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구누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구누섬은 뉴조지아 제도 열도의 남쪽 끝에 위치한 솔로몬 제도의 섬이다. 1893년 영국령 솔로몬 제도의 보호령으로 선포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점령되었다가 1978년 솔로몬 제도가 독립하면서 솔로몬 제도의 일부가 되었다. 섬은 비활성 성층 화산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염수 석호인 마로보 석호가 섬 대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섬 남쪽에는 바다거북, 방구누 자이언트쥐, 뉴 조지아 원숭이얼굴박쥐 등 취약종 동물의 서식지가 있으며, 섬 주민들은 벌목과 채광으로부터 숲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주민들은 주로 자급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반구누어와 마로보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조지아 제도 - 테테파레섬
    테테파레섬은 솔로몬 제도 서부 주에 위치한 생태적, 고고학적 가치가 높은 섬으로, 희귀하고 고유한 동식물의 서식지이자 위기에 처한 바다거북의 산란지이며, 테테파레 후손 협회에 의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 뉴조지아 제도 - 뉴조지아섬
    뉴조지아섬은 솔로몬 제도의 뉴조지아 제도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1999년 기준 19,312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멜라네시아어를 사용하고, 2차 세계 대전 중 격전지였다.
  • 솔로몬 제도의 섬 - 과달카날섬
    과달카날섬은 솔로몬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중앙에 포포마나세우산이 솟아 있고 해안선에는 산호초가 펼쳐져 있으며, 과거 격전지였고 현재 수도인 호니아라가 위치해 있다.
  • 솔로몬 제도의 섬 - 벨로나섬
    벨로나섬은 솔로몬 제도에 속한 폴리네시아 외곽 섬으로, 레넬섬과 함께 솔로몬 제도 내 폴리네시아인이 거주하는 대표적인 섬이며, 인구 밀도가 높고 비옥한 내륙을 가지고 마탕기, 옹가우, 응강고 세 구역으로 나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방구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우주에서 본 방구누섬
우주에서 본 방구누섬
뉴조지아 제도에서 섬의 위치
뉴조지아 제도에서 섬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방구누
위치남태평양
군도뉴조지아 제도
국가솔로몬 제도
행정 구역서부 주
지리
면적509 km2
최고점1082 m
좌표8° 37′ 33″ S, 157° 58′ 54″ E
인구 통계
인구2212명 (1999년)
인구 밀도4.35 명/km2
추가 정보

2. 역사

방구누섬은 1893년 3월 15일 영국령 솔로몬 제도 보호령으로 선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10월에는 솔로몬 제도 전역의 과정에서 일본군에게 점령되었으며, 1943년에는 연합군과 일본군 간의 위컴 앵커리지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1] 이후 1978년 솔로몬 제도가 독립하면서 솔로몬 제도의 일부가 되었다.

2. 1. 영국 보호령 시기 (19세기 말 ~ 1978년)

1943년 7월 1일경, 미국 육군 제152 야전 포병 연대가 위컴 앵커리지 공격을 지원하는 모습


1893년 3월 15일, 방구누섬은 영국령 솔로몬 제도 보호령으로 선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10월, 이 섬은 일본군에 의해 점령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이는 태평양 전쟁의 일부인 솔로몬 제도 전역 중에 발생한 일이다.

이후 1943년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방구누섬에서는 뉴 조지아 전역의 초기 육상 전투 중 하나인 위컴 앵커리지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소수의 일본군은 수적으로 우세한 연합군에게 빠르게 격퇴되었다.[1]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 1945년)



1942년 10월, 이 섬은 솔로몬 제도 전역 중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3년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이곳에서는 뉴 조지아 전역의 초기 육상 전투 중 하나인 위컴 앵커리지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소수의 일본군은 수적으로 우세한 연합군에게 빠르게 격파되었다.[1]

2. 3. 솔로몬 제도 독립 (1978년 ~ 현재)

1978년 이후, 이 섬은 독립 국가인 솔로몬 제도의 일부가 되었다.

3. 지리

섬의 주요 마을은 다음과 같다.


