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어 로마자 표기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은 버마어 음성을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여러 체계를 의미한다. 미얀마 내부에서는 MLC 로마자 표기법(1980)이 널리 사용되며, 그 외에도 BGN/PCGN 로마자 표기법(1970), ALA-LC 로마자 표기법 등이 존재한다. 학술 및 언어 교육 분야에서는 멘델슨 시스템, 코닌-루프 시스템, 존 오켈 시스템, 민 랏 시스템 등이 사용된다. 버마어 이름은 표준화된 로마자 표기법이 없어 다양한 영어 표기로 나타나며, 이는 미얀마 관련 정보 교류 및 번역 작업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마어 - 미얀마 언어 위원회
미얀마 언어 위원회는 미얀마어의 발전, 보존, 표준화를 목표로 설립된 기관으로, 사전 편찬, 용어 및 번역 자료 출판, 교육 자료 개발 등의 사업을 통해 미얀마어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버마어 - 버마어 대명사
버마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 경어법을 사용하며, 주격 조사가 붙는 주어 대명사와 목적격 조사가 붙는 목적어 대명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인칭 대명사, 특수한 상황의 대명사, 지시 대명사, 재귀 대명사 등을 사용한다. - 로마자 표기법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로마자 표기법 -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아랍 문자를 로마자(라틴 문자)로 변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의미하며, 음역과 음사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어 학술, 지명 표기, 인터넷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모음 표기의 불완전성, 음역과 음사 방식의 선택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 | |
---|---|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 | |
유형 | 표기법 |
언어 | 버마어 |
문자 | 버마 문자 |
스크립트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
공식 | |
정부 | 미얀마 |
로마자 표기법 | |
BGN/PCGN | 예 |
MLC | 예 |
ISO 15919 | 아니요 |
2. 공식 전사 체계
미얀마 정부가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로마자 표기법은 MLC 음역 체계(MLCTS)이다. 하지만 미얀마 안팎에서는 BGN/PCGN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이나 ALA-LC 로마자 표기법 등 다른 여러 표기 체계들도 사용되고 있다. 버마어 음성을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로 여겨진다.
2. 1. MLC 음역 체계 (MLCTS)
MLC 음역 체계(MLCTS)는 미얀마어 위원회에서 제안하는 정부 권장 음역 체계로, 버마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이 체계는 버마어와 관련된 많은 언어학적 출판물에 사용되며, 모든 미얀마어 위원회(MLC) 출판물에서 버마어의 주요 표기 형태로 사용된다. 이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학술적인 팔리어 로마자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미국 의회 도서관의 버마어 출판물에 대한 ALA-LC 로마자 표기법 색인 체계와도 유사한 점이 있다. MLCTS는 정형 버마어의 음성을 음역하며, 음운론보다는 정자법을 기반으로 한다.[1]2. 2. BGN/PCGN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 (1970)
BGN/PCGN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 (1970)은 미국 지명 위원회(BGN)와 영국 공식 사용 지명 영구 위원회(PCGN)에서 채택한 BGN/PCGN 로마자 표기법이다.2. 3. ALA-LC 로마자 표기법
버마어에 대한 ALA-LC 로마자 표기법은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버마어 서적 목록을 작성하는 데 사용된다.[2]3. 학술 및 언어 교육 전사 체계
학술 및 언어 교육 목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버마어 로마자 전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 멘델슨 시스템: E. 마이클 멘델슨(E. Michael Mendelsoneng)이 1975년에 제안한 체계이다.
- 코닌-루프 시스템: 윌리엄 S. 코닌과 D. 헤이 루프가 1968년 ''버마어 입문''에서 제시한 체계이다.
- 존 오켈 시스템: 존 오켈이 2002년 ''버마어 로마자 표기 안내서''에서 제시한 체계로, 버마어의 억양 표시에 중점을 둔 일반적인 전사 시스템이다.
- 민 랏 시스템: 민 랏이 1958년 ''버마어의 프라하 방식 로마자 표기''에서 발표한 체계이다. 이 방식은 저자가 프라하의 찰스 대학교에서 버마어를 가르치면서 고안했으며, 윌리엄 코닌의 1944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3. 1. 멘델슨 시스템 (1975)
E. 마이클 멘델슨(E. Michael Mendelson)이 1975년에 제안한 버마어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다.3. 2. 코닌-루프 시스템 (1968)
윌리엄 S. 코닌과 D. 헤이 루프가 1968년에 출판한 "버마어 입문"에서 제시한 버마어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다.3. 3. 존 오켈 시스템 (2002)
존 오켈이 2002년에 출판한 "버마어 로마자 표기 안내서"에서 제시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버마어의 억양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전사 시스템이다.3. 4. 민 랏 시스템 (1958)
민 랏이 발표한 "버마어의 프라하 방식 로마자 표기"(1958)는 그가 프라하의 찰스 대학교에서 버마어를 가르치면서 고안한 로마자 표기법 시스템이다. 이 방식은 윌리엄 코닌이 1944년에 만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4. 개인 이름 표기
버마어의 로마자 표기는 여러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널리 쓰이는 표준 표기법은 없다. 이 때문에 버마어 이름은 로마자로 표기할 때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쓰인다. 예를 들어, ဝင်း|윈mya이라는 이름은 Win, Winn, Wyn, Wynn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될 수 있으며, ခိုင်|카잉mya은 Khaing, Khine, Khain 등으로 표기될 수 있다. 이러한 표기의 불일치는 미얀마 관련 정보를 다루거나 인명을 표기할 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A Guide to the Romanization of Burmese
2002
[2]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table for romanization of Burmese
https://www.loc.gov/[...]
[3]
서적
Essays on Burma
1981
[4]
서적
Religion and legitimation of power in Thailand, Laos, and Burma
1978
[5]
서적
Classical Civilisations of South East Asia: An Anthology
University of London.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2002
[6]
간행물
The Prague method romanization of Burmese
1958
[7]
문서
J. Okell A Guide to the Romanization of Burmese 2002- Page 7 "3. SURVEY OF THE THREE METHODS OF ROMANIZATION 3.l
[8]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table for romanization of Burmese
http://www.loc.gov/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