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 (승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법륜은 대한민국의 승려이자 사회운동가이다. 1969년 출가하여 불교 수행을 시작했으며, 1988년 정토회를 설립하여 불교 수행과 사회 활동을 연계했다. JTS, 에코붓다, 좋은벗들, 평화재단 등 다양한 단체를 설립하여 환경 운동, 북한 동포 돕기, 국제 구호 활동,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02년 막사이사이상, 2018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주군 출신 - 오영수 (소설가)
오영수는 1949년 등단하여 향토적이고 서정적인 단편소설을 주로 발표하며 소박한 문체와 따뜻한 인간애를 바탕으로 작품 세계를 구축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울주군 출신 - 정인섭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영문학자, 평론가인 정인섭은 해외문학파 형성, 신극 운동, 민속학 연구에 기여했으나, 친일 활동으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등재되었고, 해방 후에는 시 번역에 힘쓰며 번역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승려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승려 - 학눌
학눌은 평양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법관으로 활동하다가 승려가 되어 금강산 신계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등을 역임하고 1966년 입적하였다.
법륜 (승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존자 |
종교 | 불교 |
종파 | 선 |
창립 | 정토회 |
웹사이트 | 법륜 공식 웹사이트 |
속명 | 최석호 |
한글 | 법륜(法輪) |
한자 | 법륜(法輪) |
로마자 표기 | Beomnyun |
출생명 | 최석호 |
한글 (출생명) | 최석호 |
로마자 표기 (출생명) | Choe Seokho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53년 4월 11일 () |
출생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승려 사회 운동가 구호 운동가 환경 운동가 통일 운동가 정토회 지도법사 죽림정사 주지 스님 (재)평화재단 이사장 (사)한국JTS 이사장 (사)좋은벗들 이사장 (사)에코붓다 이사장 |
종교 | 불교 |
수상 | 국민훈장 모란장 |
2. 경력
법륜은 경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박정희 대통령의 독재 시대에 농민 운동과 불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6] 1979년 활동 단체에 자금을 지원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는데, 이는 법륜에게 중요한 깨달음을 주는 계기가 되었다.[6]
2. 1. 출가와 수행
1969년 12월, 경주 분황사에서 불심 도문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사미계를 받았다. 이때 법명은 법륜(法輪)이었다.[8] 1991년 1월에는 서울 서초동 우면산 대성사에서 도문스님으로부터 비구계 및 보살계, 전법계를 받고 법호 지광(智光)을 받았다.[8]17세에 승려 도문과의 선문답을 통해 출가를 결심했고, 도문의 권유로 1971년부터 20년간 사회생활을 했다. 당시 민주화운동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학원에서 수학을 가르치다가 운동권 자금책으로 오해받아 고문을 당했고, 실제로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여 수감되기도 했다. 1991년 다시 대성사로 돌아와 도문으로부터 비구계, 보살계, 전법계를 받고 발우와 주장자를 받았다. 도문은 절에 머물 것을 권했지만, 이미 구호활동을 시작했기에 계를 받은 새벽에 절을 떠나 현재까지 다양한 사회 및 구호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과학자를 꿈꿨으나, 10학년(고1) 때 기말 시험을 준비하던 중 훗날 그의 스승이 된 도문을 우연히 만났다.[8] 도문은 1919년 3.1 운동의 33인 지도자 중 한 명인 용성의 제자였고, 법륜 역시 용성의 민족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16세에 도문의 지도 아래 불교 수계식을 가졌다.[6]
