따르면, 형언할 수 없는 아버지께서 자신을 드러내고 싶어 하셨고, 그분에게서 사고와 생명을 표현하는 네 존재가 차례로 나왔을 때, 바르벨로는 그 광경에 기뻐하며 스스로 세(또는 네) 다른 존재들을 낳았다고 한다.[1]

에피파니우스는 여러 구절에서 바르벨로를 언급하는데, 부분적으로 히폴리투스의 개요를 따르고 있으며, 이는 필라스트리우스 (c. 33)와의 비교를 통해 나타난다. 특히 "영지주의자" (i. 100 ff.)라고 불리는 오피트 종파에 대한 개인적인 지식에서 바르벨로에 대해 말하고 있다. 첫 번째 구절은 니골라당에 관한 기사 (i. 77 ff.)에 있지만, 그들의 alleged 후손 "영지주의자" (77 A; Philast.)에 대한 예상 참조이다. 에피파니우스에 따르면, 바르벨로는 "여덟 번째 하늘" 위에 살고 있으며, '아버지에게서' 나왔다(προβεβλῆσθαι). 그녀는 야르다바오트(일부는 사바오트)의 어머니였는데, 그는 오만하게 일곱 번째 하늘을 차지하고 자신을 유일한 신이라고 선포했으며, 바르벨로는 이 말을 듣고 슬퍼했다고 한다. 바르벨로는 항상 아르콘들에게 아름다운 모습으로 나타나 그들을 속여 자신의 흩어진 힘을 모으려고 했다.[1]

에피파니우스는 더 나아가 다른 사람들이 프루니코스에 대해 야르다바오트 대신 칼라우카오를 대입하는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고 말한다(78 ff.). "영지주의자" 또는 보르보리테스 (83 C D)에 관한 그의 다음 기사에서 바르벨로의 흩어진 힘의 회복이라는 생각은 노리아의 책, 노아의 전설적인 아내에서 제시된 것처럼 되풀이된다.[1]

에피파니우스는 두 곳에서 이 교리가 성적 방종을 낳았다고 묘사한다.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바르벨로와 관련된 이러한 보르보리테 신념과 관행을 탄트라 의례 및 신념과 비교하여, 두 시스템 모두 성애적인 기쁨과 월경혈과 정액소비를 통해 원시적 영적 통일성을 얻는다는 공통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했다.[1]

세 번째 구절(91 ff.)에서 에피파니우스는 각 하늘에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하는 아르콘들을 열거하면서, 여덟 번째 또는 가장 높은 하늘의 거주자로 "바르벨로라고 불리는 그녀"와 모든 것의 자가 성별 아버지와 주님, 그리고 처녀 잉태된(αὐτολόχευτον) 그리스도 (분명히 그녀의 아들로,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그녀의 첫 번째 자손인 "빛"은 그리스도라고 불렸기 때문)를 언급한다. 그리고 그는 영혼들이 다른 하늘을 통과하여 "바르베로 또는 바르벨로, 살아있는 자들의 어머니"가 있는 상위 지역에서 어떻게 종결되는지를 말한다.[1]

테오도레트(''H. F.'' f. 13)는 이레네우스를 에피파니우스의 몇 마디 말과 함께 단순히 의역한다. 제롬은 여러 번 스페인 이단, 즉 프리스킬리아누스 사이에서 유행하는 징조적인 이름 목록에 ''바르벨로''를 포함하며, ''Balsamus''와 ''Leusibora''가 세 번이나 함께 언급된다.[1]

3. 바르벨로의 중요성

그노시스주의에서 신을 설명할 때 난해함, 정지, 표현 불가 등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바르벨로의 현현은 신성의 매개적이고 생성적인 측면, 또는 그 충만함을 통한 신성 생성 측면의 추상화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가장 초월적이고 숨겨진 보이지 않는 영은 창조에 직접 참여하는 것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이러한 중요성은 바르벨로의 외견상 양성성(여러 별칭으로 강화됨)과 '바르벨로'라는 이름 자체에 반영되어 있다. 바르벨로(Βαρβηλώ, Βαρβηρώ, Βαρβηλώθ)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어원이 제시되었다.

어원설명제안자 및 관련 자료
Barba-Elo네 분 안에 계신 신을 의미하며, 테트라드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윌리엄 위건 하비 (이레네우스에 관하여), 리하르트 아델베르트 립시우스 (그노시시즘, p. 115; Hilgenfeld의 Zeitschrift 1863년, p. 445의 Ophit. Syst.)
paravela최고의 경계를 의미하며, 발렌티누스파Horos와 연결된다고 본다.율리우스 그릴 (Das vierte Evangeliums, Tübingen, 1902, pp. 396–397)
Barthenōsparthenos(처녀)가 변형된 형태로, 노아의 아내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본다.빌헬름 부세 (Gnosis, Göttingen, 1907, p. 14 f.), 에피파니우스 (Haer. xxvi. 1)
balbel혼합 또는 혼란을 의미하는 타르굼 어근으로, 여러 개별적 존재의 혼돈스러운 씨앗을 나타낸다고 본다.펜턴 존 앤서니 호트 (DCB i. 235, 249)
콥트어 구성위대한 방출 또는 씨앗을 의미한다.벤틀리 레이턴 (영지주의 경전), F.C. 버킷 (교회와 영지주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