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아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아사는 이스라엘 왕국의 왕으로, 유다 왕 아사 통치 3년에 즉위했다. 그는 전 왕 나답을 살해하고 여로보암의 일족을 몰살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24년간 통치했다. 바아사는 아람과 동맹을 맺고 유다를 공격하여 라마를 요새화했지만, 아사 왕의 반격으로 실패했다. 예후 예언자는 바아사 왕조의 멸망을 예언했고, 그의 아들 엘라가 암살당하면서 예언은 실현되었다. 바아사는 죽어 티르차에 묻혔고, 아들 엘라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0세기 출생 - 송 민공 (공)
송 민공은 송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 송 정공의 아들이며 불보하와 송 여공을 자녀로 두었다. - 기원전 10세기 출생 - 진 신공 (어융)
진 신공은 진나라의 군주로, 아버지 진 효공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주나라 여왕 시대에 진나라를 다스렸으며, 아들 진 유공이 그의 뒤를 이었다. - 기원전 9세기 사망 - 송 민공 (공)
송 민공은 송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 송 정공의 아들이며 불보하와 송 여공을 자녀로 두었다. - 기원전 9세기 사망 - 송 양공 (희)
송 양공 희는 춘추 시대 송나라의 제20대 군주로, 송나라를 강성하게 만들려 했으나 군사적, 정치적 역량 부족과 홍수 전투에서의 어리석음으로 실패하고 혹평을 받았다. - 이스라엘 국왕 - 사울
사울은 사무엘상과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다윗을 질투하여 길보아 전투에서 자살했다. - 이스라엘 국왕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바아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이스라엘 (북왕국)의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909년–886년 |
이전 | 나답 |
계승 | 엘라 |
개인 정보 | |
출생 | 미상 |
사망 | 기원전 877년경 |
매장지 | 디르사 |
아버지 | 아히야 |
자녀 | 엘라 |
2. 생애
바아사는 잇사갈 지파 아히야의 아들로,[5] 유다 왕 아사 통치 제3년에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다. ()[5] 윌리엄 F. 올브라이트는 그의 통치를 기원전 900년에서 877년으로, E. R. Thiele는 기원전 909년에서 886년으로 추정한다.[1] 그는 선왕 나답을 깁브돈에서 살해하고 여로보암의 온 집안을 몰살시킨 후 왕위에 올랐다.[2][5]
바아사는 티르차를 수도로 삼아 24년간 이스라엘을 다스렸으며,[3][5] 이 기간 동안 유다 왕 아사와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다.[2] 그는 라마를 요새화하여 유다를 압박하려 했으나, 아사가 아람 다마스쿠스의 벤하닷 1세와 동맹을 맺어 북쪽 영토를 공격하게 함으로써 실패로 돌아갔다.[4][7]
열왕기는 바아사가 "주님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고 여로보암과 같은 길을 걸었다"고 평가하며,[5] 하나니의 아들 예후 예언자가 그의 왕조가 여로보암 가문처럼 멸망할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기록한다.[6] 바아사는 티르차에 묻혔고 그의 아들 엘라가 왕위를 계승했으나,[8] 예후의 예언대로 엘라 왕이 암살당하며 왕조는 오래가지 못했다.
한편, 역대기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역사를 간략하게 다루어 바아사의 즉위 과정 등은 생략되었으며, 유다와의 전쟁 시기 등에 대해 열왕기와 다른 기록을 전하고 있다.[9]
2. 1. 왕위 찬탈
잇사갈 지파 출신 아히야의 아들인 바아사는 유다 왕 아사의 통치 제3년에 이스라엘의 왕위에 올랐다. (열왕기상 15:28)[5] 윌리엄 F. 올브라이트는 그의 통치 시기를 기원전 900년에서 877년으로, E. R. Thiele는 기원전 909년에서 886년으로 추정한다.[1]바아사는 본래 선왕 나답 군대의 대위였으나, 나답이 군대를 이끌고 깁브돈을 포위 공격하는 중에 그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했다.[2][5] 그는 미천한 신분에서 권력을 잡은 것으로 보이며, 유대인 백과사전은 그가 잇사갈 지파 출신이라는 점에서 "지역 파벌을 대표했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2]
왕위에 오른 바아사는 여로보암의 온 집안(선왕 나답의 가문)을 몰살함으로써 자신의 왕권을 공고히 하려 했다.[2][5] 그러나 열왕기는 바아사 역시 "주님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고 여로보암과 같은 길을 걸었다"고 평가한다.[5] 이로 인해 하나니의 아들인 예후 예언자는 바아사에게 나타나 죄를 지적하며, 그의 가문 역시 여로보암의 가문처럼 비참하게 멸망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예후는 바아사 가문의 사람들이 성읍에서 죽으면 개에게 먹히고, 들에서 죽으면 하늘의 새에게 먹힐 것이라고 경고했다.[6] 이 예언은 훗날 바아사의 아들인 엘라 왕이 암살당하면서 현실이 되었다.
