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타고라스 삼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타고라스 삼조는 디오판토스 방정식 a² + b² = c²의 해인 양의 정수 (a, b, c)의 집합을 의미한다. 서로소인 정수로 이루어진 피타고라스 삼조는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라고 한다. 피타고라스 삼조는 모든 피타고라스 삼조를 생성하는 성질을 가지며, 항상 3의 배수를 포함한다. 또한, 유클리드 공식과 같은 생성 공식을 통해 무한히 많은 피타고라스 삼조를 구할 수 있으며, 단위 원 위의 유리점과도 연관된다. 피타고라스 삼조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알려졌으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같은 수학적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타고라스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xⁿ + yⁿ = zⁿ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이며, 앤드루 와일스가 모듈러성 정리를 이용하여 1995년에 증명했다.
  • 피타고라스 정리 - 유클리드 거리
    유클리드 거리는 두 점을 잇는 선분의 길이로 정의되며, 직교 좌표계에서 각 좌표 성분 차이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계산되고, 유클리드 노름을 사용하여 벡터의 길이로 표현될 수 있으며, 대칭성, 양수성, 삼각 부등식을 만족하는 거리 공간의 기본적인 속성을 가진다.
  • 디오판토스 방정식 - 펠 방정식
    펠 방정식은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 n에 대해 x^2-ny^2=1 꼴로 표현되는 디오판토스 방정식이며, 이차 수체에서 노름이 1인 원소를 찾는 문제로 해석되고, 자명한 해 외에 항상 정수해를 가지며, 해는 연분수 전개를 통해 구할 수 있고, 무리 제곱근의 유리 근삿값과 관련되어 고대부터 연구되었다.
  • 디오판토스 방정식 - 베주 항등식
    베주 항등식은 주 아이디얼 정역에서 두 원소의 최대공약수를 그 두 원소의 정수 배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며,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통해 베주 계수를 구할 수 있고, 정수, 다항식 등 다양한 대수적 구조로 확장 가능하다.
  • 삼각 기하학 - 페르마 점
    페르마 점은 삼각형 세 꼭짓점까지의 거리 합이 최소가 되는 점으로, 120도 이상의 각이 없는 삼각형에서는 내부에 존재하며 ∠AFB=∠BFC=∠CFA=120도를 만족하고, 120도 이상의 각이 있는 삼각형에서는 가장 큰 각의 꼭짓점이 되며, 작도를 통해 찾을 수 있고 기하중앙값, 슈타이너 나무 문제 등과 관련된다.
  • 삼각 기하학 - 내접원
    내접원은 다각형의 모든 변에 접하는 원으로, 중심을 내심이라 하고, 내접원을 갖는 다각형을 외접 다각형이라 하며, 모든 삼각형은 내접원을 가지고, 사각형의 내접원 조건, 쌍심사각형 등의 개념이 있으며, 반지름은 면적과 둘레로 계산 가능하다.
피타고라스 삼조
정의
설명피타고라스 정리를 만족하는 세 개의 양의 정수
예시
트리플(3, 4, 5)
방정식3 + 4 = 5
일반적인 형태
트리플(a, b, c)
조건a + b = c
배수
설명(a, b, c)가 피타고라스 삼조이면, (ka, kb, kc)도 피타고라스 삼조이다. (k는 양의 정수)
종류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a, b, c가 서로소인 피타고라스 삼조
관련 항목
관련 항목피타고라스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2. 정의

양의 정수 삼조 (a,b,c)디오판토스 방정식 a^2+b^2=c^2의 해라면, 이를 '''피타고라스 삼조'''라고 한다. 서로소인 세 정수로 이루어진 피타고라스 삼조를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라고 한다.

3. 성질

모든 피타고라스 삼조는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에 배수를 취하여 생성할 수 있다. 피타고라스 삼조 (a, b, c)는 항상 3의 배수를 포함한다. 이는 귀류법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데, 3의 배수를 포함하지 않는 피타고라스 삼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모순이 발생한다.

피타고라스 삼조는 다음 성질을 갖는다.


  • a 또는 b는 4의 배수이다.
  • a 또는 b 또는 c는 5의 배수이다.