고등학교 졸업 후, 박정희 대통령의 독재 시대에 농민 운동과 불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6] 1979년에는 활동 단체에 자금을 지원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는데, 이 사건은 법륜에게 중요한 깨달음을 주는 계기가 되었다.[6]
2. 2. 대한불교조계종 승적 문제
법륜은 대한불교조계종 승적이 없는 이유로 2012년 5월 28일 SBS 힐링캠프에서 '합동 수계를 받지 않아서'라고 말했다. 1991년 법륜은 은사인 승려 도문에게 비구계를 받았지만 단일 수계가 없던 해여서 단일 수계를 받지 못했다. 대한불교조계종에선 법륜이 단일계단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승려로서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23]법륜은 승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1995년 8월 25일부터 진행되는 행자교육원 입방 원서를 다시 썼다. 그런데 그해 6월부터 '북한돕기 100만인 서명운동'을 두 달간에 걸쳐 마무리하고 8월 15일날 회향한 후 김수환, 송월주, 강원룡과 함께 대통령 면담 신청 날짜가 8월 29일로 잡혔다.[23] 당시 정토회 구성원들은 합동 수계에 관한 안건을 대중공사(숙의형 전원 토의)에 붙였다. 합동 수계에 간다면 한창 진행 중인 북한 돕기 운동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대중공사 결과, 법륜이 수계 교육을 가서는 안 된다는 결정이 나왔고 법륜이 그 결정을 따른 결과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승적이 없다.[23]
하지만 법륜이 대한불교조계종 승적이 없는 일이 무조건 나쁘지만은 않았다. 그로 인해 정토회는 대한불교조계종 내부의 혼란에 휩쓸리지 않고 독립된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 결과, 정토회(불교수행공동체), 에코붓다(환경운동), JTS(제삼세계 개발 구호활동), 좋은벗들(새터민 지원 단체), 평화재단(평화운동과 남북 화해 통일운동) 같은 다양한 단체를 설립할 수 있었다.[23]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종단 내에서 법륜의 승적을 시비하는 승려는 거의 없다. 오히려 법륜의 노력과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불교를 사회에 선양한 승려로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또한 법륜만 대한불교조계종 승적이 없을 뿐, 법륜과 함께 정토회의 핵심으로 활동하는 승려 유수는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승적을 받았다.[24]
2. 3. 불교 수행 및 사회 활동
1988년, 35세의 법륜은 "사회 활동과 불교가 하나가 되어야 할 때"라고 확신하며 정토회를 설립했다.[6] 정토회는 불교 수행과 사회 활동을 결합한 단체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영리 비정부 기구이다.[6] 정토회는 같은 해 한국불교사회교육원 및 한국불교사회연구소를 설립하고 민족불교학당을 개설했으며, 월간정토를 창간 및 발행했다.1991년에는 정토불교대학을 개설하고, 1992년에는 '깨달음의 장' 등 수련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불교 수행을 돕고 있다. 1993년에는 인도에 수자타 아카데미를 설립하고,[25] 새로운 불교 운동을 위한 정토행자 1만일(30년) 결사 정진을 시작했다. 2005년에는 보살단 회의와 정토행자 대회를 창립했으며, 2007년에는 전라북도 장수 죽림정사 주지를 맡았다.[26] 2008년에는 석가모니 성지 8곳을 성역화하는 사업을 추진했다.[27] 1999년부터는 해외 및 국내에 143개소의 정토법당을 개원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파하고 있다.
