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가는 일본 귀족 사회에서, 공경(公卿)에 오르지 못한 가문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후지와라 씨, 세이와 겐지, 우다 겐지, 카잔 겐지, 간무 헤이시, 스가와라 씨, 기요하라 씨, 오나카토미 씨, 우라베 씨, 아베 씨, 단바 씨, 오에 씨 등 다양한 씨족 계통에서 반가가 존재했다. 각 가문은 고유의 가업과 계통을 가지며, 구가(公家)의 서류이거나 신가(新家)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가 - 후지나미가 (오나카토미씨)
후지나미가는 간메이 천황 시대 나카토미노 렌의 사성을 받은 나카토미 쓰네이와를 가조로 하는 오나카토미씨에서 분가한 가문으로, 에도 시대 쇠퇴 후 후지나미 카게타다 대에 재건을 다짐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후지나미 겐츄는 마필 사육 및 개량에 기여했다. - 반가 - 다카쿠라가
다카쿠라가는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 기요쓰네의 후손으로 시작되어 남북조 시대에 가문이 번성하여 대대로 공경을 배출했고, 에도 시대에는 조정 의상을 담당했으며 메이지 시대에는 자작 작위를 받은 일본의 공가이다. - 공가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공가 - 공경
공경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하여 일본 궁중 관리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율령 체제에서 대신들을 포함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화족 제도가 창설되면서 폐지되었다. - 일본사 - 도쿄부
도쿄부는 1868년 에도에서 개칭된 도쿄에 설치된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가지에서 현재의 도쿄도와 거의 같은 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1943년 도쿄도제가 시행되면서 도쿄도로 개편되었다. - 일본사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반가 | |
|---|---|
| 반가 (공가) | |
| 반가 (일본) | 半家 (はんげ) |
| 반가 (한국) | 한케 |
| 개요 | |
| 정의 | 당상가에 준하는 공가이지만, 비참의인 가문 대납언 이상의 공경에는 오를 수 없음 |
| 목록 | |
| 다카쿠라류 | 다카쿠라가 도미노코지가 |
| 세이와 겐지 | 다케노우치가 |
| 우다 겐지 | 이쓰쓰지가 지코지가 |
| 가잔 겐지 | 시라카와류 |
| 헤이시 | 니시노토우인가 이와이가 |
| 스가와라류 | 다카쓰지가 고조가 가라하시가 히가시보조가 기요오카가 구와하라가 |
| 히로스미류 | 후나바시가 후세하라가 사와가 |
| 오나카토미류 | 후지나미류 |
| 우라베류 | 요시다가 하기와라가 니시고리가 후지이가 |
| 아베류 | 쓰치미카도가 구라하시가 |
| 단바류 | 니시키코지가 |
| 오에류 | 기타코지류 |
2. 후지와라 씨 계통
후지와라 씨는 일본 역사에서 매우 강력한 귀족 가문 중 하나였으며,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반가에도 후지와라 씨의 두 가문이 속해 있다.
2. 1. 다카쿠라 가
후지와라 북가 다카쿠라류에 속하며, 후지와라노 후유쓰구의 아들 나가라의 후손 나가토키가 시조이다. 구카이며, 가업은 유직고실・장속이다.3. 세이와 겐지 계통
세이와 천황의 후손으로 무사 가문으로 유명한 세이와 겐지(源氏)에는 다케우치 씨가 있으며, 스에하루를 시조로 한다.
3. 1. 다케우치 가
미나모토노 요시미쓰의 후손으로, 궁술, 생황, 와카를 가업으로 삼았다.4. 우다 겐지 계통
우다 천황의 후손인 우다 겐지에서는 고노츠지 가와 지코지 가 두 가문이 반가에 속했다. 이들은 관위 승진에서 우림가나 명가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으며, 일부 가문은 근위 중장이나 좌우대변을 거치지 않고 대납언을 극관으로 삼기도 했다. 그러나 공경이 되어도 비참의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 화족령 시행 후에는 두 가문 모두 자작을 받았으나, 택가는 후에 메이지 유신 때의 공적으로 백작이 되었다.