따라서 a, b, c의 곱은 항상 60의 배수가 된다.

3. 1.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의 성질

m|엠영어2 - n|엔영어2, 2m|엠영어n|엔영어, m|엠영어2 + n|엔영어2이 피타고라스 삼각비의 변의 길이고, 길이 m|엠영어2 - n|엔영어2인 변과 길이 m|엠영어2 + n|엔영어2빗변 사이의 각을 β|베타영어라고 하면, \tan{\tfrac{\beta}{2}}=\tfrac{n}{m}이고, 전체 각도 삼각 함수의 값은 \sin{\beta}=\tfrac{2mn}{m^2+n^2}, \cos{\beta}=\tfrac{m^2-n^2}{m^2+n^2}, \tan{\beta}=\tfrac{2mn}{m^2-n^2}이다.

4. 생성 공식

피타고라스 삼조는 (두 직각변의 크기 관계를 무시하면) 항상 (m^2-n^2,2mn,m^2+n^2) (m>n>0) 꼴이다. 이러한 꼴이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일 필요충분조건은 m,n이 짝수를 포함하는 서로소 정수인 것이다. 특히, (m^2-1,2m,m^2+1)은 항상 피타고라스 삼조이다.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는 세 행렬로 생성되는 모노이드 작용에 대한 궤도를 이룬다.[3]

그래프에서 삼각형으로 표시된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 홀수 다리는 가로 축에, 짝수 다리는 세로 축에 표시된다.


'''유클리드 공식'''[3]은 임의의 정수 쌍 mn (m>n>0)이 주어졌을 때 피타고라스 삼조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 공식이다. 이 공식은 다음과 같은 정수를 나타낸다.

: a = m^2 - n^2 ,\ \, b = 2mn ,\ \, c = m^2 + n^2

예를 들어, m = 2, n = 1이 주어지면 원시 삼조 (3,4,5)가 생성된다.

유클리드 공식에 의해 생성된 삼조는 mn서로소이고 그 중 정확히 하나가 짝수일 때만 원시적이다. mn이 모두 홀수일 경우 a, b, c는 짝수가 되며 삼조는 원시적이 아니지만, mn이 서로소일 때 a, b, c를 2로 나누면 원시 삼조가 생성된다.[4]

''모든'' 원시 삼조는 (a가 짝수일 경우 ab를 교환한 후) 서로소인 수 m, n의 ''고유한 쌍''에서 발생하며, 그 중 하나는 짝수이다. 따라서 무한히 많은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가 있다.

유클리드 공식은 모든 원시 삼조를 생성하지만, 모든 삼조를 생성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9, 12, 15)는 정수 mn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없다. 이는 공식에 추가 매개변수 k를 삽입하여 해결할 수 있다. 다음은 모든 피타고라스 삼조를 고유하게 생성한다.

: a = k\cdot(m^2 - n^2) ,\ \, b = k\cdot(2mn) ,\ \, c = k\cdot(m^2 + n^2)

여기서 m, n, km > n인 양의 정수이며 mn은 서로소이고 둘 다 홀수가 아니다.

특정 정수 시퀀스에서 mn을 선택하면 흥미로운 결과가 나온다. 예를 들어, mn이 연속적인 펠 수이면 ab의 차이는 1이다.[5]

유클리드 시대 이후 특정 속성을 가진 삼조를 생성하기 위한 많은 공식이 개발되었다.

피타고라스 수는 원시 피타고라스 수의 자연수 배로 나타낼 수 있다. 원시 피타고라스 수의 생성식으로는 다음의 '''유클리드의 식'''과 '''브라마굽타'''에 의한 식이 알려져 있다.

