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영숙 (195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영숙은 1955년생으로, 미래학자이자 기업인이다. 유엔미래포럼 한국대표, 밀레니엄 프로젝트 한국 노드 의장, 세계미래학회 한국 지부 회장 등을 역임하며 미래 예측 및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다양한 저술 활동과 CEO 활동을 통해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으며, 사회 정의와 인간 개발을 위한 활동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래학자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존재 위험, 인간 향상 윤리, 시뮬레이션 가설, 초지능 위험성 등 연구와 저서 《초지능》을 통해 인공지능 발전과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며 트랜스휴머니즘 및 미래학 분야 주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 미래학자 - 한스 모라벡
    한스 모라벡은 로봇 공학, 인공지능, 미래 기술 분야에 기여한 학자이며, 모라벡의 역설을 제안하고, 무어의 법칙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공지능과 로봇 발전에 대한 예측을 제시했으며, 저서 《마음의 아이들》에서 로봇의 진화와 인공 종의 등장을 예견했다.
  • 1955년 출생 - 자이르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군사 독재를 옹호하고 차별적인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실패하고 공직 활동이 금지되었다.
  • 1955년 출생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박영숙 (195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영숙 의장
박영숙 의장
이름박영숙
원어명해당사항 없음
로마자 표기Bak Yeong-suk
출생일1955년 7월 16일
출생지해당사항 없음
사망일해당사항 없음
사망지해당사항 없음
국적대한민국
학력해당사항 없음
경력주한영국대사관 20년 근무
주한호주대사관 10년 근무
직업작가
칼럼니스트
교수
미래학자
병역해당사항 없음
활동 기간해당사항 없음
소속(사)유엔미래포럼
종교해당사항 없음
배우자해당사항 없음
상훈해당사항 없음
웹사이트해당사항 없음
서명해당사항 없음
직업
직업대학교 강사
미래학자
활동 년도해당사항 없음
알려진 업적공동 저자, World Future Report 2045
기타 정보
기타 이름해당사항 없음
주목할 만한 저서Co-Author World Future Report 2045

2. 경력


  • 2016 - 현재: [http://www.insilicomedicine.com Insilicomedicine],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ssociation/[http://www.opencog.org OpenCog], Bitnation, Humanity+ 등 한국대표
  • 2013 :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미래예측겸임교수
  • 2012 - 현재: 인터넷신문 https://web.archive.org/web/20180919090131/http://www.indaily.co.kr/ 인데일리 (Indaily) 편집인
  • 2008 - 2014: 나봄문화 공동대표[61]
  • 2008 - 현재: 대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미래예측담임교수
  • 2007- 현재: CEO, 세계기후변화상황실, Solar Makers (College), SPX Solar, [http://www.makercenter.org MakerCenter] : 김천시 아포읍, 아포대로 659-15
  • 2006 :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실내건축학과 미래예측강사
  • 2006 - 현재: TechCastGlobal, Davinci Institute, Global Ocean Council, Lifeboat Foundation, etc 각종 글로벌미래연구기관 한국대표
  • 2004 - 현재: [http://korea2050.net (사)유엔미래포럼] (세계미래회의) [http://www.millennium-project.org the Millennium Project], [http://www.wfs.org World Future Society] 한국대표
  • 2000 ~ 2010: 주한호주대사관 문화공보실장
  • 1995 ~현재: [https://web.archive.org/web/20181230223306/https://ngopower.net/ (사)한국수양부모협회] 회장
  • 1982 ~ 2000 주한영국대사관 공보관
  • 1981-1982: Health & Beauty Journal 기자, 뉴욕, 미국
  • 1975-1979: 춘천 유봉여자중학교 영어교사
  •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강사 (2013년–현재)
  • 연세대학교 미래학 강사 (2006년–현재)
  • 밀레니엄 프로젝트 한국 지부 (UN 미래 포럼) 의장[6]
  • 스위치 토큰(Token Commons Foundation) 사업 개발 이사, 대한민국
  • 싱귤래리티넷(OpenCog/AGI Society) 이사, 대한민국
  •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 한국 대표, 대한민국 (2017년–현재)
  • 다빈치 메이커센터 CEO, 대한민국 (2014년–현재)
  • 솔라 메이커스 CEO, 대한민국 (2011년–현재)
  • 인데일리 인터넷 신문 편집인, (2009년–현재)