정토회는 다음과 같은 주요 활동을 펼치고 있다:
- JTS ("Join Together Society", 함께하는 시민): 국제 NGO 구호 단체로, 굶주림, 질병, 문맹 퇴치를 목표로 활동한다.[6]
- 에코붓다: 1994년 "한국불교환경교육원"으로 설립되어 환경 보존에 불교적 가르침을 적용한다.[6]
- 좋은 벗들: 남북한 화해와 협력 증진, 북한 주민 인도적 지원, 탈북자 인권 개선, 해외 한국인과의 협력을 통한 평화 통일 증진을 목표로 한다.[6]
- 평화재단: 북한 핵 문제 및 인권 문제 해결, 통일 준비를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6]
2. 4. 환경 운동
1994년 (사)한국불교환경교육원(현 에코붓다)을 설립했다.[6] 1999년에는 쓰레기 제로 운동, 음식물 쓰레기 제로 운동 등 친환경적인 생활양식을 위한 환경운동을 전개했다.[65] 2004년에는 빈그릇 운동 10만인 서약 캠페인을,[66] 2005년에는 빈그릇 운동 100만인 서약 캠페인을 벌였다.[67][68]2. 5. 북한 동포 돕기 활동
국제 평화·인권·난민 지원 센터 '좋은벗들'을 조직하여 북한의 식량난과 인권 실태에 대해 보고서를 수차례 발표했고,[37][38] 북한 동포 돕기 서명 운동을 하는 등 국내 및 국제사회에 북한의 실상을 알리고 그들의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39] 또 북한 라진에도 국제구호단체인 JTS를 설립하고 어린이 영양식 공장 설립,[40] 옷 보내기 운동, 아사를 막기 위한 식량 20만 톤 긴급 지원[41] 등 북한 난민 구호 활동[42][43][44]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남북한 주민 좋은 이웃 되기 운동의 일환으로 통일체육축전[45]도 매년 개최하며 통일이 되기 전 민족 간의 화해를 도모하고 있다.2. 6. 국제 구호 활동 (JTS)
1996년 기아·질병·문맹 퇴치기구 JTS(Join Together Society)를 조직해 국제구호활동 영역을 넓혔다.[25][28] 인도 불가촉천민 마을 둥게스와리 지역에서 10,000명의 지역민을 대상으로 교육, 의료, 마을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다.[29] 현재 인도, 필리핀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지구촌 곳곳에서 재난이 일어날 때 인력을 파견하여 긴급구호활동을 하고 있다. 스리랑카 쓰나미 지진해일 피해, 파키스탄 지진피해, 인도네시아 지진피해, 필리핀 태풍피해, 미얀마 홍수피해, 북한 홍수피해 등 지구촌 재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30]'''학교·병원 설립 및 마을사업 지원'''
- 인도: 중학교 1곳, 초등학교 2곳, 소규모 학교 85곳, 유치원 15곳 운영 중.[20]
- 인도 둥게스리 마을: 지바카 병원 설립 (현재 인도 결핵퇴치사업 종료).[31][32]
- 인도네시아: 관개수로 3240m 준공.[33]
- 필리핀 민다나오: 전통문화학교 건축, 송코 평화센터 준공, 원주민·무슬림 지역에 고등학교 1개, 초등학교 45개, 장애인 학교 2개 건설.[34][35][36]
- 캄보디아 북부 라타니끼리 주: 초등학교 15곳 건설.
- JTS 스리랑카 동북부, 중부 아누다라푸라, 트링코말리, 바브니아: 농업지원사업.
2. 7.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활동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인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해 통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법륜은 평화재단을 설립하였다.[46] 평화재단은 통일을 위한 정책 연구와 통일 코리아 글로벌 리더십 양성을 위한 교육 사업을 펼치고 있다. '평화리더십아카데미', '청년리더십아카데미', '여성리더십아카데미', 일반인을 위한 '열린아카데미'를 비롯하여 전문가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전문 아카데미 등을 연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46]법륜은 '민족의 화해와 통일을 위한 종교인 모임',[47][48]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민통합회의' 등[49][50][51] 사회 지도자들과 남남갈등을 치유하기 위해 진보, 보수의 화합을 이끌어내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64] 한편으로는 용성 조사의 뜻을 잇고자 하는 측면도 있다.[52]
법륜은 UN 본부와 워싱턴 국무성, 의회, NSC, USAID 등을 방문하여 대북 인도적 지원을 촉구하고, 난민 구호 및 경제 제재 조치 해제를 호소하였다. 또한, 통일 미래를 준비하는 143회 연속 통일대화마당,[53] 민족의 화합과 통일을 위한 24시간 1000일 정진 회향기념 전국순례 및 지역 캠페인[54] 등을 진행했다.