'''유클리드의 식'''[48] 또는 피타고라스 공식[49]은 원시 피타고라스 수 (a, b, c)

: (a, b, c) = (m^2 - n^2, 2mn, m^2 + n^2) 또는 (2mn, m^2 - n^2, m^2 + n^2)

의 형태이다. 여기서, m, n 은 자연수이며,

  • m, n 은 서로소
  • m > n
  • mn 의 짝/홀은 다르다 (한쪽이 홀수이고 다른 쪽이 짝수)


브라마굽타의 식은,

: (a, b, c) = (\frac{p^2 - q^2}{2}, pq, \frac{p^2 + q^2}{2}) 또는 (pq, \frac{p^2 - q^2}{2}, \frac{p^2 + q^2}{2})

의 형태이다. 여기서, p, q 는 자연수이며,

  • p, q 은 서로소
  • p > q
  • p, q 는 홀수


따라서 일반적인 피타고라스 수 (a, b, c)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a = k\cdot(m^2 - n^2), b = k\cdot2mn, c = k\cdot(m^2 + n^2) (k는 자연수)

4. 1. 유클리드 공식 증명

Euclid영어 공식은 주어진 정수 쌍 m과 n (m>n)에 대해 피타고라스 삼조를 생성하는 기본 공식이다. 공식에 따르면, a = m^2 - n^2, \, b = 2mn, \, c = m^2 + n^2 와 같이 표현되는 정수들은 피타고라스 삼조를 이룬다.[3]

유클리드 공식이 피타고라스 삼조를 만족시키는 충분 조건이라는 증명은 다음과 같다. 정수 m과 n (m>n)에 대해, 공식에 의해 주어진 a, b, c가 모두 양의 정수이고,

: a^2+b^2 = (m^2 - n^2)^2 + (2mn)^2 = (m^2 + n^2)^2 = c^2.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유클리드 공식으로 표현되는 a, b, c가 어떤 원시 피타고라스 삼중수에 대해서도 필요하다는 증명은 다음과 같다.[6] 모든 원시 피타고라스 삼중수는 (a, b, c)로 쓸 수 있으며, 여기서 a^2 + b^2 = c^2이고 a, b, c는 서로소이다. 따라서 a, b, c는 쌍별 서로소이다. a와 b가 서로소이므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홀수이다. a가 홀수라고 가정하면 b는 짝수이고 c는 홀수이다.

a^2+b^2=c^2에서 a가 홀수라고 가정하면, c^2-a^2=b^2를 얻고, 따라서 (c-a)(c+a)=b^2이다. 그러면 \tfrac{(c+a)}{b}=\tfrac{b}{(c-a)}이다. \tfrac{(c+a)}{b}가 유리수이므로, 이를 기약분수 형태로 \tfrac{m}{n}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tfrac{(c-a)}{b}=\tfrac{n}{m}이며, 이는 \tfrac{(c+a)}{b}의 역수이다.

:\frac{c}{b}+\frac{a}{b}=\frac{m}{n}, \quad \quad \frac{c}{b}-\frac{a}{b}=\frac{n}{m}

위 식에서 \tfrac{c}{b}\tfrac{a}{b}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frac{c}{b}=\frac{1}{2}\left(\frac{m}{n}+\frac{n}{m}\right)=\frac{m^2+n^2}{2mn}, \quad \quad \frac{a}{b}=\frac{1}{2}\left(\frac{m}{n}-\frac{n}{m}\right)=\frac{m^2-n^2}{2mn}.

\tfrac{m}{n}이 기약분수이므로 m과 n은 서로소이며, 둘 다 짝수가 될 수 없다. 만약 둘 다 홀수라면, \tfrac{m^2-n^2}{2mn}의 분자는 4의 배수가 되지만, 분모 2mn은 4의 배수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m과 n 중 하나는 홀수이고 다른 하나는 짝수이며, 분모 2mn을 갖는 두 분수의 분자는 홀수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수는 기약분수이다. 이 분수를 분자는 분자끼리, 분모는 분모끼리 같다고 놓으면 유클리드 공식

: a = m^2 - n^2 ,\ \, b = 2mn ,\ \, c = m^2 + n^2을 얻을 수 있으며, m과 n은 서로소이고 서로 다른 짝수성을 갖는다.

더 자세한 증명은 Maor (2007)[7] 및 Sierpiński (2003)[8]에 나와 있다.