2. 1. 학계 및 연구

박영숙은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춘천 유봉여자중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하였다.[61] 1981년부터 1982년까지는 미국 뉴욕에서 Health & Beauty Journal 기자로 활동했다.[61]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주한영국대사관 공보관으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주한호주대사관 문화공보실장으로 근무했다.[61]

2004년부터 현재까지 (사)유엔미래포럼(세계미래회의)과 밀레니엄 프로젝트, 세계미래회의(World Future Society) 한국대표를 맡고 있다.[6][61] 2006년부터는 TechCastGlobal, Davinci Institute, Global Ocean Council, Lifeboat Foundation 등 다양한 글로벌미래연구기관의 한국대표로도 활동 중이다.[61]

2006년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실내건축학과에서 미래예측강사로 활동하였고,[61] 2008년부터 현재까지 대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미래예측담임교수를 맡고 있다.[61] 2013년부터는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미래예측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61]

2007년부터 현재까지 세계기후변화상황실, Solar Makers (College), SPX Solar, MakerCenter의 CEO를 역임하고 있다.[61] 2016년부터 현재까지 Insilicomedicine,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ssociation/OpenCog, Bitnation, Humanity+ 등에서 한국대표를 맡고 있다.

2. 2. 언론 및 출판

박영숙은 1981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 뉴욕에서 Health & Beauty Journal 기자로 활동했다.[61]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주한영국대사관 공보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주한호주대사관 문화공보실장으로 재직했다.[61] 2012년부터 현재까지 인터넷신문 https://web.archive.org/web/20180919090131/http://www.indaily.co.kr/ 인데일리 (Indaily)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61] 2016년부터 현재까지 [http://www.insilicomedicine.com Insilicomedicine],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ssociation/[http://www.opencog.org OpenCog], Bitnation, Humanity+ 등에서 한국대표를 맡고 있다.[61]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실내건축학과(2006) 및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2013)에서 미래예측 강사로 활동했다.[61] 2008년부터 현재까지 대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미래예측 담임교수로 재직 중이다.[61]

2004년부터 현재까지 [http://korea2050.net (사)유엔미래포럼] (세계미래회의) [http://www.millennium-project.org the Millennium Project], [http://www.wfs.org World Future Society] 한국대표를 맡고 있으며,[61] TechCastGlobal, Davinci Institute, Global Ocean Council, Lifeboat Foundation 등 각종 글로벌미래연구기관 한국대표로도 활동 중이다.[61]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나봄문화 공동대표를 역임했다.[61] 2007년부터 현재까지 CEO로서 세계기후변화상황실, Solar Makers (College), SPX Solar, [http://www.makercenter.org MakerCenter] 등을 운영하고 있다.[61]

다수의 미래예측서를 저술 또는 번역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미래예측 리포트"(2004), "NEXT JOB 미래직업 대예측"(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2008), "미래는 어떻게 변해가는가"(2014) 등이 있으며, "에너지혁명 2030"(2016), "인공지능혁명 2030"(2016) 등을 번역했다. "세계미래보고서"는 2005년부터 2023년까지 다양한 부제로 출간되었다.[61]

2. 3. 기업 및 기타

박영숙은 2016년부터 [http://www.insilicomedicine.com Insilicomedicine],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ssociation/[http://www.opencog.org OpenCog], Bitnation, Humanity+ 등에서 한국대표를 맡고 있다.[18][19] 2013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미래예측겸임교수를 역임했다. 2012년부터는 인터넷신문 [https://web.archive.org/web/20180919090131/http://www.indaily.co.kr/ 인데일리 (Indaily)] 편집인을 맡고 있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나봄문화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며,[61] 2008년부터 대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미래예측담임교수를 맡고 있다. 2007년부터는 세계기후변화상황실, Solar Makers (College), SPX Solar, [http://www.makercenter.org MakerCenter] 의 CEO를 맡고 있다. 2006년에는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실내건축학과에서 미래예측강사로 활동했다.

