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첸뵈크 부등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첸뵈크 부등식은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넓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등식이다. 삼각형 ABC의 변의 길이를 a, b, c, 넓이를 S라고 할 때, a² + b² + c² ≥ 4√3S가 성립하며, 등호는 정삼각형일 때만 성립한다. 이 부등식은 기하학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롤란트 바이첸뵈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하부등식 - 삼각 부등식
    삼각 부등식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다른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작거나 같다는 부등식으로, 다양한 수학적 공간에서 성립하며 여러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 기하부등식 - 오일러 삼각형 정리
    오일러 삼각형 정리는 삼각형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지름 및 외심과 내심 사이의 거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 d^2=R(R-2r)의 공식으로 표현되며 R\ge 2r인 오일러 부등식을 유도한다.
  • 삼각 기하학 - 피타고라스 삼조
    피타고라스 삼조는 a² + b² = c²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세 쌍 (a, b, c)이며, 특히 서로소인 세 정수로 이루어진 경우를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라고 한다.
  • 삼각 기하학 - 페르마 점
    페르마 점은 삼각형 세 꼭짓점까지의 거리 합이 최소가 되는 점으로, 120도 이상의 각이 없는 삼각형에서는 내부에 존재하며 ∠AFB=∠BFC=∠CFA=120도를 만족하고, 120도 이상의 각이 있는 삼각형에서는 가장 큰 각의 꼭짓점이 되며, 작도를 통해 찾을 수 있고 기하중앙값, 슈타이너 나무 문제 등과 관련된다.
바이첸뵈크 부등식
일반 정보
바이트첸뵈크 부등식의 시각적 표현
바이트첸뵈크 부등식의 시각적 표현
유형기하학적 부등식
분야기하학, 부등식
관련 인물롤란트 바이트첸뵈크
공식
공식(a^2 + b^2 + c^2) / 4√3 ≥ A
변수a, b, c: 삼각형의 변 길이
A: 삼각형의 넓이
설명
내용삼각형의 세 변의 제곱의 합은 항상 그 삼각형의 넓이의 4√3배 이상이다.
조건등호는 정삼각형일 때 성립한다.
관련 부등식
관련 부등식삼각 부등식

2. 정의

삼각형 ABC의 꼭짓점 A, B, C의 대변의 길이를 a, b, c라고 하고, 넓이를 S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하며, 이를 '''바이첸뵈크 부등식'''이라고 한다.[3]

:a^2+b^2+c^2\ge 4\sqrt 3S

등호가 성립될 필요 충분 조건은 정삼각형이다.

사실

:\frac{a^2+b^2+c^2}{4S}

는 삼각형 ABC의 브로카르 각의 코탄젠트 값과 같다. 따라서 바이첸뵈크 부등식은 모든 삼각형의 브로카르 각이 30^\circ 이하이며, 정확히 30^\circ일 필요 충분 조건은 정삼각형이라는 명제와 동치이다.

3. 기하학적 해석

바이첸뵈크 부등식을 다시 쓰면 더 구체적인 기하학적 해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즉각적인 증명을 제공할 수 있다.[1]

:\frac{\sqrt{3}}{4}a^2 + \frac{\sqrt{3}}{4}b^2 + \frac{\sqrt{3}}{4}c^2 \geq 3\, \Delta

이 식에서 좌변의 각 항(\frac{\sqrt{3}}{4}a^2, \frac{\sqrt{3}}{4}b^2, \frac{\sqrt{3}}{4}c^2)은 각각 원래 삼각형의 변 a, b, c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넓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원래 삼각형의 각 변 위에 세워진 세 정삼각형 넓이의 합(\Delta_a + \Delta_b + \Delta_c)이 항상 원래 삼각형 넓이(\Delta)의 세 배 이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Delta_a + \Delta_b + \Delta_c \geq 3\, \Delta

이 기하학적 해석은 페르마 점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삼각형의 모든 내각이 120^\circ보다 작은 경우, 삼각형 내부에 페르마 점이 존재한다. 이 점을 이용하여 원래 삼각형을 세 개의 둔각 삼각형(각 꼭짓점과 페르마 점을 이어서 만듦)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둔각 삼각형의 꼭지각은 120^\circ가 된다. 그리고 각 둔각 삼각형은 그 변에 인접하여 세워진 정삼각형 안에 세 번씩 복제하여 넣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세 정삼각형 넓이의 합이 원래 삼각형 넓이의 세 배보다 크거나 같음을 보인다.