  • 할리시
  • 니네베
  • 사이라
  • 바투나

3. 1. 지형

이 섬은 뉴조지아 제도 열도의 남쪽 끝에 위치해 있다. 북서쪽에는 뉴조지아 섬이, 남동쪽에는 응가토케이 섬이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염수 석호인 마로보 석호가 섬의 대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방구누 섬은 비활성 플라이스토세 성층 화산[2]이 지배적인 화산섬으로, 높이는 1082m이며, 칼데라 경사면은 현재 울창한 정글 숲으로 덮여 있다.

방구누 섬에서 남쪽으로 약 28km 떨어진 곳에는 카바치로 알려진 해저 화산이 있으며, 이는 현재 열도에서 유일하게 활동적인 화산이자 남서 태평양에서 가장 활동적인 해저 화산 중 하나이다.

4. 생태

방구누섬은 독특하고 잘 보존된 과 해안선을 가지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섬 남쪽 자이라 지역은 여러 취약종 동물의 서식지로서 주목받고 있다.[5]

4. 1. 동식물

방구누섬 남쪽 자이라 지역 사회 주변의 숲과 해안선은 잘 보존되어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이곳은 최소 세 종류의 취약종 동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바다거북, 방구누 자이언트쥐, 뉴 조지아 원숭이얼굴박쥐가 대표적이다. 특히 방구누 자이언트쥐와 뉴 조지아 원숭이얼굴박쥐는 이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이다.[5]

방구누 자이언트쥐는 2017년 타이론 레버리에 의해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되었다. 그러나 섬에 남은 서식지가 약 80km2에 불과하고, 지속적인 벌목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에 놓여 있다.[3][4]

이에 자이라 지역 주민 약 200명은 소중한 숲과 해안선이 벌목과 채광으로 훼손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해당 지역을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5]

4. 2. 환경 보호 노력

방구누섬 남쪽 자이라 지역의 과 해안선은 깨끗하고 독특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어, 최소 세 종의 취약종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에는 바다거북, 방구누 자이언트쥐, 뉴 조지아 원숭이얼굴박쥐가 살고 있으며, 특히 방구누 자이언트쥐와 뉴 조지아 원숭이얼굴박쥐는 이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이다.[5] 방구누 자이언트쥐는 2017년 타이론 레버리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는데, 섬에 남아있는 서식지가 약 80km2에 불과하고 지속적인 벌목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에 놓여 있다.[3][4]

이에 자이라 지역 주민 약 200명은 벌목과 채광 활동이 깨끗한 숲과 해안선을 훼손하고 오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해당 지역을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5]

5. 인문 환경

(내용 없음)

5. 1. 언어

방구누 섬 주민의 대부분은 반구누어를 사용하며, 섬 북부의 마로보 석호 주변 지역 주민들은 반구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마로보어를 사용한다.[6]

5. 2. 생활

방구누 섬 주민의 대부분은 반구누어를 사용하며, 섬 북부의 마로보 석호 주변 지역 주민들은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마로보어를 사용한다. 그들은 주로 자급 농업으로 생활하며 어업에 능숙하다.[6]

5. 3. 주요 지역

참조

[1] 웹사이트 Pacific Wrecks https://www.pacificw[...]
[2] 웹사이트 The Geology Of The New Georgia Group, Western Solomon Islands https://www.research[...] 1986-01-01
[3] 학술지 Giant, tree-dwelling rat discovered in Solomon Islands http://www.nature.co[...] 2017-09-27
[4] 웹사이트 The Elusive Giant Coconut-Cracking Rat of the Solomon Islands https://www.nytimes.[...] 2020-12-24
[5] 웹사이트 Villagers fight to preserve a rare piece of untouched forest in Solomon Islands - ABC News https://www.abc.net.[...] 2020-12-24
[6] 서적 Traditional knowledge possessed by the fishers of Marovo Lagoon, Solomon Islands, concerning fish aggregating behaviour http://westernsolomo[...] SPC Traditional Marine Resource Management and Knowledge Information Bulletin No. 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