6자회담 성사를 위해 미국 국무성, 의회를 방문하여 대북 강경 정책 철회를 촉구하였고, 2005년 유엔 제6회 세계한민족포럼 공동대회장을 맡았다.[57] 6자회담 타결을 위해 미국 국무성, NSC, 의회를 방문, 북한의 핵 평화적 이용권 수용을 촉구하였으며,[58] 민족 화해와 통일 시대를 향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59] 6자회담의 걸림돌인 위폐 및 금융 제재 문제 해결을 위한 북, 미간 협의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60]
평화재단은 4개의 전문가 모임(평화체제 구축과 통일 방안, 북한 이해, 인권, 평화 법제 등)을 운영하고,[61] 남북 화해와 평화 통일을 위한 활동가 워크숍, 국제 심포지엄(매년 진행)을 개최한다.[63] 제1회 평화와 안보를 위한 한·미 전문가 정책 워크숍, 제2차 북한 인권 포럼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한국 사회의 역할' 모색 - 정부, 국가인권위원회, NGO를 중심으로[62] 등의 활동을 펼쳤다.
3. 수상 내역
수상 이름 | 수상 시기 |
---|---|
교보환경문화상 사회교육분야 본상[15] | 1998년 11월 12일 |
만해상 포교상[16] | 2000년 8월 9일 |
막사이사이상 평화와 국제이해부문[14] | 2002년 8월 31일 |
강원도 DMZ 평화 남북교류협력상[17] | 2006년 11월 22일 |
제5회 민족화해상[18] | 2007년 12월 13일 |
천지일보 창간 1주년 기념 천지 종교인상[19] | 2010년 9월 |
포스코 청암상[20] | 2011년 3월 |
끄리빠사란(Kripasaran) 상[21] | 2015년 6월 |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22] | 2018년 11월 |
4. 저서
참조
[1]
뉴스
Buddhist monk and activist Pomnyun shares advice, opinions on North Korea
http://www.dukechron[...]
2015-08-05
[2]
웹사이트
PAP PROJECTS
https://web.archive.[...]
2015-08-05
[3]
뉴스
A Monk's Earthly Mission: Easing North Koreans' Pain
https://www.nytimes.[...]
2015-08-05
[4]
뉴스
HOW ONE BUDDHIST MONK DEVOTED HIS LIFE TO NORTH KOREANS
http://www.worldreli[...]
2015-08-05
[5]
웹사이트
Buddhism in Asia: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https://web.archive.[...]
The U.S.-Korea Institute at SAIS
2015-08-05
[6]
웹사이트
Venerable Pomnyun
https://www.rmaward.[...]
[7]
웹사이트
Recipients of Niwano Peace Prize > Venerable Pomnyun
https://www.npf.or.j[...]
2023-08-30
[8]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the Ven. Pomnyun Sunim
https://jungto.org/e[...]
2023-08-31
[9]
웹사이트
조계종의 공식 계단이 아닌 별도 계단으로 득도했기 때문에 조계종 승적에 대한 시비가 계속됐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결과적으로 제도권 밖에서 정토회를 운영하면서 기성 교단으로부터 자유로운 불교운동을 전개하는데 도움이 됐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도문스님에게 의발을 전해받으면서 출가사문으로 되돌아 왔는데 이를 부정하기 어려운 이유도 있었다.
http://www.munhwa.co[...]
[10]
뉴스인용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에 담긴 힐링의 힘
http://www.ohmynews.[...]
2015-05-25
[11]
뉴스인용
사람들이 '즉문즉설'에 열광하는 이유는?
http://www.ohmynews.[...]
2012-09-28
[12]
뉴스인용
법륜스님 ‘희망세상만들기’ 북미순회강연 인기몰이
http://www.newsis.co[...]
2013-09-18
[13]
뉴스인용
‘즉문즉설’ 법륜 스님 130만권 ‘인생과외’
http://www.hani.co.k[...]
2012-03-09
[14]
뉴스인용
법륜 스님, 막사이사이상 수상
http://news.kbs.co.k[...]