4. 2. 유클리드 공식 변형

Euclid영어 공식의 변형은 m과 n에 대해 더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는데, 때때로 더 편리하다. 이 변형 공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m과 n이 m > n 인 두 홀수 정수라면,

: a = mn, b = (m² - n²) / 2, c = (m² + n²) / 2

는 피타고라스 삼조를 이루는 세 정수이며, m과 n이 서로소일 때에만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가 된다. 반대로, 모든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는 (만약 a가 짝수라면 a와 b를 교환한 후) 서로소인 홀수 정수의 고유한 쌍 m > n > 0에서 발생한다.[3]

5. 예시

100 이하의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는 모두 16쌍이다. 유클리드 공식에 따라, mn (m>n>0) 값을 조절하여 피타고라스 삼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표는 mn 값에 따른 피타고라스 삼조를 나타낸다.

m+n
15131197531←(m-n)
1(1,0,1)
3(9,0,9)(3,4,5)
5(25,0,25)(15,8,17)(5,12,13)
7(49,0,49)(35,12,37)(21,20,29)(7,24,25)
9(81,0,81)(63,16,65)(45,28,53)(27,36,45)(9,40,41)
11(121,0,121)(99,20,101)(77,36,85)(55,48,73)(33,56,65)(11,60,61)
13(169,0,169)(143,24,145)(117,44,125)(91,60,109)(65,72,97)(39,80,89)(13,84,85)
15(195,28,197)(165,52,173)(135,72,153)(105,88,137)(75,100,125)(45,108,117)(15,112,113)



단, (27, 36, 45)는 (3, 4, 5)와 정비례하므로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에서 제외된다.

다음은 100 이하의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 16쌍을 나열한 표이다.

(3, 4, 5)(5, 12, 13)(8, 15, 17)(7, 24, 25)
(20, 21, 29)(12, 35, 37)(9, 40, 41)(28, 45, 53)
(11, 60, 61)(16, 63, 65)(33, 56, 65)(48, 55, 73)
(13, 84, 85)(36, 77, 85)(39, 80, 89)(65, 72, 97)



피타고라스 삼조의 산점도


피타고라스 삼조를 산점도에 나타내면, 원점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선들과 포물선 패턴이 나타난다. 이는 피타고라스 삼조 (a, b, c)가 존재하면, 임의의 양의 정수 k에 대해 (ka, kb, kc)도 피타고라스 삼조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산점 내에는 점의 밀도가 높고 초점이 모두 원점에 있는 일련의 포물선 패턴이 나타난다. 서로 다른 포물선은 축에서 교차하고 45도의 입사각으로 축에서 반사되는 것처럼 보인다.

6. 역사

피타고라스 삼조는 기원전 1800년경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다. 플림턴 322는 바빌로니아의 점토판으로, 육십진법으로 피타고라스 삼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점토판은 1900년대 초 에드가 제임스 뱅크스에 의해 발견되었고, 1922년에 조지 아서 플림턴에게 10USD에 판매되었다.[47]

플라톤Πλάτων|플라톤grc(기원전 380년경)은 짝수에서 시작하는 피타고라스 삼조 생성 방법을 제시했다.


  • a는 짝수: \text{변 }a : \text{변 }b = \left({a \over 2}\right)^2 - 1 : \text{변 }c = \left({a \over 2}\right)^2 + 1


피타고라스Πυθαγόρας|피타고라스grc(기원전 540년경)는 홀수에서 시작하는 피타고라스 삼조 생성 방법을 제시했다.

  • a는 홀수: \text{변 }a : \text{변 }b = {a^2 - 1 \over 2} : \text{변 }c = {a^2 + 1 \over 2}


유클리드Εὐκλείδης|유클리드grc는 《원론》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증명하고, 피타고라스 삼조를 생성하는 공식을 제시했다.