2006년부터 TechCastGlobal, Davinci Institute, Global Ocean Council, Lifeboat Foundation 등 각종 글로벌미래연구기관의 한국대표를 맡고 있다. 2004년부터는 [http://korea2050.net (사)유엔미래포럼] (세계미래회의) [http://www.millennium-project.org the Millennium Project], [http://www.wfs.org World Future Society] 한국대표이다.[6]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주한호주대사관 문화공보실장을 역임했으며, 1995년부터 [https://web.archive.org/web/20181230223306/https://ngopower.net/ (사)한국수양부모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1982년부터 2000년까지는 주한영국대사관 공보관으로 재직했다. 그 이전에는 1981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 뉴욕에서 Health & Beauty Journal 기자로 활동했고, 1975년부터 1979년까지는 춘천 유봉여자중학교에서 영어교사로 근무했다.

3. 학력

4. 미래학 활동

박영숙은 예지력을 활용하여 한국에서 사회 정의와 인간 개발을 증진한다. 2004년부터 밀레니엄 프로젝트 한국 노드 의장이자[4][8] 세계 미래 학회 한국 지부의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9] 매년 열리는 세계 미래 컨퍼런스와 같은 전 세계 미래 관련 행사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으며, 박영숙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에 대한 연구 논문을 저술했다.[9]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TEDxYonsei에서 미래 메가트렌드에 대해 강연했으며, 본인의 라디오 및 TV 미래 토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10] 유튜브에서도 한국의 미래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박영숙은 매년 한국어로 "세계 미래 보고서" 13권을 출판하거나 공동 저술했는데, 이는 한국에서 미래 관련 서적으로 인기를 얻었다.[11] "세계 미래 보고서 2045"는 2015년 교보문고에서 경제/비즈니스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세계 미래 보고서 2050"은 2016년 교보문고에서 5위를 기록했다.[12] 대학교 수업에서 미래의 새로운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친다.[13] 2012년부터 한국 서울의 미래 인터넷 포털, 즉 인터넷 신문인 Indaily에 많은 미래 관련 기사를 기고하고 있다.[13] 새해 특집으로 미래 트렌드에 대해 한국 언론에 자주 보도된다. ''조선일보''는 박영숙의 한국 정치와 미래 신기술에 대한 언급을 담은 "2017 새해 특집"으로 다루었다.[14][15]

밀레니엄 프로젝트 코리아가 설립한 글로벌 기후 변화 상황실 및 태양광 메이커스 칼리지의 CEO이며, 이 시설은 경상북도 김천시 4에이커 부지에 위치해 있다.

박영숙은 여러 언론 매체와 인터뷰를 진행하며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62][63][64][65][66] 인공지능, 로봇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 정치적 변화와[69][71][80]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7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1인 기업, 메이커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예측했다.[84][85]

또한, 환경 문제와 인구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촉구하며 미래 사회의 위험을 경고했다.[93][94] 특히, 2750년 한국 인구가 0명이 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인구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94]