2002-07-30
[15]
뉴스인용
교보환경문화상 수상-불교환경교육원 10일
http://www.ibulgyo.c[...]
1998-10-27
[16]
뉴스인용
4회 卍海실천상 6명 선정
http://news.donga.co[...]
2000-06-05
[17]
뉴스인용
[DMZ평화상 수상자 인터뷰]교류협력-법륜스님
http://www.kwnews.co[...]
2006-11-23
[18]
뉴스인용
민족화해범민협 ‘민족화해상’…법륜 스님
http://english.hani.[...]
2007-12-11
[19]
뉴스인용
제1회 천지종교人상 수상자 법륜스님 특별 인터뷰
http://www.newscj.co[...]
2010-09-04
[20]
뉴스인용
‘포스코청암상’에 이상엽 교수·남한산초등학교·법륜 스님·동티모르 알로라 재단
http://news.khan.co.[...]
2011-02-21
[21]
뉴스인용
법륜 스님 ‘끄리빠사란(Kripasaran) 상’ 수상
http://www.jknews.kr[...]
2015-06-25
[22]
뉴스인용
법륜 스님, 국민훈장 모란장 수상
http://www.ohmynews.[...]
2018-11-21
[23]
웹인용
정혜탐방 [정토회] 법륜스님
http://www.jungto.or[...]
2016-03-01
[24]
웹인용
법륜스님과 나(유정길)
http://blog.daum.net[...]
2016-02-28
[25]
뉴스인용
현대·기아차, 인도 불가촉 천민 위한 아카데미 완공
http://www.nocutnews[...]
2008-01-13
[26]
웹인용
죽림정사 주지인사말
http://www.juklim.co[...]
2016-02-28
[27]
뉴스인용
‘정토회’ 석가모니 성지8곳 성역화 명상센터·교육·의료시설 등 건립
http://www.seoul.co.[...]
2008-01-24
[28]
뉴스인용
인도빈민들도 "북한기아 도와요"
http://www.mt.co.kr/[...]
2008-09-13
[29]
뉴스인용
필리핀 민다나오 등 제3세계 오지에 85개 학교 손수 짓게해 자체 해결 이끌어 주민이 주인으로
http://well.hani.co.[...]
2011-05-31
[30]
웹인용
JTS 해외 및 국내사업
http://jts.or.kr/wor[...]
[31]
뉴스인용
벽촌에 '한국병원' 가슴 뭉클
http://www.koreatime[...]
2001-03-13
[32]
뉴스인용
JTS 인도 둥게스리 지이바카병원 개원
http://well.hani.co.[...]
2005-10-28
[33]
웹인용
타임머신을 타고 한국의 70년대로
http://www.jts.or.kr[...]
[34]
뉴스인용
개발도상국에 희망을 심는다
http://www.yonhapnew[...]
2009-08-06
[35]
뉴스인용
JTS, 필리핀 문맹 퇴치·전통 보존 나선다
http://www.beopbo.co[...]
2006-09-04
[36]
서적
우리 벌써 친구가 됐어요(한지민의 필리핀 도네이션 북)
북로그컴퍼니
2009-01-01
[37]
뉴스
사단법인 ‘좋은 벗들’ 北식량난 실태 보고
http://www.seoul.co.[...]
1999-08-31
[38]
웹인용
좋은벗들 단행자료 목록
http://www.nl.go.kr/[...]
정토출판
[39]
뉴스
통일운동의 지평을 바꿨다
http://legacy.h21.ha[...]
1997-11-27
[40]
웹인용
한국 JTS에 대한 남북협력기금 지원 결정
https://www.unikorea[...]
2000-04-14
[41]
뉴스
굶어 죽는 동포, 그냥 두고 볼 텐가
http://news.chosun.c[...]
2008-05-28
[42]
뉴스
'용천 긴급구호' 첨병役 맡았다
http://nk.joins.com/[...]