만약 삼각형의 한 내각이 120^\circ 이상인 경우에는 페르마 점이 삼각형의 내부에 있지 않고 해당 각의 꼭짓점과 일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증명은 가능한데, 전체 삼각형을 가장 큰 변 위에 세워진 정삼각형 안에 세 번 복제하여 넣을 수 있으므로, 모든 정삼각형 넓이의 합은 여전히 원래 삼각형 넓이의 세 배보다 크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4. 증명

바이첸뵈크 부등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헤론의 공식, 피타고라스 정리, AM-GM 부등식 등을 이용한 대수적인 증명 방법이 있으며, 기하학적인 해석을 통한 증명도 가능하다.

기하학적 증명 중 하나는 부등식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해석하는 것이다.[1]

: \frac{\sqrt{3}}{4}a^2 + \frac{\sqrt{3}}{4}b^2 + \frac{\sqrt{3}}{4}c^2 \geq 3\, \Delta

여기서 좌변의 각 항은 원래 삼각형의 각 변(a, b, c)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넓이(\Delta_a, \Delta_b, \Delta_c)를 나타내므로, 위 부등식은 세 정삼각형 넓이의 합이 원래 삼각형 넓이(\Delta)의 세 배 이상임을 의미한다.

: \Delta_a + \Delta_b + \Delta_c \geq 3\, \Delta

이 증명은 페르마 점을 이용하여 삼각형을 세 개의 부분 삼각형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인접한 정삼각형 내에서 복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단, 이 방법은 삼각형의 모든 각이 120^\circ보다 작을 때만 직접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 다른 증명 방법으로는 내부 나폴레옹 삼각형의 넓이가 음수가 될 수 없다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2] 내부 나폴레옹 삼각형의 넓이는 \frac{\sqrt{3}}{24}(a^2+b^2+c^2-4\sqrt{3}\Delta)로 표현되는데, 이 값이 0 이상이어야 하므로 바이첸뵈크 부등식 a^2+b^2+c^2 \ge 4\sqrt{3}\Delta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제곱 항의 합이 항상 0 이상이라는 기본적인 성질을 이용한 증명도 가능하다.

: (a^2 - b^2)^2 + (b^2 - c^2)^2 + (c^2 - a^2)^2 \geq 0

위 식을 전개하고 정리하면 바이첸뵈크 부등식과 동치인 \frac{(a^2 + b^2 + c^2)^2}{3} \geq (4\Delta)^2 형태를 유도할 수 있다.

삼각함수의 코탄젠트(\cot)를 이용한 증명도 존재한다. 삼각형의 세 각 A, B, C에 대해 \cot A + \cot B + \cot C = \frac{a^2+b^2+c^2}{4\Delta} 임을 이용하고, \cot A + \cot B + \cot C \ge \sqrt{3} 임을 보임으로써 부등식을 증명할 수 있다.

대부분의 증명 방법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는 a=b=c일 때, 즉 주어진 삼각형이 정삼각형일 때뿐임을 확인할 수 있다.

4. 1. 헤론의 공식을 이용한 증명

헤론의 공식

:S=\frac{\sqrt{(a+b+c)(b+c-a)(a-b+c)(a+b-c)}}4

에 따라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부등식 a^2+b^2+c^2 \ge 4\sqrt 3S의 양변은 음수가 아니므로, 양변을 제곱하여 얻는 부등식 (a^2+b^2+c^2)^2 \ge (4\sqrt 3S)^2과 동치이다. 따라서 후자를 증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begin{align}

(a^2+b^2+c^2)^2-(4\sqrt 3S)^2

& =(a^2+b^2+c^2)^2-48 \cdot \frac{(a+b+c)(b+c-a)(a-b+c)(a+b-c)}{16} \\

& =(a^2+b^2+c^2)^2-3(a+b+c)(b+c-a)(a-b+c)(a+b-c) \\

& =(a^4+b^4+c^4)+2(a^2b^2+a^2c^2+b^2c^2)-3(2(a^2b^2+a^2c^2+b^2c^2)-(a^4+b^4+c^4)) \\

& =4(a^4+b^4+c^4)-4(a^2b^2+a^2c^2+b^2c^2) \\

& =2(2a^4+2b^4+2c^4-2a^2b^2-2a^2c^2-2b^2c^2) \\

& =2((a^2-b^2)^2+(a^2-c^2)^2+(b^2-c^2)^2) \\

& \ge 0

\end{align}

위 부등식에서 등식이 성립할 필요충분조건은 a^2=b^2=c^2이고,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a=b=c이다. 따라서 바이첸뵈크 부등식에서 등식이 성립하는 경우는 삼각형이 정삼각형일 때이다.