4. 1. 고노츠지 가
우다 겐지(미나모토노 아손). 니와타 가와 같은 조상을 가지며, 미나모토노 마사노부의 아들 토키카타의 6대손인 나카카네를 시조로 한다. 가구라를 가업으로 삼았다.4. 2. 지코지 가
고노츠지 가의 분가이다. 고노츠지 도오카네의 아들 나카키요를 시조로 한다. 센고쿠 시대 말기에 가문이 한때 단절되었으나, 에도 시대 초기에 후유나카가 재흥하였다. 신가(新家)이다.5. 카잔 겐지 계통
가잔 천황의 후손인 가잔 겐지(花山源氏)에서는 시라카와 가가 반가에 속했다. 시라카와 가는 세이닌 친왕의 후손 미나모토노 아키야스를 시조로 한다.
5. 1. 시라카와 가
미나모토노 아키야스를 시조로 하며, 진기하쿠를 세습하여 백가(伯家)라고 불렸다.6. 간무 헤이시 계통
간무 천황의 후손인 간무 헤이시(桓武平氏)에서는 니시노토인 가와 이시이 가 두 가문이 반가에 속했다.
6. 1. 니시노토인 가
간무 헤이씨 다카무네 왕 계통의 적류이다. 니시노토인 유키토키가 시조이다. 구가.6. 2. 이시이 가
니시노토인 가의 분가로, 히라마츠 토키카즈의 아들 유키토요를 시조로 한다.7. 스가와라 씨 계통
학자 가문으로 유명한 스가와라 씨에서는 다카쓰지 가, 고조 가, 가라스하시 가, 도보조 가, 기요오카 가, 쿠와하라 가의 여섯 가문이 반가에 속했다. 이들은 관위에 관해서 우림가나 명가에 준하여 승진하며, 일부 가문은 근위 중장이나 좌우대변을 거치지 않고 대납언을 극관으로 삼지만, 공경이 되어도 비참의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 화족령 시행 후에는 어느 가문도 자작을 받았으나, 택가는 후에 메이지 유신 때의 공적에 의해 백작이 되었다.
| 가문명 | 시조 | 가업 | 비고 |
|---|---|---|---|
| 다카쓰지 가 | 고레쓰나 | 기덴도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아들 사다요시의 아들, 구가, 몬조하카세 세습 |
| 고조 가 | 다카나가 | 기덴도 | 다카쓰지 다메나가의 아들, 구가 |
| 가라스하시 가 | 아리요시 | 기덴도 | 사다요시의 아들, 구가 |
| 도보조 가 | 시게나가 | 기덴도 | 고조 나가쓰네의 차남, 구가 |
| 기요오카 가 | 나가토키 | 유학 | 고조 다메야스의 차남, 신가 |
| 쿠와하라 가 | 나가요시 | 유학 | 고조 다메쓰네의 넷째 아들, 신가 |
7. 1. 다카쓰지 가
스가와라 아손적류.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아들 사다요시의 아들 고레쓰나가 시조이다. 구가이다. 가업은 기덴도이며, 몬조하카세를 세습했다.7. 2. 고조 가
다카쓰지 가의 방계로, 기덴도를 가업으로 삼았다.7. 3. 가라스하시 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아들 사다요시의 아들 아리요시를 시조로 한다. 다카쓰지 가와 같은 조상을 가지며, 기덴도를 가업으로 삼았다. 구가이다.7. 4. 도보조 가
고조 가의 방계로, 고조 나가쓰네의 차남 시게나가가 시조이다. 구가이며, 가업은 기덴도이다.7. 5. 기요오카 가
고조 가의 방계로, 고조 다메야스의 차남 나가토키를 시조로 한다. 신가이다. 가업은 유학이다.7. 6. 구와하라 가
고조 가의 방계로, 고조 다메쓰네의 넷째 아들 나가요시가 시조이다. 신가(新家)이며, 가업은 유학이다.8. 기요하라 씨 계통
기요하라 씨(清原氏)에서는 세 가문이 반가에 속했다.