7. 확장 및 관련 개념

피타고라스 삼조는 여러 방법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피에르 드 페르마는 1637년에 $a^n + b^n = c^n$ ($n$은 2보다 큰 정수)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해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알려졌으며, 1994년에 앤드루 와일스가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 '''n − 1 또는 n개의 n제곱수의 합''': 오일러의 거듭제곱 합 추측과 관련하여, ''n'' - 1개의 ''n''제곱수의 합이 하나의 ''n''제곱수가 되는 경우가 있는지 탐구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의해 ''n'' = 3일 때는 불가능하지만, ''n'' = 4 또는 5인 경우에는 존재한다.[43][44][45]
  • ''n'' = 4: (95800, 217519, 414560; 422481)
  • ''n'' = 5: (27, 84, 110, 133; 144)
  • '''헤론 삼각형''': 변의 길이와 넓이가 모두 정수인 삼각형이다. 모든 피타고라스 삼중수는 헤론 삼중수이지만, 모든 헤론 삼중수가 피타고라스 삼중수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 13, 15)는 넓이가 24로 헤론 삼각형이지만, 피타고라스 삼각형은 아니다.
  • '''거의 등변 피타고라스 삼조''': 이등변 삼각형인 피타고라스 삼조는 존재하지 않지만, 직각 삼각형의 빗변이 아닌 변의 길이가 1만큼 차이나는 직각 삼각형은 무한히 존재한다.
  • '''가우스 정수''': 피타고라스 삼중수는 가우스 정수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증명할 수 있다.[30]
  • '''모듈러 군''': 모듈러 군의 작용은 표준 삼조 집합에 전이적이다. 군 Γ(2)는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의 집합에 전이적으로 작용한다.[29]
  • '''암호학적 응용''':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는 암호학에서 임의 시퀀스 및 키 생성에 사용되어 왔다.[46]

7. 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피에르 드 페르마는 1637년에 $a^n + b^n = c^n$ ($n$은 2보다 큰 정수)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해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으며, 이 주장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정리는 페르마가 남긴 추측 중 가장 늦게 증명되었으며, 1994년에 앤드루 와일스가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7. 2. n − 1 또는 n개의 n제곱수의 합

오일러의 거듭제곱 합 추측과 관련하여, ''n'' - 1개의 ''n''제곱수의 합이 하나의 ''n''제곱수가 되는 경우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졌다. 이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의해 ''n'' = 3일 때는 불가능하지만, ''n'' = 4 또는 5인 경우에는 그러한 경우가 존재한다.[43][44][45]

  • ''n'' = 4: (95800, 217519, 414560; 422481)
  • ''n'' = 5: (27, 84, 110, 133; 144)

7. 3. 헤론 삼각형

'''헤론 삼각형'''은 변의 길이와 넓이가 모두 정수인 삼각형이다. 이러한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형태의 '''헤론 삼중수'''를 이룬다. 여기서 이다.

모든 피타고라스 삼중수는 헤론 삼중수이다. 피타고라스 삼중수에서는 적어도 한 변 , 가 짝수여야 하므로 넓이 ''ab''/2가 정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헤론 삼중수가 피타고라스 삼중수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넓이가 24인 (4, 13, 15)가 있다.

만약 가 헤론 삼중수라면, 가 임의의 양의 정수일 때 도 헤론 삼중수이다. 이 삼중수의 넓이는 삼각형의 정수 넓이에 를 곱한 정수이다.

헤론 삼중수 가 ''a'', ''b'', ''c''가 집합적으로 상호 소수일 경우 '''원시적'''이라고 한다. 원시 피타고라스 삼중수에서는 더 강한 조건인 ''쌍별'' 상호 소수도 적용되지만, 원시 헤론 삼각형에서는 (7, 15, 20)와 같은 경우처럼 더 강한 조건이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다. 다음은 피타고라스 삼중수가 아닌 가장 간단한 몇 가지 원시 헤론 삼중수이다.

넓이
24(4, 13, 15)
36(3, 25, 26)
42(7, 15, 20)
60(6, 25, 29)
66(11, 13, 20)
84(13, 14, 15)
126(13, 20, 21)



헤론의 공식에 따르면, 인 양의 정수 삼중수 가 헤론 삼중수가 되기 위한 추가 조건은 다음과 같다.

:2 + 2 + 2)2 − 2(4 + 4 + 4)

또는

:2(22 + 22 + 22) − (4 + 4 + 4)

가 0이 아닌 16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완전 제곱수여야 한다.

