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뭄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뭄 문자는 카메룬의 은조야 왕이 1896년경부터 개발하여 1918년경에 완성한 문자 체계이다. 초기에는 그림 문자와 표어 문자를 거쳐 음절 문자로 발전했으며, 1918년에는 80개의 문자로 구성된 최종 형태가 완성되었다. 현재는 바뭄 문자 및 기록 보관소 프로젝트를 통해 보존 및 현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유니코드에도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문자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프리카의 문자 - 응코 문자
솔로마나 칸테가 만데어 표기 개선과 아프리카 고유 문자 부재에 대한 인식 불식을 위해 창제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응코 문자는 만딩어의 성조를 정확히 표현하며 서아프리카 만데어 사용자들의 문해력 증진과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고 유니코드 추가, 위키백과 개설, 구글 번역 추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 음절 문자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음절 문자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인공 문자 - 한글
한글은 15세기 조선 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의 고유 문자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특징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인공 문자 - 주음부호
주음부호는 장빙린이 창안한 중국어 표음 문자 체계로, 고대 한자 형태에서 유래한 37개 자모로 구성되어 대만에서 한자 교육, 컴퓨터 입력, 그리고 대만어와 광둥어 표기에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보포모포'로 불린다.
| 바뭄 문자 | |
|---|---|
| 개요 | |
![]() | |
| 유형 | 음절 문자 (초기에는 그림 문자) |
| 사용 언어 | 바뭄어 |
| 창제 시기 | 1896년 경, 1931년 경 사용 중단, 2007년 경 부활 |
| 창제자 | 이브라힘 은조야 (바뭄 왕) |
| 계통 | 인공 문자 |
| ISO 15924 | Bamu |
| 유니코드 | "U+A6A0–U+A6FF https://www.unicode.org/charts/PDF/UA6A0.pdf" "U+16800–U+16A3F https://www.unicode.org/charts/PDF/U16800.pdf" |
2. 역사
바뭄 문자는 은조야 왕에 의해 1896년경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1918년경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초기 형태는 500~600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그림 문자 기억 보조 도구(원시 문자)였다. 은조야 왕은 문자를 개정하면서 표어 문자(단어 기호)를 도입했고, 이후 음절 문자로 발전시켰다.
1910년에 완성된 여섯 번째 버전은 80개의 문자로 구성된 음절 문자였으며, 처음 네 글자를 따서 "a-ka-u-ku"라고도 불렸다. 1906년에 사용되던 버전은 "mbima"라고 불렸다.[3]
1918년에는 은조야 왕이 인쇄를 위해 구리 활자를 주조하면서 문자가 더욱 개선되었다. 그러나 이 문자는 1931년 은조야 왕이 야운데로 추방되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4]
현재 바뭄 문자는 특별히 사용되지 않지만, 바뭄 문자 및 기록 보관소 프로젝트가 문자를 현대화하고 부활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옛 바뭄의 수도인 품반에 기반을 두고 있다.[5]
2. 1. 초기 형태 (Phase A)
바뭄 문자의 초기 형태는 '''''르와'''''("책")라고 불리며, 1896년에서 1897년 사이에 개발되었다. 이 형태는 465개(일부 자료에 따르면 511개)의 그림 문자와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나타내는 10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 글을 쓰는 방향은 위에서 아래,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아래에서 위로 쓸 수 있었다. (인접한 하우사족이 사용하던 아랍 문자의 방향과 같았기 때문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것은 피했다.)2. 2. 발전 단계 (Phase B-F)
바뭄 문자는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발전하였다. 문자의 수는 점차 줄어들었고, 표어 문자에서 음절 문자로 변화했다. 1910년에 완성된 '아 카 우 쿠'는 82개의 문자와 10개의 숫자로 구성된 음절 문자 체계였다.[1]- 음비마(혼합): 1899년에서 1900년 사이에 개발되었다. 첫 번째 시스템의 단순화된 형태로, 72개의 문자가 생략되고 45개의 새로운 문자가 추가되었다. 이 단계부터 글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였다.[1]
- '''니 니 은파'''(Nyi Nyi Nfa): 1902년경에 개발되었다. 56개의 문자가 생략되어 371개의 문자와 10개의 숫자가 남았다. 은조야는 이 체계를 사용하여 『바뭄족의 역사』를 저술하고 어머니와 서신을 주고받았다.[1]
- '''Rii Nyi Nsha Mfw''''': 1907~1908년경에 개발되었다. 285개의 문자와 10개의 숫자를 가지며 이전 버전보다 더욱 단순화되었다.[1]