이 부등식의 증명은 1961년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 문제로 출제되었다. 헤론의 공식을 이용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유도할 수 있다. 헤론의 공식을 변형하면 삼각형의 넓이 \Delta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

\begin{align}

\Delta & {} =\frac{1}{4}\sqrt{(a+b+c)(a+b-c)(b+c-a)(c+a-b)} \\[4pt]

& {} =\frac{1}{4}\sqrt{( (a+b)^2 - c^2 ) ( c^2 - (a-b)^2 )} \\

& {} =\frac{1}{4}\sqrt{(a^2+2ab+b^2-c^2)(c^2-a^2+2ab-b^2)} \\

& {} =\frac{1}{4}\sqrt{(2ab + (a^2+b^2-c^2))(2ab - (a^2+b^2-c^2))} \\

& {} =\frac{1}{4}\sqrt{4a^2b^2 - (a^2+b^2-c^2)^2} \\

& {} =\frac{1}{4}\sqrt{4a^2b^2 - (a^4+b^4+c^4+2a^2b^2-2a^2c^2-2b^2c^2)} \\

& {} =\frac{1}{4}\sqrt{2(a^2 b^2+a^2c^2+b^2c^2)-(a^4+b^4+c^4)}

\end{align}


4. 2.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 증명

편의상 삼각형의 세 각을 A, B, C라 하고, 마주보는 변의 길이를 각각 a, b, c라고 하자. 또한, 삼각형의 넓이를 S라고 하자. 꼭짓점 C에서 대변 AB (길이 c)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고 하고, 선분 CD의 길이를 h, 선분 AD의 길이를 x라고 하자. 그러면 BD = c-x 이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a^2 & = h^2 + (c-x)^2 \\

b^2 & = h^2 + x^2

\end{align}

이를 이용하여 바이첸뵈크 부등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begin{align}

a^2+b^2+c^2

& = (h^2 + (c-x)^2) + (h^2 + x^2) + c^2 \\

& = h^2 + c^2 - 2cx + x^2 + h^2 + x^2 + c^2 \\

& = 2(h^2 + x^2 - cx + c^2) \\

& = 2\left(x^2 - cx + \frac{c^2}{4} + h^2 + \frac{3c^2}{4}\right) \\

& = 2\left(\left(x - \frac{c}{2}\right)^2 + h^2 + \frac{3c^2}{4}\right) \\

& = 2\left(\left(x - \frac{c}{2}\right)^2 + \left(h - \frac{\sqrt{3}}{2}c\right)^2 + \sqrt{3}ch \right) \quad \left(\because h^2 + \frac{3c^2}{4} = \left(h - \frac{\sqrt{3}}{2}c\right)^2 + \sqrt{3}ch \right) \\

& \ge 2(\sqrt{3}ch) \quad \left(\because \left(x - \frac{c}{2}\right)^2 \ge 0, \left(h - \frac{\sqrt{3}}{2}c\right)^2 \ge 0 \right) \\

& = 4\sqrt{3} \left(\frac{1}{2}ch\right) \\

& = 4\sqrt{3} S \quad \left(\because S = \frac{1}{2} \times \text{밑변} \times \text{높이} = \frac{1}{2}ch \right)

\end{align}

여기서 등식이 성립할 필요충분조건은 제곱 항들이 0이 되는 경우이다. 즉,

:x - \frac{c}{2} = 0 \implies x = \frac{c}{2}

:h - \frac{\sqrt{3}}{2}c = 0 \implies h = \frac{\sqrt{3}}{2}c

이다. x = AD = \frac{c}{2}는 점 D가 선분 AB의 중점임을 의미하며, 이는 삼각형 ABC가 이등변삼각형(a=b)임을 뜻한다. 또한, h = CD = \frac{\sqrt{3}}{2}c는 정삼각형의 높이 공식을 만족한다. 이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등호는 삼각형 ABC가 정삼각형일 때 성립한다.

4. 3. AM-GM 부등식을 이용한 증명

이 증명은 AM-GM 부등식에 대한 지식을 전제로 한다.



\begin{align}

& & (a-b)^2+(b-c)^2+(c-a)^2 & \geq & & 0 \\

\iff & & 2a^2+2b^2+2c^2 & \geq & & 2ab+2bc+2ac \\

\iff & & 3(a^2+b^2+c^2) & \geq & & (a + b + c)^2 \\

\iff & & a^2+b^2+c^2 & \geq & & \sqrt{3(a+b+c)\left(\frac{a+b+c}{3}\right)^3} \\

\Rightarrow & & a^2+b^2+c^2 & \geq & & \sqrt{3 (a+b+c)(-a+b+c)(a-b+c)(a+b-c)} \\

\iff & & a^2+b^2+c^2 & \geq & & 4 \sqrt3 \Delta.

\end{align}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사용했으므로, 등호는 a = b = c일 때만 성립하며,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

5. 역사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롤란트 바이첸뵈크Roland Weitzenböckde의 이름을 땄다.

참조

[1] 논문 Geometric Proofs of the Weitzenböck and Hadwiger–Finsler Inequalities https://www.jstor.or[...] Mathematics Magazine 2008-06
[2] 서적 Geometry Revisited
[3] 서적 Episodes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Euclidean Geometry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