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순 (192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남순은 1929년 경기도 수원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을 역임한 인물이다.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부장,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부위원장, 폴란드 주재 대사 등을 거쳐 1998년 9월 외무상에 취임했다. 남북 적십자회담 자문위원으로 남한을 방문하는 등 대남 협상 전문가로 활동했으며, 2007년 1월 3일 만성 신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 - 김평일
김평일은 김일성과 김성애 사이에서 태어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일의 이복 동생이자 김정은의 숙부이며,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권력에서 밀려나 여러 국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다 2019년 귀국했다. - 량강도 출신 - 김영철 (1946년)
김영철은 1946년생으로 조선인민군에서 복무하며 군사정전위원회 연락장교, 정찰총국장을 역임하고, 남북 회담 북측 대표로 활동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석하고, 2023년 통일전선부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 량강도 출신 - 원응희
원응희는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출신으로, 김일성, 김정일을 보좌하며 김정일의 선군정치를 실무 지휘하고 군사보안사령관을 역임했으며, 1996년 사건 이후 소외되어 2004년 간암으로 사망했다. - 청도 백씨 - 백승탁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교육 행정가인 백승탁은 충청남도 내 학교 교사, 예산고등학교 교장, 문교부 교육연구관, 충청남도 교육감 등을 역임하고 예덕학원 이사장과 여러 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예산군수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고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다. - 청도 백씨 - 백남주
백남주는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교수와 학장을 역임하며 기계 특성화 대학 지정을 이끌었고 국민훈장을 수훈한 공학자이자 교육자이다.
백남순 (192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백남순 |
한글 | 백남순 |
한자 | 白南淳 |
로마자 표기 | Baek Nam-sun |
직책 | |
직책 | 외무상 |
임기 시작 | 1998년 9월 |
임기 종료 | 2007년 1월 2일 |
최고 지도자 | 김정일 |
이전 외무상 | 김영남 |
다음 외무상 | 강석주 (대행)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929년 3월 13일 |
사망일 | 2007년 1월 2일 (향년 77세)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출신 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
가족 관계 | |
친족 (정치가) | 백룡천 |
2. 생애
백남순은 일제강점기 경기도 수원시 (현재는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5]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부장을 지냈다.[6]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 당시 직업총동맹 부위원장 자격으로 북측 자문위원을 맡아 처음으로 남한을 방문했으며, 이후 여러 남북회담에 참여하면서 대남협상 전문가로 활동하였다.[6]
2. 1. 경력
연도 | 직책 | 비고 |
---|---|---|
1968년 |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부장 | |
1972년 | 남북적십자회담 북측 자문위원 | 직업총동맹 부위원장 자격[6] |
1974년 ~ 1979년 | 폴란드 주재 대사 | [6] |
1989년 |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부부장 | [6] |
1991년 |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북측본부 부의장 | [6] |
1992년 | 남북고위급회담 정치분과위원회 위원장 | [6] |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장 | [6] |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서기국장 | [6] | |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부위원장 | [6] | |
외국문출판사 사장 | [6] | |
1998년 9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 | [6][7] |
2004년 2월 2일 | 김영일 외무성 부상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알리스태어 머레이 맥클린 외무상 특사 면담 | [8] |
최고인민회의 제9, 10, 11기 대의원 | [5] |
- 김일성종합대학 졸업[5]
2. 2. 사망
白南淳|백남순중국어은 2006년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지역포럼에 참석하면서 요양을 계속하고 있었다.[6] 2007년 1월 3일에 사망하였으며, 사인은 만성 신부전으로 추정된다.[2]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백남순 외무상의 상사에 헌화를 보냈다.[6] 사망 당시 실질적인 외교 책임자는 강석주 제1 외무차관이었으므로, 사망 후 북한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은 없었다.[6] 북한 관영 매체는 사망 원인을 특정하지 않았지만, 신장 질환을 앓고 있었다고 알려졌다.[2] 백남순은 미국의 외교 수장과 만난 유일한 북한 외무상이었다.[3]백남순은 사망 전 얼마 동안 병환으로 고생했으며, 그의 직무는 주로 김계관을 포함한 부관 중 한 명이 수행했다.
3. 가족 관계
- 셋째 아들: 백룡천 - 2011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했다.[1]
4.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평가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北 백남순 3남 백룡천… 조선중앙은행 총재 임명
https://www.donga.co[...]
2011-03-09
[2]
뉴스
North Korea foreign minister dies at 78
https://abcnews.go.c[...]
Associated Press (ABC News)
2007-01-03
[3]
뉴스
North Korea Announces Death Of Foreign Minister
http://voanews.com/e[...]
Voice of America
2009-01-03
[4]
뉴스
北、権力要職も世襲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2-01-11
[5]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량강도 출신이라 한다.
[6]
뉴스
백남순 북한 외무상 사망 - munhwa.com
http://www.munhwa.co[...]
[7]
뉴스
북한, 내각제로 바꾸면서 부처 통폐합 - munhwa.com
http://www.munhwa.co[...]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cna.co.j[...]
2009-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