4. 1. 주요 활동

박영숙은 예지력을 활용하여 한국에서 사회 정의와 인간 개발을 증진한다. 2004년부터 밀레니엄 프로젝트 한국 노드 의장이자[4][8] 세계 미래 학회 한국 지부의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9] 매년 열리는 세계 미래 컨퍼런스와 같은 전 세계 미래 관련 행사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으며, 박영숙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에 대한 연구 논문을 저술했다.[9]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TEDxYonsei에서 미래 메가트렌드에 대해 강연했으며, 본인의 라디오 및 TV 미래 토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10] 유튜브에서도 한국의 미래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박영숙은 매년 한국어로 "세계 미래 보고서" 13권을 출판하거나 공동 저술했는데, 이는 한국에서 미래 관련 서적으로 인기를 얻었다.[11] "세계 미래 보고서 2045"는 2015년 교보문고에서 경제/비즈니스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세계 미래 보고서 2050"은 2016년 교보문고에서 5위를 기록했다.[12] 대학교 수업에서 미래의 새로운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친다.[13] 2012년부터 한국 서울의 미래 인터넷 포털, 즉 인터넷 신문인 Indaily에 많은 미래 관련 기사를 기고하고 있다.[13] 새해 특집으로 미래 트렌드에 대해 한국 언론에 자주 보도된다. ''조선일보''는 박영숙의 한국 정치와 미래 신기술에 대한 언급을 담은 "2017 새해 특집"으로 다루었다.[14][15]

밀레니엄 프로젝트 코리아가 설립한 글로벌 기후 변화 상황실 및 태양광 메이커스 칼리지의 CEO이며, 이 시설은 경상북도 김천시 4에이커 부지에 위치해 있다.

박영숙은 여러 언론 매체와 인터뷰를 진행하며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62][63][64][65][66] 인공지능, 로봇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 정치적 변화와[69][71][80]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7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1인 기업, 메이커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예측했다.[84][85]

또한, 환경 문제와 인구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촉구하며 미래 사회의 위험을 경고했다.[93][94] 특히, 2750년 한국 인구가 0명이 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인구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94]

4. 2. 주요 저서

박영숙은 다양한 미래예측서를 저술 및 번역하였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미래예측서
  • * 랜덤하우스 중앙에서 출판한 "미래예측 리포트"(2004.11)
  • * 매경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04" 감역 (2005.5.10)
  • * 매경출판에서 출판한 "NEXT JOB 미래직업 대예측" (2006.3)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05" 공저 제롬 글렌 (2006.4.3)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2020 트랜스휴먼과 미래경제" 공저 호세 코르데이로 (2006.7)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전략적 사고를 위한 미래예측" 공저 제롬 글렌 (2007.3)
  • * 남보사연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07" 공저 제롬 글렌, 테드 고든 (2007.9)
  • * 도솔출판에서 출판한 "당신의 성공을 위한 미래뉴스" (2008.2)
  • * 경향미디어출판에서 출판한 "새로운 미래가 온다" (2008.12.1)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미리가본 2018년-유엔미래보고서 2008" 공저 제롬 글렌, 테드 고든 (2008.12.5)
  • * 남보사연에서 출판한 "미래가족구조와 가정위탁" (2008.12)
  • * 서울문화사에서 출판한 "어린이리더를 위한 미래뉴스" (2009.3.25)
  • * 남보사연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1 2009" 공저 제롬 글렌, 테드 고든 (2009.9)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서2: 2020년 위기와 기회의 미래" 공저 제롬 글렌 (2009.12.10)
  • * 경향미디어에서 출판한 "2020 미래 교육 보고서" (2010.3.17)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3: 기후와 에너지로 재편되는 세계" 공저 제롬 글렌 (2010.12.10)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25" 공저 제롬 글렌 등 (2011.12)
  • * 경향미디어출판에서 출판한 "미래예측보고서" (2011.12)
  • * 남보사연출판에서 출판한 "알지 그린골드, 기후변화대안" (2012.3)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30" (2012.11)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40" (2013.12)
  • * "미래는 어떻게 변해가는가 2014-2130 시간대별로 살펴보는 퓨처 타임라인" (2014.10.20)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45" (2014.12)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유엔미래보고서 2050" (2016.1)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에너지혁명 2030" 역자 (2016.7)
  • * 더블북에서 출판한 "인공지능혁명 2030" 역자 (2016.9)
  • * 비즈니스북스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55" (2017.01.10)
  • * 비즈니스북스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18" (2017.12.15)
  • * 비즈니스북스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19" (2018.11.24)
  • * 비즈니스북스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20" (2019.10.24)
  • * 비즈니스북스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21" (2020.10.22)
  • * 교보출판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 (2020.06.05)
  • * 비즈니스북스출판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22: 메타 사피엔스가 온다:세계적인 미래연구기구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2022 대전망!" (2021.10.19)
  • * 더블북에서 출판한 "AI세계미래보고서 2023" (2022.3.21)
  • * 비즈니스북스출판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23 : 세계적인 미래연구기구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2023 대전망!" (2022.10.11)
  • * 더블북에서 출판한 "새로운 부의 기회는 어떻게 오는가 챗GPT 세계미래보고서" (2023.04.03)
  • * 교보문고에서 출판한 "세계미래보고서 2024-2034" (2023.11.25)
  • 2018 세계 미래 보고서 (2017)
  • 2030 주거 혁명 (2017)
  • 2030 일의 혁명[20]
  • 2055 세계 미래 보고서[21] (2017)
  • 2050 세계 미래 보고서[22] (2016)
  • 2030 인공지능 혁명[23] (2016)
  • 2045 세계 미래 보고서[24] (2015)
  • 2030 에너지 혁명[25] (2015)
  • 소설: 더블 크로스 (1996), 코문도 3권 (1997)
  •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 (1998)
  • 외국인의 눈에 비친 금강산 (1998)
  • 미래 보고서 (2004)
  • 넥스트 잡 (2006)
  • 미래의 현황 2004
  • 미래의 현황 2005[26]