- '''Rii Nyi Mfw' Men''''': 1907년에서 1908년 경에 개발되었다. 195개의 글자와 10개의 숫자로 구성되었으며, 성경 번역에 사용되었다. 처음 다섯 개의 시스템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모두 점진적으로 단순화된 상형 문자로, 표어 문자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1]
- '''아 카 우 쿠''': 1910년경에 개발되었다. 82개의 글자와 10개의 숫자를 가졌다. 160개의 음절을 구별할 수 있는 완전한 음절 문자 체계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출생, 결혼, 사망, 법원 판결 등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1]
2. 3. 최종 형태 (Phase G)
1918년경에 개발된 Mfemfe|므펨페cmr 또는 A Ka U Ku Mfemfe|아 카 우 쿠 므펨페cmr는 80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10개는 음절과 숫자로 모두 사용된다. 이전 체계와 마찬가지로, 누락된 음절은 유사한 음절과 원하는 모음을 조합하거나, 또는 구두점을 사용하여 표기한다.3. 문자의 구성
현대 바뭄 문자는 80개의 기본 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음과 모음을 결합한 CV 음절을 표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부족함은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거나, CV1 및 V2 값을 갖는 글자를 결합하여 CV2를 만드는 방식으로 보완한다. 바뭄 문자는 고유한 구두점을 가지고 있으며, 고유 명사에 사용되는 '대문자' 표시는 거꾸로 된 물음표와 비슷하게 생겼다. 또한, 십진법 체계의 10자리 숫자를 사용한다.

3. 1. 발음 구별 기호
현대 바뭄 문자의 80개 글자는 언어의 모든 자음-모음 음절(CV 음절)을 표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부족함은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보완한다.바뭄 문자에는 80개 글자에 추가될 수 있는 모자 기호(''ko'ndon'')와 12개에만 적용되는 매크론(''tukwentis'') 두 가지 발음 구별 기호가 있다. 모자 기호는 일반적으로 음절에 성문 파열음을 추가하는 효과가 있지만, 모음이 짧아지고 최종 자음이 삭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는 로 읽히고, 는 , 는 와 같이 발음된다. , , 와 같이 비음화가 손실되기도 한다. 그러나 때로는 모자 기호가 모음을 비음화하기도 한다. , , , , , 와 같이 나타난다.
매크론은 음절에서 모음을 삭제하여 자음과 NC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킬러 스트로크'로, 음절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3. 2. 문자 조합
현대 바뭄 문자의 80개 글자는 언어의 모든 자음-모음 음절(CV 음절)을 표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부족함은 CV1 및 V2 값을 갖는 글자를 결합하여 CV2를 만듦으로써 보완된다. 이렇게 하면 음절 문자가 음절 문자로 직접 표현되지 않는 음절에 대해 음소 문자가 된다. 음절의 고유한 모음을 추가하면 자음이 유성 자음화된다. tu|투영어 + u|우영어 = du|두영어, fu|푸영어 + u|우영어 = vu|부영어, ju|주영어 + u|우영어 = ʒu|주영어, ja|자영어 + a|아영어 = ʒa|자영어, ʃi|시영어 + i|이영어 = ʒi|지영어, puə|푸어영어 + u|우영어 = bu|부영어.3. 3. 구두점
바뭄 문자는 nʒɛmli|bax라는 고유 명사를 나타내거나 단어의 뜻을 바꿀 때 쓰는 표시를 포함하여 고유한 구두점을 가지고 있다.[6][7]| {{lang|bax|nʒɛmli|} | } !! 마침표 !! 쌍점 !! 쉼표 !! 세미콜론 !! 물음표|||||||||||||||||||||||||||||||||||||||||||||||||||||||||||||||||||||||||||||||||||||||||||||||||||||||||||||||||||||||||||||||||||||||||
|---|---|---|---|---|---|---|---|---|---|---|---|---|---|---|---|---|---|---|---|---|---|---|---|---|---|---|---|---|---|---|---|---|---|---|---|---|---|---|---|---|---|---|---|---|---|---|---|---|---|---|---|---|---|---|---|---|---|---|---|---|---|---|---|---|---|---|---|---|---|---|---|---|---|---|---|---|---|---|---|---|---|---|---|---|---|---|---|---|---|---|---|---|---|---|---|---|---|---|---|---|---|---|---|---|---|---|---|---|---|---|---|---|---|---|---|---|---|---|---|---|---|---|---|---|---|---|---|---|---|---|---|---|---|---|---|---|---|
| ꛯ | |||||||||
|---|---|---|---|---|---|---|---|---|---|
| ɣɔm 0 | mɔ 1 | mbaa 2 | tɛt 3 | kpa 4 | tɛn 5 | ntuu 6 | sa 7 | faa 8 | vü 9 |
역사적으로 ꛯ는 '10'에 사용되었지만, 숫자 체계가 십진법으로 바뀌면서 '0'으로 변경되었다.[6]
4. 유니코드
바뭄 문자는 2009년 10월 버전 5.2 릴리스와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6] 바뭄 유니코드 문자 이름은 Idelette Dugast와 M.D.W. Jeffreys의 ''L’écriture des Bamum'' (1950)에 제시된 국제 음성 기호 형태를 기반으로 한다.