2004-05-04
[43]
뉴스
JTS, 25일 북한수해 긴급구호물자 선적
http://www.newscj.co[...]
2010-09-26
[44]
뉴스
한국JTS, 북한 수해 지원 밀가루 500t 전달
http://news.sbs.co.k[...]
2012-09-20
[45]
뉴스
맑은 가을하늘, 남북 주민 모여 운동회 열다
http://www.ohmynews.[...]
2003-09-21
[46]
웹인용
평화교육원 소개
http://www.peacefoun[...]
[47]
뉴스
종교인모임 “한반도 평화통일 꼭 이뤄져야”
http://www.ggbn.co.k[...]
2015-08-27
[48]
뉴스
민족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종교인 모임, 남북 평화와 통일 위한 정책 촉구
http://news.kmib.co.[...]
2015-08-27
[49]
뉴스
종교·정치계, 평화·통일 위한 국민통합 선언문 발표
http://news20.busan.[...]
2013-06-21
[50]
뉴스
통일 위한 '통일영향평가'를 제안합니다
http://www.ohmynews.[...]
2014-06-20
[51]
뉴스
오바마 방한 앞두고 "한미일 MD 구축 반대"
http://www.pressian.[...]
2014-04-24
[52]
뉴스
“용성 스님의 큰 뜻 통일운동으로 이어갈 것”
http://news.khan.co.[...]
2014-05-22
[53]
뉴스
좋은벗들, 제6기 통일대화마당 열어
http://www.tongilnew[...]
2001-05-30
[54]
뉴스
정토회, 통일 위한 정진 1000일 맞아
http://www.ohmynews.[...]
2002-11-19
[55]
뉴스
각계 원로 '보혁 아우르기' 나섰다
http://www.hankookil[...]
2006-11-07
[56]
뉴스
<현장> 이부영-윤여준-김지하-손숙 등 '화해상생마당' 결성
http://viewsnnews.co[...]
2006-11-10
[57]
뉴스
법륜 스님, 세계한민족포럼
http://www.koreadail[...]
2016-02-28
[58]
뉴스
북한은 인권보다 안보해결이 우선
https://news.naver.c[...]
2005-08-21
[59]
뉴스
평화재단 1주년 기념 심포지엄
http://www.seoul.co.[...]
2005-11-15
[60]
뉴스
"北은 범죄국가" 美입장 안팎
http://www.dailynk.c[...]
2005-12-08
[61]
뉴스
인권위, ‘북한인권 국제심포지엄’ 개최
http://www.newswire.[...]
2006-11-30
[62]
뉴스
`북한인권 포럼' 첫 모임…"정치 논쟁 배제하자"
https://news.naver.c[...]
2008-05-20
[63]
뉴스
독일통일 "접촉을 통한 변화가 이뤄낸 성과"
http://ngonewsi.com/[...]
2016-02-28
[64]
웹인용
새로운 100년을 위한 출발, 새로운 통일을 위한 준비
http://www.peacefoun[...]
2014-11-18
[65]
뉴스
‘ 음식 남기지 않기 ’ ‘ 빈 그릇 운동’
http://www.koreatime[...]
2004-09-29
[66]
뉴스
음식 남기지 않기 10만인 서약 캠페인
http://www.newswire.[...]
2004-11-10
[67]
뉴스
‘빈그릇운동’100만인 서약 캠페인
http://www.hani.co.k[...]
2005-05-20
[68]
뉴스
‘빈 그릇 운동’ 1년… 백만 명 서약
http://news.kbs.co.k[...]
2005-12-20
[69]
웹인용
[행복한출근길] 회사잘린 직장인 - 법륜스님의 10년전 이야기
http://blog.aladin.c[...]
2009-04-25
[70]
뉴스
법륜스님 '인생수업' 13주 연속 1위
http://news1.kr/arti[...]
2014-01-10
[71]
뉴스
법륜 스님 '지금 여기 깨어있기' 인기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5-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