7. 4. 거의 등변 피타고라스 삼조

이등변 삼각형의 경우 빗변과 다른 변의 비율이 이므로 는 두 정수의 비율로 표현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등변 삼각형인 피타고라스 삼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정수 변을 가지며 직각 삼각형의 빗변이 아닌 변의 길이가 1만큼 차이나는 직각 삼각형은 무한히 존재한다.

:3^2+4^2 = 5^2

:20^2+21^2 = 29^2

이러한 삼각형은 다음과 같이 완전히 매개변수화될 수 있다.

:\left(\tfrac{x-1}{2}\right)^2+\left(\tfrac{x+1}{2}\right)^2 = y^2

여기서 {''x, y''}는 펠 방정식 x^2-2y^2 = -1의 해이다.

만약 , , 가 이러한 유형의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의 변이라면, 펠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은 점화 관계로 주어진다.

:a_n=6a_{n-1}-a_{n-2}+2 ( a_1=3, a_2=20 )

:b_n=6b_{n-1}-b_{n-2}-2 ( b_1=4, b_2=21 )

:c_n=6c_{n-1}-c_{n-2} ( c_1=5, c_2=29 )

이러한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의 수열은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의 뿌리 삼진 트리의 중심 줄기(trunk)를 형성한다.

7. 5. 가우스 정수

피타고라스 삼중수는 가우스 정수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증명할 수 있다.[30] 가우스 정수는 ''u'' + ''vi''|u + vi영어 형식의 복소수로, 여기서 와 는 일반적인 정수이고 는 음의 제곱근이다. 가우스 정수의 단위는 ±1과 ±i이다. 일반적인 정수를 유리 정수라고 부르며 로 표기한다. 가우스 정수는 로 표기한다. 피타고라스 정리의 우변은 가우스 정수에서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할 수 있다.

:c^2 = a^2+b^2 = (a+bi)\overline{(a+bi)} = (a+bi)(a-bi).

원시 피타고라스 삼중수는 와 가 서로소인 경우, 즉 정수에서 공통 소인수를 공유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러한 삼중수의 경우 또는 는 짝수이고 다른 하나는 홀수이다. 이로부터 도 홀수임을 알 수 있다.

원시 피타고라스 삼중수의 두 인자 와 는 각각 가우스 정수의 제곱과 같다. 이는 모든 가우스 정수가 단위까지 가우스 소수로 고유하게 인수분해될 수 있다는 성질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31] (이 고유한 인수분해는 대략적으로 말해서 유클리드 호제법의 한 버전을 가우스 정수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따른다.) 증명은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와 가 정수에서 공통 소인수를 공유하지 않으면 가우스 정수에서도 공통 소인수를 공유하지 않는다. 둘째, 와 도 가우스 정수에서 공통 소인수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온다. 셋째, 가 제곱수이므로, 그 인수분해에 있는 모든 가우스 소수는 두 배가 된다. 즉, 짝수 번 나타난다. 와 는 공통 소인수를 공유하지 않으므로, 이 두 배는 또한 그들에게도 적용된다. 따라서 와 는 제곱수이다.

따라서 첫 번째 인자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a+bi = \varepsilon\left(m + ni \right)^2, \quad \varepsilon\in\{\pm 1, \pm i\}.

이 방정식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다음 두 공식을 제공한다.

:\begin{cases}\varepsilon = +1, & \quad a = +\left( m^2 - n^2 \right),\quad b = +2mn; \\ \varepsilon = -1, & \quad a = -\left( m^2 - n^2 \right),\quad b = -2mn; \\ \varepsilon = +i, & \quad a = -2mn,\quad b = +\left( m^2 - n^2 \right); \\ \varepsilon = -i, & \quad a = +2mn,\quad b = -\left( m^2 - n^2 \right).\end{cases}

모든 원시 피타고라스 삼중수에 대해 이러한 두 방정식이 충족되도록 하는 정수 과 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피타고라스 삼중수는 이러한 정수의 어떤 선택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7. 6. 모듈러 군

모듈러 군 Γ는 정수 성분을 가진 2×2 행렬의 집합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A = \begin{bmatrix}\alpha&\beta\\ \gamma&\delta\end{bmatrix}

이때 행렬식은 1이다: α δ − β γ = 1 {\displaystyle \alpha \delta -\beta \gamma =1} . 이 집합은 Γ의 행렬의 역행렬이 다시 Γ에 속하고, Γ의 두 행렬의 곱도 Γ에 속하므로 을 형성한다.