바뭄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블록은 U+A6A0–U+A6FF이다.
| 바뭄 문자 [https://www.unicode.org/charts/PDF/UA6A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
| style="width:45pt"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A6Ax | | | | | | | | | | | | | | | | |||||||||||||||
| U+A6Bx | | | | | | | | | | | | | | | | |||||||||||||||
| U+A6Cx | | | | | | | | | | | | | | | | |||||||||||||||
| U+A6Dx | | | | | | | | | | | | | | | | |||||||||||||||
| U+A6Ex | | | | | | | | | | | | | | | | |||||||||||||||
| U+A6Fx | | | | | | |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
| 참고 | ||||||||||||||||
바뭄 문자의 역사적 단계는 2010년 10월 버전 6.0 릴리스와 함께 유니코드에 추가되었다. 이는 바뭄 보충 블록(U+16800–U+16A3F)에 인코딩된다. 스크립트 개발의 다양한 단계는 "단계-A"에서 "단계-E"까지로 불린다. 문자 이름은 문자가 나타나는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바뭄 문자 단계-C PIN은 단계 C까지 증명되었지만 단계 D에는 없다.
| 바뭄 보충 [https://www.unicode.org/charts/PDF/U168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
| style="width:45pt"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1680x | | | | | | | | | | | | | | | | |||||||||||||||
| U+1681x | | | | | | | | | | | | | | | | |||||||||||||||
| U+1682x | | | | | | | | | | | | | | | | |||||||||||||||
| U+1683x | | | | | | | | | | | | | | | | |||||||||||||||
| U+1684x | | | | | | | | | | | | | | | | |||||||||||||||
| U+1685x | | | | | | | | | | | | | | | |
5. 바뭄 문자 및 기록 보관소 프로젝트
바뭄 문자 및 기록 보관소 프로젝트는 바뭄 문자를 현대화하고 부활시키려는 시도이다. 이 프로젝트는 옛 바뭄의 수도인 품반에 기반을 두고 있다.[5]
'''바뭄 문자 및 문서 보관소 프로젝트'''는 바뭄 궁전에서 진행 중이며, 바뭄 문자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여기에는 위협받는 문서를 수집하고 사진을 찍는 일, 문서를 번역하고 경우에 따라 손으로 복사하는 일, 문서 목록 작성을 위한 완전한 사용이 가능한 바뭄 컴퓨터 글꼴을 제작하는 일, 그리고 문서 보존 및 저장을 위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 포함된다.
2006년, 바뭄 문자 및 문서 보관소 프로젝트는 최초의 사용 가능한 바뭄 컴퓨터 글꼴을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를 위해, 이 프로젝트는 현재 사용 중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바뭄 문자 변형인 아-카-우-쿠(처음 네 글자를 따서 명명)로 필사된 수백 개의 중요한 문서를 검토했다. 프로젝트 팀의 목표는 다양한 바뭄 문자들의 가장 두드러진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수년에 걸쳐 문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매우 다양한 스타일을 사용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세 명의 가장 유명한 바뭄 문자 해독가인 족장 은조야(King Njoya)와 그의 동료들인 은지 마마(Nji Mama)와 은조야 이브라히무(Njoya Ibrahimou, 은지 마마의 동생이자 유명한 바뭄 예술가)가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문서를 검토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amum script and archives project: saving Africa's written heritage
https://eap.bl.uk/pr[...]
2008-11-28
[2]
웹사이트
Report on work with the Bamum script in Cameroon
https://www.unicode.[...]
[3]
서적
The History of cartogra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2015
[4]
웹사이트
The End of King Njoya and the Bamum Script
http://www.members.a[...]
[5]
간행물
Invention of Scripts in West Africa for Ethnic Revit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6]
웹사이트
L2/08-350: Proposal to encode modern Bamum in the BMP
https://www.unicode.[...]
2008-10-14
[7]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0.0
Unicode, Inc
2017-07
[8]
웹사이트
L2/07-023: Towards the Encoding of the Bamum Script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07-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