2. 2. 유다 왕국과의 대립
바아사는 그의 24년 통치 기간 동안,[3] 유다 왕 아사와 전쟁을 벌였다. 그는 이스라엘을 아람과 동맹을 맺고 예루살렘 북쪽 약 8.05km 떨어진 도시인 라마를 요새화하여 유다 왕국의 무역을 봉쇄하려 했다.[4] 이에 아사 왕은 시리아의 벤하닷 왕에게 선물을 보내 동맹 관계를 바꾸도록 요청했다. 벤하닷은 이를 받아들여 이스라엘을 공격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은 단 지파와 납달리 지파가 속한 갈릴리 호수 북서쪽의 넓은 영토(이욘, 단, 아벨 벳 마아가, 게네렛, 납달리 지역 포함)를 잃게 되었다.[7] 결국 바아사는 라마 건설을 포기하고 수도인 티르차로 돌아가야 했다.[7] 유다의 아사는 바아사가 라마 요새 건설에 사용하다 버리고 간 자재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국경 도시인 게바와 미스바를 요새화했다.[2]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바아사와 아사는 서로 생존하는 동안 끊임없이 다투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열왕기와 역대기의 기록 사이에는 연대에 관한 차이가 존재한다. 역대기에서는 바아사가 아사 왕 재위 36년까지 생존했으며, 그 해에 처음으로 유다를 공격하자 아사가 아람 군대에 도움을 요청했고, 아람의 공격으로 바아사가 철수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두 왕 사이에 그전까지는 전쟁이 없었다는 것을 시사한다.[9]
2. 3. 예언과 죽음
바아사는 평생 권력을 유지했지만, 하나니의 아들인 예후 예언자는 그의 통치에 반대하며 왕조의 멸망을 예언했다. 예후는 바아사가 여로보암과 같이 주님 앞에서 악을 행하였고[5] 여로보암과 같은 길을 걸었기 때문에, 그의 가문 역시 여로보암 가문처럼 비참하게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예언에 따르면, 바아사 가문의 사람들은 성읍에서 죽으면 개에게 먹히고, 들에서 죽으면 새의 먹이가 될 것이었다.[6]이러한 예언에도 불구하고 바아사는 티르차에서 죽어 그곳에 묻혔고, 그의 아들 엘라가 왕위를 이어받았다.[8] 예후의 예언은 결국 바아사의 아들인 엘라 왕이 암살당하면서 현실이 되었다.
한편, 역대기에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이야기가 자세히 기록되지 않아 바아사의 출신과 즉위 과정 등은 생략되어 있다. 다만, 아사와의 전쟁 시기에 대한 기록은 열왕기와 차이가 있는데, 역대기에서는 바아사가 아사 재위 36년까지 생존했으며, 그 때까지 바아사와 아사는 싸우지 않았고 이 해에 처음으로 유다를 공격하자 아사가 요청한 아람 군대에 본국을 공격받아 철수했다고 전해진다.[9]
참조
[1]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Macmillan, Eerdmans, Zondervan/Kregel
1951
[2]
웹사이트
Baasha
http://jewishencyclo[...]
[3]
성경
1 Kings 15:33
[4]
웹사이트
Barnes' Notes on 1 Kings 15
http://biblehub.com/[...]
2017-10-26
[5]
문서
[6]
서적
列王記
[7]
서적
列王記
[8]
서적
列王記
[9]
서적
歴代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