모듈러 군은 모든 정수 스피너의 집합에 작용하며, 서로 소인 정수 스피너의 집합에 전이적이다. 만약 [ m n ] T {\displaystyle [m\ n]^{T}} 가 서로 소인 성분을 가지면,

:\begin{bmatrix}m&-v\\n&u\end{bmatrix}\begin{bmatrix}1\\0\end{bmatrix} = \begin{bmatrix}m\\n\end{bmatrix}

여기서 u {\displaystyle u} 와 v {\displaystyle v} 는 m u + n v = 1 {\displaystyle mu+nv=1} 이 되도록 (유클리드 알고리즘) 선택된다.

( 1 ) {\displaystyle (1)} 의 스피너 ξ {\displaystyle \xi } 에 작용함으로써, Γ의 작용은 피타고라스 삼조에 대한 작용으로 전환된다. (음의 성분을 가질 수 있는 삼조를 허용하면) 따라서 A {\displaystyle A} 가 Γ {\displaystyle \Gamma } 의 행렬이라면,

: 2 ( A ξ ) ( A ξ ) T = A X A T {\displaystyle 2(A\xi )(A\xi )^{T}=AXA^{T}} ( 2 ) {\displaystyle (2)}

는 ( 1 ) {\displaystyle (1)} 의 행렬 X {\displaystyle X} 에 대한 작용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원시 삼조를 비원시 삼조로 바꿀 수 있으므로, 원시 삼조에 대해 잘 정의된 작용을 제공하지 않는다.

( a , b , c ) {\displaystyle (a,b,c)} 를 c > 0 {\displaystyle c>0} 이고 ( a , b , c ) {\displaystyle (a,b,c)} 가 서로 소이거나 ( a / 2 , b / 2 , c / 2 ) {\displaystyle (a/2,b/2,c/2)} 가 서로 소이고 a / 2 {\displaystyle a/2} 가 홀수인 경우 '''표준'''이라고 부를때, 만약 스피너 1 = [ m n ] T {\displaystyle 1=[m\ n]^{T}} 가 서로 소인 성분을 가지면, ( 1 ) {\displaystyle (1)} 에 의해 결정되는 연관된 삼조 ( a , b , c ) {\displaystyle (a,b,c)} 는 표준 삼조이다. 따라서 모듈라 군의 작용은 표준 삼조 집합에 전이적이다.

또는, m {\displaystyle m} 이 홀수이고 n {\displaystyle n} 이 짝수인 m {\displaystyle m} 과 n {\displaystyle n} 의 값에만 주의를 기울일 경우, Γ의 부분군 Γ(2)를 군 준동형사상의 커널로 사용한다.

:\Gamma=\mathrm{SL}(2,\mathbf{Z})\to \mathrm{SL}(2,\mathbf{Z}_2)

여기서 S L ( 2 , Z 2 ) {\displaystyle \mathrm {SL} (2,\mathbf {Z} _{2})} 는 유한체 Z 2 {\displaystyle \mathbf {Z} _{2}} (정수 모듈로 2)에 대한 특수 선형 군이다. 그러면 Γ(2)는 각 성분의 패리티를 보존하는 단일 모듈러 변환 군이다. 따라서 ξ의 첫 번째 성분이 홀수이고 두 번째 성분이 짝수이면, 모든 A ∈ Γ ( 2 ) {\displaystyle A\in \Gamma (2)} 에 대해 A ξ {\displaystyle A\xi } 도 동일하다. 실제로, 작용 ( 2 ) {\displaystyle (2)} 하에서, 군 Γ(2)는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의 집합에 전이적으로 작용한다.[29]

군 Γ(2)는 생성자가 다음과 같은 행렬인 자유군이다.

:U=\begin{bmatrix}1&2\\0&1\end{bmatrix},\qquad L=\begin{bmatrix}1&0\\2&1\end{bmatrix}.