5. 사회 활동

박영숙은 한국 고아의 해외 수출을 막기 위해 한국 입양홍보회를 설립했다.[16] 대한민국 감사원 위원(2014년-현재), 국토교통부 교통정책심의위원회 위원(2016년-현재)을 맡고 있다.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R&D 위원(2013년-2015), 미래창조과학부 ICT 미래비전 위원회 위원(2013년-2015), 교육부 규제개혁위원회 위원(2008년-2013), 환경부 미래전략위원회 위원(2012년-2013), 지식경제부 글로벌 전략기획위원회 위원(2012년-2013), 교육부 글로벌프론티어 프로젝트 기획위원회 위원(2009년-2010)을 역임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임명한 대한민국 청소년위원회(차관급) 위원(2005년-2010)으로 활동했다.

대한민국 국무총리가 임명한 대한민국 정부 아동 정책 조정관(2004), 산업통상자원부 신성장동력기획위원회 위원(2008년-2009), 국토해양부 미래해양기술위원회 위원(2006년-2007)을 역임했다. 여러 인공지능 연구자들과 함께 한국의 인공지능 개발 및 응용, 교육 및 홍보 활동을 위한 싱크탱크인 아시아 인공지능 허브를 공동 설립했다.[17]

5. 1. 주요 활동

박영숙은 한국 고아의 해외 수출을 막기 위해 한국 입양홍보회를 설립했다.[16] 대한민국 감사원 위원(2014년-현재), 국토교통부 교통정책심의위원회 위원(2016년-현재)을 맡고 있다.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R&D 위원(2013년-2015), 미래창조과학부 ICT 미래비전 위원회 위원(2013년-2015), 교육부 규제개혁위원회 위원(2008년-2013), 환경부 미래전략위원회 위원(2012년-2013), 지식경제부 글로벌 전략기획위원회 위원(2012년-2013), 교육부 글로벌프론티어 프로젝트 기획위원회 위원(2009년-2010)을 역임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임명한 대한민국 청소년위원회(차관급) 위원(2005년-2010)으로 활동했다.