| 가문명 | 설명 |
|---|---|
| 후나바시가 | 히로즈미류 기요하라 아손 적류로, 명경박사 기요하라 히로즈미의 후예 히데카타부터 후나바시를 칭했다. 구가이며 명경도를 가업으로 삼았다. |
| 후시하라가 | 후나바시 가의 분가로, 후나바시 히데카타의 차남 가다다를 시조로 한다. 신가이며, 명경도를 가업으로 삼았다. |
| 사와가 | 후시하라 가의 분가로, 후시하라 노부유키의 차남 다다카즈를 시조로 하는 신가이다. |
8. 1. 후나바시 가
히로즈미류 기요하라 아손 적류이다. 명경박사 기요하라 히로즈미의 후예 히데카타부터 후나바시를 칭했다. 구가(家)이며, 명경도를 가업으로 삼았다.8. 2. 후시하라 가
후나바시 가의 분가로, 명경도를 가업으로 삼았다. 후나바시 히데카타의 차남 가다다를 시조로 한다. 신가(新家)이다.8. 3. 사와 가
후시하라 노부유키의 차남 다다카즈를 시조로 하는 신가이다.9. 오나카토미 씨 계통
신사 관련 직무를 담당했던 오나카토미 씨(大中臣氏)에서는 후지나미 가가 반가에 속했다.
9. 1. 후지나미 가
오오나카토미노 기요마로의 후손인 후지나미 카게타다로부터 후지나미를 칭했다. 오오나카토미아손적류이며 옛 가문이다. 진구 사이슈와 진기 다이후쿠를 세습했다.10. 우라베 씨 계통
신사 관련 직무를 담당했던 우라베 씨에는 요시다 가, 하기와라 가, 니시키오리 가, 후지이 가가 반가에 속했다.
10. 1. 요시다 가
우라베아손의 적류이다. 요시다 카네히로부터 요시다를 칭한다. 구가(旧家)이다. 가업은 신기도이다. 요시다사 직을 세습했다.10. 2. 하기와라 가
요시다 카네하루의 차남 카네요리를 시조로 하는 가문이다. 신가(新家)이며, 가업은 신기도이고, 도요쿠니 신사 사부(社務)를 세습했다.10. 3. 니시키오리 가
하기와라 가의 서류이다. 하기와라 카즈요리의 차남 요리히사를 시조로 하는 신가이다.10. 4. 후지이 가
후지이 카네미츠는 당초 이노쿠마를 칭했다. 신가(新家)이다. 신기관을 세습하고, 헤이안 신사의 직무를 담당했다.11. 아베 씨 계통
음양도(陰陽道)로 유명한 아베 씨(安倍氏)에서는 도미코지 가와 구라하시 가, 두 가문이 반가에 속했다.
11. 1. 도미코지 가
아베 아손의 적류이다. 아베노 구라하시마로(우치마로)의 후손 아베노 세이메이가 시조이다. 옛 가문으로, 가업은 천문, 역도, 음양도이다.11. 2. 구라하시 가
도미코지 히사나가의 아들 야스요시를 시조로 하는 신가문이다. 가업은 음양도이다.12. 단바 씨 계통
의술(醫術)을 가업으로 삼았던 단바 씨에서는 니시키코지 가가 반가에 속했다.
12. 1. 니시키코지 가
단바 아손의 적류이다. 전국 시대 말기에 중단되었다가, 에도 시대 중기에 고모리 요리모토의 아들 요리쓰네가 재흥하였다. 신가이며, 가업은 의술이다.13. 오에 씨 계통
문학(文学)을 가업으로 삼았던 오에씨에서는 오에 마사시게의 아들 기타코지 도시노리가 기타코지를 칭하면서 시작된 기타코지 가문이 반가에 속했다.
13. 1. 기타코지 가
오에 아손의 적류로 오에 마사시게의 아들 기타코지 도시노리가 기타코지를 칭하였다. 그 후, 에도 시대 후기에 기타코지 도시쓰네 및 그 분가인 기타코지 도시노리가 도쇼 가에 올랐다. 가업은 문학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