결과적으로, 모든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는 행렬 U {\displaystyle U} 와  L {\displaystyle L} 의 사본의 곱으로 고유하게 얻을 수 있다.

7. 7. 암호학적 응용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는 암호학에서 임의 시퀀스 및 키 생성에 사용되어 왔다.[46]

참조

[1] harvtxt
[2] 간행물 Words and Pictures: New Light on Plimpton 322 https://www.maa.org/[...]
[3] 간행물 Euclid's Elements Clark University 1997-06
[4] 간행물 An Alternative Characterisation of All Primitive Pythagorean Triples 2001-07
[5] OEIS Pell numbers
[6] 간행물 Proofs Without Words: More Exercises in Visual Thinking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7] 서적 The Pythagorean Theorem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Pythagorean Triangles Dover
[9] 간행물 Proofs Without Words: Exercises in Visual Thinking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0] 간행물 The Pythagorean Theorem: The Story of Its Power and Beauty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11] 간행물 Elementary Number Theory with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2] harvnb
[13]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Southeastern Conference on Combinatorics, Graph Theory, and Computing, Volume 20 https://books.google[...] Utilitas Mathematica Pub
[14] 간행물 Roots to Research: A Vertical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roblems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5] 간행물 Introduction to Elliptic Curves and Modular Forms https://books.google[...] Springer
[16] 간행물 A Survey of Classical and Modern Geometries: With Computer Activities Prentice Hall
[17] 간행물 Heron's formula, Descartes circles, and Pythagorean triangles
[18] OEIS Least primes that together with prime(n) forms a Heronian triangle
[19] 문서 H. Darmon and L. Merel. Winding quotients and some variants of Fermat’s Last Theorem, J. Reine Angew. Math. 490 (1997), 81–100.
[20] 간행물 Diophantine Analysi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1] 간행물 Heron triangles and moduli spaces http://www.nctm.org/[...] 2008-05
[22] Mathworld Rational Triangle
[23] 간행물 Pythagorean triples, complex numbers, abelian groups and prime numbers
[24] 간행물 The Math Book https://books.google[...] Sterling
[25] 간행물 83.27 Integer solutions of a^{-2}+b^{-2}=d^{-2} 1999-07
[26] 간행물 92.48 The upside-down Pythagorean theorem 2008-07
[27] 간행물 Heron triangles which cannot be decomposed into two integer right triangles http://math.fau.edu/[...] 41st Meeting of Florida Section of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8] 간행물 Recreational Mathematics http://math.fau.edu/[...] Dept. of Mathematical Sciences, Florida Atlantic University
[29] harv
[30] 간행물 Elements of Number Theory Springer
[31] 간행물 Theoria residuorum biquadraticorum
[32] 간행물 Multiple Pythagorean number triples http://conservancy.u[...] 1991-06
[33] 간행물 Pythagorean triangles with legs less than {{math|''n''}} http://www.unirioja.[...] 2002-06
[34] 간행물 An Imaginary Tale: The Story of \sqrt{-1}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OEIS
[36] OEIS
[37] 간행물 Fibonacci Meets Pythagoras 2001-09
[38] OEIS Smallest positive integer whose square can be written as the sum of n positive perfect squares
[39] citation Sum of consecutive cubes equal a cube http://www.math.niu.[...]
[40] 간행물 When is the sum of consecutive squares a square? 2011-11
[41] 간행물 Reader reflections http://www.nctm.org/[...] 2005-05
[42] 간행물 Triples, quartets, pentads 2005-05
[43] 간행물 Bogglers http://discovermagaz[...] 2002-05
[44] 간행물 On A{{sup|4}} + B{{sup|4}} + C{{sup|4}} = D{{sup|4}} https://www.ams.org/[...]
[45] 간행물 Generalising a result about Pythagorean triples 2012-03
[46] 간행물 Cryptographic applications of primitive Pythagorean triples http://www.tandfonli[...]
[47] 간행물 Words and Pictures: New Light on Plimpton 322 https://www.maa.org/[...]
[48] 간행물 Euclid's Elements Clark University 1997-06
[49] 서적 三角形の七不思議 2013-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