대한민국 국무총리가 임명한 대한민국 정부 아동 정책 조정관(2004), 산업통상자원부 신성장동력기획위원회 위원(2008년-2009), 국토해양부 미래해양기술위원회 위원(2006년-2007)을 역임했다. 여러 인공지능 연구자들과 함께 한국의 인공지능 개발 및 응용, 교육 및 홍보 활동을 위한 싱크탱크인 아시아 인공지능 허브를 공동 설립했다.[17]

6. 수상

박영숙은 1999년 대한민국 기독교 종교연구원/연합회로부터 "올해의 가족"으로 선정되었다. 2002년에는 한국여성신문과 문화관광부 장관으로부터 제3회 가족문화 특별상을 수상했다. 2003년에는 국회의원 4월 기념위원회로부터 "4월의 어머니"로 선정되었고, 정부 행정부와 청와대 대통령으로부터 "2003년 가장 공헌한 인물"로 선정되었다. 2004년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아동 복지 증진상을, 2005년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한국 입양제도 기여상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Lifeboat Foundation Bios: Professor Youngsook Park https://lifeboat.com[...] 2017-01-09
[2] 웹사이트 Futures Studies In Asia: Players And Institutions http://www.metafutur[...] 2017-01-09
[3] 웹사이트 "List of the world's top female futurists (Updated) - Ross Dawson" http://rossdawson.co[...] 2017-01-09
[4] 웹사이트 사단법인 유엔미래포럼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http://unfuture.org 2017-01-09
[5] 웹사이트 글로벌인재포럼2017 - 미디어자료실 - 동영상 http://www.ghrforum.[...] 2017-01-09
[6] 웹사이트 유엔미래포럼 http://www.korea2050[...] 2018-01-11
[7] 문서 korea she introduce http://people.search[...]
[8] 웹사이트 Foresight Professionals - Global Foresight http://www.globalfor[...] 2017-01-09
[9] 웹사이트 404 - Anne Arundel Community College http://www.aacc.edu/[...] 2017-08-18
[10] 웹사이트 "::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 http://www.btn.co.kr[...] 2017-01-09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wfsf.org[...] 2017-01-07
[12] 웹사이트 교보문고 종합 연간 집계 -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 인터넷교보문고 http://www.kyobobook[...] 2017-01-09
[13] 웹사이트 미래예측포탈, 국내최초·유일 '미래예보' 뉴스 http://www.indaily.c[...] 2017-01-09
[14] 웹사이트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가 말하는 2017 대한민국 주간조선 > http://weekly.chosun[...] 2017-01-09
[15] 웹사이트 2017년판 세계미래보고서 주간조선 http://weekly.chosun[...] 2017-01-09
[16] 웹사이트 (사)한국수양부모협회 http://ngopower.net 2017-01-09
[17] 웹사이트 Asia AI Hub http://asiaaihub.org[...] 2017-08-18
[18] 웹사이트 Insilico Korea https://www.eurekale[...] 2017-08-18
[19] 웹사이트 Insilico enters Korea to focus on skincare, wound-healing http://www.koreabiom[...] 2017-04-12
[20] 웹사이트 일자리 혁명 2030 http://www.kyobobook[...] 2017-08-18
[21] 웹사이트 세계미래보고서 2055 http://www.kyobobook[...] 2017-01-09
[22] 웹사이트 세계미래보고서 2050 http://www.kyobobook[...] 2017-01-09
[23] 웹사이트 인공지능 혁명 2030 http://www.kyobobook[...] 2017-01-09
[24] 웹사이트 세계미래보고서 2045 http://www.kyobobook[...] 2017-01-09
[25] 웹사이트 에너지 혁명 2030 http://www.kyobobook[...] 2017-01-09
[26] 웹사이트 UN 미래 보고서 http://www.kyobobook[...] 2017-01-09
[27] 뉴스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8-06-10
[28] 뉴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 "* 유엔미래보고서 - 미리 가본 2018년 - 박영숙, 제롬 글렌, 테드 고든 (2008)" 2009-05-28
[29] 뉴스 서울신문 http://www.seoul.co.[...]
[30] 뉴스 데일리안 http://www.dailian.c[...] 2008-07-16
[31] 뉴스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8-04-04
[32] 문서 http://www.kyobobook[...]
[33] 뉴스 전자신문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5-03-19
[34] 뉴스 "[이현덕이 만난 생각의 리더]<9>박영숙 유엔미래포럼 한국대표" https://news.naver.c[...] 전자신문 2017-01-05
[35] 뉴스 연합뉴스 http://entertain.nav[...] 1999-02-19
[36] 뉴스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8-06-28
[37] 뉴스 패션저널 http://okfashion.co.[...] 2010-07-26
[38] 뉴스 한국경제 http://www.hankyung.[...] 2009-06-17
[39] 뉴스 서울신문 http://www.seoul.co.[...] 2012-07-17
[40] 뉴스 전자신문 http://www.etnews.co[...] 2013-10-27
[41] 뉴스 연합뉴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4-12
[42] 뉴스 ‘싱글 맘’ 뜨고 일부일처제 깨진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8-04-10
[43] 뉴스 패션저널 http://okfashion.co.[...] 2010-06-28
[44] 뉴스 한국경제 http://www.hankyung.[...] 2007-11-03
[45] 뉴스 에너지경제 http://www.ekn.kr/ne[...] 2014-12-18
[46] 뉴스 국제신문 http://www.kookje.co[...] 2013-06-18
[47] 뉴스 경향신문 http://news.khan.co.[...] 2013-06-20
[48] 뉴스 경인일보 http://www.kyeongin.[...] 2013-11-19
[49] 뉴스 한국경제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3-24
[50] 뉴스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0-02-17
[51] 뉴스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8-12-17
[52] 뉴스 뉴시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3-21
[53] 뉴스 한국경제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9-06
[54] 뉴스 부산일보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5-05-23
[55] 뉴스 강원도민일보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4-07-15
[56] 뉴스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2008-06-28
[57] 뉴스 조선비즈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5-12-21
[58] 뉴스 패션저널 http://okfashion.co.[...] 2010-03-11
[59] 뉴스 충북일보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5-08-27
[60] 뉴스 한경비즈니스 https://news.naver.c[...] 2014-01-17
[61] 웹사이트 나봄 홈페이지 연혁 http://www.nabom.kr/[...] 2017-01-06
[62] 뉴스 http://www.hani.co.k[...]
[6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pub.chosun.co[...] 2017-01-12
[64] 뉴스 http://www.wsobi.com[...]
[65] 뉴스 http://weekly.chosun[...]
[66] 뉴스 http://weekly.chosun[...]
[67] 뉴스 http://ilyo.co.kr/?a[...]
[68] 뉴스 http://www.kwangju.c[...]
[69] 뉴스 http://www.ytn.co.kr[...]
[7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premium.mk.co[...] 2017-01-13
[71] 뉴스 http://news.chosun.c[...]
[72] 뉴스 http://news.heraldco[...]
[73] 뉴스 http://www.yonhapnew[...]
[74] 뉴스 http://biz.chosun.co[...]
[75] 뉴스 http://www.yonhapnew[...]
[76] 뉴스 http://www.btnnews.t[...]
[77] 뉴스 http://news1.kr/phot[...]
[78] 뉴스 http://www.gukjenews[...]
[79] 뉴스 http://news.mk.co.kr[...]
[8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edaily.co[...] 2017-01-13
[81] 뉴스 http://www.mt.co.kr/[...]
[82] 뉴스 http://www.ytn.co.kr[...]
[83] 뉴스 http://news.mk.co.kr[...]
[84] 뉴스 http://www.wowtv.co.[...]
[85] 뉴스 http://www.hankyung.[...]
[86] 뉴스 http://www.etnews.co[...]
[8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ankyung.[...] 2017-01-13
[88] 뉴스 http://www.mt.co.kr/[...]
[89] 뉴스 http://www.g-enews.c[...]
[90] 뉴스 http://www.yonhapnew[...]
[91] 뉴스 http://www.ilyosisa.[...]
[92] 뉴스 http://www.hani.co.k[...]
[93] 뉴스 http://www.yeongnam.[...]
[94] 뉴스 http://www.mt.co.kr/[...]
[95] 뉴스 http://www.hankyung.[...]
[96] 뉴스 http://news.tvchosun[...]
[9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maeil.co[...] 2017-01-13
[98] 뉴스 http://www.kado.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